[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오클랜드 애슬레틱스/2021년)] [include(틀:오클랜드 애슬레틱스/2021년)] [목차] == 개요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2021년 8월을 기록한 문서. == vs @LAA(0729~0801) : 위닝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인절스.jpg|width=100%]]}}} || === 1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데이비드 플레처]] || 2B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오타니 쇼헤이]] || DH || || 1B || [[맷 올슨]] || 3 || [[필 고슬린]] || 1B || || 2B || [[제드 라우리]] || 4 || [[저스틴 업튼]] || LF || || RF || [[라몬 로리아노]] || 5 || [[맥스 스태시]] || C || || DH || [[미치 모어랜드]] || 6 || [[브랜든 마쉬]] || CF || || 3B || [[맷 채프먼]] || 7 || [[호세 이글레시아스]] || SS || || C || [[션 머피]] || 8 || [[애덤 이튼]] || RF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잭 메이필드]] || 3B || ||<-2> [[프랭키 몬타스]] || SP ||<-2> [[딜런 번디]] || 시리즈에 앞서 트레이드로 넘어온 [[스탈링 마르테]]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제이콥 윌슨]]이 옵션되었다. 1차전에서는 1회부터 상대 선발투수 [[딜런 번디]]의 몸에 맞는 공 하나와 볼넷 두개로 무사 만루의 기회를 잡았고, [[제드 라우리]]의 1타점 땅볼과 [[라몬 로레아노]]의 2타점 적시 2루타가 터지며 석 점 먼저 앞서나갔다. 선발투수 [[프랭키 몬타스]]는 3회와 4화 2사 1,2루의 위기를 맞긴 했으나 두 이닝 모두 무실점으로 이닝을 끝마쳤다. 7회 초에는 견제과정에서 상대 투수 [[호세 퀸타나]]의 송구실책이 나오며 한 점을 더 달아났다. 이후 투수진들이 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으며 승리를 가져왔다. 선발투수 [[프랭키 몬타스]]는 7이닝 3피안타 10K 무실점으로 시즌 9승(8패)째를 거두었고, [[서지오 로모]]와 [[루 트리비노]]가 각각 남은 이닝들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영봉승을 완성했다. === 2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데이비드 플레처]] || 2B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오타니 쇼헤이]] || DH || || 1B || [[맷 올슨]] || 3 || [[필 고슬린]] || 1B || || RF || [[라몬 로리아노]] || 4 || [[저스틴 업튼]] || LF || || DH || [[제드 라우리]] || 5 || [[맥스 스태시]] || C || || 3B || [[맷 채프먼]] || 6 || [[브랜든 마쉬]] || CF || || C || [[션 머피]] || 7 || [[호세 이글레시아스]] || SS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8 || [[애덤 이튼]] || RF || || 2B || [[토니 켐프]] || 9 || [[잭 메이필드]] || 3B || ||<-2> [[크리스 배싯]] || SP ||<-2> [[패트릭 산도발]] || 2차전에서는 4회 초 안타 3개로 만든 1사 만루의 기회에서 [[마크 칸하]]가 밀어내기 볼넷을 얻어내며 먼저 앞서나갔다. 선발투수 [[크리스 배싯]]은 4회 말 안타와 볼넷으로 위기를 만들긴 했으나 후속타자 [[브랜든 마쉬]]를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실점하지 않았다. 배싯은 6회 말에도 2사 1,2루의 기회에 몰렸으나 또 다시 [[브랜든 마쉬]]를 삼진 처리하며 이닝을 종료했다. 그동안 오클랜드의 타선도 침묵하다고 8회 초 [[맷 채프먼]]이 솔로포(시즌 14호)를 터뜨리며 한 점을 더 만들었고, 투수진이 이 점수를 지키며 경기를 끝냈다. 선발투수 크리스 배싯은 7이닝 6피안타 1사사구 7K 무실점으로 시즌 11승(3패)을 만들었고, 이틀 연속 등판한 [[서지오 로모]]와 [[루 트리비노]]는 각각 시즌 8홀드째와 7세이브째를 기록했다. 팀은 이틀 연속 완봉승을 기록했다. 7월 30일 트레이드 데드라인에서 오클랜드는 [[워싱턴 내셔널스]]에서 포수 [[얀 곰스]]와 내야수 [[조시 해리슨]]을 영입하고 A+ [[랜싱 러그너츠]] 소속 세 명의 유망주들을 보냈다. 얀 곰스는 최근 타격이 부진한 [[션 머피]]의 플레이타임을 나눠서 소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조쉬 해리슨]]은 3루와 2루, 외야를 오가며 전천후 백업 롤을 맡을 전망이다. 최근 비슷한 역할을 하던 [[토니 켐프]]가 부진하기 때문에 꽤 많이 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곰스와 해리슨은 이동할 시간이 필요하기에 당장 출전하기는 어려우며, 에인절스와의 마지막 경기부터 출전이 가능하다고 한다. === 3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데이비드 플레처]] || 2B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오타니 쇼헤이]] || DH || || 1B || [[맷 올슨]] || 3 || [[필 고슬린]] || LF || || RF || [[라몬 로리아노]] || 4 || [[호세 이글레시아스]] || SS || || DH || [[미치 모어랜드]] || 5 || [[브랜든 마쉬]] || CF || || 3B || [[맷 채프먼]] || 6 || [[커트 스즈키]] || C || || C || [[션 머피]] || 7 || [[후안 라가레스]] || RF || || 2B || [[토니 켐프]] || 8 || [[맷 타이스]] || 1B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잭 메이필드]] || 3B || ||<-2> [[콜 어빈]] || SP ||<-2> [[하이메 바리아]] || 31일 경기에 앞서 얀 곰스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아라미스 가르시아]]가 옵션되었다. 또 40인을 비우기 위해 DFA되었던 [[도밍고 아세베도]]가 방출을 선택하였다. 8월 1일 선발투수로 내정되었던 [[제임스 카프렐리안]]은 오른쪽 어깨 충돌 부상으로 10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카프렐리안이 빠진 선발 로테이션은 [[달튼 제프리스]]가 메운다. 3차전에서는 답답한 경기의 흐름이 이어졌다. 안타 6개, 2루타 3개가 나오면서 끈질기게 베이스를 밟았으나 득점권 상황에서 적시타가 터지지 않으며 힘든 경기를 펼쳤다. 오늘 경기를 통틀어 무려 5번의 득점권 찬스가 있었으나 적시타는 단 한번도 터지지 않았다. 선발투수 [[콜 어빈]]은 6.1이닝 5피안타 6K 1실점으로 호투했으나 득점지원이 터지지 않으며 시즌 10패(7승)째를 떠안았다. [[유스메이로 페팃]]이 0.2이닝을 막았고, [[앤드류 샤핀]]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 4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데이비드 플레처]] || 2B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오타니 쇼헤이]] || DH || || 1B || [[맷 올슨]] || 3 || [[저스틴 업튼]] || LF || || DH || [[제드 라우리]] || 4 || [[맥스 스태시]] || C || || RF || [[라몬 로리아노]] || 5 || [[맷 타이스]] || 1B || || C || [[얀 곰스]] || 6 || [[호세 이글레시아스]] || SS || || 2B || [[조시 해리슨]] || 7 || [[브랜든 마쉬]] || CF || || 3B || [[맷 채프먼]] || 8 || [[잭 메이필드]] || 3B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애덤 이튼]] || RF || ||<-2> [[달튼 제프리스]] || SP ||<-2> [[리드 데트머스]] || 4차전에서는 루키 [[달튼 제프리스]]가 선발 등판했다. 1회 무사 1루에서 [[맥스 스태시]]에게 투런을 허용하며 어렵게 출발했고, 2회 말에는 [[잭 메이필드]]의 1타점 적시 2루타가 터지며 석 점차가 되었다. 그러나 3회 초 [[맷 올슨]]이 동점 쓰리런포(시즌 28호)를 터뜨리며 경기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뒤이어 오늘 오클랜드에서 첫 경기를 펼친 [[포수]] [[얀 곰스]]가 투런포를 쏘아올리며(시즌 10호) 두 점차의 리드를 잡았다. 이후 제프리스는 안정을 찾았고, 3회부터 5회를 무실점으로 막았다. 5회 초에는 [[얀 곰스]]가 1타점 적시타를 뽑아내며 한 점을 더 달아났다. 6회 초 [[제드 라우리]]의 2타점 적시타까지 터지며 쐐기점을 만들었다. 투수진이 남은 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으며 승리를 확정지었다. 선발투수 달튼 제프리스는 5이닝 3피안타 1피홈런 3K 무실점으로 자신의 커리어 첫 승리를 거두었고, [[유스메이로 페팃]], [[제이크 디크먼]], [[앤드류 샤핀]], [[서지오 로모]]가 각각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한편 오늘 경기는 이적생들의 활약이 단연 돋보이는 경기였는데, [[스탈링 마르테]]가 4타수 3안타 2득점을 올리며 이적 후 앞선 세 경기 12타수 2안타의 부진을 씻어냈다. 또 [[얀 곰스]]는 이적 후 첫 경기에서 4타수 3안타 2득점을, [[조시 해리슨]] 역시 이적 후 첫 경기에서 5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불펜투수 [[앤드류 샤핀]]도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 vs SD(0803~0804) : 시리즈 타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샌ㄷ.jpg|width=100%]]}}} || === 1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DH || [[토미 팸]] || 1 || [[마크 칸하]] || LF || || 2B || [[제이크 크로넨워스]]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3B || [[매니 마차도]] || 3 || [[맷 올슨]] || 1B || || RF || [[윌 마이어스]] || 4 || [[제드 라우리]] || DH || || 1B || [[에릭 호스머]] || 5 || [[얀 곰스]] || C || || C || [[오스틴 놀라]] || 6 || [[라몬 로리아노]] || RF || || CF || [[트렌트 그리샴]] || 7 || [[조시 해리슨]] || 2B || || SS || [[김하성]] || 8 || [[맷 채프먼]] || 3B || || LF || [[제이크 마리스닉]]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블레이크 스넬]] || SP ||<-2> [[션 머나야]] || 휴식일이었던 2일 [[제이콥 윌슨]]이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클레임을 걸어 이적하였다. 3일 경기는 계속되는 고구마의 연속이었다. 선발투수 [[션 머나야]]가 1회 [[토미 팸]]에게 솔로포를 허용했고, 2회에는 무려 5안타 3득점을 내주는 등 초반에 부진했다. 하지만 오클랜드 타선도 1회 무사 1,2루의 기회를, 2회 1사 만루의 기회를 잡았다. 하지만 두 찬스에서 모두 적시타가 전혀 터지지 않으면서 득점을 올리지 못했다. 3회 말에도 [[스탈링 마르테]]의 안타와 도루로 무사 2루의 득점권 기회를 잡았으나 후속 세 타자가 모두 침묵했고, 4회 말에도 [[라몬 로레아노]]의 2루타와 3루 도루로 1사 3루의 기회를 잡았으나 [[맷 채프먼]]과 [[엘비스 앤드루스]]가 모두 침묵하며 득점을 올리지 못했다. 이렇게 수많은 찬스를 만들고도 득점을 하지 못한 오클랜드는 경기 내내 끌려다니기에 바빴고, 5회 초 [[션 머나야]]를 구원등판한 [[데올리스 게라]]가 [[오스틴 놀라]]에게 2타점 적시타를 내주며 경기는 6대 0으로 순식간에 기울어버렸다. 5회 말 [[스탈링 마르테]]가 뒤늦게 솔로포를 쏘아올렸으나 경기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7회 초 [[트렌트 그리샴]]의 2타점 적시타가 나오며 경기에 쐐기를 박았다. 선발투수 [[션 머나야]]는 4.1이닝 8피안타 4K 5실점(5자책)을 기록했는데, 머나야가 5이닝을 소화하지 못한 것은 5월 13일 이후 거의 세 달 만이다. 얼마나 머나야가 올 시즌 잘 던지고 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또 오늘 경기에서 팀의 득점권 성적은 무려 13타수 무안타였다. 오늘 경기가 얼마나 답답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타선에서는 이적생 [[스탈링 마르테]]가 4타수 3안타로 분전했다. [[라몬 로레아노]] 역시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 2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토미 팸]] || 1 || [[마크 칸하]] || LF || || 2B || [[애덤 프레이저]]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3B || [[매니 마차도]] || 3 || [[맷 올슨]] || 1B || || SS || [[제이크 크로넨워스]] || 4 || [[라몬 로리아노]] || RF || || DH || [[에릭 호스머]] || 5 || [[제드 라우리]] || DH || || 1B || [[주릭슨 프로파]] || 6 || [[조시 해리슨]] || 2B || || CF || [[트렌트 그리샴]] || 7 || [[션 머피]] || C || || C || [[빅터 카라티니]] || 8 || [[맷 채프먼]] || 3B || || RF || [[제이크 마리스닉]]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조 머스그로브]] || SP ||<-2> [[프랭키 몬타스]] || 2차전에 앞서 [[텍사스 레인저스]]로 트레이드된 후 부진한 성적으로 방출되었던 프랜차이즈 [[크리스 데이비스(1987)|크리스 데이비스]]가 오클랜드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데이비스는 방출 후에도 꾸준히 개인훈련을 지속해왔다고 한다. [[밥 멜빈]] 감독은 일단 루키팀 [[ACL 애슬레틱스]]에서 실전 감각을 익히고 곧바로 AAA팀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로 올릴 계획이라고 한다. 2차전은 2회 [[제드 라우리]]의 솔로포(시즌 12호)가 나오며 먼저 앞서나갔다. 하지만 선발투수 [[프랭키 몬타스]]가 3회 초 선두타자 빅터 카라티니에게 2루타를 허용한 데 이어 [[애덤 프레이저]]에게 동점타를 허용하며 경기는 원점으로 돌아왔다. 이어지는 4회 초에는 1사 이후 [[에릭 호스머]]와 [[주릭슨 프로파]]의 연속 안타가 나왔고, [[트렌트 그리샴]]이 올 시즌 15호 1타점 적시 2루타를 뽑아내며 경기를 뒤집었다. 뒤이어 빅터 카라티니가 1타점 적시타를 추가하며 두 점차로 끌려가게 되었다. 이후 양 팀은 이렇다할 찬스를 만들지 못했고, 이런 분위기는 9회까지 이어졌다. 오클랜드의 정규이닝 마지막 공격이었던 9회 말, 샌디에이고의 마운드에는 마무리 [[마크 멜란슨]]이 올랐고, 선두타자 [[라몬 로레아노]]는 끈질긴 10구 승부 끝에 시즌 21호 2루타를 치며 출루했다. 하지만 후속타자 [[제드 라우리]]는 5구만에 삼진으로 물러났다. 또 [[조시 해리슨]]마저 1루수 [[주릭슨 프로파]]의 좋은 수비에 타구가 막히며 경기는 샌디에이고의 쪽으로 기울었다. 하지만 이어지는 2사 3루에서 [[션 머피]]가 볼넷으로 걸어나갔고, 머피는 대주자 [[토니 켐프]]로 교체된다. 이어지는 타석에는 오늘 경기 3타수 무안타였던 [[맷 채프먼]]. 채프먼은 0-1의 카운트에서 너클커브를 끌어당겼고, 이 타구는 유격수 쪽 깊은 땅볼이 되어 모든 주자를 살렸다. 이렇게 한 점을 추격했고, 계속해서 2사 1,2루의 득점권이 이어졌다. [[엘비스 앤드루스]]의 타석에서 오클랜드의 벤치는 신입생 [[얀 곰스]]를 대타로 기용했다. 곰스는 1-2의 불리한 카운트에서 6구를 받아때려 중전 안타를 터뜨렸고, 3루주자가 홈을 밟으며 경기는 9회말 투아웃 극적으로 원점으로 돌아왔다. 이후 [[마크 칸하]]가 뜬공으로 물러나며 경기는 연장으로 향했다. 그런데 오클랜드의 야수진에는 유격수가 가능한 자원이 대타 교체로 경기에서 빠진 엘비스 앤드루스밖에 없었고, 어쩔 수 없이 [[맷 채프먼]]이 커리어 통산 두 번째로 유격수를 보게 된다. 10회 초에는 마무리 [[루 트리비노]]가 마운드를 이어받았고, 2루에는 대주자 [[김하성]]이 나갔다. 트리비노는 선두타자 [[윌 마이어스]]를 땅볼로 돌려세웠다. 이 사이에 김하성은 3루로 향했고, 이어지는 [[토미 팸]]의 유격수 쪽 땅볼을 채프먼이 잘 처리하지 못하며 김하성이 홈을 밟았다. 이렇게 스코어는 4-3. 이후 트리비노는 더이상의 실점을 하지 않고 10회 말로 팀을 이끌었다. 10회 말 샌디에이고의 마운드에는 5번째 투수 [[팀 힐]]이 올라왔고, 선두타자 [[스탈링 마르테]]는 힐을 상대로 안타를 뽑아내며 무사 1,3루가 되었다. 이어지는 타석 [[맷 올슨]]은 초구를 때렸고, 이 타구는 우익수 뒤로 가는 2타점 적시타가 되며 경기를 끝냈다. 최종 스코어는 5-4. 선발투수 [[프랭키 몬타스]]는 6이닝 8피안타 3실점으로 나쁘지 않게 던졌으나 노디시전을 기록했고, [[루 트리비노]]는 시즌 4승(4패)째를 올렸다. 한편 트레이드 데드라인 때 넘어온 이적생들의 활약이 오클랜드를 먹여살리고 있다. [[얀 곰스]]는 오늘 승부에서 가장 중요했던 9회말 투아웃 1타점 동점 적시타를 터뜨렸고, 이적 후 10타수 3안타, 2루타 1개, 홈런 1개를 기록하고 있다. 또 [[스탈링 마르테]]는 이적 후 .321의 타율과 오늘 경기에서도 10회 말 중요했던 안타를 터뜨렸으며, 수비에서도 제 몫을 다해주고 있다. [[앤드류 샤핀]]은 벌써 이적 후 네 경기에 등판하였으나 3.2이닝동안 단 하나의 실점도 허용하지 않고 있다. == vs TEX(0806~0808) : 스윕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텍사스전2.jpg|width=100%]]}}} || === 1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텍사스 레인저스|[[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SS ||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 || 1 || [[마크 칸하]] || RF || || LF || [[제이슨 마틴]]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RF || [[아돌리스 가르시아]] || 3 || [[맷 올슨]] || 1B || || 1B || [[너새니얼 로우]] || 4 || [[제드 라우리]] || 2B || || C || [[조나 하임]] || 5 || [[션 머피]] || C || || CF || [[DJ 피터스]] || 6 || [[미치 모어랜드]] || DH || || 3B || [[브록 홀트]] || 7 || [[조시 해리슨]] || LF || || DH || [[커티스 테리]] || 8 || [[맷 채프먼]] || 3B || || 2B || [[요니 에르난데스]]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마이크 폴티네비치]] || SP ||<-2> [[크리스 배싯]] || 1차전 경기에 앞서 [[라몬 로레아노]]가 약물 양성 반응을 보여 80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로레아노가 엔트리에서 빠지면서 [[세스 브라운]]이 다시 콜업되었고, 원래 로레아노의 자리였던 우익수에는 [[조시 해리슨]]이 출전한다. 1차전에서는 공격 흐름이 좋지 못했다. 5점대의 평균자책점인 [[마이크 폴티네비치]]를 상대로 이번 시즌 이미 세 번이나 꽁꽁 묶였기에 오늘도 그러리란 우려가 많았고, 그대로 들어맞았다. 오클랜드의 타선은 폴티네비치를 상대로 6이닝동안 단 2피안타 1득점만을 기록했다. 선발투수 [[크리스 배싯]] 역시 7이닝 5피안타 1실점 8K로 좋은 투구를 선보였으나 타선이 도와주지 않으며 노디시전을 기록했다. 7회 말 폴티네비치가 내려간 텍사스의 마운드에는 [[브렛 마틴]]이 올라왔고, 오클랜드의 타선은 삼자범퇴로 물러났다. 8회 초 배싯이 내려간 오클랜드의 마운드에는 최근 14경기 연속 무실점을 기록중인 [[서지오 로모]]가 올라왔고, 삼자범퇴로 응수하였다. 8회 말 오클랜드의 타선은 [[조 발로우]]를 맞아 선두타자 [[엘비스 앤드루스]]가 볼넷으로 출루했으나 이후 1-2-3번 타자가 모두 범타로 물러나며 무득점에 그쳤다. 9회 초에는 [[루 트리비노]]가 마운드에 올라왔고, 2사 이후 [[너새니얼 로우]]에게 안타를 허용했으나 후속타자 [[조나 하임]]을 내야 플라이로 처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이어지는 정규이닝 마지막 공격에는 [[데니스 산타나]]가 텍사스의 마운드에 올라왔고, 1사 이후 [[션 머피]]의 안타가 터졌으나 후속 두 타자가 범타 처리되며 이닝이 끝났다. 10회에는 오클랜드의 [[앤드류 샤핀]]과 텍사스의 [[스펜서 패튼]]이 깔끔하게 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으며 경기는 11회로 향했다. 11회 초 등판한 [[유스메이로 페팃]]은 텍사스의 9-1-2번을 범타 처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그리고 이어지는 11회 말 텍사스의 마운드에는 지미 허겟이 등판하였고, 선두타자 [[마크 칸하]]가 몸 맞는 공으로 출루하며 무사 1,2루가 되었다. 이어지는 타석에서 [[스탈링 마르테]]의 시즌 9호 홈런이 터지며 경기를 끝냈다. 두 경기 연속 끝내기이자 올 시즌 오클랜드의 10번째 끝내기로,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많은 끝내기를 기록한 팀이 되었다. 마르테는 5타수 2안타를 기록하며 계속해서 오클랜드의 타선에 큰 활력이 되어주고 있다. 선발투수 배싯의 평균자책점은 3.19까지 낮아지며 [[아메리칸 리그]] 4위에 기록, 유력한 [[사이영 상]] 후보가 되고 있다. 오늘 경기에서 승리함과 동시에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미네소타 트윈스]]를 상대로 패배하며 격차가 3경기로 줄어들었다. 와일드 카드 경쟁팀인 [[보스턴 레드삭스]]는 패배를, [[뉴욕 양키스]]는 승리를 거두며 보스턴 - 오클랜드 - 양키스의 격차는 각각 1.5게임이다. === 2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텍사스 레인저스|[[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SS ||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 || 1 || [[마크 칸하]] || RF || || 3B || [[요니 에르난데스]]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DH || [[아돌리스 가르시아]] || 3 || [[맷 올슨]] || 1B || || 2B || [[앤디 이바녜스]] || 4 || [[제드 라우리]] || DH || || RF || [[DJ 피터스]] || 5 || [[얀 곰스]] || C || || LF || [[찰리 컬버슨]] || 6 || [[조시 해리슨]] || 2B || || C || [[호세 트레비노]] || 7 || [[맷 채프먼]] || 3B || || CF || [[제이슨 마틴]] || 8 || [[토니 켐프]] || LF || || 1B || [[커티스 테리]]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드류 앤더슨]] || SP ||<-2> [[콜 어빈]] || 2차전에서는 시원한 타격으로 승리를 가져왔다. 1회 선발투수 [[콜 어빈]]이 1아웃 이후 [[아돌리스 가르시아]]에게 투런 홈런을 내주며 텍사스가 앞서갔다. 1회 말에는 [[스탈링 마르테]]가 안타 이후 도루를 성공시키며 1사 2루의 찬스를 잡았으나 [[맷 올슨]]과 [[제드 라우리]]가 범타로 물러나며 무득점에 그쳤다. 2회와 3회는 [[콜 어빈]]이 삼자범퇴로 막아냈다. 이어지는 3회 말, 텍사스의 선발투수였던 [[드류 앤더슨]]은 선두타자 [[엘비스 앤드루스]]와 [[마크 칸하]]에게 연속 볼넷을 내주며 흔들렸다. 이후 [[스탈링 마르테]]와 [[맷 올슨]]이 연속 2루타를 터뜨리며 역전에 성공했다. 곧바로 [[제드 라우리]]가 몸 맞는 볼로 출루했고 [[얀 곰스]]가 1타점 2루타를 기록하며 3회 말 아웃카운트를 단 하나도 내주지 않고 넉 점을 획득했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맷 채프먼]]과 [[엘비스 앤드루스]]의 적시타가 터지며 오클랜드는 3회에만 7점을 획득, 점수는 7-2가 되었다. 4회 초에는 콜 어빈이 1사 이후 [[찰리 컬버슨]]과 [[호세 트레비노]]에게 각각 안타, 볼넷을 내주며 2사 1,2루의 위기를 맞았으나 [[제이슨 마틴]]을 범타 처리하며 무실점으로 이닝을 끝냈다. 4회 말에는 선두타자 [[맷 올슨]]이 안타를, [[제드 라우리]]가 볼넷을 얻어내며 무사 1,2루의 기회를 잡았고, 이어지는 타석에서 [[얀 곰스]]가 쓰리런 홈런(시즌 11호)을 뽑아내며 경기는 8점차가 되었다. 5회 말에는 [[조시 해리슨]]이 투런 홈런(시즌 7호)이 터지며 더욱 멀리 달아났다. 텍사스는 8회 초 [[아돌리스 가르시아]]의 1타점 적시타로 한 점 만회했으나 승부를 뒤집을 수 없었다. 오클랜드의 선발투수 [[콜 어빈]]은 7이닝 2피안타 2사사구 4K 2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8승(10패)째를 올렸고, 평균자책점은 3.45까지 떨어졌다. 이후 [[J.B. 웬델켄]]이 1이닝 3피안타 1실점, [[버치 스미스]]가 1이닝 무피안타 1볼넷 무실점으로 경기를 끝냈다. 한편 오늘도 이적생들의 활약이 대단했는데, 세 명의 타자 이적생인 얀 곰스, 조시 해리슨, 스탈링 마르테는 도합 15타수 7안타, 2루타 2개, 홈런 2개 7타점의 대단한 공격력을 선보이며 7월 매우 무기력했던 오클랜드 타선에 큰 활력이 되어주고 있다. 또 [[맷 올슨]]이 6월 12일 이후 거의 두 달 만에 4안타 경기를 펼쳤다. === 3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텍사스 레인저스|[[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SS ||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 || 1 || [[마크 칸하]] || LF || || 3B || [[요니 에르난데스]]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RF || [[아돌리스 가르시아]] || 3 || [[맷 올슨]] || 1B || || 1B || [[너새니얼 로우]] || 4 || [[제드 라우리]] || DH || || 2B || [[앤디 이바녜스]] || 5 || [[조시 해리슨]] || 2B || || C || [[조나 하임]] || 6 || [[션 머피]] || C || || DH || [[브록 홀트]] || 7 || [[맷 채프먼]] || 3B || || CF || [[DJ 피터스]] || 8 || [[세스 브라운]] || RF || || LF || [[제이슨 마틴]]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조던 라일스]] || SP ||<-2> [[제임스 카프렐리안]] || 3차전에서는 선발투수 [[제임스 카프렐리안]]이 1회 2사 이후 [[아돌리스 가르시아]]와 [[너새니얼 로우]]에게 연속 2루타를 맞으며 선취점을 내주었다. 하지만 1회 말 1사 이후 [[스탈링 마르테]]가 안타를 치고 출루했고, 도루까지 성공시키며 1사 2루가 되었다. [[맷 올슨]]이 볼넷으로 걸어나갔고, [[제드 라우리]]가 좌익수 앞으로 가볍게 밀어서 1타점 적시타를 만들며 경기는 원점으로 돌아왔다. 이후 [[션 머피]]가 2타점 2루타를 터뜨리며 역전에 성공하였다. 카프렐리안은 2회부터 4회까지 세 이닝을 삼자범퇴로 막았고, 이 사이 오클랜드의 타선은 2회 말 2사 1,2루의 기회를 잡았으나 맷 올슨이 뜬공으로 물러나며 무득점에 그쳤다. 4회 말 선두타자 [[세스 브라운]]이 솔로포(시즌 13호)를 때려내며 한 점을 달아났다. 이어서 제드 라우리의 밀어내기 볼넷까지 나오며 점수는 5-1이 되었다. 6회 초 카프렐리안은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에게 선두타자 3루타를 허용한 후 요니 헤르난데즈에게 희생타를 허용하며 두 점째를 내주었다. 그러나 6회 말 마크 칸하의 2루타에 이어 스탈링 마르테의 적시타가 나오며 곧바로 한 점을 달아났다. 7회 초에는 [[앤드류 샤핀]]이 올라와 삼자범퇴 이닝을 만들었다. 8회 초에는 [[유스메이로 페팃]]이 마운드를 이어받았으나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에게 솔로포(시즌 7호)를 허용하며 점수는 석 점 차가 되었다. 이후 2사 후 볼넷을 허용하며 [[제이크 디크먼]]으로 교체되었고, 디크먼이 [[너새니얼 로우]]를 삼진 처리하며 더 이상의 실점을 허용하지 않았다. 9회 말에는 마무리 [[루 트리비노]]가 마운드를 이어받아 1볼넷 무실점으로 경기를 끝냈다. 선발투수 제임스 카프렐리안은 6이닝 3피안타 2사사구 4K 84구 2실점(2자책)으로 시즌 6승(4패)째를 올렸고, 평균자책점은 3.22로 내려갔다. 제이크 디크먼은 시즌 9호 홀드를, 루 트리비노는 시즌 18호 세이브를 기록했다. [[스탈링 마르테]]는 오늘 5타수 4안타 1도루를 기록하며 미친 활약을 펼쳤다. 또 다른 이적생 [[조시 해리슨]] 역시 4타수 2안타 1도루로 팀의 승리에 일조했다. 한편 오늘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미네소타 트윈스]]에게 패하며 휴스턴과 오클랜드의 격차는 2경기차가 되었다. 또 보스턴 레드삭스가 패하며 오클랜드와의 와일드카드 승차가 없어졌고, 오클랜드가 승률에서 앞서며 와일드카드 1위가 되었다. 오늘의 승리로 오클랜드는 4연승을 달리게 되었다. == vs @CLE(0810~0812) : 스윕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텍사스전1.jpg|width=100%]]}}} || === 1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파일: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엠블럼(2014~2021).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마일스 스트로]] || CF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아메드 로사리오]] || SS || || 1B || [[맷 올슨]] || 3 || [[호세 라미레즈]] || 3B || || DH || [[제드 라우리]] || 4 || [[프란밀 레예스]] || DH || || 2B || [[조시 해리슨]] || 5 || [[해롤드 라미레즈]] || LF || || C || [[션 머피]] || 6 || [[오스카 메르카도]] || RF || || RF || [[세스 브라운]] || 7 || [[오웬 밀러]] || 1B || || 3B || [[맷 채프먼]] || 8 || [[오스틴 헤지스]] || C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어니 클레멘트]] || 2B || ||<-2> [[션 머나야]] || SP ||<-2> [[트리스턴 맥켄지]] || 1차전에 앞서 [[A.J. 퍽]]이 콜업되었고, 퍽의 자리를 만들기 위해 옵션이 없던 [[J.B. 웬델켄]]이 [[지명할당]]되었다. 웬델켄이 지명할당 된 후 많은 팬들은 의구심을 감추지 못했는데, 아무리 웬델켄이 최근 부진했어도 최근 몇 년간 필승조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등 보여준게 적지 않기 때문. 또 로스터에는 [[데올리스 게라]], [[버치 스미스]]와 같은 웬델켄보다 부진한 선수들이 있기 때문에 왜 굳이 지명할당의 대상이 웬델켄인지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오가고 있다. 1차전에서는 1회 헤럴드 라미레즈가 선취 적시타를 터뜨리며 리드를 내주었다. 하지만 2회 초 곧바로 [[션 머피]]의 1타점 2루타로 [[조쉬 해리슨]]이 득점하며 균형을 맞췄다. 그러나 2회 말 마일스 스트로우와 [[아메드 로사리오]]의 연속 적시타가 터지며 클리블랜드에게 3-1의 균형을 내주었다. 4회 초에는 [[세스 브라운]]의 시즌 14호 솔로포가 터지며 한 점을 추격했고, 8회 초 1사 2,3루 상황에서 [[제드 라우리]]가 기술적인 타격으로 유격수 땅볼을 만들어내며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연장 10회 초 [[제드 라우리]]의 1타점 2루타로 주자를 불러들이며 한 점 앞서나갔고, 10회 말을 [[앤드류 샤핀]]이 삼자범퇴로 정리하며 경기를 끝냈다. 선발투수 [[션 머나야]]는 1.2이닝 5피안타 3사사구 2K 2실점(2자책)으로 흔들렸으나 [[버치 스미스]]가 3.1이닝 1피안타 2K 무실점으로 역전의 발판을 닦았다. 이후 [[A.J. 퍽]], [[유스메이로 페팃]], [[서지오 로모]], [[루 트리비노]], [[앤드류 샤핀]]이 각각 1이닝을 무실점으로 책임지며 경기를 끝냈다. 타선에서는 [[맷 올슨]]과 [[세스 브라운]]이 멀티히트로 분전했다. === 2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파일: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엠블럼(2014~2021).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브래들리 짐머]] || CF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아메드 로사리오]] || SS || || 1B || [[맷 올슨]] || 3 || [[호세 라미레즈]] || 3B || || 2B || [[제드 라우리]] || 4 || [[프란밀 레예스]] || DH || || C || [[얀 곰스]] || 5 || [[해롤드 라미레즈]] || LF || || DH || [[미치 모어랜드]] || 6 || [[오스카 메르카도]] || RF || || 3B || [[맷 채프먼]] || 7 || [[안드레스 히메네스]] || 2B || || RF || [[세스 브라운]] || 8 || [[오웬 밀러]] || 1B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오스틴 헤지스]] || C || ||<-2> [[프랭키 몬타스]] || SP ||<-2> [[칼 콴트릴]] || 2차전에 앞서 [[J.B. 웬델켄]]이 웨이버 클레임을 통해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로 이적했다. 2차전에서는 [[프랭키 몬타스]]가 1회부터 1볼넷 2안타를 허용하며 2점을 내주었다. 이후 양 팀은 이렇다할 기회를 잡지 못했고, 양 팀의 선발투수들은 호투를 펼쳤다. 프랭키 몬타스는 6회까지 2피안타 3볼넷 6K 2실점(2자책)을 기록하고 마운드를 내려갔다. 이후 7회 초 오클랜드는 [[제드 라우리]]의 볼넷과 [[얀 곰스]]의 안타로 무사 1,3루의 기회를 잡았고, [[미치 모어랜드]]의 1타점 땅볼이 나오며 한 점을 추격했다. 이후 [[맷 채프먼]]의 1타점 적시타로 경기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그러나 7회 말 등판한 [[제이크 디크먼]]이 [[오스카 메르카도]]에게 1타점 적시 2루타를 내주며 바로 리드를 빼앗겼다. 8회 말 오클랜드는 반격을 시작했고, 선두타자 [[엘비스 앤드루스]]가 홈런을 터뜨리며(시즌 3호) 경기를 다시 원점으로 되돌렸다. 이후 1사 1,2루에서 타석에 들어선 [[제드 라우리]]가 역전 쓰리런 홈런을 쏘아올리며(시즌 13호) 석 점차의 리드를 잡게 되었다. 이후 [[서지오 로모]]와 [[루 트리비노]]가 각각 1이닝을 책임지며 경기를 끝냈다. === 3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파일: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엠블럼(2014~2021).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마일스 스트로]] || CF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아메드 로사리오]] || SS || || 1B || [[맷 올슨]] || 3 || [[호세 라미레즈]] || 3B || || DH || [[미치 모어랜드]] || 4 || [[프란밀 레예스]] || DH || || 2B || [[조시 해리슨]] || 5 || [[윌슨 라모스]] || C || || C || [[션 머피]] || 6 || [[브래들리 짐머]] || RF || || 3B || [[맷 채프먼]] || 7 || [[오스카 메르카도]] || LF || || RF || [[세스 브라운]] || 8 || [[오웬 밀러]] || 1B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안드레스 히메네스]] || 2B || ||<-2> [[크리스 배싯]] || SP ||<-2> [[일라이 모건]] || 3차전은 타선이 대폭발하며 17대 0으로 승리하였다. 1회는 삼자범퇴로 물러났으나 2회 무사 1,2루에서 [[션 머피]]의 시즌 21호 2루타가 터지며 두 점을 먼저 얻었고, 이어 [[맷 채프먼]]과 [[마크 칸하]]가 출루한 후 [[스탈링 마르테]]가 밀어내기 몸 맞는 공을 맞으며 3-0이 되었다. 4회에는 1사 1,3루에서 [[마크 칸하]]의 1타점 땅볼과 [[스탈링 마르테]]의 1타점 2루타가 연속으로 터지며 다섯 점 차를 만들었다. 상대 선발투수 [[일라이 모건]]은 5회 교체되었고, 타선은 바뀐 투수 저스틴 가자에게 [[미치 모어랜드]]의 솔로포(시즌 8호)를 시작으로 [[엘비스 앤드루스]]의 밀어내기 볼넷, [[스탈링 마르테]]와 [[맷 올슨]]의 연속 적시타를 묶어 5회에만 5점을 더 뽑아내며 두 자릿수 득점을 채웠다. 6회에는 무사 만루에서 [[세스 브라운]]의 희생플라이와 [[엘비스 앤드루스]]의 1타점 땅볼이 나오며 점수는 12-0이 되었다. 8회에는 [[마크 칸하]]의 2타점 2루타와 [[스티븐 피스코티]]의 2타점 적시타가 나오며 16-0을 만들었다. 9회에는 선두타자 [[미치 모어랜드]]가 오늘 경기 두 번째 홈런(시즌 9호)을 터뜨리며 17점째를 만들었다. 선발투수 [[크리스 배싯]]은 6이닝 3피안타 6K 무실점으로 시즌 12승(3패)째를 챙겼으며, 아메리칸리그 다승 단독 선두에 올랐다. 평균자책점은 3.06으로 [[랜스 린]]과 [[로비 레이]]에 이은 아메리칸리그 2위가 되었다. 이어 [[A.J. 퍽]]과 [[데올리스 게라]], [[제이크 디크먼]]이 각각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타선에서는 [[미치 모어랜드]]가 멀티홈런을 때려냈으며, 타율은 .230, OPS는 .705가 되었다. [[토니 켐프]]는 3안타를, [[션 머피]]와 [[스탈링 마르테]]는 멀티히트를 때려냈다. [[맷 채프먼]]은 오늘만 무려 5볼넷을 얻어냈는데, 이는 1997년 4월 26일 [[마크 맥과이어]]의 5볼넷 이후 오클랜드 역사상 24년만이라고 한다. 오클랜드는 오늘 경기의 승리로 7연승을 달리게 되었다. 17점차 영봉승은 애슬레틱스 역사상 최다 점수차 영봉승이다. == vs @TEX(0813~0815) : 루징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텍사스.jpg|width=100%]]}}} || === 1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텍사스 레인저스|[[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토니 켐프]] || 1 ||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 || SS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찰리 컬버슨]] || 3B || || 1B || [[맷 올슨]] || 3 || [[아돌리스 가르시아]] || RF || || 2B || [[제드 라우리]] || 4 || [[너새니얼 로우]] || 1B || || C || [[얀 곰스]] || 5 || [[DJ 피터스]] || CF || || DH || [[미치 모어랜드]] || 6 || [[앤디 이바녜즈]] || 2B || || 3B || [[맷 채프먼]] || 7 || [[제이슨 마틴]] || LF || || RF || [[세스 브라운]] || 8 || [[요헬 포조]] || DH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호세 트레비노]] || C || ||<-2> [[콜 어빈]] || SP ||<-2> [[데인 더닝]] || 1차전에서는 1회부터 석 점을 내주며 어렵게 출발했다. 무사 1,3루에서 2루수 [[제드 라우리]]의 실책이 터지며 선취점을 내주었고, [[너새니얼 로우]]의 뜬공과 [[DJ 피터스]]의 희생플라이가 연속해서 터졌다. 오클랜드는 5회 말 [[세스 브라운]]의 1타점 적시 2루타와 [[스탈링 마르테]]의 1타점 내야안타로 두 점을 추격하며 3-2의 스코어를 만들었다. 이어지는 6회 초에는 [[미치 모어랜드]]의 시즌 첫 3루타가 나오며 동점을 만들었고, 이어서 [[맷 채프먼]]이 1타점 적시타를 기록하며 역전에 성공한다. 이후 6회 말에는 [[콜 어빈]]이 실책과 안타로 무사 1,2루의 위기를 만들었고, 마운드를 [[서지오 로모]]가 이어받는다. 로모는 이 경기에 앞서 17경기 연속 무실점을 기록하던 중이었다. 그러나 로모는 처음 맞은 타자 요헬 포조에게 역전 쓰리런 홈런을 허용하고 말았고, 점수는 6-4로 텍사스가 리드를 가져가고 말았다. 7회에는 [[맷 올슨]]의 시즌 29호 솔로포가 터지며 한 점을 쫓아갔으나 7회말 [[유스메이로 페팃]]이 [[DJ 피터스]]에게 투런포를 허용하며 더 큰 리드를 내주고 말았다. 8회에는 [[세스 브라운]]이 2사 이후 적시 2루타를 쳐내며 추격하나 했으나 브라운이 2루에서 주루플레이 미스로 횡사하며 이닝이 그대로 종료되었다. 이후 9회 초를 [[조 발로우]]가 무실점으로 막으며 경기는 텍사스의 승리로 끝나고 말았다. 선발투수 [[콜 어빈]]은 5이닝 8피안타 1볼넷 2K 5실점 3자책을 기록하며 시즌 11패(8승)째를 기록했다. ERA는 3.52로 올랐다. === 2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텍사스 레인저스|[[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 || SS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요니 에르난데스]] || 2B || || 1B || [[맷 올슨]] || 3 || [[아돌리스 가르시아]] || RF || || 2B || [[제드 라우리]] || 4 || [[너새니얼 로우]] || 1B || || C || [[션 머피]] || 5 || [[DJ 피터스]] || CF || || DH || [[미치 모어랜드]] || 6 || [[조나 하임]] || C || || 3B || [[맷 채프먼]] || 7 || [[제이슨 마틴]] || LF || || RF || [[세스 브라운]] || 8 || [[요헬 포조]] || DH || || SS || [[비마엘 마친]] || 9 || [[브록 홀트]] || 3B || ||<-2> [[제임스 카프렐리안]] || SP ||<-2> [[조던 라일스]] || 2차전에 앞서 [[엘비스 앤드루스]]가 셋째 득남으로 가정사 명단에 올랐다. 대신하여 [[비마엘 마친]]이 콜업되었다. 2차전에서는 1회부터 [[제드 라우리]]의 1타점 적시타가 터지며 먼저 리드를 가져왔으나 이어지는 1회 말 바로 [[너새니얼 로우]]의 동점 1타점 적시 2루타가 터지며 경기는 원점으로 돌아왔다. 이후 5회까지 양 팀의 선발투수들이 호투하며 무득점 행진이 이어졌다. 6회 초 [[맷 올슨]]이 이틀 연속 홈런포를 가동하며(시즌 30호) 다시 리드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어지는 6회 말 [[너새니얼 로우]]가 [[제임스 카프렐리안]]에게 1타점 적시타를 때렸고, 오클랜드는 투수를 [[앤드류 샤핀]]으로 바꿨으나 [[조나 하임]]이 1타점 희생플라이를 기록하며 경기는 원점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7회 초 [[미치 모어랜드]]와 [[맷 채프먼]]의 백투백 솔로홈런이 터져나오며(각각 시즌 10호, 시즌 16호) 오클랜드는 5-3의 리드를 잡았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스탈링 마르테]]의 1타점 적시 2루타, [[맷 올슨]]의 1타점 적시타까지 터져나오며 오클랜드는 7회에만 넉 점을 기록했다. 이후 9회 [[세스 브라운]]의 솔로포(시즌 15호)가 터지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오클랜드의 선발투수 [[제임스 카프렐리안]]은 5.1이닝 8피안타 무볼넷 무삼진 3실점을 기록했다. [[앤드류 샤핀]]은 1.2이닝 1피안타 1볼넷 무실점으로 시즌 첫 승을 올렸다. [[유스메이로 페팃]]과 [[A.J. 퍽]]이 각각 한 이닝씩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15일 경기에 앞서 부상자 명단에 있던 [[채드 핀더]]가 리햅 경기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빠르면 이번달 안해 합류할 예정이다. === 3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텍사스 레인저스|[[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요니 에르난데스]] || 3B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 || SS || || 1B || [[맷 올슨]] || 3 || [[아돌리스 가르시아]] || RF || || DH || [[얀 곰스]] || 4 || [[DJ 피터스]] || CF || || C || [[션 머피]] || 5 || [[너새니얼 로우]] || 1B || || 3B || [[맷 채프먼]] || 6 || [[요헬 포조]] || DH || || RF || [[스티븐 피스코티]] || 7 || [[찰리 컬버슨]] || LF || || 2B || [[토니 켐프]] || 8 || [[앤디 이바녜즈]] || 2B || || SS || [[비마엘 마친]] || 9 || [[호세 트레비노]] || C || ||<-2> [[션 머나야]] || SP ||<-2> [[콜비 알라드]] || 3차전은 1회부터 선발투수 [[션 머나야]]가 흔들렸다.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에게 1타점 적시 2루타를 내어줬고, 이어서 [[DJ 피터스]]의 투런 홈런이 터지며 석 점을 내주었다. 오클랜드는 2회 초 [[맷 채프먼]]이 시즌 17호 홈런을 솔로포로 때려내며 추격했으나 텍사스는 2회 말 요니 헤르난데스의 1타점 2루타로 점수차를 다시 벌렸다. 3회 말에는 [[아돌리스 가르시아]]가 솔로포(시즌 26호)를 때려내며 넉 점차가 되었고, 5회 말에는 DJ 피터스가 또 홈런을 기록하며 개인 첫 멀티홈런 경기를 펼쳤다. 6회 초에는 [[마크 칸하]]의 시즌 12호 홈런이 터지며 한 점을 쫓아갔다. 7회 초에는 [[토니 켐프]]의 1타점 적시타가, 8회 초에는 [[션 머피]]의 1타점 2루타가 터지며 석 점차까지 좁혔으나 이후 더이상 득점하지 못하며 경기는 그대로 텍사스의 승리로 끝나고 말았다. 오클랜드의 선발투수 [[션 머나야]]는 5이닝 7피안타 1볼넷 5K 7자책으로 시즌 최악의 부진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머나야는 오늘 경기 포함 최근 세 경기에서 11이닝 15자책 ERA 12.27, 피안타율 .385로 급격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외에도 [[버치 스미스]]는 2이닝 무실점을, [[제이크 디크먼]]은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또 [[맷 채프먼]]은 3안타 경기를 펼치며 분전했으나 승부를 바꿀 수는 없었다. == vs @CWS(0816~0819) : 루징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화삭.jpg|width=100%]]}}} || === 1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시카고 화이트삭스|[[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팀 앤더슨]] || SS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세자르 에르난데스]] || 2B || || 1B || [[맷 올슨]] || 3 || [[호세 아브레우]] || 1B || || C || [[얀 곰스]] || 4 || [[엘로이 히메네스]] || LF || || DH || [[제드 라우리]] || 5 || [[요안 몬카다]] || 3B || || 3B || [[맷 채프먼]] || 6 || [[앤드류 본]] || DH || || 2B || [[조시 해리슨]] || 7 || [[루이스 로버트]] || CF || || RF || [[스티븐 피스코티]] || 8 || [[브라이언 굿윈]] || RF || || SS || [[비마엘 마친]] || 9 || [[세비 자발라]] || C || ||<-2> [[프랭키 몬타스]] || SP ||<-2> [[댈러스 카이클]] || 1차전에서는 2회 [[맷 채프먼]]의 시즌 18호 솔로포가 터지며 한 점을 앞서나갔고, [[마크 칸하]]의 1타점 적시타까지 나오며 두 점차의 리드를 잡았다. 그러나 3회 말 [[세자르 에르난데스]]에게 희생플라이를 내주며 한 점을 추격당했다. 이어지는 4회 말에는 세비 자발라의 1타점 적시타가 터지며 동점이 되고 말았다. 그리고 5회 말에는 [[엘로이 히메네스]]의 역전 적시타가 터졌고, 6회 말에는 세비 자발라가 스퀴즈번트를 성공시키며 화이트삭스가 4-2의 리드를 잡고 말았다. 8회 말에는 [[루이스 로버트]]의 시즌 3호 홈런이 터지며 경기에 쐐기를 박았다. 선발투수 [[프랭키 몬타스]]는 5이닝 8피안타 3볼넷 6K 3실점(3자책)으로 시즌 9패(9승)째를 기록했다. 타선에서는 [[마크 칸하]]와 [[제드 라우리]]가 멀티히트로 분전했으나 팀의 패배를 막지는 못했다. === 2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시카고 화이트삭스|[[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RF || [[마크 칸하]] || 1 || [[팀 앤더슨]] || SS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세자르 에르난데스]] || 2B || || 1B || [[맷 올슨]] || 3 || [[호세 아브레우]] || 1B || || 2B || [[제드 라우리]] || 4 || [[엘로이 히메네스]] || LF || || 3B || [[맷 채프먼]] || 5 || [[요안 몬카다]] || 3B || || DH || [[미치 모어랜드]] || 6 || [[브라이언 굿윈]] || CF || || LF || [[조시 해리슨]] || 7 || [[앤드류 본]] || RF || || C || [[션 머피]] || 8 || [[제이크 램]] || DH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잭 콜린스(야구선수)|잭 콜린스]] || C || ||<-2> [[크리스 배싯]] || SP ||<-2> [[레이날도 로페즈]] || 2차전에 앞서 득남으로 가정사 명단에 오른 [[엘비스 앤드루스]]가 복귀하였다. [[비마엘 마친]]이 옵션되었다. 2차전에서는 1회 양 팀이 삼자범퇴를 기록했다. 이후 2회 말 [[크리스 배싯]]은 무사 1,2루의 위기에서 [[브라이언 굿윈]]을 상대했다. 굿윈은 1-1의 카운트에서 89.5마일의 커터를 때려 100.1마일의 매우 빠른 타구를 맞았는데, 이 타구가 배싯의 안면을 직격하는 일이 발생하고 말았다. 배싯은 타구를 맞자마자 쓰러져 고통을 호소했으며, 포수 [[션 머피]]는 바로 마운드로 달려가 벤치에 다급하게 도움을 요청하여 화이트삭스와 애슬레틱스의 의료진이 모두 나와 배싯의 상태를 살폈다. 배싯을 맞춘 [[브라이언 굿윈]]은 죄책감에 눈물을 보이기도 하여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다행히 배싯의 의식은 있는 상태였고, 구장 카트에 옮겨져 구장에서 자동차로 8분 거리에 있는 Rush University 병원으로 향했다. 당시 구장에는 배싯의 와이프와 전 동료 [[리암 헨드릭스]]의 와이프가 함께 경기를 관전하던 중이었는데, 사건 직후 헨드릭스의 와이프가 패닉에 빠진 배싯의 와이프를 데리고 병원으로 향했다고 한다. 이후 검진 결과 다행히 눈에는 이상이 없고, 세 개의 안면골에 부상을 입었다고 한다. 4-5일 후 붓기가 가라앉으면 수술을 진행하고, 복귀까지는 빠르면 6주가 걸릴 전망이다. 배싯이 바진 이후 [[버치 스미스]]가 등판하였으나 5실점을 내주며 부진했고, 타선은 이후 단 한 점도 뽑아내지 못하며 그대로 패했다. === 3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시카고 화이트삭스|[[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팀 앤더슨]] || SS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세자르 에르난데스]] || 2B || || 1B || [[맷 올슨]] || 3 || [[호세 아브레우]] || 1B || || DH || [[제드 라우리]] || 4 || [[엘로이 히메네스]] || DH || || 2B || [[조시 해리슨]] || 5 || [[요안 몬카다]] || 3B || || 3B || [[맷 채프먼]] || 6 || [[브라이언 굿윈]] || RF || || C || [[얀 곰스]] || 7 || [[루이스 로버트]] || CF || || RF || [[세스 브라운]] || 8 || [[제이크 램]] || LF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세비 자발라]] || C || ||<-2> [[폴 블랙번]] || SP ||<-2> [[랜스 린]] || 3차전에 앞서 타구에 맞아 수술을 받게 된 [[크리스 배싯]]이 IL에 올랐다. 또 [[콜 어빈]] 등 다른 기존 선발투수들의 등판도 하루씩 밀려 휴식일을 하루 더 부여했다. 대신하여 [[폴 블랙번]]이 40인 로스터에 포함되는 동시에 콜업되었고, 오늘 선발투수로 나선다. 3차전에서는 답답한 타선의 공격이 이어졌다. 1회부터 유력한 사이 영 상 후보인 [[랜스 린]]이 흔들렸고, 무사 2,3루의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이어지는 중심타선에서 [[맷 올슨]]과 [[제드 라우리]]가 삼진으로 물러났고, [[조시 해리슨]]마저 땅볼을 기록하며 득점을 만들지 못했다. 1회 말에는 선발투수 [[폴 블랙번]]이 1타점 적시 2루타를 기록하며 화이트삭스가 먼저 앞서나갔다. 3회 초에는 [[마크 칸하]]의 2루타, [[스탈링 마르테]]의 상대 실책 출루, [[맷 올슨]]의 볼넷으로 무사 만루의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제드 라우리]]와 [[조시 해리슨]]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2사 만루가 되었고, [[맷 채프먼]]은 유격수 뜬공을 기록하며 무사 만루 무득점에 그치고 말았다. 그러다가 4회 초 [[세스 브라운]]의 시즌 16호 홈런이 터지며 경기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그러나 4회 말 [[루이스 로버트]]의 1타점 적시타가 터지며 스코어는 2-1이 되었다. 6회 말 블랙번은 1사 이후 안타와 볼넷으로 1,2루의 위기를 맞았고, [[서지오 로모]]에게 마운드를 넘겼으나 [[루이스 로버트]]에게 1타점 적시타를 허용하며 두 점차의 리드를 내주었다. 7회 초 [[스탈링 마르테]]의 희생플라이로 한 점을 추격했으나 그것이 오클랜드 공격의 마지막이었다. 8회와 9회는 작년까지 오클랜드에서 뛰었던 [[리암 헨드릭스]]가 1.2이닝 3K 무출루의 괴력투로 틀어막혔다. 오클랜드의 선발투수 [[폴 블랙번]]은 올 시즌 첫 등판에서 5.1이닝 5피안타 3볼넷 3K 3실점으로 예상 외의 호투를 펼쳤으나 타선의 부진으로 패배를 기록했다. [[제드 라우리]]와 [[조시 해리슨]]은 각각 6개, 7개의 잔루를 적립하며 아쉬움을 더했다. 참고로 오늘 경기 오클랜드의 득점권 성적은 12타수 1안타이다. === 4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시카고 화이트삭스|[[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LF || [[마크 칸하]] || 1 || [[세자르 에르난데스]] || 2B || || CF || [[스탈링 마르테]] || 2 || [[루이스 로버트]] || CF || || 1B || [[맷 올슨]] || 3 || [[호세 아브레우]] || DH || || DH || [[미치 모어랜드]] || 4 || [[엘로이 히메네스]] || LF || || 3B || [[맷 채프먼]] || 5 || [[앤드류 본]] || 1B || || RF || [[세스 브라운]] || 6 || [[요안 몬카다]] || 3B || || C || [[션 머피]] || 7 || [[브라이언 굿윈]] || RF || || 2B || [[토니 켐프]] || 8 || [[대니 멘딕]] || SS || || SS || [[엘비스 앤드루스]] || 9 || [[잭 콜린스(야구선수)|잭 콜린스]] || C || ||<-2> [[콜 어빈]] || SP ||<-2> [[딜런 시즈]] || 4차전에서는 1회 [[엘로이 히메네스]]에게 1타점 적시타를 내주며 시작했다. 그러나 3회 [[션 머피]]의 시즌 14호 홈런이 터지며 균형을 맞췄고, 4회 초에는 만루의 기회에서 [[토니 켐프]]가 밀어내기 볼넷을 기록하며 역전에 성공했다. 그러나 5회 말 앤드류 본의 시즌 15호 홈런이 투런포로 터지며 화이트삭스가 리드를 잡게 되었다. 6회 초 [[맷 채프먼]]이 시즌 19호 홈런을 때려내며 경기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고, 7회 초 [[맷 올슨]]이 역전 투런포를 쏘아올리며(시즌 31호) 두 점차의 리드를 잡게 되었다. 9회 말에는 2사 1루 상황에서 유격수 [[엘비스 앤드루스]]와 중견수 [[스탈링 마르테]]가 콜플레이 실패로 서로 충돌하여 뜬공을 떨어뜨리는 아찔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앤드루스는 한동안 고통을 호소하였으나 이내 회복하며 끝까지 경기에 뛰었고, 후속타자 엘로이 히메네스를 [[루 트리비노]]가 중견수 직선타 처리하며 경기를 끝냈다. 선발투수 [[콜 어빈]]은 6이닝 7피안타 4볼넷 1K 3실점(3자책)의 호투로 시즌 9승(11패)째를 올렸다. 시즌 ERA는 3.57이 되었다. [[유스메이로 페팃]] - [[앤드류 샤핀]] - [[루 트리비노]]가 각각 1이닝씩을 무자책으로 막아냈다. == vs SF(0820~0822) : 루징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샌프.jpg|width=100%]]}}} || === 1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RF ||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 || 1 || [[마크 칸하]] || LF || || 2B || [[토미 라 스텔라]]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C || [[버스터 포지]] || 3 || [[맷 올슨]] || 1B || || 1B || [[브랜든 벨트]] || 4 || [[제드 라우리]] || DH || || LF || [[크리스 브라이언트]] || 5 || [[얀 곰스]] || C || || SS || [[브랜든 크로포드]] || 6 || [[맷 채프먼]] || 3B || || DH || [[알렉스 디커슨]] || 7 || [[조시 해리슨]] || 2B || || 3B || [[윌머 플로레스]] || 8 || [[채드 핀더]] || RF || || CF || [[마이크 야스트렘스키]]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알렉스 우드]] || SP ||<-2> [[제임스 카프렐리안]] || 20일 경기에 앞서 부상자 명단에 올랐던 [[채드 핀더]]가 1달만에 복귀했다. 대신하여 [[세스 브라운]]이 옵션되었다. 1차전은 2회 초 2아웃 이후 두 개의 안타를 연속으로 맞으며 첫 위기를 맞았다. 이어진 [[윌머 플로레스]]의 타석에서 나온 중견수쪽 뜬공이 깊게 뻗어갔으나 [[스탈링 마르테]]가 좋은 수비로 잡아내며 위기를 넘겼다. 3회 초에도 2사 이후 카프렐리안이 세 개의 볼넷을 연속으로 허용하며 2사 만루의 위기에 몰렸으나 후속타자 [[크리스 브라이언트]]를 중견수 뜬공 처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4회에는 선두타자 [[제드 라우리]]와 [[얀 곰스]]가 각각 볼넷과 2루타로 출루하며 무사 2,3루의 기회를 맞았고, [[조시 해리슨]]이 2타점 적시 2루타를 날리며 먼저 두 점을 앞서갔다. 그러나 이어지는 5회 [[마이크 야스트렘스키]]가 곧바로 시즌 19호 솔로포를 쏘아올리며 추격을 허용했다. 이후 삼자범퇴가 이어지며 소강상태에 빠져들었으나 7회 말 2사 2루에서 타석에 들어선 [[스탈링 마르테]]가 1타점 적시 2루타를 터뜨리며 점수를 3-1로 벌렸다. 루상에 나간 마르테는 3루 도루에 성공했고(시즌 36호) 투수 [[호세 알바레즈]]의 송구 실책이 겹치며 홈을 밟았다. 마르테는 현재 도루 부문에서 리그 전체 1위를 질주하고 있다. 이어지는 8회와 9회를 각각 [[서지오 로모]]와 [[루 트리비노]]가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경기를 끝냈다. 선발투수 제임스 카프렐리안은 5이닝 3피안타 4볼넷 4K 1실점으로 시즌 7승(4패)째를 올렸고, [[제이크 디크먼]]과 [[유스메이로 페팃]], [[서지오 로모]]는 각각 시즌 10호, 18호, 10호 홀드를, [[루 트리비노]]는 시즌 21호 세이브를 기록했다. 타선에서는 워싱턴에서 이적한 트레이드 듀오 [[얀 곰스]]와 [[조시 해리슨]]이 각각 멀티히트를 기록하며 활약했다. === 2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CF || [[오스틴 슬레이터]] || 1 || [[마크 칸하]] || LF || || DH || [[토미 라 스텔라]]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1B || [[브랜든 벨트]] || 3 || [[맷 올슨]] || 1B || || LF || [[다린 러프]] || 4 || [[미치 모어랜드]] || DH || || RF || [[크리스 브라이언트]] || 5 || [[조시 해리슨]] || 3B || || 3B || [[윌머 플로레스]] || 6 || [[세스 브라운]] || RF || || SS || [[브랜든 크로포드]] || 7 || [[션 머피]] || C || || 2B || [[도노반 솔라노]] || 8 || [[토니 켐프]] || 2B || || C || [[커트 카살리]]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케빈 가우스먼]] || SP ||<-2> [[션 머나야]] || 2차전에 앞서 [[스티븐 피스코티]]가 왼쪽 손목 부상으로 IL에 올랐다. 대신하여 [[세스 브라운]]이 옵션된지 하루만에 콜업되었다. 브라운은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AAA 구단]]이 위치한 라스베가스에 도착하기도 전에 되돌아왔다고 한다. 2차전에서는 1회 말부터 [[스탈링 마르테]]의 1타점 적시 2루타가 터지며 먼저 앞서나갔다. 이후 2아웃이 되었으나 [[조시 해리슨]]이 몸에 맞는 공으로 출루했고, 마르테와 해리슨의 더블스틸이 나오며 2사 2,3루의 기회를 잡았다. 이후 타석에 있던 [[세스 브라운]]이 2타점 좌전 적시타를 터뜨리며 리드를 3-0으로 벌렸다. 그러나 이어이즌 2회 초 [[다린 러프]]의 볼넷에 이어 [[크리스 브라이언트]]의 시즌 22호 홈런포가 터지며 점수는 3-2로 좁혀졌다. 3회 말에는 2사 1루 상황에서 [[조시 해리슨]]의 시즌 25호 2루타가 터지며 1루주자 [[맷 올슨]]을 불러들였다. 점수는 4-2로 다시 벌어졌다. 4회 초에는 [[션 머나야]]가 2사 1,2루의 득점권 위기를 맞았으나 [[커트 카살리]]를 3루수 직선타 처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이어지는 4회 말 [[션 머피]]와 [[토니 켐프]]의 안타와 2루타가 터지며 무사 2,3루가 되었고, 1사 이후 [[마크 칸하]]가 볼넷을 얻어내며 만루가 되었다. 이후 투수 [[케빈 가우스먼]]의 폭투가 나오며 오클랜드는 5-2로 달아났다. 그러나 후속 두 타자가 모두 범타로 물러나며 추가 점수를 얻지는 못했다. 5회 초에는 션 머나야가 2사를 잘 잡았으나 이후 몸 맞는 공과 볼넷 두 개를 잇달아 허용하며 2사 만루의 위기에 몰렸고, 결국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마운드를 [[유스메이로 페팃]]에게 넘겼다. 다행히 페팃이 [[윌머 플로레스]]를 2루수 뜬공 처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7회 초에는 [[앤드류 샤핀]]이 마운드를 이어받았으나 [[브랜든 벨트]]와 [[다린 러프]]에게 백투백 홈런을 허용하며 경기를 순식간에 한 점차로 좁혀버렸다. 7회 말 타선은 1사 1,2루의 기회를 맞았으나 [[미치 모어랜드]]와 [[조시 해리슨]]이 범타로 물러나며 달아나지 못했다. 이후 샌프란시스코의 마지막 공격이었던 9회 초 [[루 트리비노]]가 마운드에 올라왔으나 1사 이후 [[브랜든 벨트]]에게 안타를 허용한 이후 후속타자 대타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에게 시즌 16호 홈런을 내주며 6-5로 역전을 허용하고 말았다. 9회 말 자이언츠의 마무리 투수 [[제이크 맥기]]에게 오클랜드의 타선은 삼자범퇴로 묶였고, 이렇게 허무하고 충격적인 역전패를 내주고 말았다. 선발투수 [[션 머나야]]는 4.2이닝 4피안타 3볼넷 3K 2실점으로 지난 등판보다는 나아진 모습이었으나 무려 96개의 투구수를 보이며 아쉬움을 남겼다. 역전을 허용한 [[루 트리비노]]는 시즌 5패(5승)와 3호 블론세이브를 기록했다. 타선에서는 [[스탈링 마르테]]가 2루타 두 개를 기록했고, [[션 머피]]도 멀티히트를 올렸다. === 3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RF ||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 || 1 || [[마크 칸하]] || LF || || 1B || [[브랜든 벨트]]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C || [[버스터 포지]] || 3 || [[맷 올슨]] || 1B || || SS || [[브랜든 크로포드]] || 4 || [[제드 라우리]] || DH || || 3B || [[크리스 브라이언트]] || 5 || [[조시 해리슨]] || SS || || DH || [[알렉스 디커슨]] || 6 || [[맷 채프먼]] || 3B || || CF || [[마이크 야스트렘스키]] || 7 || [[세스 브라운]] || RF || || LF || [[다린 러프]] || 8 || [[얀 곰스]] || C || || 2B || [[토미 라 스텔라]] || 9 || [[토니 켐프]] || SS || ||<-2> [[로건 웹]] || SP ||<-2> [[션 머나야]] || 3차전에서는 5회까지 양 팀의 선발투수들이 한 점도 내주지 않으며 투수전을 펼쳤다. 이후 6회 말 선두타자 [[토니 켐프]]의 2루타에 이어 [[마크 칸하]]의 적시타가 터지며 오클랜드가 먼저 균형을 깼다. 선발 [[프랭키 몬타스]]는 7회까지 자이언츠의 타선을 무실점으로 막는 압도적인 피칭을 펼쳤다. 이 경기 전까지 필승조인 [[유스메이로 페팃]]과 [[제이크 디크먼]]은 모두 2연투 중이었기 때문에 출장할 수 없었고, 8회 [[A.J. 퍽]]이 마운드에 오른다. 퍽은 올라와서 2사를 잘 잡았으나 [[오스틴 슬레이터]]에게 볼넷을 내주며 2사 1루를 만든다. 이후 대타 [[도노반 솔라노]]에게 역전 투런포를 허용하며 점수를 뒤집힌다. 이틀 연속으로 경기 후반 대타 역전홈런을 내준 것이다. 오클랜드의 타선은 8회 2사 이후 [[스탈링 마르테]]의 2루타와 9회 1사 이후 [[조시 해리슨]]의 2루타로 재역전을 노렸으나 무위에 그치며 이틀 연속 충격의 역전패를 헌납했다. 선발투수 [[프랭키 몬타스]]는 7이닝 2피안타 2볼넷 9K 105구 무실점의 완벽한 피칭을 펼쳤으나 승리를 따내지 못했다. A.J. 퍽은 시즌 첫 패배와 첫 블론세이브를 기록했다. 타선에서는 [[스탈링 마르테]]가 3안타를 터뜨리며 여전한 불방망이를 과시했으나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 vs SEA(0823~0824) : 스윕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시애틀.jpg|width=100%]]}}} || === 1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시애틀 매리너스|[[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SS || [[J.P. 크로포드]] || 1 || [[마크 칸하]] || LF || || DH || [[미치 해니거]]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3B || [[카일 시거]] || 3 || [[맷 올슨]] || 1B || || 1B || [[타이 프랭스]] || 4 || [[얀 곰스]] || C || || 2B || [[에이브러햄 토로]] || 5 || [[제드 라우리]] || 2B || || LF || [[제이크 프레일리]] || 6 || [[조시 해리슨]] || 3B || || CF || [[제러드 켈닉]] || 7 || [[채드 핀더]] || RF || || C || [[칼 랄리]] || 8 || [[션 머피]] || DH || || RF || [[제이크 바우어스]]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마르코 곤잘레스]] || SP ||<-2> [[폴 블랙번]] || 첫 경기에서는 1회 말 [[마크 칸하]]와 [[맷 올슨]]의 안타로 1사 1.2루의 기회를 만들었고, 더블스틸이 나오며 1사 2,3루가 되었다. 이후 [[얀 곰스]]의 1타점 땅볼이 나오며 한 점을 먼저 앞서나갔다. 블랙번은 2회 초 [[아브라함 토로]]와 [[제러드 켈닉]]에게 안타를 허용하며 2사 1,2루의 위기를 자초했고, 폭투까지 나오며 득점권에 두 명의 주자가 나갔으나 후속타자 칼 롤리를 중견수 뜬공으로 돌려세우며 이닝을 무실점으로 끝냈다. 4회 말에는 [[얀 곰스]]의 시즌 12호가 나오며 점수를 2-0으로 벌렸다. 그러나 6회 초 [[폴 블랙번]]이 선두타자 [[J.P. 크로포드]]에게 안타를 허용한 이후 [[미치 해니거]]에게 동점 투런포를 내주며 경기는 순식간에 동점이 되었다. 블랙번은 이후 두 타자를 범타 처리하고 마운드를 [[앤드류 샤핀]]에게 넘겼다. 6회 말 [[맷 올슨]]이 2사 이후 시즌 32호 솔로포를 때려내며 오클랜드는 다시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이후 8회까지 양 팀은 득점을 올리지 못했고, 9회 초 경기를 마무리짓기 위해 마운드에 [[루 트리비노]]가 등판했으나 올라오자마자 첫 타자였던 타이 프란스에게 시즌 16호 홈런을 동점 솔로포로 내주며 또 다시 블론세이브를 기록하고 말았다. 이후 멘탈이 무너져버린 트리비노는 두 타자에게 연속으로 안타를 허용했고, 2사 이후 [[제이크 바우어스]]에게 2타점 적시타를 내주며 역전까지 허용하고 말았다. 결국 이닝을 끝내지 못하고 마운드를 [[데올리스 게라]]에게 넘겼다. 트리비노는 마운드에서 내려간 이후 반쯤 멘탈이 나간 모습이었다. 다행히 후속투수 게라는 추가실점 없이 이닝을 끝냈다. 9회 말에는 오클랜드의 타선이 폴 시왈드에게 삼자범퇴로 막히며 그대로 패했다. 선발투수 [[폴 블랙번]]은 5.2이닝 5피안타 무볼넷 5K 2실점(2자책)을 기록했다. ERA는 4.09로 떨어졌다. [[서지오 로모]]는 1이닝을 삼자범퇴로 삭제하며 시즌 11호 홀드를 기록했고, 루 트리비노는 시즌 4호 블론세이브와 6패를 동시에 기록했다. 트리비노가 두 경기 연속으로 블론세이브를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2위 자리를 [[보스턴 레드삭스]]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팬들 사이에서는 당분간 트리비노를 점수차가 큰 상황에서 기용하고 마무리를 다른 선수로 대체하자는 의견이 많다. === 2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시애틀 매리너스|[[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SS || [[J.P. 크로포드]] || 1 || [[마크 칸하]] || RF || || RF || [[미치 해니거]]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1B || [[타이 프랭스]] || 3 || [[맷 올슨]] || DH || || 3B || [[카일 시거]] || 4 || [[미치 모어랜드]] || 1B || || 2B || [[에이브러햄 토로]] || 5 || [[조시 해리슨]] || 2B || || DH || [[루이스 토렌스]] || 6 || [[맷 채프먼]] || 3B || || C || [[톰 머피]] || 7 || [[토니 켐프]] || LF || || CF || [[제러드 켈닉]] || 8 || [[션 머피]] || C || || LF || [[딜런 무어]]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크리스 플렉센]] || SP ||<-2> [[콜 어빈]] || 2차전에서는 1회 말부터 1사 이후 3연속 안타가 터지며 오클랜드가 한 점 먼저 앞서나갔다. 그러나 2회 초 선발투수 [[콜 어빈]]이 3안타와 1점을 헌납하며 경기는 동점으로 돌아왔다. 3회 초에는 선두타자 [[미치 해니거]]에게 볼넷을 내주었으나 후속타자 타이 프란스에게 병살을 유도하며 2사가 되었다. 하지만 이후 [[카일 시거]]에게 안타, [[아브라함 토로]]에게 2루타, 루이스 토렌스에게 안타를 연속해서 내주며 두 점을 헌납하고 말았다. 점수는 3-1로 역전되었다. 이후 7회 말 2사 1,2루의 득점권 기회를 잡았으나 [[스탈링 마르테]]가 뜬공으로 물러나며 점수를 만들지 못했고, 8회 초 [[A.J. 퍽]]이 두 점을 더 내주며 5-1로 경기가 끝나고 말았다. 선발투수 [[콜 어빈]]은 3이닝 7피안타 2볼넷 무삼진 3자책으로 부진했다. 타선에서는 [[미치 모어랜드]]만이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 vs NYY(0826~0829) : 시리즈 타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클랜드1.jpg|width=100%]]}}} || '''Game 128~131''' === 1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뉴욕 양키스|[[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2B || [[DJ 르메이휴]] || 1 || [[마크 칸하]] || RF || || 1B || [[앤서니 리조]]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RF || [[애런 저지]] || 3 || [[맷 올슨]] || 1B || || LF || [[조이 갈로]] || 4 || [[제드 라우리]] || 2B || || DH || [[지안카를로 스탠튼]] || 5 || [[조시 해리슨]] || LF || || C || [[개리 산체스]] || 6 || [[미치 모어랜드]] || DH || || CF || [[브렛 가드너]] || 7 || [[맷 채프먼]] || 3B || || 3B || [[지오 어셸라]] || 8 || [[션 머피]] || C || || SS || [[앤드류 벨라스케스]]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제임슨 타이욘]] || SP ||<-2> [[제임스 카프렐리안]] || === 2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뉴욕 양키스|[[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2B || [[DJ 르메이휴]] || 1 || [[토니 켐프]] || LF || || 1B || [[앤서니 리조]]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CF || [[애런 저지]] || 3 || [[맷 올슨]] || 1B || || RF || [[지안카를로 스탠튼]] || 4 || [[제드 라우리]] || DH || || LF || [[조이 갈로]] || 5 || [[조시 해리슨]] || 2B || || DH || [[루크 보이트]] || 6 || [[맷 채프먼]] || 3B || || 3B || [[지오 어셸라]] || 7 || [[마크 칸하]] || RF || || SS || [[앤드류 벨라스케스]] || 8 || [[션 머피]] || C || || C || [[카일 히가시오카]]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게릿 콜]] || SP ||<-2> [[션 머나야]] || === 3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뉴욕 양키스|[[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2B || [[DJ 르메이휴]] || 1 || [[조시 해리슨]] || SS || || 1B || [[앤서니 리조]]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CF || [[애런 저지]] || 3 || [[맷 올슨]] || 1B || || RF || [[지안카를로 스탠튼]] || 4 || [[얀 곰스]] || C || || LF || [[조이 갈로]] || 5 || [[맷 채프먼]] || 3B || || DH || [[루크 보이트]] || 6 || [[마크 칸하]] || LF || || C || [[개리 산체스]] || 7 || [[채드 핀더]] || RF || || 3B || [[루그네드 오도어]] || 8 || [[션 머피]] || DH || || SS || [[앤드류 벨라스케스]] || 9 || [[토니 켐프]] || 2B || ||<-2> [[네스터 코르테스 주니어]] || SP ||<-2> [[프랭키 몬타스]] || === 4차전 === ||<-5>
'''{{{#fff 선발 라인업}}}''' || ||<-2> [[뉴욕 양키스|[[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2> 타순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height=35]]]] || || 포지션 || 이름 || 이름 || 포지션 || || 2B || [[DJ 르메이휴]] || 1 || [[조시 해리슨]] || 2B || || DH || [[지안카를로 스탠튼]] || 2 || [[스탈링 마르테]] || CF || || RF || [[애런 저지]] || 3 || [[맷 올슨]] || 1B || || LF || [[조이 갈로]] || 4 || [[얀 곰스]] || C || || 1B || [[루크 보이트]] || 5 || [[제드 라우리]] || DH || || C || [[개리 산체스]] || 6 || [[맷 채프먼]] || 3B || || CF || [[브렛 가드너]] || 7 || [[마크 칸하]] || LF || || 3B || [[지오 어셸라]] || 8 || [[채드 핀더]] || RF || || SS || [[타일러 웨이드]] || 9 || [[엘비스 앤드루스]] || SS || ||<-2> [[조던 몽고메리]] || SP ||<-2> [[폴 블랙번]] || == 총평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오클랜드 애슬레틱스/2021년, version=366)] [[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