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오카야마현 제1구}}}}}}'''[br]{{{-1 {{{#ffffff 岡山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Okayama1.svg|width=100%]]}}}|| ||<-2><:>'''선거인 수'''||<-2><:>364,162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오카야마현]]|| ||<-2><:>'''하위 행정구역'''||<-2><:>[[오카야마시]] [[키타구(오카야마)|키타구]], [[비젠시]], [[아카이와시]], [[와케군]], [[카가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아이사와 이치로]]||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카야마현]]의 중부 지역인 [[오카야마시]] [[키타구(오카야마)|키타구]], [[비젠시]], [[아카이와시]], [[와케군]], [[카가군]]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아이사와 이치로]]. == 상세 == ‘보수왕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자민당 초강세 지역이다. [[중선거구제|대선거구제]] 시절 때부터 아이사와 집안의 대대적인 지반이였고, 현재 3대가 이 지역구를 세습하고 있다. 그런 모습을 여전히 보여주고 있는지 3대 [[아이사와 이치로]] 의원이 [[중선거구제]] 시절 때부터 12번 연속으로 모두 이겼다. 여담으로 43, 44회 총선 당시 [[간 나오토]] 전 총리의 장남 겐타로가 이 지역구에 2차례 출마했으나 아이사와에 모두 큰 표차로 패해 낙선했다.[* 이 지역구에 출마한 이유는 간 나오토 집안의 본적지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키타구 타케베초(建部町)이기 때문이다.] 다만 아이사와 의원이 다선의원임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구설수등으로 인해 한 번도 입각하지 못하는 등 정치적으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도심지역이라 무당층도 있기에, 야권이 좋은 후보만 영입한다면 노려볼 만한 선거구라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야권 후보였던 [[다카이 다카시]] 전 의원도 성희롱등 몇몇 구설수에 휩싸이는등 문제점이 많았다. 야권으로서는 새로운 후보를 발굴하는 것이 관건인 셈.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오카야마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9> [[아이사와 이치로]] ||<|9>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카야마현 제1구}}}}}}'''[br]{{{#fff 오카야마시(본청 관내 일부, 이치노미야~후지타 본청 관내), 미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이사와 이치로]]''' || '''116,63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신당 사키가케)] 추천] || '''61.06%'''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히카사 카즈유키 || 54,651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28.6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모리와키 히사노리 || 19,74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3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0,70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카야마현 제1구}}}}}}'''[br]{{{#fff 오카야마시(본청 관내 일부, 이치노미야~후지타 본청 관내), 미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이사와 이치로]]''' || '''105,253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57.3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가와타 히데마사 || 59,63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2.4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호리우치 유이치 || 18,74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2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카야마현 제1구}}}}}}'''[br]{{{#fff 오카야마시(본청 관내 일부, 이치노미야~후지타 본청 관내), 미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이사와 이치로]]''' || '''102,318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57.5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간 겐타로 || 63,46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5.7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모토 칸지 || 11,95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7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카야마현 제1구}}}}}}'''[br]{{{#fff 오카야마시(본청 관내 일부, 이치노미야~후지타 본청 관내), 미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이사와 이치로]]''' || '''127,294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60.8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간 겐타로 || 61,35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9.3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모토 칸지 || 12,06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77%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후쿠시마 카즈미 || 8,590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4.1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카야마현 제1구}}}}}}'''[br]{{{#fff 오카야마시 키타구 일부, 미나미구 일부, 카가군(남서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이사와 이치로]]''' || '''110,345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48.2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다카이 다카시]] || 106,26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6.51%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즈마 츠요시 || 9,87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32% || 낙선 || ||<|2><#ff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width=60]]]] || 야스하라 소노에 || 2,003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8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카야마현 제1구}}}}}}'''[br]{{{#fff 오카야마시 키타구 일부, 미나미구 일부, 카가군(남서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이사와 이치로]]''' || '''100,960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6.2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다카이 다카시]] || 41,258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3.00% || 낙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아카기 마사유키 || 24,370표 || 3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추천] || 13.5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호리우치 유이치 || 10,29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74% || 낙선 || ||<|2><#ff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width=60]]]] || 야스하라 소노에 || 2,480표 || 5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3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오카야마현 제1구}}}}}}'''[br]{{{#fff 오카야마시 키타구 일부, 미나미구 일부, 카가군(남서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이사와 이치로]]''' || '''90,059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55.83%''' || '''당선''' || ||<|2>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다카이 다카시]] || 56,135표 || 2위 || || [include(틀:유신당)] || 34.80%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무카이타니 치도리 || 15,10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3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0,854표 ||<|2> '''투표율'''[br]47.19% || || 선거인 수 || 351,645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E50038> '''{{{+1 {{{#fff 오카야마현 제1구}}}}}}'''[br]{{{#fff 오카야마시 키타구(남동부 제외), 미나미구(중서~북부), 카가군(남서부)}}}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E50038> '''{{{#fff [[아이사와 이치로|{{{#fff 아이사와 이치로}}}]][br](逢沢一郎)}}}'''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 || '''87,272[br](52.7%)'''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00469C> {{{#fff [[다카이 다카시|{{{#fff 다카이 다카시}}}]][br](高井崇志)}}} || [[입헌민주당(2017년)|{{{#00469C 입헌민주당}}}]] || 56,757[br](34.3%) || 2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일본 공산당|공산당]] 오카야마현 위원회[br] [[사회민주당(일본)|사회민주당]] 현련 추천 || ||<#046240> {{{#fff 하치야 히로미[br](蜂谷弘美)}}}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21,551[br](13.0%) || 3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165,580 ||<|2><-3> 투표율 46.38% || || 유권자 수 || 363,645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오카야마현 제1구|{{{#fff 오카야마현 제1구}}}]]}}}'''[br]{{{#fff 오카야마시 키타구(남동부 제외), 미나미구(중서~북부),[br]카가군(남서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이사와 이치로]]''' || '''90,93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55.0%'''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하라다 겐스케 || 65,499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9.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요에 유키오 || 8,99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5,428표 ||<|2> '''투표율'''[br]46.73% || || 선거인 수 || 364,162인 || 현역 자민당 [[아이사와 이치로]]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지난 총선의 후보인 다카이 다키시 의원이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당시 음식점에서 법을 어기며 술을 마시고 있었다는 논란이 제기되자 다카이 다카시를 출당시켰다. 다카이를 대신해 입헌민주당에서는 정치운동가이자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출마했던 하라다 겐스케 후보가 출마한다. [[일본 공산당|공산당]]도 요에 유키오 후보가 출마한다. 단일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투표 결과, 자민당 아이사와 이치로 후보가 여유롭게 승리, 12선 의원이 되었다. 지난 총선보다 2위 후보와의 격차는 조금 줄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증10감법에 의해 오카야마현의 지역구가 1석 감소하게 되면서 선거구가 상당히 많이 조정되었다. 이 곳에서 관할하던 [[오카야마시]] [[미나미구(오카야마시)|미나미구]] 일부분과 2구에서 관할하던 [[키타구(오카야마시)|키타구]] 일부를 교환해 분할이 해소되었고, 기존 3구에서 관할하던 [[아카이와#s-2|아카이와시]], 비젠시, 와케군을 넘겨받았고 기존 5구에서 관할하던 카가군의 서남부 지역이 넘어오며 분할이 해소되었다. 이로써 선거구가 동서로 길어졌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키타구 출신인 [[아이사와 이치로]] 의원이 지역구 이동없이 그대로 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도 하라다 겐스케 후보가 다시 출마한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에서는 효고현 타이코쵸장과 중의원 정책자문을 역임한 핫토리 치아키 후보가 출마한다.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에서는 사사키 유지 전 아카이와시의원이 출마한다. [[일본공산당|공산당]]에서는 스미요리 사토미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오카야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