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종로구(선거구)|{{{#cfa547 제1선거구}}}]])'''}}} || || 제9대[br][[장기영(1916)|장기영]][*A 임기 중 작고][br][[정일형]][*B 국회의원 자격정지] || → || '''제9대'''[br]'''오제도'''[br][[정대철]] || → || 제10대[br][[정대철]][br][[민관식]] || ---- ||<-2> '''대한민국 제9·11대 국회의원[br]{{{+1 오제도}}}[br]吳制道 | Oh Je-d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오제도.jpg|width=100%]]}}} || || '''창씨명''' ||쿠레야마 세이도(吳山制道) || || '''본관''' ||[[해주 오씨]][*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3446|#]].]|| ||<|2> '''출생''' ||[[1917년]] [[11월 15일]]|| ||[[평안남도]] 안주군 (現 [[안주시]])|| ||<|2> '''사망''' ||[[2001년]] [[7월 1일]] (향년 83세)||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8호 || || '''배우자''' ||한석주|| || '''자녀''' ||3남 3녀|| || '''학력''' ||[[와세다대학]] 전문부 {{{-2 ([[법학과|법과]] / 졸업)}}}|| || '''의원 선수''' ||'''2'''|| || '''의원 대수''' ||[[제9대 국회의원|'''9''']], [[제11대 국회의원|'''11''']]||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 == 생애 == 1917년 11월 15일 [[평안남도]] [[안주시|안주군]]에서 태어났다. 1939년 [[일본]] [[와세다대학]] 전문부 [[법학과|법과]]를 졸업하고 귀국 후 1940년부터 신의주지방법원 검사국에서 판임관(判任官) [[https://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2&totalCount=2&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5%90%B3%E5%88%B6%E9%81%93&brokerPagingInfo=SnUpYrZZuHIxMzHLMdPQRSi0k0mUUpCDsHuCGHyKLMNd0f0h&selectedTypes=&selectedSujectClass=&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5%90%B3%E5%88%B6%E9%81%93&searchKeywordConjunction=AND|견습을 시작했으며]], 이후 광복 이전까지 서기 겸 통역으로 일했다. [[8.15 광복]] 후 월남하여 1946년 판검사 특별임용시험을 통해 [[검사(법조인)|검사]]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반공]]검사로 유명해졌다.[* 오제도는 공안검사의 아버지로도 불리고 공안검사의 시초로도 불렸다.] [[좌익]] 전력자를 전향하도록 한 [[보도연맹]] 결성을 [[선우종원]]과 함께 주도하였다. [[남조선로동당]]의 [[김삼룡]]과 [[이주하(1905)|이주하]] 체포. [[국회 프락치 사건]], 여간첩 [[김수임]] 사건, [[조봉암]]의 [[진보당 사건]] 등 공안 사건을 주로 담당하였다. 1952년에는 서울지방검찰청에서 부장검사를 역임했다. 1960년 [[3.15 부정선거]] 때 [[마산]]의 시위를 [[북한]]이 조종한 것이라고 선전하였다.[* 이는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민관식]] 후보에게 패배하는 계기가 되었다. 왜냐면, 저 3.15 부정선거를 외쳤을 당시 의거 중이다가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고 [[김주열]] 열사를 생각해보면, 무소속으로 나온 후보가 박정희 조차도 건들지 못 했던 마산을 함부로 건드렸기 때문이다.] [[4.19 혁명]] 이후 검사직을 사직하고 [[변호사]]로 개업하였다. 1971년 11월 사단법인 [[북한연구소]]를 창립하고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1977년 6월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서울)|중구]] 선거구 [[재보궐선거]][* [[정일형]]은 유신반대운동으로 유명한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구속되어 [[제9대 국회의원|국회의원]]직 상실, 전 경제부총리이자, 김두한에게 똥물을 얻어맞았던 [[장기영(1916)|장기영]] 의원은 1977년 4월 11일에 심장마비로 사망.]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정대철]](정일형의 아들이다.)과 동반 당선되었다. 당선 후 [[민주공화당]]에 입당하려 하였으나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특혜분양 사건]]을 이유로 입당이 불허되었다.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민주정의당]]에 입당하였으나 "구시대적 낡은 인물"이라는 당내 비판으로 자신의 지역구인 종로구-중구에 출마하지 못하고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원래 오제도는 1981년 총선을 앞두고 이북 출신들과 새 정당을 만드는 작업에 착수하고 있었다. 그런데 [[민정당]]의 [[권정달]] 사무총장의 제의를 받고 입당한 것. 하지만 민정당에 먼저 입당한 송지영이나 윤길중 같은 혁신계 인사들은 오제도 때문에 직간접적으로 고생한 적이 있는지라 격렬하게 반대했다. 결국 [[허화평]]이 중재에 나서 이종찬을 종로구-중구에 출마시켰고, 오제도는 전국구 후보로 보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민주정의당을 탈당하여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종찬(1936)|이종찬]] 후보와 [[신한민주당]] [[이민우(1915)|이민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에도 활동을 계속하면서 한국안보교육협회 이사장, 통일대비포럼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였다. 말년에 망명온 [[황장엽]]과 의형제를 맺고 서로 호형호제할 정도로 친했다.[* 나이는 오제도가 7살이 위로, 황장엽이 먼저 세번 절하면서 형님으로 모시겠다고 증언했다. 북한에서도 영화 등에서 오제도가 악역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 유명한 '반공검사'였다고. 한편 [[진중권]]은 극과 극은 통화는 사례라며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에서 비꼬았다.] 우익 반공인사였지만 [[보도연맹 학살사건]]을 인정하고 오히려 보도연맹원들의 무고함을 증언했다. >"[[국민보도연맹|보련]]은 세계 사상사에 유례가 없는 성과로 외국에서도 조사해 갈 정도였다. 그러나 전쟁이 터지면서 보련원들이 적에게 동조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로 인해 경기도 이남에서 학살이 벌어졌다." 오씨는 한국전쟁 개전 초기 서울에서 미처 피난 가지 못한 군경과 가족이 의외로 많이 살아 남은 데는 보련원들의 도움이 컸다면서, 수원 이남에서 무차별 학살한 것은 '불행한 일'이었다고 말한다. 이북에서도 반동으로 규정된 보련원은 오히려 인민군이 숙청할 대상이었는데도 남한쪽 군경이 심사도 하지 않고 무조건 집단 학살했다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 북부의 보련원만 학살을 모면했을 뿐 전국 각지에서는 약 30만에 달하는 보련원들이 영문도 모른 채 불려가 학살당했다. 30만이라는 숫자는 [[4.19 혁명|4·19]] 직후 전국 각지의 유족들이 국회에 낸 청원 내용에 들어 있다. 오제도씨는 "이제 정부가 보련 가입자들의 억울한 죽음을 공식 확인해 범국가 차원에서 위령제를 올릴 때가 되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9753|#]] 2001년 법조인 최초로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어 7월 5일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 대중매체에서 == * 1973년작 영화 <[[특별수사본부 기생 김소산]]>에서는 배우 [[최무룡]]이 연기했다. * 1974년작 영화 <[[특별수사본부 김수임의 일생]]>에서는 배우 [[이순재]]가 연기했다. * 1974년작 영화 <[[국회 푸락치]]>에서는 배우 [[박근형]]이 연기했다. * 1981년작 MBC 드라마 <[[제1공화국(드라마)|제1공화국]]>에서는 배우 [[권성덕]]이 연기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77 || [[1977년 재보궐선거]] ||<|2> 서울 1[* [[종로구·중구]]] ||<|2> [include(틀:무소속)] || '''37,650 (35.59%)''' || '''당선 (1위)''' || '''초선'''[* 전임자 [[정일형]] 의원직 상실 및 전임자 [[장기영(1916)|장기영]] 작고. 당시 국회는 중대선거구제였는데, 우연히도 서울 1선거구 의원 2명이 동시에 공석이 되었다. 오제도와 함께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사람은 [[무소속]] [[정대철]] 후보이다.]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61,270 (24.59%) || 낙선 (3위) ||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 '''5,776,624 (35.60%)''' || '''당선 (27번)''' || '''재선'''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구·중구|종로·중]] || [include(틀:무소속)] || 19,780 (7.29%) || 낙선 (4위) || ||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77 오제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제도 1978.jpg|width=100%]]}}} || || [[1977년 재보궐선거|{{{#000000,#e5e5e5 1977년 재보궐선거}}}]] {{{#000000,#e5e5e5 (서울 1[*B [[종로구·중구]]])}}}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8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서울 1[*B [[종로구·중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제도1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B [[종로구·중구]]]) || ||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9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 [include(틀:제11대 국회의원/전국구)] ---- [include(틀:민주정의당 제11대 국회 전국구)]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9대 국회의원]][[분류:제11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민주정의당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실향민]][[분류:안주시 출신 인물]][[분류:1917년 출생]][[분류:2001년 사망]][[분류:해주 오씨]][[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