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OzakiB-S.webp|width=50%]] || 링네임 || 尾崎 真弓 [br] '''尾崎 魔弓''' || || 본명 || 尾崎 まゆみ || || 생년월일 || [[1968년]] [[10월 28일]] || || 출생지 || [[일본]] [[사이타마현]] [[가와구치시]] || || 신장 || 158cm || || 체중 || 57kg || || 별명 || 美しき悪魔[* 아름다운 악마] [br] 悪の華[* 악의 꽃] [br] 魔性の女[* 마성의 여자] [br] ストリート・ファイトの女王[* 스트리트 파이트의 여왕] [br] Queen Of The Street Fight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올라운더|올라운더]] || || 주요 커리어 || OZ 아카데미 오픈웨이트 챔피언 3회 [br] OZ 아카데미 태그팀 챔피언 7회 [br] WW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AAAW 싱글 챔피언 1회 [br] AAAW 태그팀 챔피언 3회 [br] AAAW 가오라 컵 우승 (2001년) [br] JWP 주니어 챔피언 3회 [br] UWA 주니어 챔피언 1회 [br] JWP 오픈웨이트 챔피언 1회 [br] JWP 태그팀 챔피언 3회 [br] [[전일본 TV 6인 태그팀 챔피언쉽|전일본 TV 6인 태그팀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데킬라 선라이즈''' [br] '''위치크래프트'''[* 노던 라이트 밤.] [br] '''샤이닝 야쿠자킥/오자킥''' [br] 우라켄 [br] 라운딩 바디 프레스 || [목차] == 개요 == 사이타마현 출신 프로레슬러로, 야마모토 코테츠의 제자. == 커리어 == OZ 아카데미 대표. 정통파 프로레슬링을 자랑하며, 파워 파이트부터 러프 파이트, 테크닉 주체의 정통파 레슬링까지 해낸다. '사랑받고 미워하는 힐'을 스스로 맡고있어 '''악옥'''(悪玉)을 자칭하고 있다. 러프 플레이에서는 달인으로 무기사용 또한 주저없이 사용하며 트레이드마크인 투톤 컬러 체인과 형광등 & 책상 & 파이프 & 의자 등 다양한 흉기를 사용한다.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 입성을 목표로, 전여자가 운영하는 헬스장에서 연습생으로서 트레이닝을 쌓아, 전여자 오디션도 봤지만 불합격당한다. 오자키 마유미가 17살이 될 무렵인 1986년에서 일본 여자 프로레슬링 오디션을 거쳐 합격해 입단에 이른다. 일본 여자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하다가 1992년까지 활동하고 JWP로 이적한다. 오자키 마유미는 1996년에 '''OZ 아카데미'''라는 악역으로만 구성된 유닛을 결성하고, 1997년에 JWP를 퇴딘하면서 FA가 되고 1998년에 OZ 아카데미를 설립한다. GAEA에서 활동하지만 2005년에 단체는 해산되고, 각 단체를 돌며 경력을 만들다가 2006년에 자신이 설립한 OZ 아카데미 소속으로 완전히 전환하면서 첫 해외진출을 하며 한국에서 열린 [[TNA]]와 공동으로 한 [[NKPWA]] 흥행에서 미스 자네스와 팀을 이뤄 [[게일 킴]] & 조셀린을 상대하지만 패했다. 멕시코의 유명단체인 [[AAA(프로레슬링)|AAA]]를 포함해서 미국의 IWA Mid-South에도 출연하며 해외에서도 유명세를 탄다. 2011년에는 미국에서 열린 치카라의 JoshiMania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시라이 미오]]와 팀을 이뤄 [[하마다 아야코]] & 체리를 상대하지만 패하고, 시라이 미오, [[후키겐데스★|요네야마 카오리]]와의 경기에서 각각 승리를 거둔다. 자신이 운영하는 OZ 아카데미를 포함해 [[전일본 프로레슬링]], [[대일본 프로레슬링]], WAVE, 아이스리본, 센다이 걸스 등 일본의 여러단체에서 활동하고 다니고 있고, 2014년에 유명 여성단체인 [[SHIMMER]]에도 출연하면서 여기선 주 전문분야인 무기사용이 가능한 No DQ 매치를 벌이며 사라야 나이트와 팀을 이뤄 [[아스카(프로레슬러)|카나]] & [[루피스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사라야 나이트도 꺾고 [[리아 오 라일리]] & 사라야 나이트와 같이 [[루비 소호|헤이디 러브레이스]] & [[솔로 달링]] & [[리바 베이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만 SHIMMER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로 벌어진 태그팀 매치에서 사라야 나이트와 같이 켈리 스케이터 & 나카자와 토모카와의 경기에선 패했다. OZ 아카데미에서 [[오카 유미]]와 태그팀 듀오로 다니고 있고, 2015년에 미국에 또 가면서 SHIMMER에 출연해 사라야 나이트와 팀을 이뤄 [[다코타 카이|이비]] & 헤이드 러브레이스와의 No DQ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고, [[아쟈 콩]] & [[기무라 쿄코]] & 다이너마이트 칸사이와 팀을 이뤄 켈리 스케이터 & 나카가와 토모카 & 오하타 미사키 & [[마츠모토 히로요]]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둔다. OZ 아카데미에서의 활동이 많지만 다른단체에도 가끔씩 출연하는 오자키 마유미는 일본에서 활동중인 강자들과 명경기를 펼치며 호각을 이루고, 다양한 선수들과도 태그팀 듀오를 이루며 어떤 경기에서든 특화된 모습을 보인다. == 기타 == * 2018년에 보육사 자격을 취득했고, 요코하마 시내에 보육원 개원을 목표까지 했다. * 소설가로써도 활동하고 있어 여자 프로레슬링계에 있어서 드문 존재이다. == 둘러보기 == ||<-5>
<#000000><:> {{{#FFFFFF '''프로레슬링 웨이브 캐치 더 웨이브 포스트 토너먼트 어워드 올해의 베스트 퍼포먼스'''}}} || ||<:> 원더풀 월드 패어리 패밀리 [br](2015) ||<:> {{{+1 → }}} ||<#FFFFA1><:> '''{{{#000 이시구로 [br] 오자키 마유미 [br](2016)}}}''' ||<:> {{{+1 → }}} ||<:> [[히로타 사쿠라]] [br] 미야자키 유키 [br](2018) || ||||||||||
<:>[[파일:OZ-Academy.png|width=200]] || ||||||||||||<:> '''OZ 아카데미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No.1 컨텐더 토너먼트 우승자''' || || [[마츠모토 히로요]][br](2012) || → || '''오자키 마유미[br](2020)''' || → || [[마츠모토 히로요]][br](2021) || ||<-4>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br]{{{#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현재까지 여성 선수로는 최다 선정] || || '''1993년'''[br]4월 11일 ||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 || WW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3판 2선승 매치[br]___다이너마이트 칸사이___ & ___'''오자키 마유미'''___(O) vs 야마다 토시요 & [[토요타 마나미]](X)(C) || {{{#0000ff,#bbccff *****}}}[* 제 1전 12초 만에 다이너마이트 칸사이가 스플래시 마운틴 파워밤으로 야마다에게 승리, 제 2전 15분 7초 만에 토요타가 다이너마이트 칸사이에게 저패니즈 오션 사이클론 수플렉스로 승리, 제 3전 31분 11초 만에 오자키가 토요타에게 둠스데이 레이저즈 에지로 승리.] || ||<:><-3>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1992년 || 11월 26일[br][[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 || WW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br]다이너마이트 칸사이 & '''오자키 마유미''' vs __야마다 토시요__ & __[[토요타 마나미]]__(C) || || 1993년 || 4월 11일[br][[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 || WW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3판 2선승 매치[br]__다이너마이트 칸사이__ & __'''오자키 마유미'''__(O) vs 야마다 토시요 & [[토요타 마나미]](X)(C) || [[분류:여성 프로레슬러]][[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68년 출생]][[분류:1986년 데뷔]][[분류:카와구치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