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오이 래리}}}'''[br](영어: Larry the cucumber/중국어: 피피(皮皮)}}} || || [[파일:Larry_the_Cucumber.png]] }}} || || '''{{{#000000,#dddddd 이름}}}''' ||오이 래리 || || '''{{{#000000,#dddddd 별명}}}''' ||피클, 멍청한 피클 (Silly Pickle)[* [[파들]]], 가지[* 일본어판 신발마을과 냄비마을.] || [목차] [clearfix] == 개요 == 밥과 함께 [[야채극장 베지테일]]의 공동 주인공으로, "래리의 실리송 (Silly songs with Larry)"라는 자신이 만든 세그멘트가 있는데, 실리송을 지어서 부르는 거다. 그러나 [[멍청함의 끝?|아치가 실리송을 싫어해서 취소했으나 래리의 마음을 이해하면서 "래리의 실리송"을 다시 돌려줬다.]] "다윗과 골리앗"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오이맨'''[* 오리지널 영어판에서는 래리보이(Larryboy).]이라는 슈퍼영웅으로 변신하기도 하는데, 뭐 영웅인데도 불구하고 하는 게 없다. "오이맨과 뻥개비"에선 주니어가 진실을 꺼내면서 뻥개비를 물리쳤고, "오이맨과 속닥속닥풀"에서는 주니어와 로라, 그리고 야채마을의 모든 시민들이 속닥속닥풀을 물리쳤다. 그리고 캐릭터들 중 유일하게 모든 에피소드에 나온다. == 성격 == [[토마토 밥(야채극장 베지테일)|밥]]과 달리 발랄하고 진지한 것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성격으로 어린아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초반부까지 아치볼드와 사이가 그다지 좋지 않았다. == 2차 창작 == 의인화 시 마른 체형에 짙은 색깔, 녹색 머리카락으로 자주 그려진다. 공식적으로 패튜니아와의 커플링을 밀어주는 상황이고, 2010년대 이전까지 패튜니아의 커플링 팬아트가 많았다. 2010년대 이후로 [[토마토 밥(야채극장 베지테일)|토마토 밥]]과 [[아스파라거스 아치볼드]]와의 BL 커플링이 유행하는 상태. == 국가별 성우 == ||<-3>
{{{#b2ff59 '''오이 래리의 국가별 성우'''}}} || ||<-2> '''미국''' || 마이크 나로키 || ||<-2> '''한국''' || [[김승준(성우)|김승준]]^^(본편)^^[br] [[이원찬]]^^(극장판 1작)^^[* 엔딩 스탭롤 장면에서 오이맨으로 등장할 때는 여자 성우가 맡았다.] || ||<-2> '''일본''' || [[세키 토모카즈]] → [[야마구치 캇페이]]^^(본편)^^[* 이후 극장판 2작에서 런트를 맡게 된다.] [br] [[마도노 미츠아키]]^^(극장판)^^ || ||<-2> '''핀란드어''' || 페트리 한투 || ||<-2> '''알바니아어''' || 드리탄 보리치 || ||<-2> '''이집트 아랍어''' || Raafat Maher[* [[وظوظ و بطبط]]에서도 활동 전적이 있다.그리고 이집트 아랍어 버전 '[[카드캡터 체리]]의 캐릭터 [[리 샤오랑]]의 목소리를 맡기도 했다.] || == 기타 == >파 2: 안녕, 멍청한 가지야! (あばよ、ボケナス!)[* 국내판에서는 그냥 "또 보자!"로 나왔다.] >- 신발마을과 냄비마을 일판 * 에피소드 내에서 가끔씩 피클이라고 자주 오해받는 일종의 클리셰가 있다. 일본어판에서는 피클 대신 가지로 오해받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야채극장 베지테일, version=213, title2=야채극장 베지테일/등장인물, version2=22)] [[분류:야채극장 베지테일/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