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어 버츄얼 유튜버]][[분류:일본의 여성 유튜버]][[분류:hololive/소속 크리에이터]][[분류:2018년 데뷔]][[분류:군마현 출신 인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게임 벽람항로와의 콜라보 캐릭터, rd1=오오카미 미오(벽람항로))] [include(틀:hololive 프로덕션 멤버)] ||<-2> '''{{{+5 오오카미 미오}}}'''[br][ruby(大神, ruby=おおかみ)]ミオ | Ookami Mi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okami Mio.jpg|width=100%]]}}}|| || '''성별''' ||여성|| || '''나이''' ||불명[* [[시라카미 후부키]]와 고등학교 동창이기 때문에 맨 처음에는 후부키를 따라 '동물 나이 17세'라는 설정을 붙인 뒤 그대로 유지하려고 했지만, 정작 후부키가 생일이 될 때마다 자신의 나이를 늘리고 있어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한 채 대충 얼버무렸다.[[https://youtu.be/RIXEaBU7-SI|#]]]|| || '''종족''' ||늑대|| || '''생일''' ||8월 20일|| || '''신장''' ||160cm[* 2019년 홀로라이브와 아키하바라 아트레의 콜라보 당시 최초 공개한 신장은 155cm였다. 이후 2020년 공개된 [[장난기 기능]] 영상에선 미오 파트에 160cm라고 표기되다가 다시 공식 홈페이지 프로필에서 165cm(동물 귀 제외, 구두 포함)으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2023년 6월 공식 신장도 조건부가 사라지고 160cm로 수정되었다.]|| || '''1인칭''' ||[[우치(인칭대명사)|ウチ(우치)]]|| || '''소속''' ||[[hololive]]|| || '''디자인''' ||캐릭터 디자인 : [[https://twitter.com/AC______|泉彩]][* 이후 [[니지산지]] 소속 [[니시조노 치구사]]를 디자인했다.]|| || '''Live2D''' ||[[https://twitter.com/rariemonn765|rariemonn]]|| || '''3D모델''' ||[[https://twitter.com/yatsurugi_mmd|八剣]]|| || '''데뷔''' ||2018년 12월 7일[br][dday(2018-12-07)]일째|| || '''구독자 수''' ||113만 명[*기준 2023년 10월 13일]|| || '''팬들 명칭''' ||ミオファ(미오파)[* 미오 패밀리(ミオファミリー)의 줄임말]|| || '''별명''' ||みぉーん(미옹), みおしゃ(미오샤)[* [[이누가미 코로네]]가 큰 의미 없이 지은 별명인데 어쩌다 보니 유행하게 되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TWqYrhzn8r0|#]]],[br]ミオママ(미오마마)|| || '''서명''' ||[[파일:Ookami_Mio_Signature.png]]|| || '''외부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p-5t9SrOQwXMU7iIjQfAR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okamimio, 크기=24)] | [[https://hololive.hololivepro.com/talents/ookami-mio/|[[파일:Hololive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Pm9T622OX0)]}}}|| || '''오오카미 미오의 오리지널 곡 [[Howling|《Howling》]]''' || >'''こんばんみぉーん!大神ミオだよ~!''' >'''콘방 미오~온! 오오카미 미오야~!''' >어디선가 갑자기 나타난 흑발의 동물 귀 소녀. 신사에 자주 출몰하는 듯하다. 게임을 좋아한다.[*원문 どこからともなく現れた黒髪のケモミミ少女。神社によく出没するらしい。ゲームが大好き。] >---- >[[https://hololive.hololivepro.com/talents/ookami-mio/|홀로라이브 공식 소개 문구]] 데뷔일은 2018년 12월 7일, 생일은 8월 20일, 캐릭터 디자이너는 [[https://twitter.com/AC______|泉彩]]. 1인칭은 우치(ウチ). 좋아하는 동물은 닭. 보는 것도 먹는 것도 좋아하는 편. 특히 본지리(엉덩이)[* 닭 엉덩이살에 해당하는 부위 일본쪽에서 분류하는 특수부위이다.]을 최고로 선호하는 편으로, 집에서 직접 키운 적도 있다고 한다. 싫어하는 음식은 [[차조기]]와 [[표고버섯]]이라고. 미오가 어렸을 적에 어머니가 [[차조기]]와 [[표고버섯]] 요리를 해주었을 때 [[https://youtu.be/1h78n8hzpqg?t=2496|입에 넣기가 무섭게 뱉었다]]고 한다. 어렸을 때에는 싫어하는 음식이 많았고, 어머니가 미오에게 말하기로는 그런 걸 먹으면 바로 뱉어내는 타입이었더란다. [[늑대]] 컨셉의 버튜버로서 종종 [[하울링]]을 시연해 주기도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pJAMvCwv4uE|#]] [[https://www.youtube.com/watch?v=rsyN9zyQqck|#]] [[https://www.youtube.com/watch?v=_3vvvz2r-MM|#]] 일러상에서 꼬리처럼 보이는것은 사실 [[포니테일]]이다. [[약점|꼬리가 너무 민감하기 때문]]에 [[디코이]]를 따로 만든 것이고, 진짜 꼬리는 다리에 감겨있는 털뭉치처럼 보이는 것이다. 데뷔 초에는 신사의 [[코마이누]]가 되고 싶어서 [[신사]]풍 옷을 입고 신사 주변을 어슬렁거린다는 설정이 있었지만, 얼마 안가 본인조차 스리슬쩍 잊어버려서 크게 언급되지는 않는다. 2022년 6월 7일에 홀로라이브 29번째로 '''구독자 100만명'''을 달성했다. 이를 통해 게이머즈는 EN의 Holomyth에 이어 두번째로 모든 멤버가 구독자 100만명을 달성한 기수가 되었다. ||<-3>
'''{{{#fff 인사말}}}''' || ||<|2> 스트리머 측 || 방송 시작 || おはみぉーん![br]또는 お昼みぉーん![br]또는 こんばんみぉーん![* 스트리밍을 켜는 시간대에 따라 다르다.][br]또는 ウチウチ! ウチだよ、大神ミオだよ! || || 방송 종료 || おつみぉーん! || ||<|3> 리스너 측 || 대기 중 || 待🌲 [* 언어유희다. 木(き)=機(き)] || || 방송 시작 || ミミミミミミ[* 방송 준비 중 재생되는 화면에서. '미미미미미미' 대기 화면은 더 이상 쓰이지 않지만 이 채팅은 여전히 종종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br]및 こんばんみぉーん![* 시간대에 따라 상기한 다른 인사로 바뀔 수 있다.] || || 방송 종료 || おつみぉーん! || ## 2022-06-18 20:48:21.935960 최신화 {{{#!folding [ 구독자 증가 추이 | 펼치기 · 접기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Ookami Mio.jpg|width=25%]]||'''{{{+3 [[오오카미 미오]]}}}[br]구독자 수 변화 추이 일람''' || }}} || ||
'''기준 날짜''' || '''구독자 수''' || '''전월 대비'''[* 데뷔일을 제외하고 모든 기준 날짜는 당월 1일로 한다.] || || 2019년 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4%, #AAA 0%)" {{{#fff 14,100명}}}}}} || ''' ''' || || 2019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3.9%, #AAA 0%)" {{{#fff 39,000명}}}}}} || '''+2.5만''' | {{{#C7EA46 '''+177%'''}}} || || 2019년 7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5.9%, #AAA 0%)" {{{#fff 59,000명}}}}}} || '''+2.0만''' | {{{#C7EA46 '''+51%'''}}} || || 2019년 10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7.6%, #AAA 0%)" {{{#fff 75,700명}}}}}} || '''+1.7만''' | {{{#C7EA46 '''+28%'''}}} || || 2020년 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1.3%, #AAA 0%)" {{{#fff 113,000명}}}}}} || '''+3.7만''' | {{{#C7EA46 '''+49%'''}}} || || 2020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7.3%, #AAA 0%)" {{{#fff 173,000명}}}}}} || '''+6.0만''' | {{{#C7EA46 '''+53%'''}}} || || 2020년 7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28.4%, #AAA 0%)" {{{#fff 284,000명}}}}}} || '''+11.1만''' | {{{#C7EA46 '''+64%'''}}} || || 2020년 10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38.8%, #AAA 0%)" {{{#fff 388,000명}}}}}} || '''+10.4만''' | {{{#C7EA46 '''+37%'''}}} || || 2021년 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51.8%, #AAA 0%)" {{{#fff 518,000명}}}}}} || '''+13.0만''' | {{{#C7EA46 '''+34%'''}}} || || 2021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64.8%, #AAA 0%)" {{{#fff 648,000명}}}}}} || '''+13.0만''' | {{{#C7EA46 '''+25%'''}}} || || 2021년 7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76.0%, #AAA 0%)" {{{#fff 760,000명}}}}}} || '''+11.2만''' | {{{#C7EA46 '''+17%'''}}} || || 2021년 10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85.3%, #AAA 0%)" {{{#fff 853,000명}}}}}} || '''+9.3만''' | {{{#C7EA46 '''+12%'''}}} || || 2022년 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91.7%, #AAA 0%)" {{{#fff 917,000명}}}}}} || '''+6.4만''' | {{{#C7EA46 '''+7.5%'''}}} || || 2022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96.7%, #AAA 0%)" {{{#fff 967,000명}}}}}} || '''+5.0만''' | {{{#C7EA46 '''+5.5%'''}}} || || 2023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00%, #AAA 0%)" {{{#fff 1,080,000명}}}}}} || '''+11.3만''' | {{{#C7EA46 '''+11.7%'''}}} || || 2023년 7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00%, #AAA 0%)" {{{#fff 1,110,000명}}}}}} || '''+3.0만''' | {{{#C7EA46 '''+2.8%'''}}} || ||<-3> {{{#!folding [ 자세히 보기 | 펼치기 · 접기 ] ||
2019년 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4%, #AAA 0%)" {{{#fff 14,100명}}}}}} || || || 2019년 2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2.3%, #AAA 0%)" {{{#fff 22,800명}}}}}} || '''+8.7천''' | {{{#C7EA46 '''+61.7%'''}}} || || 2019년 3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2.8%, #AAA 0%)" {{{#fff 27,800명}}}}}} || '''+5.0천''' | {{{#C7EA46 '''+21.9%'''}}} || || 2019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3.9%, #AAA 0%)" {{{#fff 39,000명}}}}}} || '''+1.1만''' | {{{#C7EA46 '''+40.3%'''}}} || || 2019년 5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4.6%, #AAA 0%)" {{{#fff 46,400명}}}}}} || '''+7.4천''' | {{{#C7EA46 '''+19%'''}}} || || 2019년 6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5.2%, #AAA 0%)" {{{#fff 52,400명}}}}}} || '''+6.0천''' | {{{#C7EA46 '''+12.9%'''}}} || || 2019년 7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5.9%, #AAA 0%)" {{{#fff 59,000명}}}}}} || '''+6.6천''' | {{{#C7EA46 '''+12.6%'''}}} || || 2019년 8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6.5%, #AAA 0%)" {{{#fff 64,500명}}}}}} || '''+5.5천''' | {{{#C7EA46 '''+9.3%'''}}} || || 2019년 9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7.1%, #AAA 0%)" {{{#fff 71,200명}}}}}} || '''+6.7천''' | {{{#C7EA46 '''+10.4%'''}}} || || 2019년 10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7.6%, #AAA 0%)" {{{#fff 75,700명}}}}}} || '''+4.5천''' | {{{#C7EA46 '''+6.3%'''}}} || || 2019년 1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8.2%, #AAA 0%)" {{{#fff 81,600명}}}}}} || '''+5.9천''' | {{{#C7EA46 '''+7.8%'''}}} || || 2019년 12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9.2%, #AAA 0%)" {{{#fff 91,800명}}}}}} || '''+1.0만''' | {{{#C7EA46 '''+12.5%'''}}} || || 2020년 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1.3%, #AAA 0%)" {{{#fff 113,000명}}}}}} || '''+2.1만''' | {{{#C7EA46 '''+23.1%'''}}} || || 2020년 2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3.0%, #AAA 0%)" {{{#fff 130,000명}}}}}} || '''+1.7만''' | {{{#C7EA46 '''+15%'''}}} || || 2020년 3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4.9%, #AAA 0%)" {{{#fff 149,000명}}}}}} || '''+1.9만''' | {{{#C7EA46 '''+14.6%'''}}} || || 2020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7.3%, #AAA 0%)" {{{#fff 173,000명}}}}}} || '''+2.4만''' | {{{#C7EA46 '''+16.1%'''}}} || || 2020년 5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20.7%, #AAA 0%)" {{{#fff 207,000명}}}}}} || '''+3.4만''' | {{{#C7EA46 '''+19.7%'''}}} || || 2020년 6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24.1%, #AAA 0%)" {{{#fff 241,000명}}}}}} || '''+3.4만''' | {{{#C7EA46 '''+16.4%'''}}} || || 2020년 7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28.4%, #AAA 0%)" {{{#fff 284,000명}}}}}} || '''+4.3만''' | {{{#C7EA46 '''+17.8%'''}}} || || 2020년 8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32.5%, #AAA 0%)" {{{#fff 325,000명}}}}}} || '''+4.1만''' | {{{#C7EA46 '''+14.4%'''}}} || || 2020년 9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35.4%, #AAA 0%)" {{{#fff 354,000명}}}}}} || '''+2.9만''' | {{{#C7EA46 '''+8.9%'''}}} || || 2020년 10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38.8%, #AAA 0%)" {{{#fff 388,000명}}}}}} || '''+3.4만''' | {{{#C7EA46 '''+9.6%'''}}} || || 2020년 1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42.4%, #AAA 0%)" {{{#fff 424,000명}}}}}} || '''+3.6만''' | {{{#C7EA46 '''+9.3%'''}}} || || 2020년 12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47.1%, #AAA 0%)" {{{#fff 471,000명}}}}}} || '''+4.7만''' | {{{#C7EA46 '''+11.1%'''}}} || || 2021년 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51.8%, #AAA 0%)" {{{#fff 518,000명}}}}}} || '''+4.7만''' | {{{#C7EA46 '''+10%'''}}} || || 2021년 2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56.7%, #AAA 0%)" {{{#fff 567,000명}}}}}} || '''+4.9만''' | {{{#C7EA46 '''+9.5%'''}}} || || 2021년 3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61.8%, #AAA 0%)" {{{#fff 618,000명}}}}}} || '''+5.1만''' | {{{#C7EA46 '''+9%'''}}} || || 2021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64.8%, #AAA 0%)" {{{#fff 648,000명}}}}}} || '''+3.0만''' | {{{#C7EA46 '''+4.9%'''}}} || || 2021년 5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67.7%, #AAA 0%)" {{{#fff 677,000명}}}}}} || '''+2.9만''' | {{{#C7EA46 '''+4.5%'''}}} || || 2021년 6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72.2%, #AAA 0%)" {{{#fff 722,000명}}}}}} || '''+4.5만''' | {{{#C7EA46 '''+6.6%'''}}} || || 2021년 7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76.0%, #AAA 0%)" {{{#fff 760,000명}}}}}} || '''+3.8만''' | {{{#C7EA46 '''+5.3%'''}}} || || 2021년 8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80.2%, #AAA 0%)" {{{#fff 802,000명}}}}}} || '''+4.2만''' | {{{#C7EA46 '''+5.5%'''}}} || || 2021년 9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83.3%, #AAA 0%)" {{{#fff 833,000명}}}}}} || '''+3.1만''' | {{{#C7EA46 '''+3.9%'''}}} || || 2021년 10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85.3%, #AAA 0%)" {{{#fff 853,000명}}}}}} || '''+2.0만''' | {{{#C7EA46 '''+2.4%'''}}} || || 2021년 1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87.4%, #AAA 0%)" {{{#fff 874,000명}}}}}} || '''+2.1만''' | {{{#C7EA46 '''+2.5%'''}}} || || 2021년 12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89.4%, #AAA 0%)" {{{#fff 894,000명}}}}}} || '''+2.0만''' | {{{#C7EA46 '''+2.3%'''}}} || || 2022년 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91.7%, #AAA 0%)" {{{#fff 917,000명}}}}}} || '''+2.3만''' | {{{#C7EA46 '''+2.6%'''}}} || || 2022년 2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93.8%, #AAA 0%)" {{{#fff 938,000명}}}}}} || '''+2.1만''' | {{{#C7EA46 '''+2.3%'''}}} || || 2022년 3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94.9%, #AAA 0%)" {{{#fff 949,000명}}}}}} || '''+1.1만''' | {{{#C7EA46 '''+1.2%'''}}} || || 2022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96.7%, #AAA 0%)" {{{#fff 967,000명}}}}}} || '''+1.8만''' | {{{#C7EA46 '''+1.9%'''}}} || || 2022년 5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97.7%, #AAA 0%)" {{{#fff 977,000명}}}}}} || '''+1.0만''' | {{{#C7EA46 '''+1%'''}}} || || 2022년 6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99.3%, #AAA 0%)" {{{#fff 993,000명}}}}}} || '''+1.6만''' | {{{#C7EA46 '''+1.6%'''}}} || || 2023년 3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00%, #AAA 0%)" {{{#fff 1,080,000명}}}}}} || '''+8.7만''' | {{{#C7EA46 '''+8.8%'''}}}[* 22년 7월~23년 2월까지의 자료가 없는 관계로 22년 6월 대비 증가로 계산한다.] || || 2023년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00%, #AAA 0%)" {{{#fff 1,080,000명}}}}}} || '''+0.0만''' | {{{#D3D3D3 '''±0.0%'''}}} || || 2023년 5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00%, #AAA 0%)" {{{#fff 1,090,000명}}}}}} || '''+1.0만''' | {{{#C7EA46 '''+0.9%'''}}} || || 2023년 6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00%, #AAA 0%)" {{{#fff 1,100,000명}}}}}} || '''+1.0만''' | {{{#C7EA46 '''+0.9%'''}}} || || 2023년 7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0036 100%, #AAA 0%)" {{{#fff 1,110,000명}}}}}} || '''+1.0만''' | {{{#C7EA46 '''+0.9%'''}}} || }}} ||}}} == 성격 및 방송 특징 == 다른 사람들의 뒷바라지를 자청하는 다정한 성격이며, 목소리도 차분해서 편안하게 듣기 좋기 때문에 홀로라이브의 대표적인 '''엄마(마마)''' 캐릭터로 통한다. 홀로라이브의 멤버들이 미오에게 응석을 부렸다는 일화가 많고, [[https://www.youtube.com/watch?v=wBRftPvUrUc&t=464s|#]] 어머니의 날이 되면 "어머니의 날 축하합니다."는 슈퍼챗이 쏟아지기도 하는 등 [[https://www.youtube.com/watch?v=2rlsupTHm4o|#]] 대내적으로나 대외적으로나 완전히 어머니 취급이다. 다만 이 경향은 적어도 피보호욕구가 일어나는 사람 한정인데, 예를 들어 [[오오조라 스바루]]의 경우에는 워낙 털털한 성격이라 돌봐주었을 때의 리액션이 [[모성애|모성본능]]을 [[https://youtu.be/ot9EI80wVIk|자극하지 않는 덤덤한 반응인지라 보호욕구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감정표현이 솔직해서 재미있는 일이 있으면 신나게 웃고, 슬픈 일이 있으면 금방 훌쩍거리고, 깜짝 놀라면 엄청나게 비명을 지르는데, 이 점이 대표적인 매력 포인트로 꼽힌다. 다른 멤버들과 콜라보를 하면서 숨이 넘어갈 듯이 웃는 미오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fARAev53fo|#]] 특히 카이가이니키 사이에서는 박장대소할 때 미오의 웃음을 유독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미오가 폭소를 할 때면 키리누키 자막 등에는 반드시 '''" *blessed laughter* "'''라고 넣어주는 것이 일종의 불문율. 방송이 비교적 차분한 스타일이지만 내성적인 성격은 아니며, 오히려 홀로라이브 멤버들 사이에서는 오오조라 스바루 이상으로 밝고 외향적인 성격이라는 [[https://www.youtube.com/watch?v=IdGluTSHOZo|평가]]를 받는다. 그 덕분에 대규모 콜라보를 기획하는 일이 많고, 기획을 위한 밑준비도 불평없이 열심히 해내고, 이벤트가 개시되면 운영이나 진행도 직접 담당하는 등 많은 방송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특히 미오가 준비하는 콜라보는 [[하이쿠]]왕 결정전, 홀로라이브 유치원, 워드 울프 게임 등 말재주만 있으면 누구든지 참여할 수 있는 방송이 많아 많은 멤버들이 함께하고 있다. SMOK 처럼 언제 어디로 튈지 모르는 조합에서도 능숙하게 방송의 중심을 잡아주는데, 간혹 미오가 진행자 역할을 맡기 어려운 컨셉으로 콜라보를 진행하면 방송이 순식간에 산으로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GeKz_hzt-c&t=774s|#]]. 게이머즈 소속답게 게임을 좋아하고, 홀로라이브 면접에서도 게임 방송을 주력으로 하겠다고 말했지만, 게임 실력은 그렇게 뛰어난 편은 아니며 경쟁적인 게임보단 느긋하게 즐길 수 있는 게임을 선호하기 때문에 게임보단 잡담이나 노래 방송이 더 주목을 받는 편이다. 이렇듯 게이머로서의 이미지는 옅은 미오이지만 역시 게이머즈답게 스플래툰을 천시간이나 플레이한 겜순이이다. 스플래툰을 한창 하다가 엄지 손가락이 너무 아파서 병원에 갔더니 엄지 손가락의 연골이 전부 닳아 없어져있었다고 한다. 의사가 깜짝 놀라면서 어떤 일을 하길래 손이 이렇게 되냐고 미오에게 물었는데 미오는 차마 게임을 하다가 연골이 닳았다고는 말을 못 하고 '취미로 수공예를 하고 있어서...' 라고 거짓말을 했다. 프로콘도 수시로 망가뜨리는지 두 대를 사서 교대로 수리를 받는다고 한다. 미오샤의 의외의 일면을 알게된 루나는 그야말로 충격을 받았다. [[https://youtu.be/_8aXvmnx6II|#]] 미오 본인은 자신의 노래 실력에 별로 자신이 없어 하지만, 홀로라이브 팬들 사이에서는 이미 숨어있는 실력자로 유명하다. [[https://youtu.be/ZhLlkFQ66kY|햄토리 주제가]]처럼 발랄한 노래부터 [[https://youtu.be/FQk0bsteilU|오펀스의 눈물]]처럼 깊고 파워풀하고 노래까지 다양한 장르의 노래를 소화할 수 있으며, 2019년 6월 30일에 공개한 [[スパークル|Sparkle]] 커버는 홀로라이브 전체에서 공개한 모든 노래를 통틀어서도 손꼽힐 정도로 오랜 기간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2022년부터는 [[시라카미 후부키]], [[나키리 아야메]]와 '이로하니호헤토아야후부미(いろはにほへっと あやふぶみ)'라는 이름의 그룹을 결성해 음악 관련 활동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원래는 2021년 봄부터 준비해온 프로젝트인데, 자꾸 하고 싶은 것들이 늘어나는 바람에 일정이 다소 밀렸다고 한다. 그룹명은 [[이로하 노래]]의 맨 앞 7글자인 (いろはにほへと) 뒤에 아야메, 후부키, 미오의 앞글자를 붙여서 미오가 지었다. [[https://youtu.be/qKJer9uoTSA|#]] 츳코미 캐릭터로 자리매김한 현재와는 정반대로, 데뷔 초엔 천진난만하고 기운 넘치면서 약간은 어리숙한 어린아이같은 캐릭터를 목표로 삼았었다. 방글라데시, 일본, 러시아 혼혈의 일본 모델인 [[https://www.youtube.com/channel/UCkMs-Zr9pGixbqm0mhO8J7g|롤라(Rola)]]를 롤모델로 [[https://twitter.com/ookamimio/status/1351881234448744449|잡아]] "버츄얼 유튜버계의 롤라"가 되고자 했으며, 트위터에 [[https://www.youtube.com/watch?v=VLGBwIgsHCk|일부러 한자를 적게 쓰거나]], 자기소개에 뜬금없이 좋아하는 음식을 적거나, 신사의 [[코마이누]]가 되고 싶어서 신사 주변을 어슬렁거린다는 설정을 붙이는 등 알게 모르게 세심한 부분까지 공을 들여 캐릭터를 준비했다.[* 시그니처 인사말인 '우치우치 우치다요~ 오오카미 미오다요~!'가 이 설정의 잔재라고 볼 수 있다. 1인칭을 '우치'라고 한다던지, 자기소개 시에 본인의 이름을 'ㅇㅇ다요~'라고 밝히는 말투는 영락없이 상술한 롤라의 캐릭터.] 하지만 미오보다 약 3개월 앞서 데뷔한 [[나키리 아야메]]와 [[오오조라 스바루]]가 각각 '천진난만하게 귀여운 캐릭터'와 '엉뚱한 어린아이같은 캐릭터' 포지션을 확실하게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후발주자인 미오가 비슷한 캐릭터를 구축하기 다소 어려운 환경이었으며, 홀로라이브는 미오에게 츳코미를 걸기는 커녕 누군가 나서서 중심을 잡아주지 않으면 제동이 안 걸리는 멤버들이 워낙 많다보니 "밸런스 조정"을 위해 미오가 다른 멤버들에게 츳코미를 걸기 [[https://www.youtube.com/watch?v=veZKEUdMRW0&t=1273s|시작했다]]. 앞선 이유들이 겹쳐지면서 미오의 목표와는 달리 데뷔 직후인 2018년 연말부터 2019년 연초까지 다양한 멤버들과 콜라보 방송을 하면서 미오마마(ミオママ) 캐릭터가 빠르게 정착되었다. 이런 역할은 집단 내에서 반드시 필요한 역할이기도 하지만, 미오는 열심히 준비한 캐릭터를 제대로 선보일 기회도 없이 다른 멤버들의 개성에 밀려버린 것에 내심 아쉬움을 느끼고 있으며, 자신의 이미지가 고착화되는 것에 대한 고민을 방송 중에 내비치기도 했다. 이후로 유튜버 활동 기간이 점점 오래되면서 자기 자신도 즐거운 방송을 해야 한다는 것을 느끼고 조금씩 여유를 찾게 되었다. 스스로를 [[이불]]에 [[https://www.youtube.com/watch?v=1hgdTof8oz8|비유]]할 정도로 현재 자신의 캐릭터를 긍정적인 눈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동시에 여러 멤버들과 친해진 덕분에 자신에게 츳코미를 걸어줄 만한 멤버들이 있으면 그동안 감춰두었던 [[보케]] 캐릭터로서의 면모를 뽐내기도 한다. 그리고 2021년 8월 20일 생일 방송 이후로는 "프리덤"을 [[https://www.youtube.com/watch?v=_Z6kHpHhjFk&t=95s|선언]]하여 츳코미 역할이나 상식인의 역할에만 자신을 한정시키지 않고, 유튜브 구독자 100만인 달성을 목표로 하면서 좀 더 자신감을 갖고 초창기 때 꿈꿨던 캐릭터성을 좀 더 자유롭게 추구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아사미오(朝ミオ) === [[https://www.youtube.com/watch?v=m6L1hEhAD7E|2021년 2월 15일]]부터 매주 월요일 아침 7시 30분마다 약 1시간 동안 잡담 방송 코너를 진행하고 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5YyxtJ_gpFA|3월 22일자 방송]]부터는 해당 코너에 '아사미오(#朝ミオ)'라는 태그를 달고 있다. 처음에는 특별히 정해진 내용 없이 아침 인사나 잡담을 하는 방송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틀이 잡혀가며 정규 기획으로 자리잡았다. 출근/등교 준비를 하면서 라디오처럼 듣는 사람들이 많다. 미오 본인도 종종 일어난 지 얼마 안 된 시간에 진행하는지, 잠에 취해 반쯤 잠긴 귀여운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특정 주제에 관해 시청자 사연을 모집하여 소개해주는 아사미오 사연 코너가 있다. 참여하는 방법은 1주전 아사미오에서 공지[* 이후 1~2일 뒤 미오 공식 트위터 계정에도 올라오므로, 그쪽을 참고해도 좋다.]하는 주제로 #朝ミオおたより 및 해당 주제 태그를 사용하여 트윗을 작성하면 된다. 22년 들어서는 거의 매주 진행하며 자극적이고 농담조인 것보단 성실한 트윗 위주로 선별하는 것으로 보인다. [* 기획 특성 상, 일본의 문화에 관련된 내용이나 생활 밀착형 일본어가 많이 등장하며, 트윗을 방송에 띄우므로 청해와 어휘 공부에도 매우 큰 도움이 된다.] 2021년 5월 1일부터 5일까지는 [[골든 위크]] 특집으로 골든 위크 기간 동안 홀로멤버들에게 [[모닝콜]]을 하는 특별 방송을 했다. 휴일이라고 늦잠 자는 딸들을 깨우는 엄마 같은 미오의 모습과 여러 멤버들의 잠에 취한 목소리를 감상할 수 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S8tYbUIoHM0|1일차]] : [[아마네 카나타]], [[시라카미 후부키]], [[시시로 보탄]] * [[https://www.youtube.com/watch?v=WwDO2bXBudE|2일차]] : --[[호시마치 스이세이]]--[* 통화를 받지 못해 패스.], [[시로가네 노엘]], [[나츠이로 마츠리]], [[토코야미 토와]] * [[https://www.youtube.com/watch?v=4r-xqD9ijhg|3일차]] : [[오오조라 스바루]], [[네코마타 오카유]], [[나키리 아야메]] * [[https://www.youtube.com/watch?v=tGqQZicIA20|4일차]] : [[유키하나 라미]], [[키류 코코]], [[로보코 씨]], [[유즈키 초코]] * [[https://www.youtube.com/watch?v=TStlBk2uBgQ|5일차]] : [[아키 로젠탈]], --[[호쇼 마린]]--[* 통화를 받지 못해 패스.], [[히메모리 루나]], [[사쿠라 미코]] 2021년 7월 5일자 아사미오에서는 방송 대기중 마이크를 켜놓은 채로 아침 식사를 하면서 의도치않게 먹방 [[ASMR]]을 해버리는 [[https://www.youtube.com/watch?v=AKCM6jqF7iU&ab_channel=%ED%99%80%EB%A1%9C%EB%88%84%EB%A6%AC|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2021년 10월 25일부터 아사미오에서 홀로라이브 멤버들의 주간 소식을 알려주는 '아사미오 주간 뉴스(朝ミオー週間ニュース)' 코너를 신설 한다. 트위터에 '#朝ミオー週間ニュース' 태그를 통해 소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https://twitter.com/ookamimio/status/1449882635627417607|트윗]] 2021년 12월 13일 일본의 [[지상파]] 방송국 [[TBS 테레비]]에 소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76m2GF6pHM|#]] 2022년 5월 초, 작년에 이어 올해도 골든위크 특집 모닝콜 방송을 진행하였다. == [[오오카미 미오/방송 일화|방송 일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오카미 미오/방송 일화)] == 관련 밈 == * '''"미오"하다(ミオる)''' 홀로라이브에서 방송 중에 구토를 한 것으로 유명한 사람이라면 [[아카이 하아토]]도 있지만, 미오는 구토 사건이 워낙 많다 보니 그 자체로 밈이 되어버렸다. 유튜브에서 간단히 찾아볼 수 있는 사건만 4건 정도 있으며, 특히 본인의 2주년 기념 3D 생방송에서 있었던 일명 "[[https://www.youtube.com/watch?v=EFJ17oUCkBo|케이크 사건(the cake incident)]]"이 유명하다. 일본어권 홀로라이브 팬들과 홀로라이브 멤버들은 아예 '''미오하다'''[* ミオる, 문법적으로는 5단 동사.]라는 동사를 만들어 '구토하다'의 대체 표현으로 쓰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tuGfUW9KM8|#]] [[키류 코코]]가 "I am a barfing wolf"라는 표현을 가르쳐줘서 방송 중에 미오가 의미도 모른 채 큰 소리로 외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3bXlN0obkY|#]] 다만, 미오가 단순히 기행을 위해 이상한 것을 억지로 먹다 구토를 하는 것은 아니고, 유달리 비위가 약하다 보니 벌칙게임 등으로 [[와사비]]가 들어간 슈크림을 먹거나, 쓴 [[한방약]]을 먹다가 차마 삼키지 못하고 반사적으로 뱉어내는 등 의도되지 않은 진짜 사고가 대부분이라 팬들도 못봐줄 흑역사로 여기기보단 미오의 캐릭터성으로 보는 편이다. 홀로라이브 공식 컨텐츠인 홀로그라 애니메이션에도 와사비 슈크림[* 제작자는 토와로 당시 페코라를 골탕먹이기 위해 만들었는데 도중에 꽝을 구분하는 표식을 잘못 붙여서 본인이 당하고 남은 것을 미오가 먹은것이다.]을 먹고 토하는 모습이 등장하기도 했다. 그 와중에 "[[구토하는 히로인]]이 나오는 애니는 명작"이라는 엔딩 코멘트는 덤. * '''빅 갓 미온''' '''[[타로카드]] 점술'''을 할 줄 안다. 맨 처음에는 점을 봐준다는 핑계로 다른 사람들에게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맘대로 하면서 장난을 치고 싶다는 이유로 타로카드를 시작했지만, 하다보니 점점 재미를 느껴서 전문 타로카드 점술가인 R.I.O.N에게 직접 배우는 방송을 하는 등 제대로 배우게 되었다고 한다. 점을 봐줄 때는 자신을 오오카미(大神)를 그대로 영어로 번역해 놓은 "빅 갓(Big God) 미온"이라고 자칭하는데, 미오가 캡콤 넷 캡쳐[* 온라인 상으로 실제 뽑기 기계를 동작해 경품을 뽑는 게임.[[https://youtu.be/tWv-s4A8mKU|#]]]와 콜라보레이션을 했을 때 BGM이라고 쓰여있는 리본 장식을 단 마법사 캐릭터로 그려진 것이 기원이다.[[https://youtu.be/-LusRMQm77I|#]] 이후로 다른 멤버들의 점을 봐주는 방송이 미오의 컨텐츠로 완전히 자리 잡았으며, 새해가 되면 모든 멤버들의 운세를 쭉 돌아가며 간단하게 봐주는 콘텐츠를 매년 하고 있다. 미오의 점은 [[https://youtu.be/A17HLtiVbac|잘 들어맞는다는]] 평판이 자자해서 사전에 기획된 방송이 아닐 때도 갑작스러운 요청을 받아 점을 봐주러 갈 때도 많고, "[[https://youtu.be/Mp7vyHIY3JE|흑막은 미오]]"라는 농담도 종종 듣는다. 한편으로는 주변 사람들이 자신의 점을 마치 예언을 하는 것처럼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거나, 점이 잘 맞는 것 같은 부분만 교묘하게 잘라낸 클립을 만들어서 미오가 정말 모든걸 꿰뚫어 보고 있는 것 처럼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이 다소 부담스럽다는 심정을 [[https://www.youtube.com/watch?v=JFHEwa9T7Xg&t=1531s|내비치기도]] 했다. 여전히 타로 카드를 좋아하고, 다른 사람들이 점을 봐달라고 하면 기꺼이 봐주겠지만, 점을 봐주는 것에 대해 꽤나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사이버스텝]]의 '여명의 브레이커즈'와 콜라보하게 되었을 때 카드 배경이 그려진 일러스트로 등장했으며 [[https://ebten.jp/newtype/p/4582515530310#|열쇠고리화된 굿즈]]가 발매되었다. * '''미오샤?!!''' 꽤나 오래된 밈으로, 본래는 코로네가 특유의 화법으로 미오를 부르던 명칭이었다. 이후 이에 영향을 받은 스바루가 미오가 예상치 못한 말을 하거나 어처구니없는 행동을 하면 당황한 말투로 "미오샤?!!" 라고 외치게 되었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VLGBwIgsHCk&t=60s|#]] 단순히 미오의 별명을 부르는 것 뿐이지만 스바루 특유의 말투 때문에 많은 시청자들의 인상에 남았고,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미오가 어이없게 죽는 상황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스바루가 미오샤를 외칠 일이 많아 시청자들의 머리에 서서히 각인되었다. 그렇게 스바루가 미오샤를 외칠 때마다 채팅창에도 미오샤?!! 가 도배되고, 스바루, 미오와 함께 자주 게임을 하는 코로네나 오카유도 비슷한 억양으로 불리곤 해서 아예 SMOK 전용 밈으로 정착한 듯 하다. 결국에는 본인의 맴버십 스티커에도 "미오샤?!"가 추가되면서 본인도 인정한 공식 밈으로 자리잡았다. == 다른 유튜버와의 관계 == 처음 데뷔했을 때부터 [[시라카미 후부키]]와 자주 활동하였으며 상단의 엄마 이미지, 검정-빨강과 하양-파랑의 색 대조 때문에 후부키와는 부부관계로 그려지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예시로는 게이머즈의 오카유, 코로네나 FAMS의 아야메, 스바루가 아이들로 취급되기도 한다. 시라카미 후부키와 미오가 방송 중 밝힌 바에 의하면 둘은 홀로라이브 이전에도 [[동급생|같은 학교의 같은 반 친구]]였다고 한다. 후부키를 통하여 홀로라이브와의 접점이 생기고[* 후부키가 활동을 시작했을 때, 미오는 후부키가 평범한 아이돌을 하는줄 생각하고 있었다. 후부키 측에서 만남이 줄었다고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미오 몰래 응모한 경위가 있다.] 후부키가 평소에 오락실에서 자주 만나서 알고 지내던 코로네와 오카유까지 영입한 것이 홀로라이브 게이머즈의 기원. 홀로라이브는 대부분의 오프콜라보가 hololive 회사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지만, 미오네 집에서 오프콜라보를 하는 경우도 꽤 있다. 이렇게 되면 엄마 속성이 부각될 만한 에피소드가 종종 나온다. 미코가 집에 왔을때 맛있는 음식을 해준다든가, 스바루가 3D 콘서트 시기가 지연돼서 우울해할 때 미오가 스바루의 집으로 직접 찾아가서 오카유와 시온을 초대한다든가, 호주에 고립돼서 일본에 돌아가지 못하는 [[아카이 하아토|하아토]]와 디스코드로 많은 대화를 했고 하아토가 방송에 복귀한 뒤에 음식을 만들어주기도 했다. 거기에 멤버들과 실제로 만나 노는 것을 좋아하는지 멤버들과 여행도 자주 다니는 편이다. 별을 엄청 좋아하는지 스바루랑 같이 여행을 간 적이 있는데 여관에 도착한 뒤 쉬고 있던 스바루에게 자긴 별을 좋아한다면서 같이 별을 보러 가자고 권유해 데리고 갔던 적이 있다. 이때 미오의 눈이 초롱초롱했다고 하며, 텐션도 높았다고. 좋은 곳을 안다면서 데려간 뒤에는 별하늘을 보며 빨려들어갈 것 같다고 외쳤다고. 돌아올 때는 당연히 한밤중이었으며 주변이 숲이었기 때문에 주변을 두리번거리며 무서워하면서도 앞장서서 걸어갔다. 스바루의 언급으로는 옛날 괴담이 생각나서 불안한지 간간이 자기 쪽으로 뒤돌아보길 반복 했다고. 중간부터는 스바루와 손을 잡고 돌아가다가 샛길을 발견한 스바루에 의해 샛길을 통해서 여관으로 돌아간 듯. == 홀로라이브 얼터너티브 == 홀로라이브 얼터너티브 티저에서 후부키의 동료 포지션으로 등장했다. 이때 근접 격투기를 구사하며 아야메와 육박전을 벌였는데, 자세히 보면 주먹에 불꽃 같은 것을 두르고 싸운다. 일본도 두 자루를 든 상대방에게 고작 맨주먹으로 맞선다는 점에서 그녀의 비범함을 알 수 있다. == 음악 == === 오리지널 곡 === || '''{{{#fff 순번}}}''' || '''{{{#fff 곡명}}}''' || '''{{{#fff 업로드 날짜}}}''' || '''{{{#fff 영상}}}''' || || '''{{{#fff 1st}}}''' || '''[[Howling(hololive)|{{{+1 {{{#F0210F Howling}}}}}}]]''' || 2021. 8. 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Pm9T622OX0)]}}} || ||<-4>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静寂に響いてよ My howling 시지마니 히비이테요 My howling 정적속에 울려퍼져라 My howling 滔々と流れていく風景 토-토-토 나가레테쿠 후-케이 도도하게 흘러가는 풍경 刹那的な 日々の中で 세츠나테키나 히비노 나카데 찰나와도 같은 매일 속에서 差し伸べられた手は 優しく 사시노베라레타 테와 야사시쿠 다정하게 앞으로 내민 손에서는 鼓動に滴る 微熱の予感 코도오니 시타타루 비네츠노 요캉 고동에서 흘러나오는 미열이 느껴져 風に逆らう そう生きてきたから 카제니 사카라우 소오 이키테 키타카라 바람을 거스르며 살아 왔지만 君に会って気付く「もう独りじゃない」 키미니 앗테 키즈쿠 모오 히토리쟈 나이 널 만나고서 더는 혼자가 아님을 깨달았어 赤光 瞬きは弧描き 月へ響く 샥코- 마타타키와 코 에가키 츠키에 히비쿠 적광(赤光), 그 반짝이는 빛은 호를 그리며 달을 향해 이어져 爪弾く道 金瞳の群れ 共に嘆く夜 츠마비쿠 미치 키은도오노 무레 토모니 나게쿠 요루 발톱으로 할퀴며 지나온 길, 금빛 눈동자의 무리들과 함께 울부짖는 밤 慟哭 伝播する思いは 心強くする 도오코쿠 데음파스루 오모이와 코코로 츠요쿠 스루 통곡을 통해 전해지는 의지는 마음을 강하게 해 ついておいでよ 츠이테오이데요 날 따라 와 うしろに君がいるから私は 迷わない 우시로니 키미가 이루카라 와타시와 마요와나이 네가 뒤에 있으니까 난 망설이지 않아 光射す道へ 히카리 사스 미치에 빛이 비추는 길을 향해 無力だから 仲間を求め 무료쿠다카라 나카마오 모토메 무력하기 때문에 무리를 구하고 凍えるから 火を灯して 코고에루카라 히오 토모시테 춥기 때문에 불을 피우며 変化とともに 進化してく 헤응카토 토모니 시응카시테쿠 변화와 함께 진화해 왔어 この顛末は だれも知らない 코노 테은마츠와 다레모 시라나이 이 이야기는 아무도 알지 못해 君を信じる そう決めているから 키미오 시은지루 소오 키메테 이루카라 널 믿기로 결심했으니까 どんな異常非常も 乗り越えられるよ 돈나 이죠오 히죠오모 노리코에라레루요 어떤 난관이라도 헤쳐나갈 수 있어 月光 この闇に唯一 凛と咲く華 겍코- 코노 야미니 유이이츠 린토 사쿠 하나 월광(月光), 이 어둠 속에서 유일하게 늠름하게 피어나는 꽃 恐れなのか 憧れなのか 向かい合う夜空 오소레나노카 아코가레나노카 무카이아우 요조라 두려움인지, 아니면 동경인지 모를 감정으로 마주한 밤하늘 大地を駆け抜ける 私と君が創り出す 다이치오 카케누케루 와타시토 키미가 츠쿠리다스 대지를 달려나가며 나와 네가 만들어 나가는 この物語 単純な未来じゃない 코노 모노가타리 타은쥬은나 미라이쟈 나이 이 이야기는 단순한 미래가 아냐 沸き立つ情熱 この声に乗せよう 와키타츠 죠오네츠 코노 코에니 노세요- 끓어오르는 정열을 이 목소리에 싣자 空飛ぶ羽根なくても 소라 토부 하네 나쿠테모 하늘을 날 수 있는 날개는 없어도 手は繋げられたから 테와 츠나게라레타카라 손은 맞잡을 수 있으니까 この運命を選んだ 코노 움메이오 에라은다 이 운명을 선택했어 連動する遠吠えは 静寂に響いて 렌도-스루 토오보에와 시지마니 히비이테 하나 둘 이어지는 울음소리는 정적 속에서 울려퍼지며 何度も何度も その絆を確かめ合った 나은도모 나은도모 소노 키즈나오 타시카메앗타 몇 번이고, 몇 번이고 서로의 유대를 확인했어 ah 瞬きは弧描き 月へ響く ah 마타타키와 코 에가키 츠키에 히비쿠 반짝이는 빛은 호를 그리며 달을 향해 이어져 爪弾く道 金瞳の群れ 共に嘆く夜 츠마비쿠 미치 키은도오노 무레 토모니 나게쿠 요루 발톱으로 할퀴며 지나온 길, 금빛 눈동자의 무리들과 함께 울부짖는 밤 慟哭 伝播する思いは 心強くする 도오코쿠 데음파스루 오모이와 코코로 츠요쿠 스루 통곡을 통해 전해지는 의지는 마음을 강하게 해 ともにいこうよ 토모니 이코오요 같이 가자 となりに君がいるから私は 迷わない 토나리니 키미가 이루카라 와타시와 마요와나이 네가 곁에 있으니까 난 망설이지 않아 光射す道へ 히카리 사스 미치에 빛이 비추는 길을 향해 Listen to My howling... 狼が止まることはない 오-카미가 토마루 코토와 나이 늑대는 절대 멈추지 않아 ||}}}}}}}}} || || '''{{{#fff 2nd}}}''' || '''[[サヨナラは、まだ|{{{+1 {{{#F0210F サヨナラは、まだ}}}}}}]]''' || 2022. 11. 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24ZTZ06x1U)]}}} || ||<-4>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ネオンライトは眩く 街灯明滅 通り過ぎ 窓の向こう 夜の風に 空を見た 忙しない足取り まばらなノイズ 私だけが 取り残されたようで ゆめうつつ また光に揺られる 心の中で私を消して 追いかけた過去 背中合わせの 希望 密度 押しつぶされぬよう だから君と ここにいる時間[とき]は せめて 言葉にできず 見つめ合うだけ 思考回路 ぼやけたままで さあ 光を掴むまで サヨナラは、まだ 暗いカーテン 向こうの 偏光反射 籠の鳥 閉じた心 隠したくて ふと一人 また光に溺れる 呼吸する暇もなくて 沈む 時の狭間で 隣り合わせの 理想 現実 押しつぶされぬよう だから私 繋がっていたいの 君と 見つめ合うたび 微笑み合って だけど君は ぼやけたままでさ 巡り すれ違って 惹かれ合う また (Endless Night, Endless Light) (Inner the Cage, Outside the Cage) 逃げ出してみたい This story will end, though 心 離れずに溺れ…… 未来[ヒカリ]に魅入られる 夢の中なら私と きっと 追いかけた過去 背中合わせの 希望 密度 押しつぶされぬよう だから君と ここにいる時間[とき]は せめて 言葉にできず 見つめ合うだけ 思考回路 ぼやけたままで さあ 光を掴むまで サヨナラは、まだ ||}}}}}}}}} || || '''{{{#fff 3rd}}}''' || '''[[夜光通信|{{{+1 {{{#F0210F 夜光通信}}}}}}]]''' || 2022. 12. 07.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ZWjYWcQ4Xo)]}}} || ||<-4>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聴こえますか 키코에마스카 들리나요 ハロー ハロー 하로오 하로오 헬로 헬로 聴こえますか 키코에마스카 들리나요 そっちは何年? 솟치와 난넨 그쪽은 몇 년? 正しく分かり合う手段は 타다시쿠 와카리아우 슈단와 올바르게 서로 이해할 수단은 一つじゃないさ 히토츠자 나이사 하나가 아니야 漂う時間は何処へ行くのか 타다요우 지칸와 도코에 이쿠노카 떠도는 시간은 어디로 가는 건지 さよならは いつ誰が決めるの 사요나라와 이츠 다레가 키메루노 작별은 언제 누가 정하는 거야 その手に触れようと願ってる 소노 테니 후레요오토 네갓테루 그 손에 닿기를 바라고 있어 本当さ 혼토오사 정말이야 永遠の夜光 君に歌う 토와노 야코오 키미니 우타우 영원한 야광 너에게 노래해 世界中が 君にいじわるでも 세카이주우가 키미니 이지와루데모 온 세상이 너를 괴롭혀도 思い出して 覚えていて 오모이다시테 오보에테이테 떠올려 줘 기억해 줘 瞼の裏 ずっと また 마부타노 우라 즛토 마타 눈을 감으면 계속 다시 会えるからね 아에루카라네 만날 수 있으니까 穏やかに 健やかに 오다야카니 스코야카니 조용하게 평온하게 枯れるブーケ 카레루 부우케 시드는 부케 君だって 私だって 키미닷테 와타시닷테 너도 나도 消えるのは 言葉だけ 키에루노와 코토바다케 사라지는 건 말뿐 ふんわり 君を 훈와리 키미오 살며시 너를 抱きしめてあげるからね 다키시메테 아게루카라네 안아 줄 테니까 泣かないで 나카나이데 울지 마 延々と続く今日は 雪原のようで 엔엔토 츠즈쿠 쿄오와 세츠겐노요오데 끝없이 계속되는 오늘은 설원 같아서 当然の幸せまでも 眩ませるんだ 토오젠노 시아와세마데모 쿠라마세룬다 당연한 행복마저도 눈이 부셔 忘れないで 와스레나이데 잊지 마 何処へだって繋がる 回線 도코에닷테 츠나가루 카이센 어디로든 이어지는 회선 寂しい宇宙と オレンジの公園 사비시이 우추우토 오렌지노 코오엔 외로운 우주와 오렌지빛 공원 慕わしい心の限りを 시타와시이 코코로노 카기리오 그리운 마음을 다해 歌おう 우타오오 노래하자 永遠の夜光 届くよね 토와노 야코오 토도쿠요네 영원한 야광 닿고 있지 幻想よりも 優しいかたちのまま 겐소오요리모 야사시이 카타치노 마마 환상보다도 상냥한 모습 그대로 濡れそぼる その頬を 누레소보루 소노 호오오 흠뻑 젖은 그 뺨을 こっそり撫でて 콧소리 나데테 살짝 어루만져 乾かしてあげるからね 카와카시테 아게루카라네 말려 줄 테니까 何度だって 난도닷테 몇 번이라도 何度だって 난도닷테 몇 번이라도 永遠の夜光 虚空に歌う 토와노 야코오 코쿠우니 우타우 영원한 야광 허공에 노래해 会いたいよ 아이타이요 만나고 싶어 消えたくなんてないよ 키에타쿠 난테나이요 사라지고 싶지 않아 思い出して 覚えていて 오모이다시테 오보에테이테 떠올려 줘 기억해 줘 今、ここで 笑い合ったことを 이마 코코데 와라이앗타 코토오 지금, 여기서 함께 웃었던 것을 永遠の夜光 君に歌う 토와노 야코오 키미니 우타우 영원한 야광 너에게 노래해 世界中が 君にいじわるでも 세카이주우가 키미니 이지와루데모 온 세상이 너를 괴롭혀도 思い出して 覚えていて 오모이다시테 오보에테이테 떠올려 줘 기억해 줘 瞼の裏 ずっと また 마부타노 우라 즛토 마타 눈을 감으면 계속 다시 会えるからね 아에루카라네 만날 수 있으니까 さよならは さよならは 사요나라와 사요나라와 작별은 작별은 ねえ 誰が 決めるもの 네에 다레가 키메루 모노 저기 누가 정하는 걸까 消えるのは 言葉だけ 키에루노와 코토바다케 사라지는 건 말뿐 ふんわり 君を 훈와리 키미오 살며시 너를 抱きしめてあげるからね 다키시메테 아게루카라네 안아 줄 테니까 泣かないで 나카나이데 울지 마 ||}}}}}}}}} || || '''{{{#fff 4th}}}''' || '''[[夜明けのメロウ |{{{+1 {{{#F0210F 夜明けのメロウ}}}}}}]]''' || 2023. 8. 21.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hYbtcZlRmQ)]}}} || === 합작 === || '''{{{#fff 순번}}}''' || '''{{{#fff 곡명}}}''' || '''{{{#fff 업로드 날짜}}}''' || '''{{{#fff 영상}}}''' || ||<|2> '''{{{#fff 1st}}}''' || '''[[百花繚乱花吹雪|{{{+1 {{{#0099ff 百花繚乱花吹雪}}}}}}]]''' || [[2020년|2020.]] [[12월 31일|12. 31.]] || [youtube(3UujTImfKIY)] || ||<-3> {{{#!folding [ 가사 | 펼치기 · 접기 ] || [[파일:Hyakka_Ryoran_Hanafubuki_Logo.png|width=10%]] {{{-1 ※ {{{#F270B8,#F1B6C8 전체 파트}}}, [[나키리 아야메|{{{#BB0000,#FF4200 나키리 아야메}}}]] {{{#BB0000,#FF4200 파트}}}, [[시라카미 후부키|{{{#5EB2CC,#9BD0EE 시라카미 후부키}}}]] {{{#5EB2CC,#9BD0EE 파트}}}, [[오오카미 미오|{{{#00012E,#E55E55 오오카미 미오}}}]] {{{#00012E,#E55E55 파트}}}}}} {{{#F270B8,#F1B6C8 [ruby(色,ruby=いろ)]づく[ruby(想,ruby=おも)]ひは[ruby(刹那,ruby=せつな)] [ruby(百花繚乱,ruby=ひゃっかりょうらん)][ruby(花吹雪,ruby=はなふぶき)] 이로즈쿠 오모이와 세츠나 햑카료-랑하나후부키 물드는 마음은 찰나 백화요란 꽃보라}}} {{{#BB0000,#FF4200 パッと[ruby(咲,ruby=さ)]いて[ruby(散,ruby=ち)]った [ruby(花,ruby=はな)]は[ruby(終,ruby=お)]わり[ruby(実,ruby=み)]をつけてく 팟토 사이테 칫타 하나와 오와리미오 츠케테쿠 팟하고 피고 진 꽃은 마지막 과실을 맺기 시작해 その[ruby(時,ruby=とき)]を[ruby(待,ruby=ま)]てど[ruby(暮,ruby=く)]らせど [ruby(事,ruby=こと)]は[ruby(進,ruby=すす)]まず 소노 토키오 마테도 쿠라세도 코토와 스스마즈 그 순간을 기다리고 기다려도 일은 진행되지 않고}}} {{{#5EB2CC,#9BD0EE そっと[ruby(触,ruby=ふ)]れて[ruby(知,ruby=し)]った [ruby(胸,ruby=むね)]の[ruby(内,ruby=うち)]の[ruby(温,ruby=あたた)]かさを 솟토 후레테 싯타 무네노 우치노 아타타카사오 살짝 건드려 알게 된 가슴 속의 따뜻함을 [ruby(初,ruby=はじ)]めてのこの[ruby(気持,ruby=きも)]ちだけ [ruby(抱,ruby=だ)]きしめていたい 하지메테노 코노 키모치다케 다키시메테이타이 처음 느낀 이 감정만큼 끌어안고 싶어}}} {{{#00012E,#E55E55 [ruby(暁,ruby=あかつき)] [ruby(交,ruby=か)]わした[ruby(約束,ruby=やくそく)]は 아카츠키 카와시타 야쿠소쿠와 언젠가 주고받은 약속은 “[ruby(本物,ruby=ほんもの)]”だってきっと "혼모노"닷테 킷토 "진짜"라고 분명히}}} {{{#F270B8,#F1B6C8 [ruby(信,ruby=しん)]じてる 신지테루 믿고 있어}}} {{{#F270B8,#F1B6C8 いろはにほへとの [ruby(花,ruby=はな)]に[ruby(魅,ruby=み)]せられた[ruby(少女,ruby=しょうじょ)]たち 이로하니호헤토노[[이로하 노래|*]] 하나니 미세라레타 쇼-죠타치 색색이 향기로운 꽃에[[이로하 노래|*]] 매료당한 소녀들}}} {{{#BB0000,#FF4200 あぁ はらりはらりはらり[ruby(落,ruby=お)]ちる[ruby(花弁,ruby=はな)](はな)と[ruby(舞,ruby=ま)]い[ruby(踊,ruby=おど)]れ 아아 하라리 하라리 하라리 오치루 하나토 마이오도레 아아 팔랑 팔랑 팔랑 떨어지는 꽃과 춤추어}}} {{{#F270B8,#F1B6C8 わかよたれそでも [ruby(想,ruby=おも)]い[ruby(言,ruby=こと)]の[ruby(葉,ruby=は)]に[ruby(込,ruby=こ)]めてみた 와카요타레소데모[[이로하 노래|*]] 오모이 코토노 하니 코메테 미타 우리 사는 세상 그 누구든[[이로하 노래|*]] 떠올려 말에 담아 봤어 [ruby(誰,ruby=だれ)]も[ruby(皆,ruby=みな)][ruby(焦,ruby=こ)]がれる [ruby(現世,ruby=現世)]の[ruby(理,ruby=ことわり)]よ 다레모 미나 코가레루 겐세노 코토와리요 그 누구든 동경하는 현세의 이치여 [ruby(色,ruby=いろ)]づく[ruby(想,ruby=おも)]ひは[ruby(刹那,ruby=せつな)] [ruby(百花繚乱,ruby=ひゃっかりょうらん)][ruby(花吹雪,ruby=はなふぶき)] 이로즈쿠 오모이와 세츠나 햑카료-랑하나후부키 물드는 마음은 찰나 백화요란 꽃보라}}} {{{#5EB2CC,#9BD0EE フッと[ruby(吹,ruby=ふ)]き[ruby(消,ruby=け)]した [ruby(夜,ruby=よる)]を[ruby(灯,ruby=とも)]す[ruby(月明,ruby=つきあ)]かりに 훗토 후키케시타 요루오 토모스 츠키아카리니 문득 꺼뜨린 밤을 밝히는 달빛에 [ruby(曖昧,ruby=あいまい)]な[ruby(心,ruby=こころ)]が[ruby(揺,ruby=ゆ)]れて [ruby(声,ruby=こえ)]は[ruby(響,ruby=ひび)]かず 아이마이나 코코로가 유레테 코에와 히비카즈 애매모호한 마음이 흔들려 소리는 들리지 않고}}} {{{#00012E,#E55E55 もっと[ruby(触,ruby=ふ)]れたくて [ruby(夢,ruby=ゆめ)]をなぞる[ruby(指先,ruby=ゆびさき)]さえ 못토 후레타쿠테 유메오 나조루 유비사키사에 더욱 건드리고 싶어서 꿈을 덧그리는 손끝마저 いつの[ruby(日,ruby=ひ)]か[ruby(馳,ruby=は)]せた[ruby(思い出,ruby=かたち)](カタチ)を [ruby(忘,ruby=わす)]れかけてた 이츠노 히카 하세타 카타치오 와스레카케테타 어느 날인가 떠올린 [ruby(추억,ruby=모습)]을 잊을 뻔 했었어}}} {{{#BB0000,#FF4200 [ruby(浮世,ruby=うきよ)]の[ruby(波,ruby=なみ)]に[ruby(揺蕩,ruby=たゆた)]う[ruby(時,ruby=とき)] 우키요노 나미니 타유타우 토키 속세의 파도에 흔들릴 때 うたかたの[ruby(夢,ruby=ゆめ)]は 우타카타노 유메와 물거품같은 꿈은}}} {{{#F270B8,#F1B6C8 [ruby(弾,ruby=はじ)]けて(い)く 하지케테(이)쿠 사라져가}}} {{{#F270B8,#F1B6C8 うゐのおくやまに [ruby(荒,ruby=あ)]れる[ruby(想,ruby=おも)]い[ruby(達,ruby=たち)]は[ruby(純情,ruby=じゅんじょう)] 우이노 오쿠야마니[[이로하 노래|*]] 아레루 오모이타치와 쥰죠- 덧없는 인생의 깊은 산에[[이로하 노래|*]] 날뛰는 마음은 순정}}} {{{#5EB2CC,#9BD0EE そう のらりくらり[ruby(心,ruby=こころ)][ruby(揺,ruby=ゆ)]らめき [ruby(唄,ruby=うた)]うは[ruby(雪月花,ruby=せつげつか)] 소- 노라리 쿠라리 코코로 유라메키 우타우와 세츠게츠카 그래 빈둥빈둥 떨리는 마음 노래함은 설월화}}} {{{#F270B8,#F1B6C8 あさきゆめみしと [ruby(思,ruby=おも)]い[ruby(踏,ruby=ふ)]み[ruby(込,ruby=こ)]むこの[ruby(世界,ruby=せかい)]は 아사키 유메미시타[[이로하 노래|*]] 오모이 후미코무 코노 세카이와 헛된 꿈 꾼[[이로하 노래|*]] 마음 덮쳐오는 이 세상은 [ruby(誰,ruby=だれ)]も[ruby(皆,ruby=みな)][ruby(焦,ruby=こ)]がれる [ruby(現世,ruby=げんせ)]の[ruby(理,ruby=ことわり)]よ 다레모 미나 코가레루 겐세노 코토와리요 그 누구든 동경하는 현세의 이치여 [ruby(色,ruby=いろ)]づく[ruby(想,ruby=おも)]ひは[ruby(刹那,ruby=せつな)] [ruby(百花繚乱,ruby=ひゃっかりょうらん)][ruby(花吹雪,ruby=はなふぶき)] 이로즈쿠 오모이와 세츠나 햑카료-랑하나후부키 물드는 마음은 찰나 백화요란 꽃보라}}} {{{#BB0000,#FF4200 [ruby(一二三,ruby=ひふみ)] [ruby(数,ruby=かぞ)]えて 히후미 카조에테 하나 둘 셋 세어 ここにさぁおいで 코코니 사- 오이데 여기로 자아 오렴}}} {{{#5EB2CC,#9BD0EE [ruby(暁,ruby=あかつき)] [ruby(交,ruby=か)]わした[ruby(約束,ruby=やくそく)]は 아카츠키 카와시타 야쿠소쿠와 언젠가 주고받은 약속은 “[ruby(本物,ruby=ほんもの)]”だってきっと "혼모노"닷테 킷토 "진짜"라고}}} {{{#F270B8,#F1B6C8 [ruby(信,ruby=しん)]じてる 신지테루 믿고 있어}}} {{{#F270B8,#F1B6C8 いろはにほへとの [ruby(花,ruby=はな)]に[ruby(魅,ruby=み)]せられた[ruby(少女,ruby=しょうじょ)]たち 이로하니호헤토노 하나니[[이로하 노래|*]] 미세라레타 쇼-죠타치 색색이 향기로운 꽃에[[이로하 노래|*]] 매료당한 소녀들}}} {{{#00012E,#E55E55 あぁ はらりはらりはらり [ruby(落,ruby=お)]ちる[ruby(花弁,ruby=はな)]と[ruby(舞,ruby=ま)]い[ruby(踊,ruby=おど)]れ 아- 하라리 하라리 하라리 오치루 하나토 마이오도레 아아 팔랑 팔랑 팔랑 떨어지는 꽃과 춤추어}}} {{{#F270B8,#F1B6C8 わかよたれそでも [ruby(想,ruby=おも)]い[ruby(言,ruby=こと)]の[ruby(葉,ruby=は)]に[ruby(込,ruby=こ)]めてみた 와카요타레소데모[[이로하 노래|*]] 오모이 코토노 하니 코메테미타 우리 사는 세상 그 누구든[[이로하 노래|*]] 떠올려 말에 담아 봤어 [ruby(誰,ruby=だれ)]も[ruby(皆,ruby=みな)][ruby(焦,ruby=こ)]がれる [ruby(現世,ruby=げんせ)]の[ruby(理,ruby=ことわり)]よ 다레모 미나 코가레루 겐세노 코토와리요 그 누구든 동경하는 현세의 이치여 [ruby(色,ruby=いろ)]づく[ruby(想,ruby=おも)]ひは[ruby(刹那,ruby=せつな)] [ruby(百花繚乱,ruby=ひゃっかりょうらん)] 이로즈쿠 오모이와 세츠나 햑카료-랑 물드는 마음은 찰나 백화요란}}} {{{#5EB2CC,#9BD0EE [ruby(花吹雪,ruby=はなふぶき)] 하나후부키 꽃보라}}} {{{#BB0000,#FF4200 [ruby(風,ruby=かぜ)]に[ruby(舞,ruby=ま)]う 카제니 마우 바람에 춤추는}}} {{{#00012E,#E55E55 [ruby(乙女,ruby=おとめ)]の[ruby(純情,ruby=じゅんじょう)] 오토메노 쥰죠- 소녀의 순정}}} {{{#F270B8,#F1B6C8 [ruby(咲,ruby=さ)]き[ruby(誇,ruby=ほこ)]れ 사키호코레 화려하게 피어라}}} [br] || }}} || ||<|2> '''{{{#fff 2nd}}}''' || '''[[至上主義アドトラック|{{{+1 {{{#0099ff 至上主義アドトラック}}}}}}]]''' || [[2021년|2021.]] [[1월 6일|01. 06.]] || [youtube(32b9lqy7vJ0)] || ||<-3> {{{#!folding [ 가사 | 펼치기 · 접기 ] || [[파일:Shijoshugi_Adtruck_Logo_Shadow.png|width=30%]] [ruby(目合,ruby=めあ)]わせ[ruby(始,ruby=はじ)]まる[ruby(品定,ruby=しなさだ)]め 메아와세 하지마루 시나사다메 열리기 시작하는 품평회 [ruby(不足,ruby=ふそく)]したままの[ruby(意思疎通,ruby=いしそつう)] 후소쿠시타 마마노 이시소츠- 여전히 부족한 의사소통 [ruby(無意味,ruby=むいみ)]な[ruby(賞賛,ruby=しょうさん)] [ruby(満足気,ruby=まんぞくげ)] 무이미나 쇼-산 만조쿠게 무의미한 칭찬 만족한 모습 [ruby(疲弊,ruby=ひへい)]の[ruby(見本市,ruby=みほんいち)] 히헤이노 미홍이치 피폐한 견본시장 [ruby(虚,ruby=うつ)]ろに[ruby(飾,ruby=かざ)]る[ruby(紙面上,ruby=しめんじょう)] 우츠로니 카자루 시멘죠- 의미없이 꾸미는 지면 [ruby(凸凹,ruby=でこぼこ)]に[ruby(振翳,ruby=ふりかざ)]した[ruby(詭弁,ruby=きべん)] 데코보코니 후리카자시타 키벤 엉망진창 주장한 궤변 [ruby(拉,ruby=ひし)]げた[ruby(顔,ruby=かお)]を[ruby(啄,ruby=つつ)]かれて 히시게타 카오오 츠츠카레테 찌부러진 얼굴이 짓눌려 [ruby(貼付,ruby=はりつけ)]られた[ruby(顔,ruby=かお)]が[ruby(罅割,ruby=ひびわ)]れていく 하리츠케라레타 카오가 히비와레테이쿠 붙여진 얼굴에 금이 가기 시작해 [ruby(完膚無,ruby=かんぷな)]きまでに[ruby(潰,ruby=つぶ)]れた[ruby(個,ruby=こ)]の[ruby(盤,ruby=ばん)] [ruby(覆,ruby=かえ)]す[ruby(手,ruby=て)]は? 캄푸나키 마데니 츠부레타 코노반 카에스 테와 철저하게 찌그러진 각 판을 되돌릴 방법은 [ruby(刻,ruby=きざ)]まれた[ruby(皺,ruby=しわ)] [ruby(擦減,ruby=すりへ)]る[ruby(靴底,ruby=くつぞこ)] 키자마레타 시와 스리헤루 쿠츠조코 새겨진 주름 닳아버린 밑창 [ruby(嗚呼,ruby=ああ)] [ruby(正解,ruby=こたえ)]を 아아 코타에오 아아 정답을 [ruby(至上主義,ruby=しじょうしゅぎ)]アドトラックで[ruby(四六時中,ruby=しろくじちゅう)]を[ruby(駆回,ruby=かけまわ)]る 시죠-슈기 아도토락쿠데 시로쿠지츄-오 카케마와루 지상주의 애드트럭으로 온종일을 돌아다녀 [ruby(所詮,ruby=しょせん)] [ruby(使,ruby=つか)]い[ruby(捨,ruby=す)]ての[ruby(消耗品,ruby=しょうもうひん)]だと? 쇼센 츠카이스테노 쇼-모-힌다토? 그래봤자 쓰고 버리는 소모품이라고? おっと [ruby(好,ruby=い)]い[ruby(気,ruby=き)]になるなよ 옷토 이이키니 나루나요 이런、 거들먹거리지 마 パッと[ruby(打上,ruby=うちあ)]げてやれ [ruby(夜,ruby=よる)]を[ruby(呑込,ruby=のみこ)]む[ruby(星,ruby=ほし)]の[ruby(花,ruby=はな)] 팟토 우치아게테야레 요루오 노미코무 호시노 하나 팍하고 쏘아올려버려 밤을 집어삼킬 별의 꽃을 また[ruby(隅,ruby=すみ)]に[ruby(積重,ruby=つみかさ)]ねられていく[ruby(祈,ruby=いの)]り [ruby(丸,ruby=まる)]め[ruby(投放,ruby=なげはな)]つ 마타 스미니 츠미카사네라레테이쿠 이노리 마루메 나게하나츠 또다시 구석에 쌓여가는 기도를 구겨 던지네 [ruby(最後尾,ruby=さいこうび)]の[ruby(補欠競走,ruby=ほけつきょうそう)] 사이코-비노 호케츠쿄-소- 최후미의 보궐경쟁 [ruby(鋭利,ruby=えいり)]な[ruby(追撃,ruby=ついげき)] [ruby(板挟,ruby=いたばさ)]み 에이리나 츠이게키 이타바사미 예리한 추격 딜레마 [ruby(息詰,ruby=いきづ)]まる[ruby(下,ruby=さが)]り[ruby(天井,ruby=てんじょう)] 이키즈마루 사가리텐죠- 숨막히는 낮은 천장 [ruby(窮地,ruby=きゅうち)]の[ruby(袋小路,ruby=ふくろこうじ)] 큐-치노 후쿠로코-지 궁지의 막다른 길 [ruby(雨,ruby=あめ)]ニモ[ruby(負,ruby=ま)]ケズ [ruby(風,ruby=かぜ)]ニ[ruby(モ負,ruby=ま)]ケズ 아메니모 마케즈 카제니모 마케즈 비에도 지지 않고 바람에도 지지 않고 [ruby(錆付,ruby=さびつ)]いて[ruby(腐食,ruby=ふしょく)]する[ruby(常識,ruby=じょうしき)] 사비츠이테 후쇼쿠스루 죠-시키 녹슬어 부식하는 상식 [ruby(軋,ruby=きし)]みを[ruby(増,ruby=ま)]した[ruby(歯車,ruby=はぐるま)]は 키시미오 마시타 하구루마와 삐걱거림이 늘어난 톱니바퀴는 [ruby(規格外,ruby=きかくがい)]の[ruby(線,ruby=せん)]へと[ruby(見切,ruby=みき)]られていく 키카쿠가이노 셍에토 미키라레테이쿠 규격외의 선에 내던져져 [ruby(変,ruby=かわ)]り[ruby(映,ruby=ば)]え[ruby(無,ruby=な)]い[ruby(陳腐,ruby=ちんぷ)]な[ruby(烙印,ruby=らくいん)] [ruby(晴,ruby=は)]らす[ruby(手,ruby=て)]は? 카와리바에나이 침푸나 라쿠잉 하라스 테와? 바꾼 보람도 없는 진부한 낙인을 풀 방법은? [ruby(弾,ruby=はじ)]かれた[ruby(枠,ruby=わく)] [ruby(擦抜,ruby=すりぬけ)]ける[ruby(篩,ruby=ふるい)] 하지카레타 와쿠 스리누케루 후루이 튕겨나간 테 빠져나가는 체 [ruby(嗚呼,ruby=ああ)] [ruby(正解,ruby=こたえ)]は 아아 코타에와 아아 정답은 [ruby(至上主義,ruby=しじょうしゅぎ)]アドトラックで[ruby(唯一無二,ruby=ゆいいつむに)]を[ruby(吊下,ruby=つりさげ)]る 시죠-슈기 아도토락쿠데 유이이츠무니오 츠리사게루 지상주의 애드트럭으로 유일무이를 매달아 [ruby(所詮,ruby=しょせん)] [ruby(役立,ruby=やくた)]たずの[ruby(代用品,ruby=だいようひん)]だと? 쇼센 야쿠타타즈노 다이요-힌다토? 그래봤자 도움도 안 되는 대용품이라고? おい [ruby(今,ruby=いま)]に[ruby(見,ruby=み)]とけよ 오이 이마니 미토케요 어이 지금 똑똑히 봐둬 パッと[ruby(仕掛,ruby=しか)]けてやれば [ruby(夜,ruby=よる)]に[ruby(雪崩,ruby=なだれ)]る[ruby(星,ruby=ほし)]の[ruby(花,ruby=はな)] 팟토 시카케테 야레바 요루니 나다레루 호시노 하나 팍하고 건들면 밤중에 밀어닥치는 별의 꽃 また[ruby(一,ruby=ひと)]つ[ruby(指,ruby=ゆび)]で[ruby(押開,ruby=おしあ)]けていく[ruby(祈,ruby=いの)]り [ruby(横,ruby=よこ)]へ[ruby(滑,ruby=すべ)]らせる 마타 히토츠 유비데 오시아케테이쿠 이노리 요코에 스베라세루 또 하나 손가락으로 밀어 여는 기도를 옆으로 미끄러뜨리네 [ruby(閉塞,ruby=へいそく)]した[ruby(侭,ruby=まま)]の[ruby(環状線,ruby=かんじょうせん)] [ruby(逃,ruby=のが)]れる[ruby(手,ruby=て)]は? 헤-소쿠시타 마마노 칸죠-센 노가레루 테와? 막혀버린 순환선 빠져나갈 방법은? [ruby(均,ruby=なら)]された[ruby(理想,ruby=りそう)] [ruby(押退,ruby=おしの)]く[ruby(現実,ruby=げんじつ)] 나라사레타 리소- 오시노쿠 겐지츠 평준화된 이상 밀쳐내는 현실 [ruby(嗚呼,ruby=ああ)] [ruby(正解,ruby=こたえ)]を 아아 코타에오 아아 정답을 [ruby(至上主義,ruby=しじょうしゅぎ)]アドトラックで[ruby(四六時中,ruby=しろくじちゅう)]を[ruby(駆回,ruby=かけまわ)]る 시죠-슈기 아도토락쿠데 시로쿠지츄-오 카케마와루 지상주의 애드트럭으로 온종일을 돌아다녀 [ruby(所詮,ruby=しょせん)] [ruby(使,ruby=つか)]い[ruby(捨,ruby=す)]ての[ruby(消耗品,ruby=しょうもうひん)]だと? 쇼센 츠카이스테노 쇼-모-힌다토? 그래봤자 쓰고 버리는 소모품이라고? おっと [ruby(好,ruby=い)]い[ruby(気,ruby=き)]になるなよ 옷토 이이키니 나루나요 이런 거들먹거리지 마 パッと[ruby(打上,ruby=うちあ)]げてやれ [ruby(夜,ruby=よる)]を[ruby(呑込,ruby=のみこ)]む[ruby(星,ruby=ほし)]の[ruby(花,ruby=はな)] 팟토 우치아게테야레 요루오 노미코무 호시노 하나 팍하고 쏘아올려버려 밤을 집어삼킬 별의 꽃을 [ruby(所詮,ruby=しょせん)] [ruby(役立,ruby=やくた)]たずの[ruby(代用品,ruby=だいようひん)]だと? 쇼셍 야쿠타타즈노 다이요-힌다토? 그래봤자 도움도 도움도 안 되는 대용품이라고? おい [ruby(今,ruby=いま)]に[ruby(見,ruby=み)]とけよ 오이 이마니 미토케요 어이 지금 똑똑히 봐둬 パッと[ruby(仕掛,ruby=しか)]けてやれば [ruby(夜,ruby=よる)]に[ruby(揺蕩,ruby=たゆた)]う[ruby(星,ruby=ほし)]の[ruby(花,ruby=はな)] 팟토 시카케테야레바 요루니 타유타우 호시노 하나 팍하고 건들면 밤중에 밀어닥치는 별의 꽃 また[ruby(空,ruby=そら)]に[ruby(散嵌,ruby=ちりば)]められていく[ruby(祈,ruby=いの)]り [ruby(求,ruby=もと)]め[ruby(舞上,ruby=まいあ)]がる 마타 소라니 치리바메라레테이쿠 이노리 모토메 마이아가루 또다시 하늘에 새겨져가는 기도를 찾아 날아오르네 ララララ... 라라라라... 라라라라... [br] || }}} || ||<|3> '''{{{#fff 3rd}}}''' || '''[[おにけもだんす|{{{+1 {{{#0099ff おにけもだんす}}}}}}]]''' || [[2022년|2022.]] [[1월 1일|01. 01.]] || [youtube(_UZM-07USQY)] || ||<-3> {{{#!folding [ 가사 | 펼치기 · 접기 ] || [[파일:Onikemo_Dance_Logo.png|width=30%]] {{{-1 ※ {{{#51100D,#F8CD77 전체 파트}}}, [[나키리 아야메|{{{#BB0000,#FF4200 나키리 아야메}}}]] {{{#BB0000,#FF4200 파트}}}, [[시라카미 후부키|{{{#5EB2CC,#9BD0EE 시라카미 후부키}}}]] {{{#5EB2CC,#9BD0EE 파트}}}, [[오오카미 미오|{{{#00012E,#E55E55 오오카미 미오}}}]] {{{#00012E,#E55E55 파트}}}}}} {{{-1 ※ {{{#51100D,#F8CD77 두 명 파트인 경우에도 전체 파트로 표시함.}}}}}} {{{#51100D,#F8CD77 歌え騒げ 宴は続く 舞え おにけもだんす}}} {{{#BB0000,#FF4200 余っ余っ余っ余っ}}} {{{#5EB2CC,#9BD0EE コンッコンッコンッコンッ}}} {{{#00012E,#E55E55 みぉんっみぉんっみぉんっみぉんっ}}} {{{#51100D,#F8CD77 鬼 狐 犬 神社ー!}}} {{{#5EB2CC,#9BD0EE 一二三で七変化}}} {{{#BB0000,#FF4200 今宵も集え 電気通信網(インターネット)}}} {{{#00012E,#E55E55 推し事に幸あれ}}} {{{#5EB2CC,#9BD0EE 此処はまるで桃源郷}}} {{{#00012E,#E55E55 いっせーので よいっよいっよいっ}}} {{{#BB0000,#FF4200 浮世に隠れツノ光る}}} {{{#5EB2CC,#9BD0EE どっちでも よいっよいっよいっ}}} {{{#00012E,#E55E55 我が道を行け}}} {{{#BB0000,#FF4200 ゆらゆらり 恋焦がれ}}} {{{#5EB2CC,#9BD0EE 刹那に燃ゆる この想いは}}} {{{#00012E,#E55E55 まだ分からないけど}}} {{{#51100D,#F8CD77 実らせて}}} {{{#BB0000,#FF4200 咲き乱れよ}}} {{{#51100D,#F8CD77 御人も獣も通りゃんせ 狛犬狐も飛び回れ 命は短し 我武者羅に刻め 一富士二鷹で百は鬼 千客万来 おいでませ 天晴れお祭りじゃ 打ちまくれ 歌え騒げ 宴は続く 舞え おにけもだんす}}} {{{#BB0000,#FF4200 余っ余っ余っ余っ}}} {{{#5EB2CC,#9BD0EE コンッコンッコンッコンッ}}} {{{#00012E,#E55E55 みぉんっみぉんっみぉんっみぉんっ さぁさぁ お手を拝借!}}} {{{#BB0000,#FF4200 鬼火飛ばして 悪戯したい 人間様と駄洒落遊び(あら余っと!)}}} {{{#5EB2CC,#9BD0EE 親に薬と中指付けて 好こるは激辛稲荷寿司(コンッ!)}}} {{{#00012E,#E55E55 犬も歩けば占い当たる 出でよ召喚ハトタウルス(うわぁっ!ビックリしたぁ!)}}} {{{#BB0000,#FF4200 超課金伝書鳩(スーパーチャット)もう よいっよいっ}}} {{{#00012E,#E55E55 小判を投げて圧かける}}} {{{#5EB2CC,#9BD0EE めんこい阿呆 てぇてぇな}}} {{{#00012E,#E55E55 甘き夢見し}}} {{{#BB0000,#FF4200 ふわふわり 優しい風}}} {{{#5EB2CC,#9BD0EE 華麗に花が散れるように}}} {{{#00012E,#E55E55 少し切ないけど}}} {{{#51100D,#F8CD77 見届けて}}} {{{#00012E,#E55E55 咲き誇るわ}}} {{{#51100D,#F8CD77 物怪(もののけ)偶像(アイドル)神仏 仮想(バーチャル)現世(リアル)も垣根無し 尻尾を振り回し 天下掴もうぜ 心象風景 生放送 柵は無くとも奇策は有り 魂を込めて 撃ちまくれ 歌え騒げ 宴は続く 舞え おにけもだんす}}} {{{#BB0000,#FF4200 言いたいことがあるんだ余}}} {{{#00012E,#E55E55 やっぱりケモミミ可愛いよ}}} {{{#5EB2CC,#9BD0EE 好こ好こ大好こやっぱ好こ}}} {{{#BB0000,#FF4200 やっと見つけたお嬢様}}} {{{#00012E,#E55E55 過去と未来を繋いでく}}} {{{#5EB2CC,#9BD0EE 夢を追いかけどこまでも}}} {{{#51100D,#F8CD77 世界で一番、愛してる ア・イ・シ・テ・ル!!!}}} {{{#BB0000,#FF4200 しゃなしゃなり 凸いでく}}} {{{#5EB2CC,#9BD0EE 狐の嫁入りの後には}}} {{{#00012E,#E55E55 虹が出ているから}}} {{{#51100D,#F8CD77 紡がせて}}} {{{#5EB2CC,#9BD0EE 咲き続けましょう}}} {{{#51100D,#F8CD77 踊りましょう}}} {{{#51100D,#F8CD77 御人も獣も通りゃんせ 狛犬狐も飛び回れ 命は短し 我武者羅に刻め 一富士二鷹で百は鬼 千客万来 おいでませ 天晴れお祭りじゃ 打ちまくれ 歌え騒げ 宴は続く 舞え おにけもだんす}}} {{{#BB0000,#FF4200 余っ余っ余っ余っ}}} {{{#5EB2CC,#9BD0EE コンッコンッコンッコンッ}}} {{{#00012E,#E55E55 みぉんっみぉんっみぉんっみぉんっ}}} {{{#51100D,#F8CD77 鬼 狐 犬 神社ー!}}} [br] || }}} || == 여담 == * 가장 최근에 등장한 [[홀로그라]] 에피소드는 [[https://www.youtube.com/watch?v=sOMYemqZSEI|23년 10월 29일 에피소드]]. * 산골 출신이라고 말할 정도로 한적한 시골이 고향이며, 이름을 직접 말하진 않았지만 "[[아카기]]산(赤城の山)에서 살고 있다"는 식으로 간접적으로 [[군마현]] 출신임을 밝혔다.[[https://youtu.be/xgim7SdH-lA|#]] 결국 군마현 홍보 비디오에 도지사와 함께 출연까지 하게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iDAJ0Xh9Hk|#]] * 홀로라이브 멤버들에게 노 팬티 건강법을 권유한 적이 있다. 이 건강법은 잠자는 동안 속옷을 입지 않는 것으로 전제로 하여 하체 전체의 혈류 개선과 같은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고. 자신은 할머니의 영향으로 이 방식을 따른다고 한다. * 마스코트 캐릭터로 후부키가 그린 [[https://images.app.goo.gl/2C4j59B7wcX17T2s6|하토타우르스]]라는 캐릭터를 쓰고 있다. 유래는 2019년 2월 2일 [[https://youtu.be/cXP8OxMN_SQ|홀로라이브 유치원 방송]]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YJps4tmaKQ0|유치원 방송의 그림을 미오의 디자인을 한 사람이 고퀼리티로 그려냈고, 그걸 홀로라이브 본사에서 주워서 라이브 3D로 만들어서 미오에게 전달했다고 하는]] 장대한 합작의 캐릭터라고. 기본적으로 미오의 바로 옆이나 화면 한구석에 위치한다. 게임에 미오가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하면 하토타우로스도 빠짐없이 등장하며 위에서 말한 미오의 [[모하메드 압둘|점술가]] 속성과 하토타우로스의 [[매지션즈 레드|외형]] 때문에 완벽히 [[스탠드(죠죠의 기묘한 모험)|스탠드]] 취급이다. 또한 외형이 뿔만 떼면 [[Enter the Gungeon/총굴 및 보스#s-2.1.1|갈매기관총]]과 굉장히 닮았다. 이후 미오파의 캐릭터들이 공개된 후 미오파들이 하토타우르스의 자리를 차지하거나 게임 플레이 방송에서 화면 비중 문제로 인해서 나오지 않는 등 방송에서 모습을 비추는 일이 적어졌다. 그래도 아주 버려지지 않았는지 아사미오 방송에서 여전히 화면 한구석을 차지하고 있고 방송 시작 전 대기화면에서 운명의 수레바퀴 타로카드로 등장하는 등 마스코트로서의 인지도는 그나마 유지되고 있다. * '타이가'라는 이름의 수컷 [[래그돌]] 고양이 한 마리를 기르고 있다. 방송 대기화면에 화난 모습으로 항상 나오고 있는 고양이, 미오네 집에 다른 멤버들이 놀러오는 일도 많다 보니 자주 사랑받는 듯 하지만 성격이 은근 까칠하다고. 털을 빗겨준다거나 하면 항상 미오와 싸워서 승리한다. [[https://youtu.be/Rqq_V6vNiBg|#]] 털을 빗겨주려고 할 때마다 이번에는 누가 위고 누가 아래인지 알려주겠다고 하는데 늘 자기가 아래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는 소리를 하기도 했다. 거기다 펫샵에서 여직원들이 빗겨줄 때는 얌전히 있어 착한 아이라는 소리를 많이 듣는데 왜 자기한테는 그렇게 까칠하게 구냐며 불평을 하기도 했다. 2021년 6월 들어서 타와짱이란 이름의 새끼고양이를 하나 더 키우게 되었다. 타이가와는 먹이를 뺏고 뺏기는 라이벌(?)관계라고. 합방 초기에는 타이가가 타와를 위협하는 바람에 별 수 없이 타와를 자신의 방송용 방에 따로 격리했는데, 방송 중 타와가 새끼 고양이답게 [[https://www.youtube.com/watch?v=p6JRcV8IcDU|방 여기저기를 헤집고 다녀서]] 미오를 곤란하게 만들기도 했다. 이후로는 타이가도 타와를 받아들여서 더 이상 격리를 하고 있진 않지만, 여전히 방송중에 타와가 방에 들어오는 경우가 종종 보이고 있다. 그만큼 미오도 방송 중에 타와의 이야기를 하는 비중이 늘어난 편이다. 9월 중 타와가 중성화 수술을 하게 되었다. * 다양한 돌을 모으는 취미가 있다. 영적인 힘이나 효과를 기대하고 모으는 것은 아니고, 인간의 손을 거쳐 만들어진 것이 아닌데도 특별한 형태나 색깔을 띄는 돌에 매력을 느낀다고 한다. 다만 소위 [[수석(암석)|수석]] 같은 걸 모은다기보단 보석까지는 가지 못하는 [[형석]]이나 [[수정]] 같은 준[[보석]][* 일본어로 돌(石, いし)은 일반적인 암석과 보석을 통칭하는 말이다.] 수집이다. [[https://youtu.be/66UblB8Jy5c|#]] 자신이 산 것 중에서 제일 비싸게 주고 산 돌은 [[https://youtu.be/RoRkBZoCe8k|11만 엔짜리 형석]]이라고. 스바루의 방송에 전화 연결됐을 때 스스로를 '이시(石 : 돌)샤'라고 소개해 스바루가 크게 웃으며 "이시샤?!!"라고 반응했었다. * 목소리가 오카유와 상당히 닮았다. 평소 말할 때의 목소리를 들으면 전혀 닮지 않아 보이지만, 미오가 목소리를 낮추면 오카유, 오카유가 목소리를 높이면 미오와 거의 똑같아진다. [[https://youtu.be/qFHhG8iADKU|#]].[* 참고로 이후 미오의 대기화면은 저거에 'CV. 네코마타 오카유'라고만 적고 그대로 써먹었다.] * 아주 어렸을 때 잠깐 미국에서 살기도 했지만 영어가 능숙하지 않고,[[https://youtu.be/ALM4cH0HiEI|#]] 의도치 않게 이상한 표현을 말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것을 걱정해서 방송 중에 거의 영어를 쓰지 않는다. 특히 '전설의 31%'라고 불리는 사건이 트라우마로 남아있는데, "홀로라이브 멤버 중 69%가 불면증이라고 판명되었다."라는 문장을 영어로 번역할 때 "69% Hololive members very not sleeping together." 라고 적는 바람에 나머지 31%의 멤버가 '''잠자리를 함께'''[* sleep together는 보통 성관계를 의미하며, 그냥 친구 집에서 하룻밤 묵고 가는 것은 sleep over라고 표현한다.] 하는 사람들이라고 말해버린 사건이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ppRifHLek4|#]] * 마리오 카트를 할 때 카트의 움직임에 따라 고개가 유달리 크게 돌아간다. [[https://twitter.com/ShijimiJiru_ff/status/1439551830392852480|#]] * [[https://www.youtube.com/watch?v=viUn35oHPDo|2021년 4월 13일]]을 기점으로 인트로가 바뀌었다. '미미미미미미'로 대표되는 [[https://www.youtube.com/watch?v=Ea53k-AzaPc|기존의 인트로]]에서 미오가 직접 우쿨렐레를 치면서 짤막한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바뀌었다, 제목은 '대기의 노래(待機の歌)'. [[https://www.youtube.com/watch?v=5xyZuaWCBAU|들어보기]] 가사는 다음과 같다. >もうすぐ始まるよ~ >이제 곧 시작이야~ > >みぉーんの配信 待機待機待機~ >미옹-의 방송 대기 대기 대기~ > >そろそろ お待ちかね~ >곧 있으면 기다리고 기다리던~ > >今日もいっぱい笑ってこう >오늘도 잔뜩 웃어 보자 * 홀로그라에서는 주로 다른 멤버들에게 츳코미를 거는 역할로 출연한다. 간혹 망가지기도 하지만[* 유명한 예시로는 미오샤(車)라는 이름의 자동차(...)가 되는 것 정도...] 대부분은 [[나만 정상인]] 포지션을 맡는 편이다. * 아사미오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부친이 [[맥도날드]]를 매우 좋아하신다고 한다. * 노래하는 것을 좋아하기에, 콜라보를 제외한 대다수의 방송은 노래 방송일 때가 많다. 그와 동시에 노래 방송에서는 노래 하나가 끝날 때마다 채팅으로 박수 이모티콘을 보내는 것이 암묵적인 룰로 자리잡게 되었다. * 게임을 하게 될 경우 닉네임은 BEGM으로 짓는다. 뜻은 '''B'''ig '''E'''njoy '''G'''od '''M'''io라고 한다 * [[THE 지구방위군]] 시리즈를 아주 좋아하여 지속적으로 다른 홀로멤들과 [[지구방위군 5]] 합방영업을 하거나 시참을 하고 있다. 이때마다 입에 달고 있는 소리가 지구는 지켜야 하지만 건물은 지키지 않아도 됩니다. 영업용 진행도 낮은 계정으로 다른 멤버들의 수준 맞춤형 플레이를 해주기 때문에 게임 수준은 즐겜러 수준이다. D3 공식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광고를 계속 발주하고 있다. 이 인연인지 [[THE 지구방위군#s-1.10|지구방위군 6]]에서는 공식 콜라보로 미오가 출연하여 외계인들의 어그로를 끌어서 쥐어터지는 [[디코이]] 아이템이 나오게 된다. 콜라보 이유가 개발진 인터뷰에 따르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edf&no=361|해당 시리즈의 팬]]이여서라한다. * 팬이 만들어준 사이트가 존재한다. 100만 구독자 달성 기념 선물로 제작된 사이트로 미오 본인의 방송 역사 및 기록들이 간략하게 정리된 사이트로 링크는 [[https://milliooon.ryusa.app/|여기]] * 일본에서는 전파를 통해 송신되는 프로그램을 "방송(放送; ほうそう)", 인터넷 회선을 통해 송신되는 프로그램은 "배신(配信; はいしん)"이라고 구분해서 부르는데,[* 이에 관해 [[토코야미 토와]]가 한국 팬들을 위해 한국어로 공지를 하다 [[https://twitter.com/tokoyamitowa/status/1412601069637541888|배신은 7월 11일에 합니다]] 라고 한 헤프닝이 있었다.] 미오는 자신의 방송을 보통 방송으로 부른다. 단, 일본에서도 방송과 배신은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고 인터넷 방송을 방송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많다. * 홀로라이브 초창기에는 웬만한 초기 멤버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그만둘까..." 소리를 할 정도로 악전고투를 하고 있었는데, 이때 멤버들이 홀로라이브를 떠나지 않도록 다잡아줬던 인물이 다름아닌 미오였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CbYAHmFyUM|#]] 이때 미오는 홀로라이브는 나중에 반드시 잘 될 거고 엄청나게 커질 테니까 지금 절대로 떠나면 안 된다고 몇 번이고 힘주어 말했었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진짜로 그렇게 되었다.]]''' 스바루와 미코는 이때 마치 혼자 미래를 내다보기라도 한 듯한 미오의 격려에 감사를 표했다. * [[디시인사이드]] [[디시인사이드/미니 갤러리|미니 갤러리]]에 [[오오카미 미오 미니 갤러리]]라는 미오 전용 팬 커뮤니티가 존재한다. 주로 오오카미 미오 방송 관련 중계나 창작, 번역이 이루어지고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ololive 프로덕션/전속 멤버, version=2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