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면체)] [목차] == 개요 == 오목 準正多面體 / Non-convex[* 또는 Concave] quasiregular polyhedron 또는 Star quasiregular polyhedron [[기하학]]에 등장하는 3차원 [[도형]]의 일종. 점추이 다면체[* 임의의 꼭지점에 모이는 면의 구성이 모두 같음]이고, 변추이 다면체[* 임의의 모서리에 모이는 면의 구성이 모두 같음]이지만 면추이 다면체[* 임의의 한 면과 인접하는 면들의 구성이 모두 같음]가 아니며 볼록하지 않은 다면체로, 말 그대로 오목한 [[준정다면체]]를 의미한다. 5종류가 있으며, 이들 중 두 가지는 [[십이이십면체]]와 동일한 꼭짓점 구성을 가졌고,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정십이면체]]와 동일한 꼭짓점 구성을 가졌다. 이들 중 정십이면체와 동일한 꼭짓점 구성을 가진 다면체 3종은 모서리 구성까지 모두 같다. 오직 [[정삼각형]], [[정오각형]], [[오각성|정오각별]] 세 가지의 다각형만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케플러-푸앵소 다면체]] 역시 정삼각형([[큰 이십면체]]) 또는 정오각형([[큰 십이면체]]) 또는 정오각별([[작은 별모양 십이면체]]와 [[큰 별모양 십이면체]])로만 이루어져 있다.] == 종류[* ()안의 숫자들은 한 꼭지점에 모이는 정다각형의 구성이다.] == * [[https://en.wikipedia.org/wiki/Dodecadodecahedron|십이십이면체]](5.5/2.5.5/2):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또는 [[큰 십이면체]]를 절반 깎아(rectified) 만들어지는 준정다면체. [[정오각형]] 12개와 [[오각성|정오각별]] 12개로 구성됨. * [[https://en.wikipedia.org/wiki/Great_icosidodecahedron|큰 십이이십면체]](3.5/2.3.5/2): [[큰 별모양 십이면체]]또는 [[큰 이십면체]]를 절반 깎아 만들어지는 준정다면체. [[정삼각형]] 20개와 [[오각성|정오각별]] 12개로 구성됨. * [[https://en.wikipedia.org/wiki/Ditrigonal_dodecadodecahedron|이중삼각 십이십이면체]]: (5.5/3.5.5/3.5.5/3) : 한 꼭지점에 세 개의 [[정오각형]]과 세 개의 [[오각성|정오각별]]이 서로 교대, 교차하면서 모이는 준정다면체. 정오각형 12개와 정오각별 12개로 구성됨. * [[https://en.wikipedia.org/wiki/Small_ditrigonal_icosidodecahedron|작은 이중삼각 십이이십면체]]: (3.5/2.3.5/2.3.5/2) : 한 꼭지점에 세 개의 [[정삼각형]]과 세 개의 [[오각성|정오각별]]이 교대하면서 모이는 준정다면체. 정삼각형 20개와 정오각별 12개로 구성됨. * [[https://en.wikipedia.org/wiki/Great_ditrigonal_icosidodecahedron|큰 이중삼각 십이이십면체]]: ((3.5.3.5.3.5)/2)[* (p)/2 는 p와 같은 구성의 면들을 두 바퀴를 돌리며 모아 하나의 꼭지점을 완성한다는 뜻이다.] : 한 꼭지점에 세 개의 [[정삼각형]]과 세 개의 [[정오각형]]이 서로 교대, 교차하면서 모이는 준정다면체. 정삼각형 20개와 정오각형 12개로 구성됨. == 관련 문서 == * [[준정다면체]] *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 [[케플러-푸앵소 다면체]] [[분류:다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