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uby(青梅, ruby=おうめ)]駅[br]Ōme Station'''}}} ||<-3> {{{#!wiki style="margin: -0px -5px;" [[JR 동일본|[[파일:JRE_Wlogo.svg|height=50&align=left]]]]}}}[[JR 동일본|{{{#fff JR 동일본}}}]] [[대도시근교구간#s-4.1|[[파일:JR-kin.svg|width=20]]]][br] '''{{{#fff {{{+2 오메역}}}}}}'''|| || [[타치카와역|{{{#000000,#ffffff {{{-2 타치카와 방면}}}}}}]][br][[히가시오메역|히가시오메]][br]← 1.3 km ||<|2> [[오메선|[[파일:JRE-JC.svg|width=20]]{{{#ffffff {{{#!html
오메선
(도쿄 어드벤처 라인)
}}}}}}]]{{{#ffffff {{{#!html
(JC 62)
}}}}}}{{{#ffffff {{{#!html
[운행계통 분리]
}}}}}} ||<|2> [[오쿠타마역|{{{#000000,#ffffff {{{-2 오쿠타마 방면}}}}}}]][br][[미야노히라역|미야노히라]][br]2.1 km → || || [[타치카와역|{{{#ffffff {{{#!html
◀ 츄오 쾌속선 직통
}}}}}}]] || ||<-3>[include(틀:지도, 장소=青梅駅, 너비=100%, 높이=300px)]|| ||<-3> '''주소''' || ||<-3> [[도쿄]]도 [[오메시]] 혼초 192[br]東京都青梅市本町192 || ||<-3> '''역 운영기관''' || || [[오메선|{{{#ffffff 오메선}}}]] ||<-2>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3> 1894년 11월 19일 || ||<-3> '''노선거리표''' || || [[타치카와역|{{{#000000,#ffffff {{{-2 타치카와 방면}}}}}}]][br][[히가시오메역|히가시오메]][br]← 1.3 km || '''[[오메선]]'''[br]오 메 || [[오쿠타마역|{{{#000000,#ffffff {{{-2 오쿠타마 방면}}}}}}]][br][[미야노히라역|미야노히라]][br]2.1 km → || ||<-3> '''역 심볼마크''' || ||<-3> [[파일:TokyoAdventureLineSymbol_JC62.png|width=50%]][br]오메 대제(青梅大祭)[* 매년 5월 2~3일에 걸쳐 얼리는 [[오메시]] 최대의 축제. 오메선 오메 이서 구간에 심볼마크가 추가될 때는 마크가 없었다가 2022년 말 뒤늦게 추가되었다.]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Ome_Station_Station_Building_1.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도쿄도]] [[오메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오메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의 지상역으로 교상역사이며, 역사는 지상 3층, 지하 1층 구조로 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타마가와, 오메 철도공원 등의 볼거리가 있으며 오메 시민회관, 오메시 오메도서관 등이 있다. 다만 시청은 [[히가시오메역]] 쪽으로 가야 나온다. 역 이름이 下総(しもうさ)에 버금갈만하게 애매한 [[일본어 장음 판별법|장음 판별 문제]]를 안고 있는 것도 특징. おう/め인지 お/うめ인지 오랫동안 논란이 있었으나, 青(お)+梅(うめ)가 아니라, 青(おう)+梅(め)임이 판명되었다. 로마자 표기도 'Ōme'로 하고 있다. [[유리카모메]]의 [[아오미역]]과 헷갈려하는 사람이 많다. 梅와 海가 부수만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역 내에 이곳은 아오미역이 아니라는 안내판이 붙혀져 있다. [[JR 동일본]]에 따르면 아오미역 근방에서 행사가 있는 날 꼭 2~3명 정도는 이곳으로 온다고. 실제로 콘서트 '''출연자'''가 이걸 헷갈려서 '''펑크'''를 낸 사건이 있었다. 참고로 이 역에서 아오미역으로 가는 경우 차량으로도 90분 이상이 걸리며 전철을 이용하면 2시간이 넘게 걸린다. 즉 잘못오게 되면 일정 관계없이 그대로 펑크 확정이다. 오히려 외국인의 경우가 헷갈릴일이 훨씬 적다. 절대다수가 로마자로 읽는데 로마자로는 철자부터 다르기 때문이다. == 승강장 및 운행계통 == 2면 3선의 승강장 및 3개의 유치선을 갖추고 있으며, 과거에는 1면 2선의 승강장 및 5개의 유치선을 가진 역이었으나 [[츄오 쾌속선]] 12량화에 맞춰 유치선 1선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승강장을 설치하여 2면 3선으로 확장하었다. 본사 직영역이며 모든 정규 열차는 이 역에서 운행계통이 나눠진다. 과거 이 역을 넘어 [[오쿠타마역]]까지 운행하던 [[홀리데이 쾌속 오쿠타마]] 또한 일부 기간을 제외하면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2, 3번 승강장은 같은 선로를 공유하며 문 여는 방향으로 구분한다. 단 2번과 달리 3번 승강장은 엘리베이터 및 계단 구조물로 인해 6량편성까지만 받을 수 있어 도쿄 방면 열차는 양쪽문을 모두 개방할 수 없다. 4번 승강장의 경우 오쿠타마 방면으로는 선로가 끊겨있어 타치카와 방면으로 나가는 열차만 입선할 수 있다. 오메~오쿠타마 구간만 다니는 열차들은 주로 가운데 선로로 들어오며 양쪽문을 모두 개방해 타치카와 방면 열차와 환승연계를 해준다. 과거 협소한 승강장 규모로 인해 종종 다음역인 미야노히라역까지 올라가서 회차하기도 하였으나 설비 확장 이후로는 드문 광경이 되었다. 2020년까지 발차 멜로디로 [[거울요정 라라]]의 여는 노래를 사용했었다. ||<-5> ↑ [[미야노히라역|미야노히라]] ||<-5> X || || ㅣ|| {{{#ffffff 1}}} || {{{#ffffff 2}}}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ㅣ || ㅣ || ㅣ || ||<-12> [[히가시오메역|히가시오메]] ↓ || ||<|2><:>{{{#ffffff 1·2}}}||[[파일:JRE-JC.svg|width=17]] [[오메선|오메선[br]{{{-2 (도쿄 어드벤처 라인)}}}]]||<:>하행||[[미타케역(도쿄)|미타케]] · [[오쿠타마역|오쿠타마]] 방면|| ||[[파일:JRE-JC.svg|width=17]] [[오메선]]||<:>상행||[[카베역(도쿄)|카베]] · [[훗사역|훗사]] · [[하이지마역|하이지마]] · [[타치카와역|타치카와]] 방면[br]{{{-2 (직통 [[미타카역|미타카]] · [[신주쿠역|신주쿠]] · [[도쿄역|도쿄]] 방면)}}}|| ||<:>{{{#ffffff 3}}}||[[파일:JRE-JC.svg|width=17]] [[오메선|오메선[br]{{{-2 (도쿄 어드벤처 라인)}}}]]||<:>하행||[[미타케역(도쿄)|미타케]] · [[오쿠타마역|오쿠타마]] 방면|| ||<:>{{{#ffffff 4}}}||[[파일:JRE-JC.svg|width=17]] [[오메선]]||<:>상행||[[카베역(도쿄)|카베]] · [[훗사역|훗사]] · [[하이지마역|하이지마]] · [[타치카와역|타치카와]] 방면[br]{{{-2 (직통 [[미타카역|미타카]] · [[신주쿠역|신주쿠]] · [[도쿄역|도쿄]] 방면)}}}|| [[분류:일본의 철도역]][[분류:189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오메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