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 동일본의 철도 노선)] ||<-2><)>{{{#!wiki style="margin: 0px -5px" [[JR 동일본|[[파일:JRE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2>{{{#!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JRE-JC.svg|width=50]]||{{{#eb5c01 {{{+1 '''[ruby(青梅線, ruby=おうめせん)]'''}}}[br]Ōme Line[br]오메선}}} ||}}} || ||<-2> [[파일:attachment/2012062605.jpg|width=100%]] ---- [[E233계 전동차]] || ||<-2> '''노선 정보''' || || '''애칭''' ||{{{#!wiki style="width: 40%; padding: 2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fff;" [[파일:OmeLine_TokyoAdventureLineSB.svg|width=100%]]}}}東京アドベンチャーライン[br](도쿄 어드벤처 라인)[br](오메 ~ 오쿠타마) || || '''분류''' ||간선 || || '''기점''' ||[[타치카와역]] || || '''종점''' ||[[오쿠타마역]] || || '''역 수''' ||25 || || '''노선기호''' ||{{{#eb5c01 {{{+1 '''JC'''}}}}}} || || '''개업일''' ||[[1894년]] [[11월 19일]] || || '''소유자'''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008900,#76ff76 JR 동일본}}}]] || || '''운영자'''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008900,#76ff76 JR 동일본}}}]][br][[JR 화물|[[파일:JR 화물 로고.svg|width=240]][br]{{{#4a7b9c,#6293b5 JR 화물}}}]] || || '''사용차량''' ||[[E233계 전동차]] 0번대[br][[E353계 전동차]] 0번대 || || '''차량기지''' ||[[토요다 차량센터]], [[마츠모토 차량센터]]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37.2km || || '''궤간''' ||1067mm || || '''선로구성''' ||단선~3선 ||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ATS-P || || '''최고속도''' ||85km/h || || [[파일:JR_Ome_Line_linemap.png|width=100%]] || || {{{#ffffff 실측지도 상의 오메선}}} || || [youtube(0kM6wk4gbmU, start=1560, width=100%)] || || {{{#ffffff 홀리데이 쾌속 '오쿠타마'호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 개요 == [[도쿄도]] [[타치카와시]] [[타치카와역|타치카와(立川)역]]부터 니시타마군 [[오쿠타마마치]]의 [[오쿠타마역|오쿠타마(奥多摩)역]]까지를 잇는 [[JR 동일본]]의 간선 철도 노선이다. === 노선 데이터 === * 관활, 구간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타치카와~오쿠타마 37.2km * 일본 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 타치카와~하이지마 6.9km * 궤간 : 1067mm * 역 수 : 25 * 복선구간 : 니시타치카와~카와베 15.9km * 타치카와~니시타치카와 간은 하이지마방면 1선, 타치카와 방면 2선으로 운행한다. * 전화구간 :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 ATS-P * 최고속도 : 85km/h * 운전지령소 * 타치카와~오메 : 도쿄 종합지령소 * 오메~오쿠타마 : 하이지마 CTC센터 * 열차종합관리시스템 : 도쿄권 수송관리시스템 (ATOS) (타치카와~오메) * [[대도시근교구간#s-4.1|수도권 근교구간]] : 전구간 * [[전차특정구간]] : 전구간 * [[교통카드]] 호환지역 : 전구간 * 영업본부 : 하치오지 지사 == 오메 연락선 == || [[파일:2018020502a.png|width=100%]] || 타치카와 - 니시타치카와 구간은 3선(복선 + 단선) 구간이다. 이는 오메선의 기점인 타치카와역 부근의 선로가 츄오 본선과 입체교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인데, 이렇게 되어있을 경우 [[츄오 쾌속선]] 하행 차량이 [[니시타치카와역|니시타치카와]] 방면으로 갈 때 필연적으로 평면교차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별도의 선로를 건설하였으며 이 선로를 통해 평면교차 없이 오메선에 직결할 수 있다. 정식 명칭은 오메 단락선(短絡線)이며, 오메 연락선이라고도 불린다. 명칭과는 다르게 본선보다도 300m 정도 더 돌아가지만, 이 구간에 영업 거리가 설정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운임은 오메선 본선 경유로 매긴다. 이 노선을 통해 [[난부선]]과도 직결 운행이 가능하지만, 현재 이 구간을 직통으로 달리는 정규 열차는 없다. 한국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는데, [[장항선]]의 분기점은 [[경부선]] [[천안역]]이지만, 실제로는 [[두정역]]을 조금지나서 [[천안직결선]]을 이용해 천안역 장항선 플랫폼 쪽으로 들어간다. == 차량 == * [[E233계 전동차]] * [[E353계 전동차]]: 특급 오메 == 이야기 == === 전 구간이 도쿄도내 구간 === [[츄오 쾌속선]]과의 직결 운행을 감안하면 장장 2시간 이상을 달리는 장거리 노선이다. 하지만 전 구간이 도쿄도내에 있다. 이는 도쿄도가 동서로 매우 길기 때문. 하지만 행정구역상 도쿄도일 뿐, 오메역을 지나면 [[군마현]]이나 [[야마나시현]]에 뒤지지 않는 엄청난 산악 지형을 지나게 된다. 말이 도쿄도지 야마나시현이라고 해도 문제가 없을 레벨. 그렇기 때문에 츄오 쾌속선과 직결하는 구간은 오메(青梅)역까지다. 게다가 [[오메역]] 이서구간은 무인역도 많고 모든 역이 [[개표구|자동개집표기]]마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대신 [[Suica]] 교통카드를 태그할수 있는 간이단말기만 있다. === 히가시오메 - 오메의 단선 구간 === 오메선은 오메역을 기점으로 이용객수의 차이가 확연하기 때문에, 오메역을 경계로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또한 이 구간에는 '''도쿄 어드벤처라인'''이라는 애칭이 붙어있다. 그러나, 단선 구간이 히가시오메(東青梅)역부터 시작된다.[* 오메(青梅)역의 바로 전 역이다!] 게다가 노선의 중간 종착역인 오메(青梅)역이 1면 2선의 조그마한 승강장이기 때문에 열차 운용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더 이상의 증차가 어렵다. 통근 노선이기도 하지만, 오메역 이후 구간이 등산객들에게도 인기가 있어 주말에도 골고루 수요가 있는 노선이어서 꽤 혼잡하지만 증차가 더 이상 불가능해 곤란하다는 듯. 또한 오메역의 선로가 부족해 그 자리에서 회차하지 못하고 다음 역인 미야노히라(宮ノ平)역에서 돌아서 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오메시(青梅市)에서는 이 히가시오메 - 오메 구간(1.3km)의 복선화를 JR 히가시니혼에 요구하고 있지만 복선화의 계획은 커녕 오히려 [[츄오 쾌속선]] 12량화(및 그린샤 도입)으로 인해 [[히가시오메역]]이 단선 승강장이 되어버렸다. 대신 [[카베역]]과 [[오메역]]을 확장하는 것으로 열차 감축을 최소화했다. === 노선과 어울리지 않는 신형 차량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Ome_Line_E233_Futamatao-Ikusabata.jpg|width=500]] 전 차량이 '''[[E233계 전동차]]'''이다. 오메 - 타치카와 구간이야 [[츄오 쾌속선]]과의 직결을 감안하여 열차를 통일했다고 볼 수 있지만, 잔여 로컬 구간인 오쿠타마 - 오메 구간조차도 E233계의 4량 버전 열차를 도입하였다. 심지어 자동방송은 물론, 모든 출입문의 위쪽에 LCD 2개까지 갖추어져 있다. 운용/검수의 편리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납득은 가고, 인프라 개선이라는 점에서 분명 좋은 일이나 낡은 시설에 어울리지 않는 깔끔한 신형 차량이 돌아다니는 그 [[갭 모에|갭]]이란 여러모로 철도 동호인들에게 하나의 이야깃거리가 되고 있다. === 전 열차가 반자동 도어 === * 열차 외부에 위치한 열림버튼 [[파일:external/blog-imgs-27.fc2.com/20070203134156.jpg]] * 열차 내부에 위치한 개폐버튼 [[파일:external/akkey.air-nifty.com/jroumerine09.jpg]] 오메선 구간에서는 전 열차가 반자동 도어로 운행하고 있다(전에는 오메역까지는 자동 도어였지만, 도호쿠 대지진 직후에 절전을 이유로 반자동으로 바뀐 것이 지금까지 계속 유지되고있다). 열차가 역에 도착해도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리지 않으며, 탈 때에는 외부의 버튼을 누르고 타야 하며, 내리려면 출입문 버튼을 누르고 내려야한다. 발차 때까지 계속 열려있는 문은 발차 직전에 승무원의 조작에 의해 일괄적으로 닫힌다.[* 이러한 방식은 대개 유럽의 도시와 간선철도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며, 일본에서는 도호쿠, 홋카이도 지역 JR노선에서 기본으로 채용하고 있으며 니시니혼 및 큐슈권의 지방노선에서도 차용하고 있다. 또한 대형 역사에서 장시간 대기할때도 반자동 모드로 운용한다.] == 역 목록 == === 타치카와 ~ 오메 === * 전 구간이 [[도쿄도]]내 소재. || 표기 || 이름 || || {{{#ffa500,#ffa500 '''お'''}}} || 특급 '[[오메(열차)|오메]]' || || {{{#eb5c01 '''ホ'''}}} || 특별쾌속 '[[홀리데이 쾌속 오쿠타마]]' || || {{{#eb5c01 '''青'''}}} || 오메특쾌 || ||<-2> 통과하는 열차는 {{{#e0e0e0 '''연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 ||<-6> [[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ffffff '''오메선'''}}} || || {{{#ffffff 역번호}}} || {{{#ffffff 역명}}} || {{{#ffffff km}}} || {{{#ffffff 우등}}}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위치}}} || ||<-2> ↑ '''직결운행''' ||<-4>'''전 열차''' : [[파일:JRE-JC.svg|width=17]][[츄오 쾌속선]] [[신주쿠역|신주쿠]] / [[도쿄역|도쿄]]까지 직통운행 || || JC19 || [[타치카와역|타치카와]][br](立川) || 0.0 || '''{{{#ffa500,#ffa500 お}}} {{{#eb5c01 ホ}}} {{{#eb5c01 青}}}''' ||¶[[JR 동일본]] [[파일:JRE-JC.svg|width=17]]츄오 쾌속선 '''(직통운행)''', [[파일:JRE-JN.svg|width=17]][[난부선]] (JN26)[br]¶'''[[타치카와미나미역]]''' : [[타마 도시 모노레일]] [[파일:TamaMono-TT.svg|width=17]][[타마 도시 모노레일선]](TT11)[br]¶'''[[타치카와키타역]]''' : [[타마 도시 모노레일]] [[파일:TamaMono-TT.svg|width=17]][[타마 도시 모노레일선]](TT12)||<|2> 타치카와시 || || JC51 || [[니시타치카와역|니시타치카와]][br](西立川) || 1.9 || '''{{{#e0e0e0,#383b40 お}}} {{{#eb5c01 ホ}}} {{{#eb5c01 青}}}''' || || || JC52 || [[히가시나카가미역|히가시나카가미]][br](東中神) || 2.7 || '''{{{#e0e0e0,#383b40 お}}} {{{#e0e0e0,#383b40 ホ}}} {{{#eb5c01 青}}}''' || ||<|5> 아키시마시 || || JC53 || [[나카가미역|나카가미]][br](中神) || 3.6 || '''{{{#e0e0e0,#383b40 お}}} {{{#e0e0e0,#383b40 ホ}}} {{{#eb5c01 青}}}''' || || || JC54 || [[아키시마역|아키시마]][br](昭島) || 5.0 || '''{{{#e0e0e0,#383b40 お}}} {{{#e0e0e0,#383b40 ホ}}} {{{#eb5c01 青}}}''' || || || JC55 || [[하이지마역|하이지마]][br](拝島) || 6.9 || '''{{{#ffa500,#ffa500 お}}} {{{#eb5c01 ホ}}} {{{#eb5c01 青}}}''' ||¶JR 히가시니혼 [[파일:JRE-JC.svg|width=17]][[이츠카이치선]] '''(직통운행)''', {{{#b1a991 ■}}}[[하치코선]][br]¶[[세이부 철도]] [[파일:Seibu-SS.svg|width=17]][[세이부 하이지마선|하이지마선]] (SS36) || ||<-2> ↙ '''직통운행''' ||<-3>'''보통''' : [[파일:JRE-JC.svg|width=17]]이츠카이치선 [[무사시이츠카이치역|무사시이츠카이치]]까지 직통운행 || || JC56 || [[우시하마역|우시하마]][br](牛浜) || 8.6 || '''{{{#e0e0e0,#383b40 お}}} {{{#e0e0e0,#383b40 ホ}}} {{{#eb5c01 青}}}''' || ||<|2> 훗사시 || || JC57 || [[훗사역|훗사]][br](福生) || 9.6 || '''{{{#e0e0e0,#383b40 お}}} {{{#eb5c01 ホ}}} {{{#eb5c01 青}}}''' || || || JC58 || [[하무라역|하무라]][br](羽村) || 11.7 || '''{{{#e0e0e0,#383b40 お}}} {{{#e0e0e0,#383b40 ホ}}} {{{#eb5c01 青}}}''' || ||<|2> 하무라시 || || JC59 || [[오자쿠역|오자쿠]][br](小作) || 14.1 || '''{{{#e0e0e0,#383b40 お}}} {{{#e0e0e0,#383b40 ホ}}} {{{#eb5c01 青}}}''' || || || JC60 || [[카베역(도쿄)|카베]][br](河辺) || 15.9 || '''{{{#ffa500,#ffa500 お}}} {{{#e0e0e0,#383b40 ホ}}} {{{#eb5c01 青}}}''' || ||<|10> 오메시 || || JC61 || [[히가시오메역|히가시오메]][br](東青梅) || 17.2 || '''{{{#e0e0e0,#383b40 お}}} {{{#e0e0e0,#383b40 ホ}}} {{{#eb5c01 青}}}''' || || || JC62 || [[오메역|오메]][br](青梅) || 18.5 || '''{{{#ffa500,#ffa500 お}}} {{{#eb5c01 ホ}}} {{{#eb5c01 青}}}''' || || === 오메 ~ 오쿠타마 === 오메 이서로 들어가는 '홀리데이 쾌속 오쿠타마'는 계절 한정 임시열차로 운행한다. ||<-6> [[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ffffff '''오메선'''}}} || || {{{#ffffff 역번호}}} || {{{#ffffff 역명}}} || {{{#ffffff km}}} || {{{#ffffff 우등}}}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위치}}} || || JC63 || [[미야노히라역|미야노히라]][br](宮ノ平) || 20.6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 || JC64 || [[히나타와다역|히나타와다]][br](日向和田) || 21.4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 || JC65 || [[이시가미마에역|이시가미마에]][br](石神前) || 22.4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 || JC66 || [[후타마타오역|후타마타오]][br](二俣尾) || 23.6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 || JC67 || [[이쿠사바타역|이쿠사바타]][br](軍畑) || 24.5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 || JC68 || [[사와이역|사와이]][br](沢井) || 25.9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 || JC69 || [[미타케역(도쿄)|미타케]][br](御嶽) || 27.2 || '''{{{#f5f5f5,#2d2f34 お}}} {{{#eb5c01 ホ}}} {{{#f5f5f5,#2d2f34 青}}}''' ||¶[[미타케 등산철도]] 케이블카 연락버스 || || JC70 || [[카와이역(도쿄)|카와이]][br](川井) || 30.0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5> 니시타마군[br]오쿠타마정 || || JC71 || [[코리역|코리]][br](古里) || 31.6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 || JC72 || [[하토노스역|하토노스]][br](鳩ノ巣) || 33.8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 || JC73 || [[시로마루역|시로마루]][br](白丸) || 35.2 || '''{{{#f5f5f5,#2d2f34 お}}} {{{#e0e0e0,#383b40 ホ}}} {{{#f5f5f5,#2d2f34 青}}}''' || || || JC74 || [[오쿠타마역|오쿠타마]][br](奥多摩) || 37.2 || '''{{{#f5f5f5,#2d2f34 お}}} {{{#eb5c01 ホ}}} {{{#f5f5f5,#2d2f34 青}}}''' || || == 기타 == * 전 구간이 도쿄 [[전차특정구간]](東京電車特定区間),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大都市近郊区間)에 속해있다. * 도쿄 어드벤처 라인이라는 애칭이 부여된 오메역 ~ 오쿠타마역 구간 대상으로 역 심볼마크를 사용하고 있다.[[https://www.jreast.co.jp/hachioji/info/20190118/20190118_info01.pdf|#]] * 원래는 아오우메(青梅/あおうめ)로 불렀던 것에서 변한 것이지만, あ가 탈락한게 아니고 '''う가 탈락하여''' 오메로 읽힌다.[* あ가 탈락했다면 오우메로 읽혀야 정상이다.] [[분류:오메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