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161B 33%,transparent 33%), linear-gradient(to bottom, #fff 30%, #DB161B 30%, #DB161B 66%, #008000 33%);" '''{{{#fff 오만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셈족)] [include(틀:서아시아의 민족)] [include(틀:오만 관련 문서)] ---- }}} || || [youtube(R8oEQzp2LSE)] || || '''오만인의 모습''' || [목차] == 개요 == [[영어]] : Omani [[아랍어]] : الشعب العماني 아랍어 오만 방언을 모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 상세 == 오만은 지리적으로 [[메소포타미아]]와 [[인도 아대륙]]의 해상 루트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인도인]], [[이란인]]이 고대부터 이민해왔고 [[인도이란어파]]의 소수 언어들이 현재 오만에 남아있다. 게다가 오만 서부는 알하자르 산맥(Al Hahar Mountains)로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남셈어파 소수 언어들이 아직도 모어로 사용 중이다.[* 동아프리카에서 유래된 [[스와힐리어]]가 오만에서도 사용된다.] [[아바스 왕조]] 시기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흑인들이 [[이라크]]로 가기 전에 중간 지점으로 오만으로 이민하곤 했다. 게다가 [[오만 제국]] 시절에 동아프리카에서 흑인들이 직접적으로 유입이 되었고 그 후손들이 오만 영내에 남아있다. == 인종적 논란 == || [[파일:africanomani.jpg|width=400]] || || '''오만 흑인 어린이''' || [[사우디인]]만큼은 아니지만 오만인의 외모도 [[아랍인]]에 대한 비이슬람권의 고정관념을 반영하고 있다. 오만인들의 피부색이 짙은 것을 보고 아랍인이 백인이 아닌 유색인종이라는 편견이 있지만 오만에서는 코카소이드 인종만 거주하는 것이 아니다. 고대부터 인도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부터 다른 인종이 유입되어왔고 오만 영내에 [[니그로이드]], [[오스트랄로이드]]와 코카소이드 혼혈이 대중적이다. 오만인들은 [[이바디파]]이고 [[이슬람 근본주의]], [[이슬람 극단주의]]를 지양하고 있지만 이비디파에서 비롯된 [[이슬람주의]] 성향이 있기 때문에 다수 오만인들은 전통복장을 필수로 착용하고 남녀 둘다 머리 장식을 하고 있다. 이런 모습은 비이슬람권 국민들에게는 아랍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그들의 인종을 알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 출신 인물 == === 남성 === * [[알리 알 합시]] *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여성 === * [[부타이나 아르라이시]] * [[파트마 안나브하니]] == 관련 문서 == * [[오만 흑인]] [각주] [[분류:오만의 민족]][[분류:아랍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