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성유물 스토리 관련 카드군)] ||<:><-6> '''{{{#!html오르페골}}}'''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latea, the Orcust Automaton.png|width=100%]][br] ,,[[#오르페골 갈라테아|{{{#87C2FA 오르페골 갈라테아}}}]],,}}}|| || '''한국어판 명칭''' ||<-5> '''오르페골''' || || '''일어판 명칭''' ||<-5> '''オルフェゴール''' || || '''영어판 명칭''' ||<-5> '''Orcust''' || ||<-2> 속성 ||<-2> 종족 ||<-2> 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2> [[기계족]] ||<-2> [[효과]][br][[링크 소환|링크]][br][[엑시즈 소환|엑시즈]] || [목차] == 개요 == [[소울 퓨전]]에서 첫 등장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이름의 모티브는 [[오르페우스]] + [[오르골]]로 추정된다. 오르골 부품과 악기로 이뤄진 몬스터들의 외형, 클래식 음악의 형식에서 따온 몬스터들의 이름과 더불어 음악에서 상당히 모티브를 따온 듯하다. 이후 등장하는 오르페골 트로이메어의 전신인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의 일러스트에 서양 음악의 악보인 오선지가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의미심장한 점이자 이브를 살리곘다는 닝기르수의 결단이 결코 좋지 못한 결말로 이어짐을 암시하는 점으로도 볼 수 있다. 한편으론 사랑하는 사람을 되살리려다 실패한 비극의 주인공 [[오르페우스]]에게서도 어느 정도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이며, 오르페우스 모티브의 연장선으로 저승의 신 [[오르쿠스]]도 언급된다. TCG에선 이를 적용해 Orcust란 이름으로 정발했다. == 설명 == === 스토리 === >'''"다시 여동생의 미소를 볼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다면, 그게 악이어도 선이어도 상관 없어."''' >---- >[[성잔에 이끌린 자]]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와의 전투가 끝난 후, [[성잔에 이끌린 자|닝기르수]]는 아우람을 기절시키고선 이브의 시체와 아우람의 검을 들고 사라진다. 그 후, [[트로이메어]]로부터 회수한 잭나이츠의 코어를 통해 세계의 진실을 알게 된 닝기르수는, 지금은 실전된 과거의 기술로 이브의 그릇인 기계인형 '갈라테아'을 만들고 거대한 탑인 바벨을 쌓기 시작한다. 기계인형을 만드는 과정에서 시행 착오로 탄생한 기계들은 그 수가 점점 늘어나 마침내 군대를 형성할 지경에 이르렀으니, 이것이 오르페골이다. 닝기르수의 목적은 이브를 [[성신기 데미우르기어]]의 기능으로 새 창성신으로 옹립하는 것. 지각 속에 봉인된 강대한 어둠의 힘을 우주 공간에 있는 성장을 지상으로 쏘아 지각을 파괴함으로써 개방시키고 더불어 마지막 성유물인 성궤를 활성화시켜 그것의 삶과 죽음을 다스리는 권능을 사용해 이브의 영혼을 부활시키려 했다. 이를 저지하려는 [[파라디온]]과의 격전 끝에 마침내 성장은 가동돼 지각을 파괴했고, 성장의 에너지가 지각을 타고 흘러 각지의 성유물들을 [[수호룡(유희왕)|수호룡]]으로 모습을 바꾸게 하자, 닝기르수는 갈라테아 안의 열쇠의 힘을 사용해 모든 수호룡들의 힘을 하나로 통합시켜 이브의 영혼을 부활시킨다. 이 과정에서 갈라테아 안에 잠복하고 있던 리스의 영혼이 이브의 영혼을 소멸시키고 갈라테아를 완전 장악해 오르페골 트로이메어로 부활, 이후 안드레이크와 유스티아를 제외한 수호룡들과 이브의 육체를 흡수해 [[아스트로이메어 이드리스]]로 깨어나고 만다. 그러나 리스가 흡수한 건 이브를 대신해 희생된 갈라테아의 영혼이었고[* 닝기르수는 갈라테아를 단순한 그릇이 아니라 마치 또 하나의 여동생인 것처럼 아끼고 사랑했다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단순한 기계인형이던 갈라테아 자신도 영혼을 얻었다.], 이브의 영혼은 수호룡 유스티아가 되어 이드리스 내부에 있던 본래 육체와 공명, 이드리스의 결박을 풀고 성잔의 신자 이브로 부활한다. 한편 데미우르기어가 강림하자 아우람은 과거 창궁의 잭나이츠에 의해 반쯤 진행된 열쇠의 계승과 성유물들의 힘의 집약을 시도했고, 이를 이드리스가 방해하려 했으나 갈라테아의 유지에 반응한 닝기르수가 바벨과 오르페골들의 잔해, 그리고 본인 자신까지 모두 끌어모아 딩기르수를 연성해 마침내 이드리스의 육체를 무너뜨린다. 이 과정에서 닝기르수는 인간으로서는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아우람=아스트람이 [[쌍성신 a-vida]]가 되어 별의 생명력을 원래대로 되돌린 다음 별의 열쇠를 [[성유물(유희왕)|성건]]으로 변환시킨 뒤 자취를 감추는 것으로 모든 사건이 마무리되자, 되돌아온 갈라테아의 영혼과 함께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여동생을 뒤에서 돕기로 맹세한 닝기르수는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로 되살아나는 것으로 오르페골의 이야기가 끝난다. 어쨌든 자기 여동생은 살아남았고, 죽었던 줄 알았던 닝기르수 자신도 선역으로 돌아왔으니 나름대로 해피 엔딩이라고 할 수 있다. 닝기르수의 행적 때문에 후속작격인 [[낙인(유희왕)/스토리|낙인 스토리]]에서 [[요안의 상검사|플루르드리스]]가 [[데스피아#데스피아안 프로스케니온|데스피아안 프로스케니온]]에 [[드래그마#낙인의 센트럴 드래그마|죽임당하는 카드]]가 공개되자, [[순백의 성녀 에클레시아|에클레시아]]가 언니 플루르드리스를 살리려고 [[오르페골#오르페골 바벨|탑]]을 쌓고 [[오르페골#오르페골 갈라테아|인형]]을 만든다, 결과적으로 언니가 둘이 된다 하는 식으로 오르페골과 엮는 드립이 흥하고 있다. === 성능 === 메인 덱 몬스터를 묘지에서 제외해 다른 오르페골을 전개하고, 링크 상태이면 파괴 내성을 얻는 링크 몬스터의 효과로 덱에 되돌려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링크 몬스터들이 상대 필드를 가리키는 링크 마커를 갖고 있는 것도 특징으로, 링크 상태인 상대 몬스터를 견제하는 효과를 어느 정도 능동적으로 격발할 수 있다. 마법 카드가 강력하고 특히 필드 마법인 오르페골 바벨의 효과가 뛰어나지만, 바꿔 말하면 필드 마법의 의존도가 높다. 오르페골 바벨이 깔린 상태라면 상대 턴에도 효과 발동이 가능해져 상당히 트리키한 전개와 견제가 가능하지만, 오르페골 바벨이 없으면 전개 속도에 비해 무거운 핸디캡과 디메리트가 발목을 잡기 때문이다. 메인 덱 몬스터의 수가 적어 필연적으로 전개력을 높일 범용 카드가 메인 덱 엑스트라 덱 안 가리고 들어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둠 속성 몬스터만 소환할 수 있는 디메리트도 있어 덱 구축이나 전개에 신중해야 하는 것도 난점. === 역사 === [[소울 퓨전]]에서 처음 등장했을 땐 그렇게 큰 주목은 못 받았다. [[새비지 스트라이크]]에서 지원이 2장 추가됐는데 오르페골 트로이메어는 [[트로이메어 인어]]로 인해 자체 특수 소환이 가능하고 제외하고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효과로, 원하는 오르페골 메인 몬스터를 덤핑하고, 제외 자원을 추가하는 등 매우 좋은 지원이란 평가를 받았지만, 추가된 함정 카드 오르페골 릴리스는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크 네오스톰]]에서 지원을 받아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 간단한 소환 조건에 비대상 지정 제거 효과와 파괴 보호 및 [[RUM-팬텀 나이츠 라운치]]와 연계해 V.F.D.를 뽑을 수 있는 딩기르수, 넓은 견제폭에 서치 능력도 있는 카운터 함정 클리막스의 등장으로 덱 파워가 올라가 2019년 1월 12일에 오르페골 덱이 공인 대회에서 우승, 그 뒤로도 공인 대회에서 자주 입상하는 등 확실하게 티어권에 자리잡았다. 2019년 7월에 트로이메어 인어가 금지되면서 초동 안정성이 줄었고, 티어 그래프에서 밀려났다. 티어일 때도 화력이 특출나기보단 높은 안정성으로 먹고 살던 덱이었는데, 안정성이 날아가버렸으니 당연하다. 2019년 10월 이후 [[미계역]]이 OCG에 상륙하면서 덱 파워가 상승했다. 트로이메어 인어는 덱에서 오르페골을 가져오고, 패에 잡혀버린 오르페골을 버리며, 필드 아드를 늘리는 역할을 했기에 파워카드였던 건데, 미계역은 필드 아드로만 따지면 일소권을 안 쓰니 인어보다도 좋고, 운 요소가 있지만 패의 오르페골을 버리며 덱을 압축할 수 있어 인어의 역할을 어느 정도 대체 가능하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라이트로드 도미니온 큐리오스]]를 뽑기에 용이한 게 미계역이라, 패에 오르페골 몬스터가 없어도 덱에서 바로 오르페골 몬스터를 묻을 수 있다. 2020년 1월에 갈라테아와 디베르가 준제한이 됐다. 대신 [[매스매티션]]이 준제한으로 풀려 덤핑이 쉬워졌고, [[이터니티 코드]]에서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가 추가돼 파워가 더 올라갔다. 전용 [[종말의 기사]]+토큰 소환으로 1장만에 갈라테아를 뽑아 전개하기 쉬워졌고, 조건만 갖추면 튜너 취급도 가능해 그동안 쓰기 어려웠던 [[성잔|성잔의 신자 이브]]도 쓸 수 있게 됐다. 여기에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을 딩기르수로 처리하기 쉬워서 드라군을 안 쓰는 덱들 중 최고 승리수를 올렸으며, 드라군도 어둠 속성이라 클리막스를 빼고 드라군을 넣는 시도도 활발했다. 2020년 4월에 갈라테아와 디베르가 제한 카드가 돼 안정성이 떨어졌다. 그래도 초동 파워는 물론 드라군도 여전해서, 4월 룰 도입 초반에서도 드라군 오르페골이 최고 승률을 차지했다.[* 다만 오르페골이 드라군에게 기생하는 입장이며, 드라군이 웬만한 패 트랩 케어도 해주기 때문이다.] 한편 빈 자리에 [[섬도희]] 파츠를 좀 투입하거나 [[마스크 체인지|마스크 체인지 세컨드]]+[[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를 투입하는 경우도 생겼다. 2020년 7월엔 [[링크로스]]의 금지 외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지만 어차피 오르페골은 링크로스를 안 썼기에 상관 없고, 드라군 파츠의 경우 드라군의 카운터 카드가 워낙 많아진 데다, 없어도 충분히 세다는 게 밝혀진 후엔 그 자리에 패 트랩과 카운터 함정을 채워넣는 일명 함떡페골 구축이 많아졌다. 다만 완전히 대체한 건 아니고 메타에 따라 둘 중 하나를 취사선택하는 수준. 2020년 10월엔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이 금지,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가 제한에 올라 타격을 입었다.이로 인해 잭나이츠와 손잡고 티어권 밖으로 밀려났다. 그렇게 브레인즈 후반기 내내 티어를 차지한 오르페골은 '''이제서야''' 1티어 밖으로 쫓겨났다. 초동과 후속이 불안정해진건 사실이지만 한 번 빌드에 성공하면 위협적인 건 변함없기에 티어권에서 밀려났어도 아직 충분히 쓸만한 편이다. 2021년 1분기. 기르수가 제한에 오른 이후 계속 입상표에 모습을 보이지 않다가,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에 추가된 [[스크랩(유희왕)|스크랩 랩터]]와 함께, 본격적으로 스크랩과 섞은 "스크랩 오르페골" 형태로 다시 입상하고 있다. [[https://twitter.com/Xins_yp/status/1366328194865893381?s=09|전개예시]] 랩터의 스크랩 서치 효과+추가 소환권으로 기존에 잘 쓰던 리사이클러를 찾아올 수 있기 때문. 같은 어둠 속성에 묘지 중심인 [[명세계]]랑 섞은 구성도 있다. 3분기 시점에선 스크랩 특유의 패말림 때문인지 스크랩 오르페골보다는 섬도 파츠를 약간 채용한 섬도축이나 기존의 순수축 등이 더 많이 보이고 있다. 2022년 4월에 디베르가 준제한으로 제재가 완화되었고, 동년 7월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다만 강력한 초동인 기르수와, 전개 순환 요원인 갈라테아가 여전히 제한에, [[이시즈 티아라멘츠]]나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등 11기의 파워덱들에 비하면 느린 편이다보니 예전과 같은 파워는 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티아라멘츠와는 속성을 공유하기도 해서, 이쪽을 용병으로 세우거나 외려 그쪽의 용병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는 예측이 없잖아 있다. 물론 그렇게 한다 해도 상기한 [[이시즈 티아라멘츠]]보다 폭발력이 낮아 [[딕]] 수준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이고, 실제로도 그랬다. 현재는 [[TCG 마이너 갤러리]]에 상주하는 인원 몇몇만이 강하다고 주장하는 중.] 거기다가 묘지 자원을 날려 버리는 [[비스테드]]의 등장으로 인해 굴리기 어려워진 것은 덤. 2023년 1월에 갈라테아가 준제한으로 풀리고, 비스테드 마그나무트가 제한이 되면서 이득을 보았다. 4월에는 갈라테아는 무제한으로, 살로니르를 제외한 비스테드 카드가 전부 제한으로 올라갔다. 2023년 7월에 출시된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죄보]]와 [[호루스(유희왕)|호루스]]라는 좋은 파트너를 얻었다. 두 테마 모두 오르페골의 고질적안 문제였던 능동적인 패 버림을 해결하고 결과물과 안정성에도 영향력을 주었다. 하지만 호루스 입장에서는 오르페골보다 [[비서스=스타프로스트/서포트 카드|비서스]] 계열, [[디아벨스타]] 계열, [[세리온즈]] 등 더 우수한 파트너가 많아 오르페골을 섞는 경우는 흔치 않다. === 장점 === *'''폭발적인 전개''' 어느정도의 준비물만 충족된다면 정말 미친듯이 쏟아붓는 전개가 가능하다.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가 무제한이었을 시절에는 이것만으로도 초동 준비가 끝날 지경이며, 기르수가 제한을 받고 난 뒤로는 스크랩의 힘을 빌어서 묘지에 미친듯이 덤핑하고 스크랩 리사이클러, 스크랩 골렘을 미친듯이 울궈 먹으면서 오르페골의 자원을 쌓으며 이렇게 쌓인 오르페골로 추가전개를 한다. 작정하고 준비하면 선턴에 제법 괜찮은 퍼미션들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후 한턴을 버티는데만 성공한다면, 선턴에 쌓인 자원들을 바탕으로 비슷한 과정을 다시 울궈먹으며 킬각을 잡을 수 있다. 심지어 중간에 니비루를 맞더라도 묘지에 오르페골만 충분하다면 금방 복구할 수 있을 정도. *'''높은 초동률''' 전성기 시절은 물론이고 금제를 맞을대로 맞아 약화된 상태에서도 오르페골은 안정성이 높기로 유명한 테마다. 트로이메어 인어가 존재했던 시절보다는 못하지만 그래도 리쿠르트 효과를 지닌 디베르 덕분에 어떻게든 디베르를 묘지로 묻을 수만 있으면 초동이 성립한다. 기본적으로 스크랩 리사이클러, 종말의 기사, 다크 그래퍼 등이 채용되며 여기에 추가로 스트랩 랩터나 섬도 파츠를 채용함으로서 원핸드 초동이 매우 간단히 이뤄진다. *'''저렴한 가격''' 레어도가 높은 롱기르수와 딩기르수, 필수로 들어가는 패트랩 카드들을 제외하면 카드 개별 자체의 가격도 저렴하다. 다만 [[시오르페골 딩기르수]]의 경우 범용 8엑이다 보니 수요가 많아 꽤 비싼 편이다. 그러나 이마저도 최근 레어리티 컬렉션에서 재록 되어 한층 더 저렴해졌다. * '''유연한 덱 구성과 준수한 범용성''' 메인 덱이 필수 카드는 많지만 리크루팅이 간편한 편이라 범용 전개 및 견제요원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코어 파츠들이 금지 / 제한을 여러 번 먹은 후로 오르페골의 목표 빌드는 매 분기마다 변할 정도로 다양한 방향의 구축이 가능하다. * '''[[드롤 & 로크 버드]]를 활용한 증식의g 회피''' '''순수'''오르페골 기준, 드로우 페이즈 이외에 덱에서 카드를 패에 넣는건 오르페골 프라임과 [[증원(유희왕)]]이 유일하다. 즉, 드롤&로크 버드를 전혀 아프게 맞지 않는다. 이를 이용하여 상대가 던진 증식의 g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 단점 === *'''너무나도 중요한 일반 소환권과 덤핑 통과''' 현 오르페골의 가장 큰 단점. [[트로이메어 인어|인어]]가 살아 있던 시절에는 아무 몬스터 2마리만 뽑으면 인어가 나오기에 아무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인어 금지 이후 오르페골은 디베르 없이는 전개가 안 되는 덱이 되었다. 문제는 디베르를 묘지로 보내는 방법인데, [[어리석은 매장]] 이외에 일반 소환권을 쓰지 않는 명쾌한 해법이 없다. [[다크 그레퍼]]가 있긴 하지만 아드를 과도하게 소모한다. 이 때문에 초동을 세울 기회가 단 한 번뿐이라 패 트랩에 허무하게 전개가 막히는 경우도 많다. *'''어려운 덱 운영 난이도''' 물론 이외에도 단점은 많다. 미친 듯이 전개를 찍어내기에 증식의 G에도 취약하며, 특히 첫 턴에는 미친듯이 자원을 쌓아야 되므로, 이 과정에서 니비루의 위험에도 노출되는 등 단점이 많기는 한데, 덱을 막 구성하고 직접 플레이를 해 보면 어떻게 전개를 해야 할지, 어떤 빌드를 세워야 할지가 초심자에게는 굉장히 막막하다. 특히 스크랩이 섞인 오르페골 덱은 더더욱 그러한데, 스크랩으로 무슨 자원을 덤핑해야 할지, 어떤 타이밍에 오르페골을 덤핑을 해서 그것을 활용해야 할지, 갈라테아가 나왔을 때 상황에 따라서 쓰여지는 오르페골 마함도 달라지는 등, 진짜 문자 그대로 생각을 많이 해야 하고, 상황에 따라서 빌드가 달라지기도 하는 등, 거의 DD 덱을 연상하는 수준의 어려운 운영 난이도를 자랑한다. 상술한 것 중, 그나마 패트랩은 사정이 나은 편인게 증식의 G는 드롤&로크버드를 이용한 케어가 가능하고, 니비루 또한 리사이클러 / 종말의 기사 스타트 기준으로 딱 딩기르수에 5소환이 되어 견제력은 낮아지나, 착지가 된다. *'''필드 마법(바벨)에 대한 높은 의존도''' 초반 전개에는 필드 마법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지는 잘 체감이 안 될수도 있으나, 상대 턴으로 넘어가게 된다면 이 필드 마법의 유무는 아주 크게 다가온다. 만약 바벨이 있는 상태라면 상대 턴도 마치 내 턴인 것마냥 체인으로 몬스터를 줄줄이 늘어놓으면서 견제를 진행할 수 있고, 혹여나 견제가 죄다 막히더라도 오르페골 몬스터 효과로 전개를 진행하면서 상대방의 화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는데, 상대 턴 중에 바벨이 파괴되거나 바운스되면 선턴에 미리 빌드를 완성시켜 놓지 않는 이상 별다른 견제 카드를 맞지 않더라도 상대의 전개를 두 눈 뜨고 지켜볼 수밖에 없는 참상이 벌어진다. 특히나 상대 턴에도 굴리는 전개와 아드 수급이 오르페골 운영의 핵심이기에, 바벨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파괴는 그나마 딩기르수가 막아주지만 제외나 바운스에는 얄짤없다. *'''묘지 견제 카드에 몹시 취약''' 11기 이후로 더더욱 두드러지는 문제, 오르페골이 아무래도 제법 오래된 테마이다보니 엄청난 아드 수급량으로 게임을 빠르게 굴리는 신세대 덱들에 의해 메타가 뒤흔들리고, 특히나 유희왕 역사에 한 획을 그은 [[티아라멘츠]] 이후로 묘지 견제 메타 카드가 굉장히 많이 메타에 들어왔으며, 묘지의 빛 / 어둠 속성을 찍고 나오는 고성능 몬스터 [[비스테드]]와 뒷면 제외,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어라이즈하트]]를 통한 묘지 봉쇄 등 초고성능 몬스터들로 견제를 담당하는 [[크샤트리라]]는 최악의 상대들로 손꼽히며, [[현세와 명계의 역전]]의 [[고위병 아기도]]를 제외한 모든 파츠가 직접적으로 오르페골을 저격하는 쥐약인데다가 상대가 [[심연에 숨은 자]]라도 띄우면 '''답이 없다.''' 그리고 [[디멘션 어트랙터]] 역시 맞으면 답이 없을 정도로 까다로운 편. === [[유희왕 듀얼링크스]] === OCG/TCG에서는 이 카드들이 현역이었던 만큼 나올 가능성이 매우 낮았다. 놀랍게도 [[JUDGEMENT FORCE]]에서 지원을 받긴 했다. 문제는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오르페골 링크 몬스터는 커녕, 링크 소환도 없다. 오르페골 덱의 핵심인 링크 몬스터도 없고, 핵심인 바벨도 없다 보니 오프라인과 달리 여기에서의 오르페골은 제대로 된 덱 취급도 못 받는다. 잘해야 [[데스페라도 속사포 드래곤]] 덱에서 엑시즈, 싱크로 용병으로 챙겨가는 정도였다. 레이드 듀얼 이벤트에서는 뜬금없이 [[플라시도(유희왕 듀얼링크스)|플라시도]]가 들고 나온다. 기존에 플라시도가 쓰는 A.O.J나 와이젤처럼 어둠 속성 기계족에 삼황제의 모티브에는 클래식 음악도 있으므로 어찌 보면 잘 어울린다. 레이드 듀얼 자체가 의도적으로 NPC를 약하게 조절하다 보니 그닥 강하진 않다. 그런데 놀랍게도 23년 5월 [[SOLFLARE LIGHTNING]]에서 [[시오르페골 딩기르수]]를 포함한 핵심 카드 대부분의 상륙이 확정되었다. 갈라테아를 통해 확정 서치가 가능한 카운터 트랩인 클리막스가 [[샐러맨그레이트#s-9.3.1|샐러맨그레이트 로어]]와 같은 맥락으로 미실장에 ocg환경에서도 강력한 지원인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를 제외한 모든 카드가 듀링 환경에 풀려버린 것이다. 그러면서도 제한은 고작 바벨 하나 뿐으로 같은 제한 1인 [[트로이메어 인어]]와의 병용이 불가능한 것만 빼면 사실상 풀파워에 가까운 상태로 해금되어, 무수히 많은 스킬들과 함께 연구가 시작되었다. * 기본적으로 다른 테마 없이 범용 마함과 순수 오르페골만으로도 강력하기 짝이 없어서 첫 턴에 특수 소환을 제한하는 종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스킬과 궁합이 좋다. * [[코즈믹 싸이크론]]을 사용하는 것으로 패를 교체하면서 전개하는 '[[키스 하워드(유희왕 듀얼링크스)|스위처루]]' * 코즈믹 싸이크론을 사용하는 것으로 다음 턴 상대의 묘지를 봉인하는 '[[이시즈 이슈타르(유희왕 듀얼링크스)|봉인묘]]'[* 스킬 LP 조건을 맞추기 위해 자신의 일반 마법(주로 오르페골 프라임)에 체인하여 코싸를 쓰는 해괴한 광경도 제법 목격되었다.] * 갈라테아의 공격력만큼 라이프를 회복하거나, 시오르페골 딩기르수를 소재로 다시 나올 갈라테아에 내성을 부여하는 '[[플레이메이커 & Ai(유희왕 듀얼링크스)|세 가지 효과]]' * 세 마신중 2마리를 트로이메어 링크 몬스터로 교체하고, 바로 인어로 전개하여 패의 게이트 가디언을 코스트로 전개하는 '[[미궁형제(유희왕 듀얼링크스)|요소 통합]]' * 패의 오르페골을 덤핑하면서 필드에 보옥수 마법/함정을 깔고 카벙클을 적극 이용하여 전개하는 '[[요한 안데르센(유희왕 듀얼링크스)|초월의 수정]]' * 가제트를 섞고, 서치할 수 있는 간드라 기가레이즈로 오르페골을 묘지로 보내고 필드를 전부 파괴한 후 전개하는 '[[유희(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싸울 각오]]' * 오드아이즈 신규 스킬이 덱 구성을 제한하지 않고 특수 소환하는 종류에도 제한도 걸리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해 두 덱을 믹스매치해서 [[굿 스터프]]처럼 운영하는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레이징 펜듈럼]]' 등등 믿을 수 없는 수준으로 수많은 스킬과 섞이면서, 1제한 카드인 바벨과 인어 어느 쪽을 선택하더라도 그 모두가 충분히 위력적인 파워를 보여주고 있어 등장하자마자 이견이 없는 0티어로 취급받고 있다. 실제로도 오르페골 하나를 막기 위해 이시즈의 봉인묘 채택률이 크게 올랐으며[* 오르페골 미러전에서도 누가 먼저 묘지를 막느냐가 곧 승패를 가르므로 오르페골 유저 자신이 이시즈를 선택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 아티팩트 롱기누스와 DD크로우의 채용률 또한 오르페골이 올렸다. 이대로면 5월 말부터 진행될 예정인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오르페골이 메타를 휘어잡을것이 불보듯 뻔하므로 긴급 금제가 유력한 상태였지만, 실제로는 어떠한 금제도 없이 그대로 진행되었다. 당연히 결과는 봉인묘를 채택한 이시즈, 스위처루를 채택한 키스의 오르페골과 그를 카운터치기 위한 바렛[* 선공을 잡고 실버바렛 드래곤의 효과로 엑스트라 덱의 갈라테아나 딩기르수를 제외해버리면 오르페골 입장에서는 굉장히 답답한 상황이 된다. 또한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의 실장과 관련 스트럭처, 스킬의 출시에 힘입어 부쩍 늘어난 오드아이즈 덱을 상대로도 엑스트라 덱의 패왕열룡이나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을 제외하는 것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둘 모두 핵심 카드를 2장 이상 넣어둔 게 아니라면, 이렇게 제외되어 버리면 할 수 있는 게 없다. 특히 패왕열룡은 애초에 1장 밖에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게 없어지면 유야나 유토는 스킬 발동조차 불가능해진다.] 덱으로 상위권이 도배되었으며, 간간히 스킬과 스트럭처를 지원받은 유야와 유타, 한 두 번 퍼미션 당하는 걸로는 전개를 막기 어려운 유고의 스피드로이드만이 보일 정도로 메타가 획일화되었다. 그마저도 순수 패왕열룡은 거의 안 보이고 오르페골이 섞인 페골레이징 덱이라 사실상 리볼버와 유고 빼고는 죄다 오르페골이라 보면 된다. 유저들은 이에 너나 할 것 없이 극심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으며, 실제로 듀얼링크스의 동시접속자 수는 오르페골이 날뛸 무렵부터 크게 줄어들었다. 오죽하면 차라리 샐러맨그레이트, 잭나이츠, 인페르노이드 강점기가 낫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며, 현 시점의 듀얼링크스는 그냥 페골링크스라 해도 무방하다. 결국 월드 챔피언쉽 이후 [[트로이메어 인어]]는 '''금지''', 오르페골 릴리스는 제한 1[* 인어의 금지 때문에 이제 바벨과 경쟁해야 한다.], 전개 요원으로 용병이 된 [[스크랩 리사이클러]]는 제한 3이 돼서 어느정도 초동률과 유지력은 흐트러졌으나 갈레테아나 딩기르수, 그리고 여타 전개 카드들은 하나도 제재를 받지 않았기에 굿 스터프식으로 다른 덱에 막 투입하는 것은 무리여도, 순수 오르페골은 아직 완전히 죽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23년 7월 기준 여전히 강력하다. 인어가 금지되었기에 트로이메어 루트가 막혔지만 오르페골의 전개 파츠가 전혀 제재먹지 않았음으로 카드를 묘지에 보낼 수단만 있으면 초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러 연구 후 이제 안정적인 순수 오르페골, 오드아이즈 오르페골, 간드라 오르페골 정도만 남았다. 심지어 오르페골 묻겠답시고 오드아이즈 덱에 [[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를 넣은 괴이한 구축까지 존재한다. 천룡의 마술사가 6레벨이라서 엑시즈를 노려볼 수 있기는 하나 대부분 경우에는 천룡의 마술사는 P존에 놓기 마련이라 실제로는 소환하기 힘들다. 결국 23년 8월에 추가적으로 제재를 먹었다. 기존 초동역할이었던 스크랩 리사이클러가 여전히 3제인데 추가로 디베르도 3제한을 먹어 버린 것. 초동이 확연히 떨어졌다. 거기에 추가로 트로이메어 오르페골이 제한 2, 그리고 지난 금지제한 후에도 계속 오드아이즈 오르페골 굿스터프가 판을 치자 패왕열룡까지 제한 1로 만들었다. 그러나 갈라테아나 딩기르수등의 메인 팩 UR카드들이 제재를 면하였고 무엇보다 여전히 오르페골 프라임이 아무 제재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머시너즈 포트리스]]나 오르페골 아인자츠를 채용하는등 덤핑 파츠를 추가로 확보하여 듀킹정도는 여유롭게 달성하는 끈질긴 덱 파워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강귀]] 등 경쟁 덱의 금제가 해제된 영향이 일부 존재한다. 23년 11월, 그래도 랭킹에 간간히 보이다가, 트로이메어 오르페골이 제한 2에서 제한 3으로 변경되었다. 듀얼링크스 특성상 이는 완화가 아닌 또 다른 제재로, 이제 디베르, 스크랩 리사이클러, 트로이메어 오르페골이 같이 제한 3 자리를 두고 싸워야하는 지경이다. 오르페골 입장에서 다른 범용 제한 2 카드를 쓰는 것보다 전개 파츠를 하나라도 더 넣는게 이득이라 사실상 트로이메어가 제한 2에서 내려온 메리트도 별로 없어 이번 제재도 결국 오르페골을 너프하는 금제이다. 카오스 솔저, 천위, 유벨 네오스, 이빌 트윈 등 경쟁 상대가 수두룩한 이런 환경에서 이전 금제보다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또 제재를 먹는다는 것은 [[티아라멘츠|OCG 환경의 어느 덱]]을 연상시킨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시크릿 팩 '별이 인도하는 미래'에서 픽업 카드로 입수할 수 있다. OCG환경에 비해 디베르가 제한이라 이전 OCG금제 환경과 비슷한 느낌으로 굴려야 한다. 다크 그레퍼와 종말의 기사가 SR등급인데다, 매스매티션에 이르러선 UR등급이고, 딩기르수, 기르수, 갈라테아가 UR과 SR등급이라서 잼과 가루가 어지간히 많이 깨진다. 여기에 [[섬도희]]나 [[스크랩(유희왕)|스크랩]]축으로 더하려면 덱을 가루로 도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같은 팩에서 등장하는 [[파라디온]]이 고작 2장만 만들면 가루쓸 일이 크게 필요 없다는 점에서 꽤 대조적. 초기엔 3티어 정도로 구분되었으나, 신팩 업데이트 이후론 비 티어권으로 구분된다. 소소한 팁으로 바벨이 깔린 상태에서 체인을 auto로 해놓으면 원하는 타이밍을 넘길때가 있어서, 체인을 on으로 바꿔놓고 굴리는게 좋다. 특히 첫턴 셋팅이후 필드에 남은게 마스카레나 한장 뿐일땐 더더욱. 후완다리즈의 발매 이후로는 디멘션 어트랙터의 채용 증가로 손도 못써보고 지는 경우가 많아졌으나, 후완다리즈가 티어권에서 이탈하면서 자연스럽게 숨통이 트였다. 그러다가 여행준비가 추가돼서 후완다리즈의 채용률이 급증하자 다시 숨막히는 상황이 되었고 결국 12월 레귤레이션에서 갈라테아가 준제한이 되는 상향을 받았다. 그리고 4월 금제에서 갈라테아가 무제한이 되고, 6월 금제에서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도 준제한으로 변경된다. 이후 9월 금제로 기르수가 무제한으로 석방되었다. == 효과 몬스터 == 하급 몬스터들은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를 제외하고, 공통적으로 "묘지에서 자신을 제외하고, 다른 오르페골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만''' 갖고 있다. 그나마도 명칭 턴 제약이 붙은 데다 발동 후 어둠 속성 몬스터만 특수 소환 가능한 디메리트가 있어, 몬스터 효과에 의한 연쇄적인 대량 전개가 일반화된 환경에 전개력이 떨어지는 형태를 보인다. 대신 메인 덱 몬스터가 적어서 여러 가지 용병을 투입할 수 있다. 제대로 쓰려면 카드군의 대표 링크 몬스터인 갈라테아로 필드나 클리막스를 깔고 상대 턴에도 효과를 발동해 최대한 이득을 챙겨 운영하는 게 중요하다. 유일한 최상급 몬스터인 오르페골 트로이메어의 디메리트는 하급 오르페골 몬스터와 같지만, 효과 적용 범위는 어둠 속성 기계족 몬스터 전체로 넓다. 한편 기르수 외엔 이름의 모티브로 클래식 음악의 악곡 형식이 쓰였는데, 하나같이 '''가볍고 즐거운''' 느낌의 것들에서 따왔다. 수장격으로 보이는 롱기르수=닝기르수가 여동생을 잃은 비극의 주인공임을 생각하면 악취미스러운 네이밍 센스. 물론 설정상으로는 닝기르수 본인이 이름을 붙인 것이겠지만. === 레벨 1 === ==== 오르페골 카노네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カノーネ.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오르페골 카노네,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カノーネ, 영어판명칭=Orcust Brass Bombard,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레벨=1, 공격력=500, 수비력=19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오르페골 카노네" 이외의 "오르페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어둠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오르페골의 공통 효과인 묘지 제외로 발동하는 효과는 패 특수 소환. [[ABC(유희왕)|ABC]]에서 C-크러시 와이반의 취급이 그렇듯, 묘지-제외-덱 순환이 주력인 오르페골 특성상 다른 두 몬스터의 효과에 비해 제값을 하기 힘들다. 일단 레벨 1이라 [[원 포 원]] 등에 대응되고 [[링크리보]] 등의 링크 소재로 쓸 수도 있으며, 공격력이 500이라 [[기계 복제술]]로 대량 전개할 수도 있다. 오르페골 싱크로 몬스터가 없음에도 튜너로 나온 건 의미 불명. [[파라디온#신수의 파라디온|신수의 파라디온]] 같은 경우를 생각하면, 워낙 절륜한 범용성을 자랑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와의 연계를 상정한 것일 수도 있고, 단순히 [[튜너]]란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보고 집어넣은 것일 수도 있다. 하이파이버랑의 궁합의 경우 특유의 특수 소환 효과를 발동하면 어둠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단 제약이 붙지만, 맹세 효과가 아닌 어디까지나 효과를 발동한 후에 적용되는 제약이라 발동 전이라면 큰 문제는 없다. 오히려 오르페골 자체의 초반 전개력이 바닥을 기는 수준이니 범용 링크 몬스터를 통한 초반 전개력 보충이 중요하다. 한 턴 버티기가 힘들다면 그냥 링크 소재로 쓰거나, 튜너로 나온 김에 [[싱크로 소환]]을 해도 된다. 레벨 1이라 오르페골 트로이메어를 튜닝하면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나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같은 고성능 레벨 8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가 튀어나오고, 오르페골 카드군과 함께 쓰이는 성유물-성장에 카노네 둘을 얹으면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도 생각 외로 쉽게 뽑을 수 있다.[* 또한 스카라이트나 타이란트의 필드 클린 효과의 경우, 링크 상태의 오르페골 링크 3 이상 몬스터들은 효과로 파괴되지 않으니 클린 효과를 안 받는다.] 사실 오르페골 디베르의 제한 전까지는 싱크로를 하는 오르페골 유저들 외에는 관심받지 못했으나 디베르가 제한이 된 이후에는 안전성 문제 때문에 반드시 1장 이상 투입이 반강제되는 카드이다. 때문에 디베르가 풀리면 덱에서 빠질 것이라 예상되었는데, 환경의 변화로 오르페골의 전개력과 견제만으로 버티기 힘든 환경이 되어버린탓에, 소환권을 확보하여 고점을 높이기위해 [[링크리보]]나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로 바꾸는 방식으로 써먹거나,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로 연계하거나 퍼미션을 확보하는 용도로 쓰이고 있다. 디자인 모티브는 [[트럼펫]]. 이름의 모티브는 서양 고전 음악 형식 중 하나인 [[카논(음악)|카논]]. 성악으로 작곡된 카논도 있지만, 음악가들이 여흥거리 삼아 편지에 끄적거린 것도 많다. 디자인을 보면 대포를 뜻하는 독일어 카노네(Kanone) 역시 어원일 수 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1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1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14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레벨 3 === ==== 오르페골 스켈레촌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スケルツォ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오르페골 스켈레촌,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スケルツォン, 영어판명칭=Orcust Cymbal Skeleton,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레벨=3, 공격력=12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오르페골 스켈레촌" 이외의 자신 묘지의 "오르페골"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어둠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묘지 제외로 발동하는 효과는 다른 오르페골 소생. 다른 카드와 달리 묘지의 링크 몬스터도 퍼올 수 있기에 상위 링크 몬스터의 소재로 쓴 링크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등, 링크 상태가 중요한 오르페골 링크 몬스터의 필드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다. 다만 발동시에 대상을 취하므로 [[무덤의 지명자]] 등 묘지 견제 효과에 막힐 수 있다. 다른 오르페골 몬스터들과는 다르게 덱 구성 부분에서 취향에 따라 나뉜다, 기교사의 제외 디메리트로 스켈레촌이 갈릴까봐 걱정되는 사람들은 2장을 채용하지만 오히려 2장을 넣으면 패말림이 심해진다는 이유로 1장을 넣는 사람들도 있다. 디자인 모티브는 [[드럼]]. 이름의 모티브는 역시 클래식 악곡 형식인 [[스케르초]]를 비틀어 [[스켈레톤]]과 합친 것이다. 스케르초란 말 자체는 해학, 희롱 등의 뜻을 지닌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1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1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15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12 || OP12-EN007 || [[슈퍼 레어]] || 미국 || || === 레벨 4 === ==== 오르페골 디베르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ディヴェ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오르페골 디베르,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ディヴェル, 영어판명칭=Orcust Harp Horror,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레벨=4, 공격력=1700, 수비력=1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오르페골 디베르" 이외의 "오르페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어둠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금지 카드, 듀얼링크스=제한됨 3)] 묘지 제외로 발동하는 효과는 리크루트. 전개에 있어 덱 특수 소환이 얼마나 우수한진 두말하면 잔소리. 이 카드가 금지가는 날이면 오르페골은 덱에서 카드뭉치로 떡락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를 맞는 건 주의. 이 카드 1장으로도 징하게 우려먹는 오르페골이라서, 오르페골 파츠는 어떻게든 디베르를 묘지로 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디자인 모티브는 [[하프]]. 이름의 모티브는 18세기 클래식 음악 장르 중 하나인 디베르티멘토(divertimento)로, '즐겁게'란 뜻을 지닌 diverire에서 따온 만큼 밝고 즐거운 분위기의 소규모 합주곡을 주로 일컫는다. [[가고일]] 모습을 한 몬스터란 점에서, [[데블]](Devil)의 애너그램도 의도한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오르페골의 장기 집권으로 인해 리크루터인 이 카드가 OCG에서 갈라테아와 함께 2020년 1월에 준제한, 2020년 4월에 제한이 되었다. 이후 메타가 한참 지난 2022년 4월, 2년 만에 준제한으로 간신히 내려왔다. 이후 지속되는 오르페골의 약세로, 2022년 7월 금제부터 무제한 카드가 된다. TCG에선 2020년 1월 20일에 금지되었다. 마듀도 3월 금제로 무제한으로 풀렸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1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1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16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11 || OP11-EN007 || [[슈퍼 레어]] || 미국 || || ====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 ==== [[이터니티 코드]]에서 추가된 오르페골의 신흥 중심축 카드. 이 카드가 등장해서 오르페골의 초동이 엄청 쉬워졌다. 문서 참고. === 레벨 7 === ==== [[오르페골 트로이메어]]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8 === ==== [[시오르페골 딩기르수]] ==== == 링크 몬스터 == 링크 몬스터들은 공통적으로 "오르페골" 몬스터를 포함하는 효과 몬스터 2장(이상)을 소재로 요구하며, 링크 상태에서 파괴 내성을 얻는 효과와 제외된 기계족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추가 효과를 발동하는 효과를 지닌다. 하지만 링크 마커 방향이 대각선 위주라 링크 상태가 되도록 자리를 잡는 게 다소 한정적이고, 위쪽에 몰려 있어 추가 전개를 위한 자리 확보엔 부적합하다.[* 다만 트로이메어 그리폰을 제외한 [[트로이메어]]와는 달리 상호 링크일 필요는 없다. 어느 한쪽만 링크 마커가 다른 한쪽으로 향하고 있어도 양쪽 다 내성을 얻으며, 링크 마커를 받는 쪽이 링크 몬스터가 아니어도 주는 쪽은 내성을 얻는다.] 굳이 링크 상태인 상대 몬스터를 견제하는 건 [[파라디온]]이 몬스터끼리 링크시켜 공격력을 올리는 카드군이기 때문이다. 기동 효과는 코스트로 기계족 몬스터를 되돌리는 게 아니라 효과로 되돌리고 추가 효과를 발동하는 식이며, 롱기르수와 오케스트리온은 [[령수]]처럼 체인 처리 중 대상이 된 카드가 일부 사라져도 1장 이상 남아있다면 효과 처리를 계속 할 수 있단 재정이 있다. 필드 마법이 깔려 프리 체인으로 발동할 수 있다면 3장만 제외되어 있어도 효과를 연달아 발동해, 3종류의 링크 몬스터의 효과를 전부 발동할 수도 있다. 참고로 기르수의 효과로 토큰을 뽑고 바로 갈라테아를 소환하려는 뉴비들이 많은데 모든 오르페골 링크 몬스터들의 소재 조건이 오르페골을 포함하는 '''효과 몬스터'''인 점을 잊지말자. 토큰은 일반 몬스터이기 때문. 그래서 토큰을 [[링크리보]], [[링크 스파이더]] 등 다른 링크 몬스터로 바꿔야한다. === 링크 2 === ==== 오르페골 갈라테아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ガラテ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오르페골 갈라테아,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ガラテア, 영어판명칭=Galatea\, the Orcust Automaton, 속성=어둠, 레벨=2, link1=, link9=, 공격력=1800, 종족=기계족, 소재="오르페골" 몬스터를 포함하는 효과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링크 상태의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기계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덱에서 "오르페골"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할 수 있다.)]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갈라테아 메이트.jpg|width=100%]] >---- >'''평화를 소망하며 기도하는 요정.''' >'''[[성유물(유희왕)|성유물]]을 둘러싼 싸움 속에서 탄생하여, [[성잔에 이끌린 자|주인]]을 생각하는 기계인형의 의지는 재생된 별에서 새로운 생명으로 탄생하였다.''' >'''요정은 언제까지나,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별을 지키는 기사인 주인]]의 곁에.''' >---- >[[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이트(새로운 생명 -갈라테아-) 설명. 성잔신악 이브의 모습을 한 오르페골. 목엔 생전 머리끈으로 쓰던 리본이 감겨 있으며, 자신의 몸에 빙의됐던 리스를 떼어내기 위해 쓴 창궁의 잭나이츠의 검을 낫으로 개조한 채 들고 있다. 인형 같은 존재가 됐음에도 불구하고 [[엘섀도르 미도라시|기이한 미소를 짓고 있는 것]]이 특징. 이 때문에 [[섀도르]]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링크 상태에서 얻는 내성은 전투 파괴 내성. 타점이 낮은 만큼 전투로 파괴되기 쉬우니 나쁘진 않지만, 수비 표시로 못 버티는 링크 몬스터인 만큼 샌드백으로 전락할 수 있는 건 주의해야 한다. ②의 효과는 덱에서 오르페골 마법 / 함정을 자신 필드에 세트하는 효과. 패로 가져오거나 하지 않고 바로 세트하는 효과라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를 걱정할 필요도 없다. 주로 바벨, 프라임, 클리막스를 세트하게 될 것이다. 디자인 및 설정을 보면 이브를 살리려는 롱기르수의 의도와는 별개로 불길한 떡밥이 많이 암시된다. 몸통을 이룬 오르골 실린더에 새겨진 문양은 [[잭나이츠#명성의 잭나이츠|명성의 잭나이츠]]의 가슴에 있던 문양과 같으며, 성유물의 기억에 나온 연구원='''[[성잔의 요정 리스]]'''='''[[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의 머리 장식에 있는 문양과도 상당히 유사하다. 리스, 이브리스의 눈에 있던 세로줄의 문양이 갈라테아에도 있는데 단순히 기계 캐릭터들에게서 흔히 보이는 클리셰적인 디자인이기도 하지만 세로줄이 눈물처럼 보이기도 한다. 설정상 닝기르수가 이브의 몸을 만들기 위해 제작한 기계인형으로, 이브의 시체에서 감응력을 이식받았다. 닝기르수는 단순한 기계인형으로 생각하지 않고 자기 여동생을 대하듯 진심으로 대했다. 그런데 감응력을 이식받는 과정에서 스스로에게 자아가 생겼고, 구 문명의 데이터를 참조해 과거 석상이었으나 인간이 된 갈라테아를 자기 이름으로 삼았다고 한다. 하지만 리스에 의해 이브의 영혼이 소멸될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갈라테아의 자아가 이브의 영혼을 보호하고 대신 소멸했고, 그 육체에 리스의 혼이 들어가 오르페골 트로이메어가 되고 만다. 다만 이때 소멸했던 갈라테아의 자아는 이후 닝기르수가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가 되면서 되살아났다. 설정화에 따르면 머리카락은 털이 아니라 [[피규어]]처럼 부드러운 플라스틱이라고 한다. 디자인 모티브는 [[클라리넷]], 이름의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의 조각가 [[피그말리온]]이 조각하고 [[아프로디테]]가 생명을 불어넣어 사람이 된 조각상 [[갈라테아]]. 사랑하던 사람의 모습이 진짜 사람이 됐다는 설화에서 따온 이름인만큼 갈라테아 자신의 마음을 나타낸 작명이겠지만, 원전이 원전이다 보니 롱기르수에게 [[시스콘|여동생에게 욕정해]] [[리얼돌|1:1 사이즈 피규어까지 만든 위험한 오빠]]란 누명이 씌워지기도 한다. 갈라테아란 이름엔 희다는 뜻도 있어선지 시신을 연상시키는 창백한 피부도 특징. 갈라'''테아'''라는 이름과 롱기르수의 모티브가 닌우르타 신이라는 점을 보면 닌우르타의 딸이지만, 닌우르타 신은 자신을 아버지라 부르지 않았다는 우르눈'''테아'''(Urnuntaea) 또한 모티브로 보인다. OCG에서 디베르와 함께 2020년 1월에 준제한, 2020년 4월에 제한 카드가 됐다. 그리고 마듀의 선례를 따라 23년 1월에 다시 준제한으로 풀렸다. 이후 23년 4월 금제에서 무제한으로 완전히 풀리게 되었다. 마스터 듀얼에서 오르페골의 약세로 인해 12월에 준제한으로 완화되었다. 그리고 오프를 따라 23년 4월 10일자로 무제한으로 풀렸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43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43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SPECIAL PACK 20th ANNIVERSARY EDITION Vol.5 || 19SP-JP507 || [[노멀]][br][[슈퍼 레어]] || 일본 ||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4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10 || OP10-EN003 || [[얼티미트 레어]] || 미국 || || === 링크 3 === ==== 오르페골 롱기르수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ロンギル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오르페골 롱기르수,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ロンギルス, 영어판명칭=Longirsu\, the Orcust Orchestrator, 속성=어둠, 레벨=3, link3=, link7=, link8=, 공격력=2500, 종족=기계족, 소재="오르페골" 몬스터를 포함하는 효과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링크 상태의 이 카드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기계족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링크 상태의 상대 몬스터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아이콘) >'''여동생을 위해 싸웠지만, 여동생을 잃은 것으로 길을 잘못 가게 되어버린 청년이 그려진 아이콘.''' >'''그 길을 걷는 것이 정의롭지 않아도 좋아. 단 하나의 유일한 소원이니.''' > >(프로텍터) >'''여동생을 위한 마음, 자신의 모든 것을 건 청년의 모습이 디자인된 프로텍터.''' >'''고난 끝에, 한 줄기 광명을 찾아낸 당신에게.'''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액세서리 [[플레이버 텍스트]] 링크 상태에서의 내성은 효과 파괴 내성. 링크 3 몬스터로선 고타점인 만큼 이것만 있어도 든든해지지만, 역시 비파괴 효과엔 주의. 닝기르수 시절이 반영된 건지, ②의 효과는 링크 상태의 상대 몬스터 1장을 비대상으로 묘지로 보내는 효과다. 상대방 쪽으로 내주는 마커가 2개이므로 이 카드 단독으로도 어느 정도 몬스터를 저격할 수 있고, 상대가 링크 몬스터를 꺼내두고 전개했다면 이를 기반으로 그 링크 몬스터나 링크 마커를 활용해 꺼낸 몬스터를 노릴 수도 있다. 제거 효과 자체는 대응이 어려운 강력한 효과지만, 대신 되돌려야 할 기계족 몬스터가 2장이어야 하는 건 다소 무겁다. 거기에 공격 불가 디메리트까지 붙어서, 상대 턴에 기습적으로 전개를 끊는 데에 쓰는 게 더 좋을 것이다. 지휘자를 모티브로 한 모습과는 별개로, 이름은 기존의 이름에 [[롱기누스]]가 섞인 것으로 보인다. [[트로이메어]]와의 결전 이후 행방이 묘연했던 닝기르수가 이브가 없는 세계를 부정하며, 잭나이츠의 코어를 통해 세계의 진실을 알게 되어 바벨과 기계 인형(+그 과정에서 덤으로 양산된 오르페골)을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드러낸 새로운 모습이다. 트로이메어 그리폰,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 트로이메어 피닉스에게서 자소의 잭나이츠, 등영의 잭나이츠, 홍련의 잭나이츠의 코어를 회수해 각각의 상징색으로 이뤄진 창과 방패, 그리고 갑옷을 만들어 사용한다.[* 실제로 각 색이 상징하는 [[성유물(유희왕)|성유물]]은 각각 성창(보라색), 성순(주황색), 성개(빨간색)이며 관련된 카드군도 트로이메어, 잭나이츠다.] 성창, 성개, 성순의 힘으로 성장을 강제 가동시키려 했고, 그 과정에서 파라디온과 크게 충돌하게 된다. 여동생 이브의 부활을 위해 행한 이 모습을 비극적으로 부정하듯, 그토록 그리워한 여동생을 본뜬 오르페골인 갈라테아와는 상호 링크 관계가 될 수 없다.[* 덤이지만 성잔전사에서도 상호 링크는 역시 불가능하다.][*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를 사용하면 엑스트라 링크 상태가 될 수는 있다.] 스토리 상에서 갈라테아에겐 자아가 있었고, 심지어 기껏 이브의 영혼을 부활시켰더니 그 영혼과 동화되어 있던 리스가 갈라테아의 몸을 차지해 오르페골 트로이메어가 되어버린 건 이 링크 마커가 내포한 복선이었을지도 모른다. [[파일:오르페골 롱기르수 라투디.gif|width=600]]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Live 2D 연출이 적용되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44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44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br]20th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44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링크 4 === ==== 오르페골 오케스트리언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オーケストリオ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오르페골 오케스트리언,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オーケストリオン, 영어판명칭=Orcustrion, 속성=어둠, 레벨=4, link1=, link2=, link8=, link9=, 공격력=3000, 종족=기계족, 소재="오르페골" 몬스터를 포함하는 효과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링크 상태의 이 카드는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기계족 몬스터 3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상대 필드에 링크 상태의 앞면 표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그 몬스터들은 공격력 / 수비력이 0 이 되고\, 효과는 무효화된다.)] >'''소실되었을 터인 고대의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초대형 기계 병기가 그려진 아이콘.''' >'''세계를 혼란하게 만드는 불협화음은, 새로운 세계를 창조할 하모니가 될 수 있을까.'''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의 [[플레이버 텍스트]] 디자인은 [[파이프오르간]]이 모티브로, 다른 오르페골 몬스터의 일러스트에서 보이던 성당 같은 배경이 그대로 일체화된 듯한 모습에서 웅장함마저 느껴진다. 어둠 속성 기계족인 게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성스러운 느낌이 빛이 가득한 환한 배경도 한몫 거드는 기묘한 카드. 한편 앞쪽 본체의 디자인은 트럼펫 등 금관악기의 요소가 많이 있어, 카노네와의 유사성도 보인다. 링크 상태에서 얻는 내성은 전투와 효과 양쪽에 대한 파괴 내성으로, 링크 마커도 위아래로 각각 2개씩이므로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서라면 링크 상태를 유지하기도 상대적으로 쉬운 편. ②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링크 상태의 몬스터를 전부 무력화 시키는 효과로, 직접 제거하는 건 아니지만 효과도 무효화되고 공격력 / 수비력이 모두 0이 돼 말 그대로 종잇장이 된다. 하지만 되돌릴 카드는 롱기르수에서 1장 더 늘어 3장으로, 순수 오르페골이라면 도저히 가볍게 발동할 수 없는 효과. 또 링크 상태라고 해도 뒷면 표시 몬스터엔 영향을 줄 수 없으니, 리버스 효과 등이 걱정되면 롱기르수로 제거하는 게 안전하다. 이와 별개로 링크 상태의 몬스터들의 공격력으로 승부하는 [[파라디온]]을 메타치는 효과란 점에서도 두 진영의 관계를 드러내준다. 이름의 모티브는 [[오케스트라]] 같은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기계 오케스트리온. 핀이 꽂힌 실린더나 [[천공 카드]]로 연주하는, [[오르골]]의 관현악단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기계로 파이프오르간만큼은 아니지만 여타 가구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대체 뭘 하면 여동생 혼 담을 그릇을 만들다가 이게 나오는지 알 수 없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45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45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미트 레어]][br]20th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45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법 카드 == === 오르페골 바벨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バ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오르페골 바벨,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バベル, 영어판명칭=Orcustrated Babel,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원래의 카드명에 "오르페골"을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 및 자신 묘지의 몬스터가 발동하는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는 효과가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패를 1장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묘지의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1)] 10기 카드군답게 등장한 전용 필드 마법. 대다수 성유물 카드군의 필드 마법과는 달리 공격력 / 수비력을 올려주는 효과는 없지만,[* [[파라디온]]은 공격력만 500 올려주며, 오르페골과 [[트로이메어]]만이 공격력 / 수비력과 관련된 효과가 없다. 나머지 카드군의 필드 마법은 공통적으로 공격력 / 수비력을 각각 300 올린다.] 대신 이전까지의 필드 마법들과는 비교가 안 되는 강력한 지원 효과를 가졌다. ①의 효과는 오르페골 운용의 핵심으로, 원래 카드명이 오르페골을 포함하는 몬스터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를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즉시 효과|유발 즉시 효과]]로 바꿔준다. 원래 효과가 딱히 발동 조건이 없어서 바벨이 깔리는 순간부터 우선권만 넘어오면 발동 가능한 프리 체인 효과가 된다. 당연히 자신 턴에도 프리 체인으로 발동 가능하다. 명칭 턴 제약과 특수 소환 디메리트가 붙는 오르페골 특유의 경직성을 단숨에 해결하는 카드로, 단순히 메인 덱 몬스터를 통한 전개력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몬스터의 다소 무거운 효과 발동 조건 문제도 해결해준다. 상술했듯 유발 즉시 효과가 되면 동시에 체인을 쌓아 대상을 중복 지정해 실질적인 코스트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원래 카드명에 오르페골을 포함하는 카드에만''' 적용되는 효과이니 주의. [[팬텀 오브 카오스]] 같은 카드로 이름과 효과를 베껴도 그 몬스터가 발동하는 효과는 바벨 유무에 관계 없이 기동 효과로만 적용된다. 특히 오르페골 덱에 반드시 포함되는 성유물 - 성장이 적용을 못 받는다는 점은 반드시 체크할 필요가 있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에 있을 때의 대비책으로 주어진 자체 샐비지. 그만큼 이 카드가 중요한 카드란 방증이기도 하다.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엔 발동할 수 없다는 것과 제외, 바운스 등으로 제거되는 경우엔 무의미하니 주의. 일러스트엔 [[바벨탑|이름]]처럼 거대한 탑이 있다. 정황상 오르페골의 본거지로 보이며 [[성유물(유희왕)#s-2.6|성유물-『성장』]]의 일러스트를 보면 그 꼭대기에 성장이 연결되어 있다. 설정상 이 바벨은 최대한 높이 쌓아올려 우주 공간에 있는 성장을 가동시키기 위해 건설된 것이라고 한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57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57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57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10 || OP10-EN012 || [[슈퍼 레어]] || 미국 || || === 오르페골 프라임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プライ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오르페골 프라임,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プライム, 영어판명칭=Orcustrated Retur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중에서\, "오르페골" 몬스터 또는 "성유물"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무난한 패 교환 카드. 패의 오르페골이나 성장을 빠르게 묘지에 묻는 데도 쓸 수 있다. 단 성유물 카드가 아닌 성유물 몬스터를 요구하기에, 범용성 높은 성유물 마법 / 함정들을 용병으로는 써도 코스트로는 못 쓴다. 갈라테아의 효과로 세트해 발동하면 사실상 1:2 교환으로 패 아드를 +1할 수 있다. 일러스트는 닝기르수가 갈라테아를 제작하는 장면. 이브의 시신을 안치한 관을 갈라테아에 연결해 둔 모습인데, [[울트론(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울트론]]이 [[비전(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비전]]에 의식을 업로드하려던 장면을 연상케 한다. 이브가 쓰던 리본과 이브가 자결할 때 썼던 아브람의 검을 쥐고 있다. '''여동생을 로봇으로 부활시킨다'''는 정신나간 발상 때문에 성유물 스토리에서 독보적으로 자주 언급되는 카드기도 하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58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58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58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오르페골 아인자츠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アインザッツ.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오르페골 아인자츠,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アインザッツ, 영어판명칭=Orcustrated Einsatz,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오르페골" 몬스터 또는 "성유물"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묘지로 보내거나 제외한다.)] 패 / 덱에서 오르페골이나 [[성유물(유희왕)|성유물]]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거나 제외하게 해 주는 카드. 제외됐을 때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는 없기에 보통 묘지에 묻고 효과를 쓰는 방식으로 쓰겠지만, 링크 몬스터의 효과 발동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외할 수도 있긴 하다. 다만 상대의 행동에 의존해야 하는 점은 아쉽다. 아인자츠(Einsatz)는 음이 중간에 끼어드는 일, 특히 다성음악 중간에 다른 성음이 끼어드는 걸 뜻하는 음악용어다. 일러스트에서도 갈라테아에 의해 기동되는 바벨을 배경으로 오르페골과 싸우는 [[파라디온]]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왼쪽엔 성신의 파라디온이 오르페골 디벨과 싸우고 있고, 가운데엔 오르페골 스켈레촌과 카노네가 있으며, 오른쪽엔 벨스파다 파라디온이 날아가고 있고 오르페골 오케스트리언의 거대한 실루엣이 보인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5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5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59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오르페골 어택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アタッ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오르페골 어택,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アタック, 영어판명칭=Orcustrated Attack, 효과1=①: 자신 또는 상대의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자신 필드의\, "오르페골" 몬스터 또는 "성유물"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공격 선언에 발동할 수 있는 제거 카드. 다른 성유물 관련 카드군이 자주 그랬듯, 오르페골 몬스터뿐만이 아니라 성유물 몬스터도 코스트로 릴리스할 수 있다. 제거 방식도 제외라는 꽤 괜찮은 효과. 타점이 낮은 갈라테아, 전투 내성이 없는 롱기르수 등을 보호하는 데 쓸 수 있겠지만, 문제는 필드의 오르페골이나 성유물 몬스터를 릴리스해야한다는 것이다. 오르페골 자체의 전개력이 그리 높지 않음을 생각하면 꽤 무거운 효과. 또한 발동 시점도 공격 선언시라 다소 느리단 문제가 있다.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에 쓰기엔 그 전에 제거될 가능성이 높고, 자신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쓰기엔 역시 다른 효과로 먼저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거나 이미 공격한 몬스터를 소모해야 하는 등 쓸만한 상황이 제한된다. 일러스트에선 롱기르수가 방패로 천궁의 파라디온의 검을 막으며 싸우고 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7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7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7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오르페골 코어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コ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오르페골 코어,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コア, 영어판명칭=Orcustrated Core,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의 필드 / 묘지에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오르페골 코어" 이외의 자신 필드의\, "오르페골" 카드 또는 "성유물"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카드는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오르페골" 카드 또는 "성유물"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오르페골 또는 성유물 카드에 일시적인 대상 내성과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지속 함정. 대상 내성을 부여하는 ①의 효과는 코스트로 쓸 몬스터는 딱히 카드군 포함 여부를 따지지 않고 묘지에서도 고를 수 있지만 릴리스하는 어택과 달리 아예 제외해야하며, 1턴에 1번, 1장만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대신 명칭 제약이 없으며, 마법 / 함정 카드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은 소소한 장점. ②의 효과는 오르페골 / 성유물 카드가 파괴될 경우 대신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낼 수 있는 효과로, 파괴 내성이 반쪽인 갈라테아나 롱기르수를 지켜줄 수도 있다. 필드 마법인 바벨은 물론 링크 상태가 아니게 된 오르페골 링크 몬스터도 보호할 수 있으며, [[부활의 복음]]처럼 1장만 지켜준다는 말이 없기에 복수의 카드가 파괴되는 상황에서도 이 카드 1장으로 전부 보호할 수 있다. 특히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을 같이 쓸 때 [[이펙트 뵐러]] 등으로 토폴로직 폭탄이 저격당할 경우 이 카드로 어느 정도 견제를 회피할 수 있다. ①의 효과로 무효화 효과의 대상이 된 토폴로직 폭탄을 릴리스해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시키고, 이후 토폴로직 폭탄과의 링크 상태에서 벗어난 오르페골 링크 몬스터들은 ②의 효과로 보호하면서 무사히 상대 필드만 날릴 수 있다. 일러스트에선 푸른 빛을 내뿜는 갈라테아의 뒤로 바벨이 나타나고 있으며, 갈라테아의 몸통의 문양이 하늘색으로 빛나고 있고 등 뒤에도 같은 문양이 빛나고 있다. 낫으로 쓰는 창궁의 잭나이츠의 칼날도 빛나는 건 덤. 설정상 바벨이 완전히 가동돼 성유물-『성장』이 지상으로 낙하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갈라테아의 포즈나 구도가 [[엘섀도르 네피림]]과 유사해, 갈라테아≒섀도르 드립이 더 퍼지는 계기가 됐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소울 퓨전]] || SOFU-KR07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JP07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7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오르페골 릴리스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リリー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오르페골 릴리스,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リリース, 영어판명칭=Orcustrated Releas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기계족 몬스터 2장을 릴리스하고\,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상대 필드에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효과의 대상을 2장으로 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1)] 평범한 묘지 부활 카드이며, 상대 필드에 링크 몬스터가 있다면 2장을 부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성능은 애매한데, 코스트로 기계족 몬스터 2장을 릴리스해야 한다. 즉, 3:1 교환이 되고 상대 필드에 링크 몬스터가 있어도 3:2 상황이 돼 되려 자신이 손해를 본다. 부활시킬 수 있는 몬스터에 별다른 제약이 없지만, 그걸 감안해도 코스트가 굉장히 무겁다. 차라리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나 [[전선복귀]]가 더 낫다. 일러스트엔 엑스트라 덱의 [[수호룡(유희왕)|수호룡]]인 피스티, 아가페인, 엘피 그리고 갈라테아, 롱기르수가 나와 있다. 수호룡들은 바벨 발동에 의한 붕계의 결과로 탄생, 혹은 깨어난 듯.[* 오르페골 진영이 소유한 성유물이 성개, 성창, 성순인데 성개=피스티스, 성창=아가페인, 성순=엘피스로 그대로 대응한다.] 롱기르수는 오르페골 프라임에 있던 이브의 시체를 안고 있으며, 갈라테아는 명성의 잭나이츠나 붕계의 수호룡 일러스트에 보이는 문장과 유사한 걸 등에 달고 있다. 마스터즈 가이드 6에 의하면 오르페골 아인자츠→오르페골 코어로 이어지며, 성유물-성장이 지상에 낙하해 그 충격으로 수호룡들이 태어나자 롱기르수가 자신이 의도했던 대로 이브를 창성신으로 탄생시키기 위해 갈라테아에 이식된 열쇠의 힘으로 모든 수호룡들의 힘을 하나로 통합한 후, 이브의 시체를 갈라테아에게 가져가 생과 사의 힘을 이용해 그 영혼을 부활시키는 장면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리스의 함정으로, 갈라테아 안에 있던 리스의 영혼이 부활한 이브의 영혼을 소멸시키고 갈라테아를 잠식해 오르페골 트로이메어로 변모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카드명에도 말장난이 들어갔는데, 발동 조건의 릴리스 외에도 리스가 갈라테아에서 해방됨을 뜻하는 릴리스(release), 리스가 원래대로 되돌아간다는 리-리스(re-리스)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듀얼링크스에서는 오르페골의 압도적 사용률을 견제하기 위해 제한 1이 되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새비지 스트라이크]] || SAST-KR07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새비지 스트라이크|SAVAGE STRIKE]] || SAST-JP07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새비지 스트라이크|Savage Strike]] || SAST-EN07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오르페골 클리막스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クリマクス.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오르페골 클리막스,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クリマクス, 영어판명칭=Orcust Crescendo,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오르페골" 링크 몬스터가 존재하고\,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제외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의 몬스터 및 제외되어 있는 자신 몬스터 중에서\, 기계족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기계족 / 어둠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한마디로 오르페골 버전 [[샐러맨그레이트#샐러맨그레이트 로어|샐러맨그레이트 로어]]. 다른 점이라면 무효화한 카드를 제외한다는 것이다. 로어가 샐러맨그레이트의 평가를 수직상승시켰음을 상기하면 매우 강력한 효과. 다만 스스로를 코스트로 삼아 발동하는 효과 등으로 인해 대상의 장소가 변한 경우 제외까지는 적용되지 않는다. 즉 이하와 같다. >1. 황금경 엘드리치가 패의 마법카드 하나와 자신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효과를 발동한다. >2. 오르페골 클리막스가 체인되어 1.의 효과 발동을 무효로 한다. >3. 그러니 무효로 한 효과는 패에 위치했던 엘드리치의 효과였으며, 엘드리치는 이미 스스로를 코스트로 묘지에 보내져 묘지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외는 불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패 트랩 등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도 무효로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외까지는 불가능해지는 점에 주의. ②의 효과는 덱이나 제외된 어둠 속성 기계족 몬스터 1장을 패로 서치하는 효과. 여태 오르페골 카드들이 디메리트로 지녔던 효과를 맹세 효과로 바꾼 것이다. 이 효과는 스펠 스피드 2로 상대 턴에도 발동 가능하다는 재정이 있는데, 카운터 함정임에도 불구하고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에 의해 막힌다는 것만 빼면 상당히 후한 재정이다. 딩기르수와 더불어 강력한 지원으로 평가받는다. 시작부터 갈라테아를 불러내면 바로 덱에서 세트가 가능해서 초동 견제에 매우 유리한 데다, 묘지에 있으면 원하는 오르페골이나 성유물 하나를 서치해올 수 있기에 고평가를 받는다. 일러스트는 붕괴되어 가는 이드리스가 손을 뻗고, 이에 대항해 롱기르수가 땅에서 거대한 창을 만들어내는 모습이다. 마스터즈 가이드 6에 의하면 아우람 일행이 열쇠의 계승을 통한 힘의 통합을 시도하자 이를 감지한 이드리스가 일행을 공격하려 했고, 갈라테아의 의지에 응한 롱기르수가 이드리스를 막기 위해 바벨과 오르페골의 잔해로 딩기르수를 연성하는 과정이라고 한다. 이드리스의 얼굴이 붕괴되어 가는 건 유스티아가 이드리스에게 흡수된 이브의 시체를 탈환함으로써 열쇠의 힘을 잃은 탓에 힘을 통제할 수 없게 됐기 때문. 이름의 클리막스는 [[클라이맥스]]의 독일어. 영어판에선 [[셈여림|크레센도]]가 됐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다크 네오스톰]] || DANE-KR074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다크 네오스톰|DARK NEOSTORM]] || DANE-JP074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다크 네오스톰|Dark Neostorm]] || DANE-EN074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 현재의 오르페골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섬도축을 채용해서 안정성을 보강하느냐, 혹은 스크랩축을 채용해서 극단적으로 달리느냐이다. 현재는 섬도축에서 인게이지, 호넷비트 등의 극소수만 채용한 순수축이 정석으로 평가받는다. *'''[[성유물(유희왕)|성유물]]''' 일단 몬스터들은 전부 오르페골처럼 어둠 속성 / 기계족이므로 메인 덱 몬스터의 효과 발동 후에도 문제 없이 특수 소환이 가능하며, 전반적으로 카드군 자체가 링크 소환 테마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중심으로 이뤄져 있다. 특히 성장은 아예 텍스트에 오르페골이 적혀있을 정도로 직접적인 서포트를 도와주며 제약을 공유하고, 소생 카드인 성유물을 잇는 자, 서치와 덤핑을 겸하는 성유물의 성존 등 오르페골과 궁합이 잘 맞는 카드들도 있다. *[[종말의 기사]], [[매스매티션]], [[다크 그레퍼]], '''[[스크랩 리사이클러]]''' 핵심 덤핑 카드. 그 중에서도 다크 그레퍼는 패에 잡힌 오르페골 트로이메어 등 고레벨 어둠 속성 몬스터를 버리고 자체 특소 or 덤핑이 가능하기에 패 말림 요소를 줄여준다. 특히 스크랩 리사이클러는 스크랩축 오르페골에서 핵심을 담당한다. 종말의 기사와 다크 그래퍼는 [[증원(유희왕)|증원]]이 먹힌다는 소소한 장점도 있다. *'''[[스크랩(유희왕)|스크랩]]''' 스크랩 리사이클러가 현재 자주 쓰이고, 이를 보조하기 위해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에서 나온 스크랩 랩터와 스크랩 골렘, 스크랩 와이반까지 함께 투입된다. 스크랩 랩터는 오르페골의 초동을 원활하게 진행시켜주고, 스크랩 골렘, 스크랩 와이반으로 스크랩 리사이클러를 사골까지 우려먹으면서 오르페골의 전개 파츠를 모으는 것이 핵심. 스크랩 랩터 하나만 잡히면 전개가 미친듯이 풀리기 때문에 오죽하면 랩터를 잡기 위해 스크랩 에리어는 기본, 심지어 [[화석조사]]까지 구겨넣기까지 한다. 위의 3가지 축 중에서 전개의 완성됐을 때의 파워는 이쪽이 단연 압도적이다. 다만 이렇다보니 필요한 카드가 많아서 덱이 40장은 그냥 넘어가는 상황이 매우 흔하고, 이로 인해서 패말림이 발생활 확률이 제법 높다. 또한 패트랩 한 두개를 초동에 제대로 맞으면 그대로 정지당하기 때문에 안정성은 보장받지 못한다. *[[제트 싱크론]], [[환상수기|환상수기 오라이온]] 스크랩 계통으로 운용할 때 같이 운용한다. 리사이클러로 덤핑해서 이들의 자체 효과로 묘지에서 끄집어 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특히 제트 싱크론은 패 1장을 버려야 나오는데, 이를 역이용해서 패에 들어온 처치 곤란한 오르페골 몬스터를 묘지로 버리는 용도로 써도 좋다. 다만 오라이온은 토큰으로 나온다. 보통은 스크랩 와이반이나 성건사 리이브를 만드는데 사라지지만 잘만 이용하면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같은 퍼미션용 싱크로 몬스터 등을 채용해볼 수도 있다. 스크랩 오르페골 초동 전개의 부속품 정도로만 써도 충분히 제 몫은 하는 카드들. *'''[[성건사 리이브]]''' 성유물 카드군 버전 갈라테아로 드라군을 잃어 결정력이 약해진 오르페골에게 비대상 바운스로 결정력을 높여줄 수 있다. 강력하지 않은 부분이 없지만 오르페골 마함은 성유물 명칭이 붙어있지 않아서 유연성은 떨어지는 편이며[* 보통 페골에서 리이브로 깔아두는 마함은 성유물을 잇는 자 단 하나로 고정되는 수준이다.] 리이브는 빛속성이기 때문에 오르페골 특유의 어둠 속성 제한 디메리트를 안 받은 상태에서 성장을 묻어두는 컨트롤이 필요하다. 일단 정석 페골에선 오르페골 효과를 안 쓴채로 리이브를 띄울 전개력이 안나오기 때문에 스크랩 축에서 밖에 쓰지 못하며, 그 스크랩 축도 거의 사장된 지금의 페골에서는 보기 힘든 카드가 되었다. *'''[[섬도희]]''' 오르페골의 또 다른 파트너, 인게이지로 호넷비트를 퍼와서 카가리를 소환, 이것으로 추가 전개를 이어나가는 방식이다.[* 카가리와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로 [[유니온 캐리어]]를 소환한 다음 유니온 캐리어의 효과로 섬도희 토큰을 지정하면 오르페골 몬스터라면 뭐든 장착시킬 수 있으며 섬도희 토큰으로 [[링크리보]]를 소환하면 장착된 오르페골 몬스터가 예쁘게 묘지로 보내진다. 또는 카가리로 카이나를 링크 소환하여 [[증식의 G]]와 함께 유니온 캐리어를 소환하는 식으로 해도 된다.] 아무래도 인게이지하고 호넷비트만으로 총 3장에 취향따라 위도우 앵커 1~2장만 넣으면 되니 스크랩에 비해서 덱 구성이 상당히 널널해지고, 리스크도 그만큼 적다. 단점이라면 풀 전개의 완성도는 아무래도 스크랩에 비해서 밀리는 점. 그래도 필요한 구성은 모두 갖춰놓을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이 쪽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보통 입상덱 라인에선 전개의 고점이 낮아도 안정성이 높은 쪽을 고평가하기 때문에 평가는 스크랩 축보다 높다. *[[팬텀 나이츠]] 팬텀 나이츠 러스티 바르디시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 러스티 바르디시 때문에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은 포기하지만 포그 블레이드의 몬스터 효과 무효와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을 활용할 수 있다. 딩기르수를 러스티 바르디시와 연계해 상대 턴에 [[RUM-팬텀 나이츠 라운치]]를 발동, 기습적으로 V.F.D.를 뽑는 방안도 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딩기르수의 소재를 보존해 파괴 내성을 챙기는 한편, 2포그블로보다 느슨한 견제에 더 중점을 두게 되면서 라운치 투입형은 많이 줄어들었다. 2019년 7월 금제 이후엔 패 말림의 요소 때문에 채용률이 많이 줄어들었다. *[[토폴로직]] 딩기르수와 클리막스 지원 전까진 사실상 유일한 호흡기에서, 지금까지도 조커 패로 훌륭한 카드들. 딩기르수 지원 전까진 링크 마커 앞에 있지 않은 몬스터를 치울 수단이 없어서 울며 겨자 먹기로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을 쓸 수밖에 없었다. 사정이 많이 나아진 지금도 마스카레나의 효과로 기습적으로 튀어나오는 폭탄/제로보로스는 전개 방해용으로 훌륭하다. 취향에 따라선 투리스바에나를 채용하는 사람도 종종 보인다. 2020년 10월 금제 기준으로 엘드리치같은 소위 함떡덱이 많아서 투리스바에나를 채용하는 것으로 카운터를 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에는 오르페골도 각종 카운터 함정과 오르페골 바벨을 사용하는 중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아이:피 마스카레나]]''' 어둠 속성이라 전개에 방해받지 않고, 오르페골 바벨 덕에 상대 턴에도 마음대로 효과를 쓰는 오르페골 덱 특성상, 상대 턴에 링크 소환하게 해주는 마스카레나는 상대 턴을 내 턴처럼 쓰게 해준다. 위에 오르페골 바벨에도 언급되어 있듯 선공을 잡으면 대부분 마스카레나로 끝나기 때문에 사실상 필수 카드 취급받는다. 위에서 상술한 토폴로직 시리즈를 소환할 때 사용하거나, [[트로이메어]] 유니콘과 오르페골 롱기르수로 상대를 방해할 수 있다.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 마스카레나와 연계 콤보를 통해서 상대 턴에 상대의 주요 몬스터 하나를 파괴수마냥 잡아먹고 소환할 수 있다. 소환과 동시에 상대 필드의 몬스터 효과가 모조리 먹통이 나는 것과 묘지 특수 소환 견제는 덤. 소재 조달은 오르페골 바벨을 이용해 오르페골 몬스터 효과를 이용하거나, 기교사-오로치트론 등을 이용하면 되며, 이렇게 한 턴을 넘긴 후 돌아오는 자신의 턴에 5스택 [[액세스코드 토커]]로 마무리를 짓는 것이 베스트. 다만 사로스는 빛 속성이라 소환 전에 오르페골 몬스터 효과를 써 버리면 그 턴에 어둠 속성만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디메리트가 걸리는데다, 순수 축의 경우는 전개를 해도 소재 숫자가 좀 아슬아슬해서 소환하기 쉽지 않다. 그리고 견제 용도는 트로이메어 유니콘과 스켈레촌으로 튀어나오는 오르페골 롱기르수가 담당하고 있기도 해서 상대 턴 견제용으론 전개력이 좋은 스크랩축이 아니면 좀 써먹기 애매하다. 그래서 보통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같은 답 없는 완전 내성 몬스터가 튀어나왔을 때 처리 요원으로 쓰인다. *[[액세스코드 토커]] 만인의 죽창. 오르페골 덱에서도 활용 방법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어둠 속성이기 때문에 디메리트에도 걸리지 않으며, 롱기르수나 트로이메어 유니콘이 자주 나오는 만큼 킬각에 필요한 타점은 충분히 나온다. 다만 덱 특성상 파괴 효과를 여러 번 쓰기는 힘들다는 게 살짝 아쉬운 점. 볼 일은 드물긴 하지만 위의 사로스와 연계하면 7300이라는 무지막지한 공격력을 갖고 튀어나올 수 있다. 그래도 못해도 롱기르수만 거쳐도 5300이고, 딩기르수가 밥 먹듯 나오다 보니 킬각은 충분히 나온다. *[[브루트엔포서]] 어둠 속성의 조건부 제거 효과를 지닌 저링크 몬스터로 상대 패가 말랐을 때 소환하여 돌파구를 만들 수 있다. 드물긴 하지만 묘지와 제외 존이 견제로 인해 새로 세팅해야 할 때도 링크 2란 점이 소소하게 도움이 된다. *[[기교사-오로치트론]] 어둠 속성 기계족이라 오르페골 트로이메어의 효과로 묘지에 묻을 수도 있고, 상대 턴에도 특수 소환할 수 있어서 자주 쓰인다. ②의 효과로 손쉽게 상대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다. 보통 마스카레나로 띄운 [[토폴로직 제로보로스]]와 함께 쓰여 높은 타점을 이끌어낸다.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레이더즈 나이트]] 오르페골의 부족한 타점을 보완해 기습 원턴킬을 노릴 수 있다. 레이더즈 윙을 채용하거나 디베르를 적극적으로 부활시키면 어렵지 않게 나온다. *'''[[호루스(유희왕)]]''' 임셰티나 왕의 관으로 패를 유동적으로 버릴 수 있고, 개체수도 쉽게 늘어나며, 8축을 세워서 견제력까지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임셰티 이외의 몬스터는 모두 어둠속성 이외의 몬스터이기에 오르페골의 어둠속성 특수소환 제약을 생각하며 플레이 해야한다.테마 특성상 패 소모가 심하고 패트랩을 잘 밟기에 [[삼전의 재]]를 통한 드로우를 노리는 것도 나쁘지 않은 플랜. *'''[[죄보]]''' 상술한 호루스와 마찬가지로 [[흑마녀 디아벨스타]]를 통해서 패를 유동적으로 버릴 수 있다. 또한, 배신의 죄보-실비아를 서치하여 퍼미션 확보까지 가능한건 덤. 이외에도 덱에서 [[제트 싱크론]]을 꺼내서 레벨 7인 디아벨스타와 싱크로하여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까지 연결 가능하다. 다만 이는10월 금제에서 카오스 룰러가 금지를 가며 불가능한 플랜이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능동적으로 패를 버릴 수 있다는 점과 실비아를 통한 퍼미션 확보 등등의 이유로 채용하기도 한다. *~~[[배너티 스페이스]]~~ 특수 소환 방해용 카드. 자신도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단 디메리트 때문에 가끔 문제가 생기는 일도 있지만, 오르페골 특성상 파괴할 타이밍을 조정하는 건 일도 아니라서 여기에 발목잡힐 일은 드물고, 딩기르수를 통해 파괴 방지가 가능하단 장점도 있다. 2022년 7월경 금지가 되었기 때문에 쓸 수 없게 되었다. == 관련 문서 == *[[성유물(유희왕)]] *[[성잔]] *[[수호룡]] *[[잭나이츠]] *[[크롤러(유희왕)]] *[[트로이메어]] *[[파라디온]]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