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L 벤피카/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0000 0%, #FF0000 30%, #FF0000 70%, #AA0000);" {{{#ffffff '''오르쿤 쾨크취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51000 50%, #ffffff 50%);" '''{{{#!html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주장}}}'''}}} || || [[옌스 토른스트라]][br]{{{-1 (2021~2022) }}} || {{{+1 {{{#a29061 ▶ }}} }}} || '''{{{#a29061 오르쿤 쾨크취[br]{{{-1 (2022~2023)}}}}}}''' || {{{+1 {{{#a29061 ▶ }}} }}} || [[게르노트 트라우너]][br]{{{-1 (2023~)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0000 0%, #FF0000 30%, #FF0000 70%, #AA0000);" {{{#ffffff '''오르쿤 쾨크취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에레디비시|[[파일:에레디비시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2e62; font-size: 0.9em" [[에레디비시|{{{#ffffff '''2022-23 에레디비시 올해의 선수'''}}}]]}}}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축신Kokcu2324.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30000 0%, #960000)" '''{{{#!html SL 벤피카 No. 10}}}'''}}} || ||<-3> '''{{{#000,#fff {{{+1 오르쿤 쾨크취}}}[br]Orkun Kökçü}}}''' || ||<-2><|2> {{{#fff '''출생'''}}} ||[[2000년]] [[12월 29일]] {{{-1 ([age(2000-12-29)]세)}}} || ||{{{-1 [[네덜란드]] [[노르트홀란트|노르트홀란트주]] [[하를럼]]}}} || ||<-2>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2> {{{#fff '''신체'''}}} ||[[키(신체)|키]] 175cm / [[체중]] 70kg || ||<-2> {{{#fff '''포지션'''}}}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 ||<|2> {{{#ffffff '''소속'''}}} || {{{#ffffff '''유스'''}}} ||IJV 스토름포겔스 ( ~2011)[br][[FC 흐로닝언]] (2014~2006)[br][[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14~2018) || || {{{#fff '''선수'''}}}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18~2023)''' [br][[SL 벤피카]] (2023~) || ||<-2> {{{#ffffff '''국가대표'''}}} ||24경기 2골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 2020~ )^^ || ||<-2> {{{#fff '''SNS'''}}} ||[[https://www.instagram.com/orkunkokc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rkunKokcu, 크기=28)]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fff '''등번호''' }}}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 19번, 22번 [br]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10번''' || ||<-2> {{{#fff '''주발'''}}} ||오른발 (양발)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덜란드]] 출신 튀르키예의 축구선수로 현 소속팀은 [[SL 벤피카]]이다. == 클럽 경력 ==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의 엘리트 과정을 밟고 올라와 18/19 시즌 데뷔했다. 이 시즌때 11경기 3골 4도움을 기록했다. 19/20 시즌은 27경기 2골 6도움을 기록하며 좀 더 주전경쟁에서 입지가 트인 모습이다. 20/21 시즌은 28경기 4골 2도움으로 저번 시즌보다 안좋은 모습을 보였다. ==== 2021-22 시즌 ==== 이번 시즌 유로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주전 가능성이 높아졌고 예상대로 되었다. 2R 고 어헤드 이글스전을 시작으로 계속해서 선발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조별예선 E조 1라운드 마카비 하이파전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였다. ==== 2022-23 시즌 ==== 2023년 1월, [[SL 벤피카]]가 [[엔소 페르난데스]]의 이적에 대비해 영입 리스트로 이름을 올려뒀다고 한다. 2022/2022-23 시즌 유로파리그 16강전 2차전에서 우크라이나의 강호 [[샤흐타르 도네츠크]]를 상대로 주전 공격형 미드필더로 출전하여 주장 완장을 꼈다. 그리고 쾨크취는 멀티골을 기록하며 팀의 7:1 대승을 이끌었다. 22-23 시즌, 주전 미드필더로 출전하고 있고 쾨크취는 8골 1도움으로 팀내에서 공격포인트 5위를 기록하고 있다. [* 1위는 8골 3도움으로 [[다닐루]], 2위는 7골 4도움으로 [[세바스티안 시만스키]], 3위는 5골 5도움으로 [[자바이로 딜로순]],4위는 4골 6도움으로 [[알리레자 자한바크시]]이다.] 이번 시즌 이후 빅리그 진출이 유력하다고 한다. 링크되고 있는 구단은 [[에릭 텐하흐]]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또한 4월엔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울버햄튼 원더러스]]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4월 29일 기준 42경기 12골 6도움으로 여전히 리그 베스트급의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2023년 5월, [[아스톤 빌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예상 이적료는 €40M. 2023년 5월 15일 에레디비시 우승을 달성했다. 이후 [[리버풀 FC]]와도 링크가 뜨고 있다. 예상 이적료는 €50M. 5월 23일 보도에 따르면 토트넘의 감독으로 부임이 유력한 [[아르네 슬롯]] 감독이 쾨크취를 토트넘으로 영입시킬것이리고 한다. 토트넘 입장에선 플레이메이커가 필요했던 상황이라 중대한 영입이 될 것이다. 이적료는 600억가량. [[이브 비수마]]와 [[올리버 스킵]]등을 밀어내고 주전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그러나 [[아르네 슬롯]] 감독이 토트넘 감독직을 거절하고 [[페예노르트 로테르담]]과 재계약을 하면서 사실상 영입을 안할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6월에는 리버풀이 쾨크취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6월 8일 벤피카가 쾨크치를 원한다는 기사가 나왔고 곳이어 로마노의 here we go가 뜨면서 벤피카 이적이 유력해졌고, 6월 10일자로 던 딜이 뜨며 이적이 확정되었다. 벤피카 이적시 책정되는 바이아웃은 €150M. === [[SL 벤피카]] === 6월 10일, [[SL 벤피카]] 구단의 쾨크취 영입 공식 발표가 나왔다. 이적료는 €25+5M에 페예노르트에 돌아가는 셀온 조항 25%가 포함되어 있으며, 바이아웃 금액은 €150M이며 5년 계약. == 국가대표 경력 == U-19대표팀까진 [[네덜란드]] 대표팀에 승선했으나 U-21팀부터 [[튀르키예]] 대표팀에 승선중이다. == 플레이 스타일 == 쾨크취는 공을 잘 다루는 미드필더로 페예노르트의 경기를 보면 그의 볼 터치나 컨트롤과 테크닉이 두드러진다. 온더볼 상황에서 자신의 기술을 바탕으로 압박을 벗겨낸 후 템포를 조율하거나 공격을 전개한다. 양질의 패스를 뿌리는 데 능한 플레이메이커 유형의 미드필더로, 특히 넓은 시야와 센스 넘치는 패스 타이밍을 바탕으로 전방 혹은 측면으로 한 번에 뿌려주는 롱패스가 위협적이다. 킥력이 좋은 선수로, 페예노르트에서 세트피스를 전담할 정도로 정확도와 파워를 모두 갖춘 킥을 구사한다.[* 2022-23 시즌에는 8골 1도움으로 공격 조율 보다는 자신이 많이 해결하고 있고 8골중 대부분이 페널티킥으로 기록했다.] 게다가, 오른발 왼발을 가리지 않는 양발잡이라는 점 덕분에 공격의 전개 속도가 빠르고 망설임이 없다. 이러한 온더볼 플레이에서의 장점을 바탕으로 팀원들을 지휘하고 경기를 풀어내는 플레이메이커다. 쾨크취는 중원에서 많이 뛰어다니는 미드필더로 페예노르트에서는 후방에서 3백 중앙으로 이동하는 라볼피아나 형태로 만들고 빌드업을 전개한 후에는 박스 안으로 침투도 시도하는 등 상당히 넓은 활동 반경을 보여준다. 게다가 이를 매경기 소화할 정도로 체력과 오프 더 볼 움직임이 매우 좋은 선수다. 다만, 좋은 발기술과는 별개로 운동능력이나 피지컬이 좋은 편이 아니라 주력이나 피지컬을 이용한 경합 상황에 고전하는 편이다. 또한 공미로 출전했을 때 키패스를 통한 어시스트나 공격 조율에는 능하나, 직접 득점력은 아쉬운 편. 그리고 수비력도 아쉬운 선수이기에 짝으로 수비력이 좋고 활동량을 많이 가져가는 미드필더와의 궁합이 좋은 편이다.[* 페예노르트에서는 [[마츠 위버]]가 이 역할을 소화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2018~2023) * [[에레디비시]]: 2022-23 * [[요한 크루이프 스할]]: 2018 * [[SL 벤피카]] (2023~) * [[수페르타사 칸디두 드 올리베이라]]: 2023 === 개인 수상 === * [[에레디비시]] 올해의 선수: 2022–23 * [[에레디비시]] 이 달의 재능: 2019년 12월, 2021년 3월 * [[에레디비시]] 이 달의 선수: 2022년 1월ㆍ2월, 2023년 4월 == 여담 == * 발음이 정말 어려운 선수 중 하나다. 쾨크취, 코쿠, 콕쿠, 콕츄(..)등 별의별 표기가 난무한다. 일단 표기법 상 발음은 '쾨크취'가 맞다. [* 터키 선수들은 발음이 어려운 선수들이 꽤 있다. 대표적인 예로 [[찰라르 쇠윈쥐]], [[케렘 아크튀르크올루]] 등이 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SL 벤피카)] [include(틀: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분류:2000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하를럼 출신 인물]][[분류:네덜란드계 튀르키예인]][[분류:튀르키예의 축구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은퇴, 이적]][[분류:SL 벤피카/현역]][[분류:튀르키예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