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f0000><:>'''{{{#ffffff 오라스콤 텔레콤}}}'''[br]{{{#ffffff أوراسكوم للاتصالات[br]Orascom Telecom}}} || ||||<:>[[파일:attachment/오라스콤텔레콤/로고.jpg]] [br] || ||형태 ||주식회사 || ||국가 ||[[이집트]] || ||본사 ||[[이집트]] [[카이로]] || ||사업 지역 ||이집트 전역 || ||제품 ||5세대 NR/4세대 LTE/3세대 이동통신/2세대 GSM || ||핵심 인물 ||[[나셰프 사위리스]] (회장)[* 잉글랜드 축구 구단 [[아스톤 빌라 FC]]의 구단주다.] || ||웹사이트 ||[[http://www.orascomtelecom.com/|공식 홈페이지]]|| [목차] ||||<:>오라스콤 그룹 이동통신 사업부문|| ||<:>'''오라스콤텔레콤''' ||<:>[[고려링크]] || [clearfix] == 개요 == [[이집트]] [[카이로]]에 본사를 둔 오라스콤 그룹 소유의 이집트 통신회사. == 상세 == 이 회사는 사실상 이집트판 [[SK텔레콤]]으로 봐야하는 회사. 처음에는 2세대 [[GSM]] 방식의 이동통신 사업을 진행하였는데, 최근에는 3세대/4세대까지 들어서면서 어느 정도 나름 이집트내에서 이동통신 영업 수요가 있는 듯. 오라스콤 텔레콤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이동통신 영업을 현재 진행하고 있다. 오라스콤 텔레콤의 합자회사로는 [[북한]] [[평양]]에 본사를 둔 북한의 단독 이동통신 업체인 [[고려링크]]가 있었으나, 수익의 해외 반출 금지조치 및 2012년 독점계약 만료에 따라 북한 당국이 최근 독자적인 통신회사 '[[별(북한 통신회사)|별]]'과 [[강성네트망]]을 출범시키면서 [[http://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16010400212|더 이상의 북한 내 사업 진행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단 2015년 현재는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고려링크]]와의 관계 == 오라스콤은 4년 동안 4억 달러를 투자하는 조건으로 [[북한]]의 이동통신 사업권을 따냈다. 2008년 오라스콤이 전체 지분의 75%, [[북한]] 체신성이 전체 지분의 25%를 투자하여 [[고려링크]]를 설립했고 [[북한]] 내에서 이동통신 사업을 시작했다. 2009년 나기브 사위리스 회장은 이동통신 영업을 비롯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공로를 인정받아 [[북한]] 당국으로 부터 훈장도 받았다. 그러나 2014년 4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배당금을 받아가려 했는데, 오라스콤과 북한 정부가 주장하는 계산방식의 차이로 결국 투자금을 받아가는 것을 포기하고 오라스콤은 투자를 중지했다.[[http://www.voakorea.com/content/article/1791135.html|기사]][[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media_in_out/nkmediaanalysis-10152014132349.html|기사]] 자세한 내용은 [[고려링크]] 항목의 '오라스콤과의 갈등' 항목 참고. == 여담 == * 회사 로고가 호주 [[텔스트라]]의 로고와 비슷하다. * 더불어 이 회사가 투자한 곳이 바로 북한에 있는 [[류경호텔]]. * 사위리스 회장은 [[아스톤 빌라 FC]]의 구단주를 맡고 있다. [[분류:통신회사]][[분류:이집트의 기업]][[분류: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