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cf1020>'''[[오늘의 우리만화상|{{{#white 역대 오늘의 우리 만화상 수상 목록}}}]]'''||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0ff>-||<|2><:>{{{+1 → }}}||<:><#0000ff> '''[[1999년|{{{#white 1999년}}}]]'''||<|2><:>{{{+1 → }}}||<:><#0000ff> '''[[2000년|{{{#white 2000년}}}]]'''|| ||<:> -[* 오늘의 우리만화상 시상은 1999년에 시작됐다.] ||<:> '''오디션'''[br][[레드문]][br]This[br][[내 파란 세이버]][br][[남자 이야기]][br][[바람의 나라]][br][[야후(만화)|야후]][br]Short story||<:> 디거[br]와일드 업[br][[니나잘해]][br]프린세스 안나[br][[힙합(만화)|힙합]][br]또디 ||}}} || ||<-2>
{{{#373a3c,#dddddd '''{{{+1 오디션}}}'''[br]AUDITI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1.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s-4]], [[성장물|성장]] || || '''작가''' ||[[천계영]] || || '''연재처''' ||[[윙크]] || || '''출판사''' ||[[서울미디어코믹스]] || || '''연재 기간''' ||1997. ~ 2003. || || '''단행본 권수''' ||10권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디션]]을 주제로 한 [[드라마#s-4]]. 작가는 [[천계영]]. == 줄거리 == >어느 거대 음반회사 회장이 죽었는데, 그는 외동딸 [[송명자]]에게 유산을 물려주는 조건으로 자신이 만났던 네 명의 천재소년을 모아 밴드를 구성해 토너먼트식 오디션에서 우승시키라는 유언을 남긴다. >[[송명자]]는 고등학교 시절 동창이자 현직 탐정인 [[박부옥]]에게 부탁해 그 네 명을 모으고, [[재활용 밴드]]라는 이름을 짓고 오디션에 도전한다. >---- >- 소개 >한국 청소년의 심리를 가장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한국 성인 한 사람을 대라면? 천계영씨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그녀의 만화는 단순한 웃음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렇다고 심각한 것도 아니다. '오디션'의 경우엔 특히 더 그렇다. >가수로서의 성공을 간절히 바라는 나름대로(?) 불우한(?) 환경 속의 아이들의 모습이 바로 나, 우리 친구들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 >- 출판사 소개 == 발매 현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5.jpg|width=100%]]}}} || ||<#ddd> '''1권''' ||<#ddd> '''2권''' ||<#ddd> '''3권''' ||<#ddd> '''4권''' ||<#ddd> '''5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8.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0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션10.jpg|width=100%]]}}} || ||<#ddd> '''6권''' ||<#ddd> '''7권''' ||<#ddd> '''8권''' ||<#ddd> '''9권''' ||<#ddd> '''10권''' || 윙크에서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연재되었다. 2011년 2월 초, 개정판이 나왔다. 초판과는 거의 차이없이 약간의 [[오타]]와 [[오류]]가 수정되었고 인쇄질이 향상되었다. == 특징 == [[캐릭터]] [[개성]]을 확실하게 살리면서 [[음악]]과 관련된 요소만 아니라 [[과학]]적인 것, [[교훈]]적인 내용 등을 적절하게 섞어넣은 [[성장물]]로, 기존의 천계영 작품과 [[순정만화]] 팬을 모으면서도 스테이지마다 [[라이벌]]과 대결하는 [[소년 만화]]적인 전개로 남성 독자도 끌어들여 호평을 얻은 작품이다. 다만 [[그림체]]는 전형적인 순정만화 그림체 대비 선이 굵고 당시 도입된 지 초기인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눈에 익숙하지 않으면 다소 거부감이 있을 수 있고, 내용상으로도 좀 거칠거나 선정적인 부분이 다소 있어 [[만화책]]에서는 수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달봉이 류미끼에게 [[피어싱]]을 보여주는 장면은 원래는 [[고추]]에다가(...) 한 걸 보여주는 장면인데 글자만 [[배꼽]]으로 바꿔놨다.] 등장인물의 [[이름]]을 괴상하게 짓는 [[천계영]]답게 [[갭 모에]]를 노린 건지 여기 역시 등장인물의 이름이 매우 특이하다. 참고로 [[슈퍼스타 K]]가 나오기 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음악 오디션'을 소재로 한 작품이기도 하다. 초기 슈스케 [[PD]]도 이 작품을 보고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이 만화의 오디션은 [[토너먼트]] 형식이며 방송은 커녕 오디션 진행 중에는 [[공연]] [[정보]] 유출을 철저히 막았다는 것.[* 그 때문에 박부옥은 [[환풍구]]로 숨어 들기까지 해가며 다른 팀의 정보를 모아야 했으며, 그마저도 결승전에서는 더욱 철저하게 보안이 강화되어 천사표 밴드의 공연은 녹화하지 못했다.] 다만 실제 '업계'의 냉정한 면, 더러운 면은 그리 크게 반영되어 있지 않으며[* 이를 테면 소위 '[[스폰서]]'와의 관계 등.] 작가가 내린 결론은 지나치게 [[이상주의]]적이라는 평도 있다. 다만 작품의 방향성, 주제 의식을 볼 때 이는 의도적이라고 생각된다. 해당 만화는 논픽션 [[다큐멘터리]]가 아니라 [[청소년]] 독자를 염두에 둔 만화이기 때문. 정말 비뚤어지게 본다면 [[아티스트]]가 한 팀 밖에 없고 [[자본]]도 인력도 [[인맥]]도 거의 없는 신생기획사는 일을 잡기 극히 어려울 터이며, [[방송국]] 시설이 열악해 [[라이브]]가 힘들어서 [[발라드]] [[가수]]에게도 [[립싱크]]를 강요하곤 하던 90년대 환경에서 재활용 밴드는 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도 그 실력을 보이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이들은 락 밴드지만 90년대 후반은 [[댄스 음악]] [[전성기]]이기도 하다. 당장 작가의 전작이자 첫 연재물이 [[힙합]]에 [[취미]]가 있는 소년과의 [[연애물]]이며 본작에서도 [[갱스터]] [[랩]], 댄스그룹 등이 많이 나온다. 당대에 소위 대중적으로 성공한 밴드로는 [[자우림]] 등, 스타성 있는 [[메인보컬]]을 전면으로 내세웠던 소수에 불과하며 세션이나 [[장르]] 등은 소수 [[매니아]]나 따지는 부분이다. 물론 만화를 현실적으로 따질 이유는 전혀 없으며, 무엇보다도 이런 것도 다 추측의 영역이지 실제로 가능했을지 어떨지는 알 수 없다. 또한 애초 설정도 방송 음악계와 동떨어진 비밀 오디션이 배경이며, 단적인 예로 작 중 많은 그룹이 기상천외한 [[스킬]]을 가지고 등장하며 재활용 밴드의 라이벌 천사표 밴드는 정식 데뷔도 하기 전의 무대에서 '''사람들이 실신하고 다른 음악에 반응을 못 보일 정도'''로 엄청난 실력이라 나오고 재활용 밴드 역시 결말부에서 음악성은 그에 못지 않다고 하는데, 이 정도면 현실 한국의 근현대 음악사와는 환경이 다른 [[판타지]]스러운 [[설정]]이라 봐야 할 듯.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sueye.com/792_706_506.jpg|width=100%]]}}} || ||<#ddd> '''왼쪽부터 [[류미끼]](드럼), [[장달봉]](베이스), [[국철(오디션)|국철]](기타), [[황보래용]](보컬)''' || === [[재활용 밴드]] === * [[장달봉]] (베이스) * [[황보래용]] (보컬) * [[류미끼]] (드럼) * [[국철(오디션)|국철]] (기타) ==== 조력자 ==== * [[송명자]] * [[박부옥]] * [[추범구]] === 라이벌 === * [[드래곤볼(오디션)|드래곤볼]] * [[밸런타인#s-3|발렌타인#1]] * [[뷰테인#s-3|부탄가스]] * [[청학동 댕기즈]] * [[유니콘(오디션)|유니콘]] * [[히말]] * [[로렐라이(오디션)|로렐라이]] * [[이노무시키]] * [[레(오디션)|레]] * [[천사표 밴드]] * [[용근]] === 기타 === * [[왕5삼]] * [[송송]] * [[변득출]] * [[몽희]] * 마풍 송송 회장 사후 임시회장 정도의 위치로 오디션의 총괄을 맡고 있다. 묘사상 송송 그룹의 3인자(1인자 송송, 2인자 변득출) 정도 되는 위치인 듯. 송명자와도 예전부터 친분이 있는 사이어서 데모 테이프 제출 때 탈락해서 절망하던 차에 '재활용 밴드는 아슬아슬하게 탈락했기에 결원이 생기면 추가합격이 가능하다'라고 알려주는 등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도 했다. 마지막엔 송송 회장의 편지를 용근에게 전해주는 것 등을 보면 송 회장과는 굉장히 두터운 사이었던 듯. 변득출도 그는 함부로 건드릴 수 있는 인간이 아니라고 평하기도 했다. * 심사위원들 이름도 한 번도 나오지 않지만, 오디션 내내 심사위원을 맡아 자주 출연하는 세 사람. 검고 웨이브진 머리를 한 여성과 안경을 쓴 말총머리의 남성, 단발머리의 남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사가 진행되는 동안 수능문제 출제위원마냥 어딘지 알려지지 않은 폐쇄된 곳에서 심사를 진행했다. 그 변득출이 이들을 찾아내 포섭하는 걸 포기하고 다른 전략을 짜기로 한 걸 보면 마풍이 철저하게 비밀에 붙인 듯 하다. 안경을 쓴 남성은 철저하게 실력만 평가해서 재활용 밴드는 하마터면 데모 테이프 때나 예선 때 떨어질 뻔 했다. 하지만 다른 두 심사위원들은 재활용 밴드의 잠재력을 보고 좋은 점수를 줬다.[* 재활용 밴드의 첫 무대 스카이 서퍼는 송명자도 저런 간단한 곡을 저렇게 왕창 틀리면 어떡하냐고 걱정할 정도였는데, 사실 재활용 밴드가 '''자신들이 실수할 걸 알고, 실수를 하더라도 흐름 상으로는 틀린 것을 느끼지 못하게 만든 곡'''이라고 한다. 그래서 분석적으로 보는 전문가가 아닌 전체적으로 보는 일반인들은 실수한 걸 거의 느끼지 못했을 것이라 한다.] 결국엔 재활용 밴드의 실력이 무섭게 올라감에 따라, 점차 그들을 눈여겨보게 된다. 마지막엔 결승의 결과를 두고 내기를 했는데, 셋 다 재활용 밴드의 우승에 걸었었다. 내기에서 졌을 때 1년간 저마다 가장 싫어하는 패션을 하기로 하는데, 여성은 흰 미니 스커트 입기, 안경 쓴 남성은 변발, 단발 남성은 아줌마 파마를 하기로 한다. 결국 셋 다 졌기에 저 꼴을 하고 [[박부옥]]의 결혼식에 왔고, 하객들은 그들의 모습을 보고 무슨 개그맨인가 하고 킥킥댔다. * 할머니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 래용이가 수행하러 떠난 장롱폭포 근처에서 민박을 운영한다. 래용이를 쫓아간 명자가 여관에 묵을 수 있게 해주며[* 명자는 대신 장작패기, 설거지 등을 맡았다.] 래용이도 여러모로 챙겨준다. 소리꾼들의 수행을 오랜 기간(70여 년이라고) 들어왔기에 득음이 무엇인지 아주 잘 이해하고 있다.[* 이를 소리의 주인이 되는 것이라고 표현한다. 정황상 부르고자 하는 노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음역대, 호흡과 발성을 깨닫는 걸 의미하는 듯하다. 그 시작은 자신이 얼마나 잘났는지를 스스로 깨닫는 것이라고.] 또한 래용이의 가능성을 알아차리고 높게 평가한다. 이후 찾아온 이노무시키와 티격태격하며 그의 수행을 도와주는 걸로 등장은 끝난다. == 미디어 믹스 == === [[오디션(만화)/애니메이션|극장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디션(만화)/애니메이션)] == 기타 == * [[블로그씨]]도 오디션 팬인 것 같다. 2008년 11월 26일에 오디션을 10번도 넘게 읽었다는 언급을 했다. [[분류:오디션(만화)]][[분류:한국 만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