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오니시 류헤이 [br] 大西 竜平 / Onishi Ryuhei}}}''' || ||<-2> [[파일:3ibero1.jpg|width=300]] || || '''{{{#white 직업}}}''' || [[바둑 기사]] || || ''' {{{#white 소속}}}''' || [[일본기원]] 도쿄본원 || || ''' {{{#white 생년월일}}}''' || [[2000년]] [[3월 14일]] || || ''' {{{#white 국적}}}'''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일본]] || || ''' {{{#white 학력}}}''' || [[와세다대학]] 사회과학부 재학 중 || || ''' {{{#white 출신지}}}''' || [[도쿄도]] || || ''' {{{#white 입단}}}''' || [[2015년]] || || ''' {{{#white 단급}}}''' || 七단 || || ''' {{{#white 누적우승경력}}}''' || 1회[* 이베로재팬배는 비공식 기전이므로 누적우승경력에 포함되지 않는다.] || || ''' {{{#white [[한큐바둑]] [[닉네임]] }}}''' || marny(P) || ||<-2> [[https://www.nihonkiin.or.jp/player/htm/ki000463.html|일본기원 오니시 류헤이 소개 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바둑)|기사]]. == 생애 == 2015년에 입단했을 때에는 일본에서도 크게 주목받았던 기사는 아니었다. 소학생 시절 한국의 [[충암학원]]에서 2년여간 공부한 적이 있다는 것만 알려졌을 정도. 그러나 입단한지 1년이 채 되기 전인 2016년 [[신인왕전(일본)|신인왕전]]에서 우승하면서 급속도로 유명해졌다.[* 첫 출전에 우승을 차지한것은 최초의 일.] 일본 뿐만 아니라 [[한국]]과 [[중국]]에까지 크게 유명해진 건 덤. 순식간에 대형 신인 취급을 받기 시작했다. 한국의 바둑 기사들 중에서도 [[바둑TV]] 등에서 오니시 류헤이를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2020년 6월 1일, LG배 32강전에서 [[이태현(바둑)|이태현]]과 접전 끝에 반집패하며 탈락했다. 2020년 8월 28일, 제76기 [[혼인보전]] 최종 예선 결승전에서 [[고노 린]] 九단을 상대로 흑 불계승을 거두며 본선 리그 진출과 동시에 승단 규정으로 五단에서 七단으로 승단했다. 2021년 10월 20일 삼성화재배 32강전에서 [[이창석(1996)|이창석]]에게 패했다. 2023년 8월 4일 몽백합배 32강전에서 [[당이페이]]에게 패했다. 2023년 11월 10일자부터 결장한다는 소식이 나왔다.[[https://www.nihonkiin.or.jp/player_news/etc/post_473.html|#]] == 여담 == 유명해진 이름과 달리 기풍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 없다. 한국에는 적어도 [[일본기원]] 기사 스타일은 아니라는 것 정도만 알려져 있다. 2016년 3월 10일 初단 시절, 자신보다 80세 위인 스기우치 마사오 九단과 [[왕좌전]] 예선에서 붙었는데 이는 일본기원 공식 대국 역사상 두 대국자간의 최대 나이 차이이다.[[https://www.nihonkiin.or.jp/match_news/match_info/801595.html|#]] == 주요 경력 == * [[2015년]]: 입단 * [[2016년]] * [[신인왕전]] '''우승'''(첫 타이틀) * [[2017년]] * 이베로재팬배 '''우승''' * [[2020년]] * [[혼인보전]] 본선 리그 진출[* 승단 규정으로 五단에서 七단으로 승단.] [[분류:2000년 출생]][[분류:바둑 기사/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