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pentagram\, ★, other1=일본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rd1=PENTAGRAM(LJL\), other2=데이비드 보위의 음반, rd2=Blackstar, other3=배틀그라운드 e스포츠팀, rd3=PENTAGRAM)] [[파일:오각성.svg|align=right&theme=light&width=300]][[파일:오각성_White.svg|align=right&theme=dark&width=300]] [목차] [clearfix] == 개요 == 흔히 [[별]]을 의미하는 기호로 쓰이는 평면도형. == 어형 == 오각성([[五]][[角]][[星]]), 오망성([[五]][[芒]][[星]])[* 芒은 '칼날 망'자다.], 오각별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펜타그램(pentagram)이라고 한다.[* [[오각형]]을 뜻하는 펜타곤(pentagon)과 penta-라는 그리스어 수사 어근을 공유한다.] == 상징 == 예로부터 '''[[금성]]'''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되어 왔다. 이유는 지구에서 관측한 금성의 궤도가 마치 오각성을 그리는 듯한 모양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금성으로 비유되는 [[수메르 신화]]의 [[이슈타르]], [[그리스 로마 신화]]의 [[비너스]] 등을 상징하는 기호이기도 하다. 유럽이 그리스도교화된 뒤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오상(五傷)[* 십자가 수난 때 받은 다섯 상처를 뜻한다. 못이 박힌 손과 발의 상처와 창에 찔린 옆구리 상처.]을 뜻한다고 간주하였으며, 삿된 것을 막는 힘이 있다고 여겼다. 근세 독일의 대문호 [[요한 볼프강 폰 괴테|괴테]]가 쓴 [[파우스트(희곡)|파우스트]]에서도 파우스트 박사는 [[메피스토펠레스]]가 변신한 강아지를 집 안에 들였다가 보통 강아지가 아님을 알고는 주문을 외우며 제압을 시도한다. 이때 메피스토펠레스는 사람의 형상으로 변신해 박사를 설득한 뒤 박사가 문설주에 붙여둔 오각성 부적 때문에 나갈 수가 없다고 설명한다. 박사가 만약 오각성 부적 때문에 나갈 수가 없다면 어떻게 들어올 수는 있었느냐고 묻자, 악마는 오각성 그림의 한쪽 모서리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고 벌어졌기 때문이고, 자기도 들어온 뒤에야 그 사실을 깨달았다고 답한다. 여기서도 오각성으로 삿된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음이 반영되었다. 현대 매체에서도 미국 드라마 [[수퍼내추럴#s-1]]에서는 주인공 형제가 악마에게 빙의되지 않도록 몸에 오각성 문신을 새겼다. 또한 오각성의 상하를 뒤집었을 경우에는 [[바포메트|멘데스의 염소]](Goat of Mendes)라고 하여 사탄주의의 상징으로 통한다. 또한 각종 매체에 등장하는 [[마법진]] 등의 [[필수요소]]가 되었다.[* 이런 현상은 문화가 통합되는 과정에서 흔히 벌어진다. [[그리스도교]]의 [[악마]] [[아스타로트]]와 [[바엘]]도 각각 [[수메르 신화]]의 [[이슈타르]],가나안 신화의 [[바알]]이 변형된 것이다.] 오늘날에는 [[별]]을 뜻하는 기호로 자주 쓰인다. 이는 서구권으로부터 퍼진 것이다. 명청대 이전까지 별을 ○모양으로 표시해 왔던 중국에선 처음 이 기호를 봤을 때 [[꽃]] 모양인 줄 알고 이것이 그려진 성조기를 화기([[花]][[旗]])라고 불렀으며 이는 현재까지 일부 단어에 남아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은행 최초로 중국으로 진출한 [[씨티은행]]을 花旗银行(화기은행)이라 부른다. == 수학적 표현 == [[파일:Cinquefoil_Knot.jpg|width=333]] [[매듭]]으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math(5_1)]로 표기되는데, [[매듭이론]]에서 [[교점]]이 5개인 첫번째 매듭으로 다룬다. [[슐레플리 부호]]로는 [math(\left\{ \dfrac 52\right\})]로 나타낼 수 있다. == 용례 == 오늘날 여러 지역의 [[국기]]에 자주 쓰인다. [[미국]] 같은 [[연방]]국가의 [[성조기]]나 [[투발루]]같은 도서국가에서 각 주 혹은 각 섬을 상징하는데 쓰이기도 하며, 대부분의 [[이슬람 국가]]에서 [[초승달]]과 더불어 [[이슬람]]의 상징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월성기]] 문서 참조.] 또한 '''[[오성홍기]]'''나 [[베트남]], [[북한]]의 국기 등 [[공산주의]] 국기에서도 애용된다. 국기에 별이 있다면, 군용기에 칠하는 [[라운델]]로도 많이 쓰인다. [[모로코]]와 [[에티오피아]]는 오각성이 국장에 들어가있다. 많은 국가의 군조직에서 [[장성급 장교]]의 계급장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스포츠계에선 우승횟수를 의미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유니폼에 다는데 [[축구]]에서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월드컵]]때 [[한국]]팬들이 사용한 '꿈★은 이루어진다'라는 문구의 별이 우승이란 의미다. 다른 종목에서도 [[리그 오브 레전드]]에선 롤드컵 우승팀들이 우승 횟수만큼 별이 달린 유니폼을 사용한 적 있고, [[배구]]도 마찬가지로 우승 후 유니폼에 별을 다는 식으로 많이 쓰인다. 하지만 규정이나 필수적인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우승해도 별을 달지않는 경우도 많고, 유니폼이나 로고의 별이 다른 의미로 달린 경우도 많다. [[웹 브라우저]]에서 [[즐겨찾기]]를 상징하는 기호로 쓰기도 한다. [[만화]]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부호인데, 주로 [[키랏|반짝이는 무언가]]를 표현할 때 쓰인다. 각종 뉴스 기사의 제목에 ☆이나 ★ 표시가 있으면 보통 [[스타]]를 의미한다. 한정된 제목 속에 욱여넣으려다 보니 의미가 통하는 별 표시로 대체하는 거다. '[[별점]]'이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무언가를 평가할 때 5개의 별로 된 척도를 자주 쓴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째는 ★을 2점으로, ☆을 1점으로 해서 10점 만점을 매기는 방법이 있고, 둘째는 ☆을 2점으로, 반쪽자리 별을 1점으로 해서 10점 만점을 매기는 방법이 있다. [[전국노래자랑]] 2004년 2월 8일 ~ 2008년 3월 사이에 방영된 회차는 노래 제목 자막 옆에 별 표시를 사용하였다. === 문장이나 단어에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카네 아이 연기.png|width=100%]]}}}|| 문어체적 [[말버릇]]으로 말끝에 [[이모티콘]] 삼아 붙이는 경우도 많다. 아무래도 귀여움과 발랄함을 부여하기 위해 쓰는 듯하다. 심히 손발을 오그라들게 하는 관계로 보통은 반쯤 비꼬는 듯한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특히 [[일본]]에서 그렇고 어른이 애 흉내를 내는 것을 피하는 서구권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도혼 유마]]의 작가인 이노우에 모토노부가 말끝마다 붙여댄다. [[주일은 쉽니다]]의 등장인물 [[새턴(주일은 쉽니다)|새턴]]도 대사 끝마다 ★를 붙인다. 관련 캐릭터들은 [[말버릇]]문서에 일부 언급되어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pg|width=100%]]}}}|| [[매드 무비]]나 개그물에서 대사의 병맛을 강조하기 위해, 또는 진지한 장면엔 [[자막 테러]]를 위해 글자 사이사이에 ★을 붙이기도 한다. (예: 속공 마법 발동! [[버서커 소울|버☆서★커☆소★울]]!, [[가루바나나|가루★바나나]]!, [[브로리/MAD|U↘A↗★HA HA HA HA★]]) [[별의 커비 시리즈]]와 [[블랙 록 슈터]]의 로고에 들어가있다. 무언가를 강조할 때도 쓰인다. 가령 [[폭☆8]]이라던가. === [[숨김표]] 용도 === 과거 [[스포츠신문]]의 [[해외토픽]]같은곳에서 반라의 여성 사진을 전재할때, 유두나 고간같이 민감한 부분은 ★표시를 조그맣게 붙여서 처리한 관례가 있었다. 흔히 쓰이는 검정 사각형(속칭 김) 이외에 사용된 테크닉이라 볼수있으며 디지털 편집수단이 제대로 보급되지 않은 그 시절 인쇄기술상 한계라고도 볼수 있다. 물론 지금은 영상매체처럼 모자이크나 블러처리로 검열한다. == 입력 관련 == [[Microsoft Windows|윈도우]]에서 입력하려면 ㅁ을 누른 상태에서 [[한자]]키 →7번(☆), 8번(★)이면 된다. [[문자 깨짐|일본어 인코딩 문제로 ☆ 글자가 깨지면]] "걲" 등으로 변화하기도 한다. 특히 [[Ryu☆]]라는 사람 때문에 한국의 [[리듬게임]]판에는 보이는 모든 별을 "걲" 으로 읽을 수 있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다(…). 참고로 ★이 깨지면 '걳'이 된다. == 유사 기호 == {{{+5 ✦✧★☆✩✭✮✨❇✡☸⚛🔯}}} 위처럼 별 모양의 기호는 여러 개가 있다. [[http://en.wikipedia.org/wiki/%E2%98%86|이곳]]에서 다른 다양한 웹상에서 입력 가능한 별들을 찾아볼 수 있다. 맥 사용자라면 이모티콘 입력기를 열어서 검색창에 star 라고 써 넣으면 unicode 상에 존재하는 갖가지 별들을 다 볼 수 있다. * {{{+5 *}}}: 일반 키보드로 바로 입력할 수 있는 흔한 기호로 '[[별표]]'(asterisk)라고 부른다. '곱하기'(수학)등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컴퓨터쪽 용어로 와일드 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C]] 계열 언어에서는 [[포인터]] 연산자로 쓰이기도 한다. * {{{+5 ✡}}}: [[육각성]]이다. [[칠각성]]은 헵타그램이라고 해서 7개의 점을 별모양을 그리듯이 차례로 연결하며 나타나는 기호인데 둔각 헵타그램과 예각 헵타그램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일명 연금술사의 별. [[http://en.wikipedia.org/wiki/Septagram|영문 위키페디아 항목]]. == 여담 == 아동 도서에서는 별이 보통 노란 오각성으로 자주 묘사되다 보니 몇몇 순수한 어린이들은 정말로 별이 이 모양으로 생긴 줄로 착각하기도 한다. [[디아블로 시리즈]]에도 오각성이 있다. [[디아블로 1]]에서 대악마 디아블로가 있는 16층 포탈은 원에 내접하는 오각성이다. [[디아블로 2/지역/액트 1|액트 1편]]의 잊힌 탑(Forgotten Tower) 1층에 오각형 모양의 불기둥이 있다. 그리고 [[디아블로 2]]에도 액트 4의 혼돈의 성역 가장 중간에 대악마 디아블로가 소환되는 자리에 원에 내접하는 오각성 모양의 광장이 있다. == ☆를 명칭에 사용한 예 == === 실존 인물 및 단체 === * [[i☆Ris]] * [[ry☆]] * [[Ryu☆]] * TQ☆ * [[ST★RLIGHT]] * [[SUPER☆GiRLS]] * [[y☆star]] * [[나가시마☆지엔오츠☆유이치로]] * [[미노☆타로]] * [[에마★오우거스트]]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베이스★볼]]-- * WONDERFUL★OPPORTUNITY * [[꿈은 이루어진다|꿈☆은 이루어진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붉은 악마 응원단이 독일전에서 내걸은 슬로건. 여기서 ☆은 월드컵 우승을 뜻한다.] === 가상 인물 및 단체 === * [[Miracle☆4]] * [[SCP 재단]] - 요주의 단체 세계오컬트연합[* 이쪽은 오망성. 기묘하게도 악마의 상징이라지만 이쪽 세계의 신이란 종족들이 크툴트신화나 끔찍한 변칙 개체들밖에 없어서 되려 선역이다⋯. 진짜로 이 세계에서는 GOC의 전신격 되는 독일 과학자들이 세계대전 때 유태교의 신이 죽기도 한 곳이다. --악마 맞네-- 물론 우호적인 변칙 개체에(대상이 예수가 될 수도 있다! 실제로 그 세계관에 있기도 하고.) 대한 무조건적인 파괴 때문에 재단이나 뱀의 손 인권단체와 마찰이 크지만 아무튼 세계가 멸망할때는 가장 든든한 인류의 아군.] * [[괴도☆가면마스크]] * 더☆[[농촌]]맨 * [[드리미☆첼시]] * [[블랙☆스타]] * [[키라☆피카]] * --[[아레이스타|아레이☆]]-- * [[SHOW BY ROCK!!]] - 슈☆조[* 실제로 말 끝에 ☆도 자주 붙인다 아이돌로서의 컨셉이지만] * --[[아키넬라 디스토브]]--[* 이름이 아니라 말끝마다 ☆을 붙인다] * [[BLACK★ROCK SHOOTER]] === 작품 제목 === *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 [[Happy☆Magic!]] * [[Hop Step 아이돌☆]] * [[LOVE☆DROPS]] * [[MAZE☆폭렬시공]] * [[Starry☆Sky]] * [[UG☆얼티메이트 걸]] * [[걸 건|걸☆건]] * [[극장판 프리큐어 올스타즈 DX 모두 친구☆기적의 전원 대집합!]] * [[극장판 프리큐어 올스타즈 DX 2 희망의 빛☆레인보우 주얼을 지켜라!]] * [[극장판 프리큐어 올스타즈 DX 3 미래에 닿아라! 세계를 잇는☆무지갯빛 꽃]] * [[노래의☆왕자님♪]] * [[노블☆웍스]] * [[뇨롱☆츄루야씨]] * [[러키☆스타]] * [[러키☆배트 LuckyBattleChronicle]] * [[러키☆스타 넷 아이돌 마이스터]] * [[러키☆스타 료오학원 앵등제]] * [[러키☆스타 모에드릴]] * [[진 러키☆스타 모에드릴]] * [[루팡 3세 트와일라이트☆제미니의 비밀]]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 [[틀: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다수의 외전]] * [[마법소녀 프리티☆벨]] * ~~[[마법소녀 하와와☆아와와]]~~ * [[몬스☆패닉]] * [[미라클☆트레인]] * [[반짝이는 프리☆채널]] * [[별의 커비 시리즈]][* 일본판은 '''ビ자의 탁점 두 개'''에, 한글판은 '''별자의 ㅂ 부분'''에, 영문판은 '''b'''자에 ☆ 마크가 붙었다.] * [[세인트☆영멘]] * ~~[[메루루|스타더스트☆위치 메루루]]~~ * [[스타☆트윙클 프리큐어]] * [[스토☆마니 ~Strobe☆Mania~]] * [[아이★츄]] * [[연기사 Purely☆Kiss]] * [[오렌지 로드|키마구레 오렌지☆로드]] * [[오타쿠☆맛시구라]] * [[유유백서|유☆유☆백서]] * [[유희왕|유☆희☆왕]] * [[잡아라☆리모콘]] * [[절대 절정☆성기의 대발명!!]] * [[절대☆영역]] * [[쥬얼펫 트윙클☆]] * [[카미카제☆익스플로러!]] * [[쿠키☆]] * [[키라☆키라]] *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 * [[키라링☆레볼루션]] * [[프리마☆스텔라]] * [[프리티☆위치☆아카데미!]] * [[플리즈 트윈즈|플리즈☆트윈즈]] * [[학☆왕 - THE ROYAL SEVEN STARS -]] * [[학원☆신센구미]] * [[해피☆레슨]] === 음악 이름 === * [[88☆彡]] * [[Aqours☆HEROES]] * [[Blackstar|★]]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이라 쓰고 Blackstar라 읽는다]]. * [[CANDY☆]] * [[Chu☆Chu☆Tonight]] * [[FRANTIC☆ARCADE]] * [[Love☆panic]] * [[Rainbow☆Rainbow]] * [[R☆L발음탐구노래]] * [[☆shining☆]] * [[SILVER☆DREAM]] * [[STARS☆☆☆]] * [[Starry☆night]] * [[jet coaster☆girl]] * [[댄싱☆사무라이]] * [[디스코☆쇼콜라텍]] * [[루카루카★나이트 피버]] * [[메구메구☆파이어 엔들리스 나이트]] * [[사랑☆일까]] * [[샤나나☆]] * [[슈팅☆스타]] * [[쿠루미☆퐁치오]] * [[키라키라☆]] * [[포지티브☆댄스 타임]] * [[피코피코☆레전드 오브 더 나이트]] * [[하나마루☆센세이션]] * [[おでんぱ☆ラブガール]] * [[ふるふるフューチャー☆]] * [[きらきらタイム☆]] * [[キセキはじまり☆]] * [[キラキラ☆ステーション]] * [[クシコス☆ポスト・青春SKAパンクミックス!]] * [[すーぱー☆あふぇくしょん]] * [[ドッキン☆サマーあばんちゅーる]] * [[パンキッシュ☆]] * [[ヤサイマシ☆ニンニクアブラオオメ]] * [[七轉八起☆至上主義!]] * [[侵略ノススメ☆]] * [[恋する☆宇宙戦争っ!!]] * [[恋のミラクル☆]] * [[恋はどう?モロ◎波動OK☆方程式!!]] * [[地元愛♡満タン☆サマーライフ]] * [[超恋愛☆エクストリーム・ガール]] * [[香港☆超特急Z]] * [[超☆超☆光☆速☆出☆前☆最☆速!!! スピード★スター★かなで]] * [[惑星☆ロリポップ]] * [[天下無敵☆メテオレンジャー!]] * [[五色のShooting☆Star!!!!!]] * [[アンリミテッド☆パワー!!!!!]] * [[歓迎☆トゥ・ウィンク雑技団]] * [[2winkle Star Beat☆]] * [[シャゼリア☆キッス☆ダダンダーン]] [[분류:특수 문자]][[분류:상징]][[분류: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