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44519605_427559852061163_9163580723874001848_n.jpg|width=100%]]}}} || ||<-2> '''{{{#E61A28 CS 에레디아노 No. 17}}}''' || ||<-2> '''{{{#FCC119 {{{+1 옐친 테헤다 }}} [br] Yeltsin Tejeda }}}''' || || '''{{{#E61A28 본명}}}''' ||옐친 이그나시오 테헤다 발베르데 [br] Yeltsin Ignacio Tejeda Valverde || ||<|2> '''{{{#E61A28 출생}}}''' ||[[1992년]] [[3월 17일]] ([age(1992-03-17)]세) || ||[[코스타리카]] [[리몬(코스타리카)|리몬]] || || '''{{{#E61A28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코스타리카)] || || '''{{{#E61A28 신체 조건}}}''' ||179cm, 66kg || || '''{{{#E61A28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 || '''{{{#E61A28 유소년 클럽}}}'''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2011) || || '''{{{#E61A28 프로 클럽}}}'''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2011~2014) [br] [[토농 에비앙 FC]] (2014~2016) [br] [[FC 로잔 스포르]] (2016~2018) [br] [[CS 에레디아노]] (2018~) || || '''{{{#E61A28 국가대표}}}'''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2~).svg|width=25]] 75경기 1골[* 2022년 12월 2일 기준]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코스타리카]] / 2011~ )^^ || [목차] [clearfix] == 개요 == 코스타리카의 축구선수. CS 에레디나오 소속이다. == 클럽 경력 ==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2011년, 사프리사 소속으로 프로 무대에 데뷔하였다. 이른 나이에 주전으로 뛰기 시작했으며, 2014 시즌에는 팀의 주장으로 활약하였다. === [[토농 에비앙 FC]] === 2014년 8월 22일,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브라질 월드컵]]에서 보여준 맹활약으로 [[리그앙]]의 에비앙에 입단하였다. 약 한 달 뒤 [[지롱댕 드 보르도]]전에서 첫 골을 득점하였고, 시즌 내내 주전 미드필더로 활약하였으나 팀은 [[리그되]]로 강등되었다. 다음 시즌에도 주전으로 뛰며 재승격에 도전하였으나 팀은 18위를 기록하며 승격은 커녕 3부리그로 강등당하면서 추락을 거듭하였다. === [[FC 로잔 스포르]] === 팀이 3부리그로 강등당하면서 이적은 불가피했고, 결국 2016년 7월 6일, [[스위스 슈퍼 리그]]의 로잔 스포르로 이적하였다. 로잔에서는 기대 이하의 모습으로 주전 경쟁에서 밀리면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2019년 1월 24일, CS 에레디아노로 이적하면서 4년 반의 유럽 생활을 마치고 자국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 CS 에레디아노 === 자국 리그로 복귀한 뒤 빠르게 주전으로 자리 잡았으며, 2020-21 시즌부터는 주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 국가대표 경력 == 연령대 대표팀 시절에 2009 FIFA U-17 월드컵과 [[2011 FIFA U-20 월드컵 콜롬비아|2011 FIFA U-20 월드컵]]에 참가한 경력이 있다. 성인 대표팀 데뷔는 2011년 12월 11일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쿠바]]를 상대로 가진 친선경기에서 가졌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지역예선 기간 동안 주전 수비형 미드필더이자 키플레이어로 뛰며 자국의 월드컵 진출에 큰 기여를 하였고, 본선에서도 출중한 기량을 선보이며 [[케일러 나바스]], [[브라이언 루이스]] 등과 함께 8강 진출의 주역으로 활약하였다. 4년 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러시아 월드컵]]에도 참가하였으나 이번에는 1경기 출전에 그쳤고, 그 마저도 겨우 7분밖에 뛰지 못했다. 이후, 한동안 대표팀 경기에 나서지 못하다가 2020년부터 다시 출전 기회를 잡아가더니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북중미카리브)/최종예선|카타르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 기간 동안 거의 매 경기를 뛰며 본선 진출을 견인하였고, 자신의 3번째 월드컵을 앞두게 되었다.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독일전 1골을 넣었다. 이 골은 A매치 첫 득점이다. [[분류:1992년 출생]][[분류:리몬 출신 인물]][[분류:코스타리카의 축구선수]][[분류:데포르티보 사프리사/은퇴, 이적]][[분류:토농 에비앙 그랑 주네브 FC/은퇴, 이적]][[분류:FC 로잔 스포르/은퇴, 이적]][[분류:CS 에레디아노/현역]][[분류:코스타리카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2013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17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19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참가 선수]][[분류:2011 FIFA U-20 월드컵 콜롬비아 참가 선수]][[분류:2009 FIFA U-17 월드컵 나이지리아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