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1 醴泉市外 Bus-Terminal }}} [[파일:external/bbd263dc29de540080739d5977b016ce1c974c1a56e42fb369cc897881e03bd2.jpg]]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충효로 165(대심리 66-1)에 위치한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구 명칭은 '예천버스정류장(醴泉Bus停留場).' 건물은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매우 낙후된 상태다. 2010년대에 들어서 한 차례 [[리모델링]]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시간표 양식은 이전보다 훨씬 직관적으로 바뀌었다. 예천군 관내가 인구가 많지 않은지라 운행횟수는 '''36회'''에 불과하다.[* 옆동네 점촌은 '''110회'''가 넘는다.] 이 터미널의 특징은 우등이 58.3%, 일반이 41.7%로 인근 상주, 안동, '''영주'''[* 특히 이쪽은 인구 10만의 소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우등차량의 비율이 80~90%다.], 점촌에 비하면 비중이 낮지만 우등이 더 많이 들어온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일반이 63%, 우등이 37%로 우등은 서울 및 대구 방면에만 있다. 이 터미널의 예매는 [[https://txbus.t-money.co.kr/main.do|티머니 예매사이트]] 에서 가능하다. == 노선 == === [[시외버스]] === * '''수도권''':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 출발 노선이다. [[시외버스 서울경부-경북도청]] 참조.][* [[E-Pass]] 사용 가능, KOBUS사이트에서 예매가능], [[동서울터미널|동서울]][*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 출발 노선이다. [[시외버스 동서울-경북도청]] 참조.], --[[수원버스터미널|수원]][* [[시외버스 수원-안동]] 문서 참조.], 일죽--, [[인천공항터미널|인천공항]][* [[시외버스 인천공항-안동]] 참조.] ## * '''강원권''': 구문소, 동점, 장성, [[태백버스정류장|태백]] * '''충청권''': --[[관기버스터미널|관기]], 낙서--, [[청주남부정류장|남청주]], --[[대전복합터미널|대전]], 살미, [[수안보]], 연풍, 원남--,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 안동 출발. 안동에서는 좌석제 승차이지만 예천에서는 선착순 승차다.][* [[시외버스 청주-안동]] 문서 참조.],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 '''영남권''': 가동[* '''직통 노선.'''], [[제16전투비행단|16부대후문, 16부대정문]][* 가동 경유.], --감천--[* 김천행과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마찬가지로 [[예천여객|예천여객 감천행]]과도 헷갈리지 마라--], 개포[* 가동, 16부대경유.], [[경북대학교|경북대(상주)]], --광업소--, [[구미종합터미널|구미]][* 2018년 6월 28일에 대구북부-선산-영주, 대구북부-선산-안동 노선이 폐지되면서 폐지되었다가 2019년 9월 6일에 [[시외버스 구미-울진]] 노선이 개통하면서 부활하였다. [[점촌터미널|점촌]],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경유.],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가동, 16부대, 개포, 용궁, [[용궁역]], 점촌북부, 점촌, 함창, [[양정정류장|양정]],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경북대상주, [[청리정류장|청리]], [[옥산정류장|옥산]] 경유.], --꽃동산--, [[북부정류장|대구 북부]][* [[시외버스 대구북부-예천]] 참조.], --대현--,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시외버스 동대구-예천]] 참조. 2017년 6월 15일부터 [[코리아와이드 경북]] 단독으로 운행. 1일 5회 운행하다가 2017년 7월에 1일 7회로 증회했으며, 그 중 3회는 [[대구국제공항]] 경유다. 예천삼거리와 [[경상북도청신도시]]에서 중간 승하차하며, 도청 신 청사에는 예천방향 한정으로 중간 하차만 한다.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1일 6회로 감회됨과 동시에 [[대구국제공항|대구공항]] 경유가 1일 2회로 감회되었다.], --마성, [[문경버스터미널|문경읍]], 법전--, [[봉화공용정류장|봉화]][* 예천삼거리, 감천, [[유동정류장|유동]], 장수, 꽃동산, [[영주종합터미널|영주]] 경유 및 신도청, [[안동터미널|안동]], 상운 경유로 나뉜다. 영주경유는 대전복합출발, 안동경유는 구미 출발. 영주경유는 코로나19로 운행중지 되었다.], 산양[* 가동, 16부대, 개포, 용궁, 용궁역 경유.], 삼거리[* '''직통 노선'''],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가동, 16부대, 개포, 용궁, 용궁역, 점촌북부, 점촌, 함창, 양정경유 완행 및 점촌만 들리고 가는 직행으로 나뉜다. 완행은 안동출발, 직행은 '''울진''' 출발.], [[안동터미널|안동]][* 예천삼거리, 신도청, 과학대 경유 완행 및 신도청만 들리고 가는 직행이 있다. 이 중 완행은 김천 출발, 직행은 구미 출발. 완행은 안동에서 종착하며, 직행은 상운, 봉화, [[춘양버스정류장|춘양]]을 추가로 경유하여 [[울진종합버스터미널|울진]] 까지 간다.], 안동과학대, [[양정정류장|양정]][* 가동, 16부대, 개포, 용궁, 용궁역, 점촌북부, 점촌, 함창 경유.], --[[영주종합터미널|영주]]--, [[옥산정류장|옥산]], [[청리정류장|청리]], 용궁, [[용궁역]], --[[유동정류장|유동]], 육송정, [[장수정류장|장수]]--, [[점촌시외버스터미널|점촌]][* 가동, 16부대, 개포, 용궁, 용궁역, 점촌북부 경유 완행 및 직통 노선으로 나뉜다.], [[점촌북부터미널|점촌북부]][* 가동, 16부대, 개포, 용궁, 용궁역 경유.], [[춘양버스정류장|춘양]][* 예천삼거리, 감천, 유동, 장수, 꽃동산, 영주, 봉화, 법전 경유 완행 및 신도청, 안동, 상운, 봉화 경유 직행으로 나뉜다. 완행은 '''대전복합''' 출발, 직행은 구미 출발.], [[함창버스터미널|함창]][* 가동, 16부대, 개포, 용궁, 용궁역, 점촌북부, 점촌 경유.], --현동--, 후문, [[울진종합버스터미널|울진]], --[[화령버스터미널|화령]], 도평, 안덕, 죽장, 기계, [[포항터미널|포항]][* [[시외버스 포항-예천]] 참조. 2016년 7월 1일 개통. 신도청, 안동, 태화오거리, 안동초교, 용상, 안동대, 안덕, 도평, 죽장, 기계 경유.]-- == 중간 정류소 == 예천터미널-중간정류소 구간만 탑승하는 것도 가능하다. * 용궁정류장 * [[용궁역#용궁역시외버스정류장|용궁역정류장]] * 개포정류장 * 부대후문정류장 여기서 부대란, 16부대를 의미하며, 과거 [[예천공항]] 이었던 곳이다. * 부대정문정류장 * 가동정류장 [[시외버스 김천-안동]]이 정차한다. 용궁버스정류장은 [[시외버스 동서울-경북도청]]도 정차하며, 1~2분 정도 걸어서 있는 용궁역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시외버스 서울경부-경북도청]]은 용궁버스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다. * 예천삼거리정류장 시외버스 김천-안동 외에 [[시외버스 대구북부-예천]], [[시외버스 동대구-예천]]이 추가로 정차한다. * 감천정류장 * [[유동정류장]] 2019년 12월 26일부터 [[시외버스 김천-영주]] 노선이 무정차 통과하기 시작했으며, 2020년 2월 말 코로나로 시외버스 김천-영주 노선과 [[시외버스 대전복합-태백(완행)]]이 동 시기에 운행이 중단되면서 휴업에 들어갔다. == 기타 == 인접 시군임에도 [[단양군]], [[의성군]] 방면 노선이 없는게 특징이다.[* 의성군은 있었으나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계열 노선 대거 감축으로 [[시외버스 부산-예천|부산 ↔ 예천 시외버스]]가 폐지되면서 사라졌으며, [[도리원시외버스정류장]]까지만 가고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은 가지 않았다.] 단양이나 의성으로 가려면 아래의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 예천-단양 === * 1. [[예천역]]에서 [[무궁화호]] 탑승 → [[영주역]] 하차 → [[단양역]] 방면 열차 탑승 → [[단양역]] * 2. 황태덕장 방면 버스 탑승 → 황태덕장 → 올산대수동이나 올산리까지 도보 → 단양행 버스 탑승 === 예천-의성 === * 1. 지보방면 버스 탑승 → [[지보정류장|지보정류소]] → [[의성군 농어촌버스/다인면, 단북면, 안사면#785번|785번]] 버스 탑승 → [[안계버스정류장]] → 의성방면 농어촌버스 탑승 → 의성 * 2. 용곡리로 가는 아무 버스 탑승 → 용곡2리 하차 → 안계로 가는 의성버스 탑승 * 3. 풍양-다인행 버스 탑승 → 다인 → 안계행 버스 탑승 → 안계 → 의성방면 농어촌버스 탑승 * 4. 안동행 시외버스 탑승 → [[안동터미널]] → 의성행 시외버스 혹은 [[무궁화호]] 탑승 * 5. [[영주역]]으로 가는 [[무궁화호]] 탑승 → [[영주역]] → [[의성역]]으로 가는 열차 탑승 == 관련 문서 == * [[예천군]] *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 예천군이 아닌 [[안동시]] [[풍천면]]에 있지만, 이곳을 출발/경유하는 버스 중 상당수가 예천에서 출발/경유한다.] [[분류:예천군의 버스 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