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 ---- ||<-3> {{{#gold '''조선 세종의 왕자'''[br]{{{+1 '''영해군 | 寧海君'''}}}}}} || ||<-2> '''[[봉호|{{{#gold 봉호}}}]]''' ||영해군(寧海君)[* 봉호는 [[경상도]] [[영덕군|영해군]](寧海郡)에서 유래했다.] || ||<-2> '''[[시호|{{{#gold 시호}}}]]''' ||안도(安悼) || ||<-2> '''[[품계|{{{#gold 품계}}}]]''' ||소덕대부(昭德大夫) || ||<-2> '''[[본관|{{{#gold 본관}}}]]''' ||[[전주 이씨]] || ||<-2> '''[[이름|{{{#gold 이름}}}]]''' ||장(璋)[* 선원록에 따르면 [[은언군]]의 아들 [[풍계군]]과 같은 이름으로 고쳤다지만 「조선시대 태실의 역사고고학적 연구」(홍성익,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pp.13)에 따르면 장(璋)과 당(瑭)의 태실이 따로 있으며 당(瑭)의 태지석에 [[명나라|황명(皇明)]] [[정통제|정통]] [[1441년|7년]] 임술 7월 24일 인시 생(生)으로 나와서 [[1435년]] 생인 영해군과 다른 왕자일 수 밖에 없다. 애당초 선원록은 [[임진왜란]]으로 [[조선왕조실록]]과 달리 완전히 불에 타서 없어졌고 [[숙종(조선)|숙종]]의 치세에 기억에 의존해서 다시 만든 것인지라 [[임진왜란]] 앞의 [[계보]]는 부정확할 수 밖에 없다. 덧붙여 당(瑭)이 왕자의 이름으로 쓰였음을 인지할 수 밖에 없음에도 왜 [[영조]]가 [[풍계군]]의 이름을 그렇게 지었는지도 알 수 없다.][* 더군다나 [[명태조]]와 이름이 겹친다. [[명나라]]를 천자의 나라로 인정하고 조공을 바치면서 왜 창업천자의 휘를 왕자의 이름으로 썼는지 알 수 없다.][* [[충선왕]]과 이름이 같다.] || ||<-2> '''[[자(이름)|{{{#gold 자}}}]]''' ||제지(題之) || ||<-2> '''{{{#gold 부친}}}''' ||[[세종(조선)|세종]] || ||<-2> '''{{{#gold 생모}}}''' ||[[신빈 김씨]] || ||<-2> '''{{{#gold 부인}}}'''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 (林川郡夫人 平山 申氏) || ||<-2> '''{{{#gold 자녀}}}''' ||'''슬하 2남 1녀''' 장남 - 영춘군 이인(永春君 李仁) 차남 - 길안도정 이의(吉安都正 李義) 장녀 - [[밀양 박씨|박승약]](朴承爚)의 처 || ||<-2> '''{{{#gold 묘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 ||<|2> '''{{{#gold 생몰[br]기간}}}''' || '''[[음력|{{{#gold 음력}}}]]''' ||[[1435년]] [[3월 20일]] ~ [[1477년]] [[5월 5일]] || || '''[[태양력|{{{#gold 양력}}}]]''' ||[[1435년]] [[4월 27일]] ~ [[1477년]] [[6월 24일]][br]{{{-2 (향년 43세)}}}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조선)|세종]]의 17남이자 서9남이다. 어머니 [[신빈 김씨]]에게는 5남이다. == 생애 == 1435년(세종 17년) 3월 20일 밤, [[세종(조선)|세종]]과 [[신빈 김씨]]의 5남으로 태어났다. 초명은 장(璋)이었으나 후에 당(瑭)으로 개명하였다. 1442년(세종 24년) 영해군(寧海君)으로 책봉되었다. 부인은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이다. 자녀로는 신씨가 낳은 장남 영춘군 이인과 차남 길안도정 이의, 장녀 이씨가 있다. 성격은 화목한 것을 좋아하여 다투는 일이 없었다 한다. 시호는 안도(安悼)이다. == 가족 관계 == * 부 : [[세종(조선)|세종]](世宗, 1397 ~ 1450) * 모 : [[신빈 김씨]](愼嬪 金氏, 1406 ~ 1464) * 형 : [[계양군]] 이증(桂陽君 李璔, 1427 ~ 1464) * 형 : [[의창군(1428)|의창군]] 이공(義昌君 李玒, 1428 ~ 1460) * 형 : [[밀성군]] 이침(密城君 李琛, 1430 ~ 1479) * 형 : [[익현군]] 이연(翼峴君 李璭, 1431 ~ 1463) * 남동생 : [[담양군(1439)|담양군]] 이거(潭陽君 李璖, 1439 ~ 1450) * 정부인 :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林川郡夫人 平山 申氏) - 한성윤 증찬성 신윤동(漢城尹 贈贊成 申允童)의 딸 * 장남 : 영춘군 이인(永春君 李仁, 1465 ~ 1507) * 며느리 : 광양현부인 [[진주 류씨]](光陽縣夫人 晋州 柳氏) - 행목사 증 영의정 류양(行牧使 贈 領議政 柳壤)의 딸 * 손녀 : 부호군 [[파평 윤씨|윤회충]](副護軍 尹懷忠)의 처 * 손녀 : [[전주 이씨|이천]](李瑏, 1504 ~ ?) - 좌의정 윤개(左議政 尹漑)의 처 * 손자 : 완천군 이희(完川君 李禧, ?[* 족보에 천계 병자년에 태어났다고 하는데 [[천계제]]는 17세기 초에 재위한 황제이기 때문에 연호에 오류가 있고, 또 생년이 병자년인 것도 불가능하다. 애초에 아버지 영춘군은 병자년에 살았던 적이 없다. 차남인 선성수가 1507년생이고 아버지가 1465년생이니 완천군은 1480년대에 태어났다고 추정할 수 있다.] ~ ?) * 손자 : 강녕부정 이기(江寧副正 李祺, ? ~ 1521) * 손자 : 순성부정 이정(蓴城副正 李禎) * 손자 : 덕녕부정 이의(德寧副正 李禕) * 차남 : 길안도정 이의(吉安都正 李義) * 며느리 : [[여산 송씨]](礪山 宋氏) - 부사 송자강(府使 宋自剛)의 딸 * 손자 : 시산부정 이정숙(詩山副正 李正叔, ? ~ 1521) * 손녀 : 한림 [[평산 신씨|신준미]](翰林 申遵美)의 처 * 며느리 : [[청주 한씨]](淸州 韓氏) - 상당부원군 [[한명회]](上黨府院君 韓明澮)의 서녀 * 손자 : 청화수 이창숙(淸化守 李昌叔, 1502 ~ ?) * 손자 : 송계수 이중숙(松溪守 李仲叔, 1503 ~ ?) * 손자 : 은계군 이말숙(銀溪君 李末叔, 1507 ~ ?) * 손자 : 벽계수 이종숙[* 바로 이사람이 [[황진이]]의 시조에 언급되는 벽계수(碧溪守)이다.](碧溪守 李終叔, 1508 ~ 1579) * 손자 : 옥계수 이필숙(玉溪守 李畢叔, 1511 ~ ?) * 며느리(첩) : 성씨 미상 * 손녀 : 참봉 [[수안 이씨|이삼]](參奉 李蔘)의 처 * 손녀 : 숙릉참봉 [[원주 이씨|이효원]](淑陵參奉 李孝元)의 처 * 손녀 : 습독 [[충주 지씨|지윤리]](習讀 池允利)의 처 * 장녀 : [[밀양 박씨|박승약]](朴承爚)의 처 * 외손자 : 박훈(朴薰) == 영해군 묘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05호 ||<|2> ← || '''106호''' ||<|2> → || 107호 || || [[이경직(1577)#s-4|효민공 이경직 묘역]] ||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 || [[태종왕지 윤림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6호}}}]]''' || ||<-2> {{{#fff {{{+1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br]{{{-1 全州 李氏 寧海君派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81-1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분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10基, 석물 43基, 토지 1,630.4㎡ || || '''{{{#fff 지정연도}}}''' || [[1997년]] [[12월 3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주_이씨_영해군파_묘역_전경3_(촬영년도___2015년).jpg|width=100%]]}}} || || {{{#ffd800 ''' 영해군과 자손들의 묘역[*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524786&ccbaKdcd=21&ccbaAsno=0106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무덤|묘]]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다. 영해군 묘 주변에는 다른 가족들의 묘도 자리하여 하나의 묘역을 이루고 있다. 영해군 가족 묘역은 1997년 12월 31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6호로 지정받았다. 사실 원래는 영해군의 아들 영춘군의 신도비만 '이인신도비(李仁神道碑)'란 명칭으로 지정받았는데 2008년 10월 30일에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이란 이름으로 바뀌면서 묘역 전체가 문화재가 되었다.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대신리에 그의 [[위패]]를 모신 소덕사가 있다. 지금도 매년 영해군의 기일마다 그곳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서출]][[분류:1435년 출생]][[분류:1477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영해군파]][[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