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파일:영천터미널.jpg]]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영천시]] 강변로 44 ([[금노동]])[* [[금노동]] 584-3] 에 있는 터미널. [[금아리무진]]이 영천버스터미널에 차적을 두고 있다. 영천에 [[아성고속]], [[천마고속]], [[금아버스그룹]] 등의 경북 동해안권 버스 회사가 많은 것은 이 영향도 있다. 시내버스를 탈 때 매표행위는 하지 않으므로 현금이나 교통카드로 승차하면 된다. [[경상북도]] 시 단위 지역 중에서 유일하게 [[KD 운송그룹]]이 들어오지 않는다. 영천버스터미널은 현재 폐업 절차를 밟고 있으며, 2023년 말에 폐업할 예정이다. 영천시에서는 [[영천역]] 부근으로 터미널 이전을 고려 중이며, 부지 확보 및 신축 이전까지 임시로 시에서 기존 영천버스터미널을 직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13927?sid=102|#]] == 노선 == 6번 홈은 [[경주시|경주]]행 버스 노선이 폐선되면서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이 되었다가, 2020년 6월 1일에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행]] 노선 부활,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新 경북도청]]행 버스 신설로 인해 운행이 재개됐다. 영천버스터미널의 승차홈은 다음과 같다. * 1번 : 예비홈[* 그러나 버스가 많이 안 들어오는 영천버스터미널의 특성상 예비홈은 쓸 일이 거의 없다.] * 2번 : 동대구(무정차)[* [[청송버스터미널|청송]], 죽장발이 출발해서 들어온다. 당연히 버스는 승객이 타고 있을 수 있다.] * 3번 : [[시외버스 동대구-포항(국도)|동대구]]([[하양읍|하양]] 경유)[* [[포항터미널|포항]]에서 출발한다.] * 4번 : 창하[* [[육군3사관학교]]가 있는 곳.], [[고경면|고경]], 안강휴게소, 풍산금속, [[안강시외버스터미널|안강]], 효자, [[포항터미널|포항]] * 5번 : 삼창, 자천, 불로, [[화목버스터미널|화목]], 안덕, 도평, 부남, [[청송버스터미널|청송]][* [[진보시외버스터미널|진보면]], [[주왕산]]으로 가려면 [[청송버스터미널|청송]]에서 내려 [[청송군 농어촌버스|농어촌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과거에는 [[주왕산]]행 2회, 진보행 1회가 있었지만 폐지되었다.] * 6번 : [[경주시외버스터미널|{{{#orange 경주}}}]], {{{#orange 입실}}}[* 2021년 10월 1일 부로 부활.], [[울산시외버스터미널|{{{#orange 울산}}}]],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orange 新 경북도청}}}]] * 7번 : [[시외버스 부산-영천|{{{#orange 부산}}}]](무정차) * 8번 : [[대구대정류소|{{{#orange 대구대}}}]], [[하양시외버스정류소|{{{#orange 하양}}}]], {{{#orange 구미복지, 구미공단}}}, [[구미종합터미널|{{{#orange 구미}}}]],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임고면|임고]], [[자양면|자양]], [[시외버스 동대구-죽장|죽장]] * 9번 : [[낙동강구미휴게소|{{{#skyblue 낙동강구미휴게소}}}]], [[서울고속버스터미널|{{{#skyblue 서울경부}}}]] * 10번 : [[신녕면|신녕]], 화산 방면 시내버스([[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200번대]]) * 11번 : 화북, 화남 방면 시내버스(300번대) * 12번 : [[임고면|임고]], 자양 방면 시내버스(400번대) * 13번 : [[고경면|고경]] 방면 시내버스([[영천시 시내버스/600번대|600번대]]) * 14번 : 북안, [[아화정류장|아화]] 방면 시내버스(700번대) [[인천공항터미널|인천국제공항]] 방면 버스는 [[고속버스 서울경부-영천|서울경부-영천 노선]]이 중간 정차하는 [[동영천IC]] 정류소를 이용해야 한다. 시외,고속버스는 평일 일반 69.2%, 우등 30.8%로 일반이 훨씬 더 많이 들어온다. 주말에는 일반 68.2%, 우등 31.8%가 된다. === 고속버스 ===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2147> '''{{{#ffffff 낙동강구미휴게소[br]서울}}}''' || 일 5회 || [[천일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영천발 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ffffff 망정동}}}''' ||<-2> 발권불가 || ||<#002147> --'''[[낙동강구미휴게소|{{{#ffffff 낙동강구미휴게소}}}]]'''-- || --0:55-- || --₩ 4,900[br]₩ 7,400({{{#0000ff 우등}}})-- || ||<#002147> '''[[서울고속버스터미널|{{{#ffffff 서울(경부)}}}]]''' || 3:25 || ₩ 18,700[br]₩ 27,600({{{#0000ff 우등}}})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07:30, 10:00, 13:00, {{{#0000ff 15:50}}}, 18:50|| ||<-3><(>전 시간대에 [[낙동강구미휴게소]]를 경유한다. [[학생증]]으로만 학생 할인이 적용되며, [[청소년증]]은 불가능하다. 2017년 11월 20일부터 [[영천 버스 55, 555|55번/555번]]의 기점인 [[망정동]] 창신아파트에서 중간 승하차한다. 1일 5회뿐이므로 [[영천 버스 55, 555|55번/555번]] 이용 혹은 [[영천역]]에서 [[동대구역]]으로 가는 [[무궁화호]]를 타고 가서 환승하는 것이 낫다. 상세한 노선은 [[고속버스 서울경부-영천]] 문서 참고. || }}} || === 시내버스 === 시내버스도 들어오지만, 터미널 구내에는 읍면 노선만 들어온다. 영천시내 순환 노선인 [[영천 버스 1|1번]], [[영천 버스 2|2번]], [[하양시외버스정류소|하양]], [[안심역]], [[용계시외버스정류소|용계]],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로 가는 [[영천 버스 55, 555|55·555번]]은 영천터미널로 들어오지 않고 영천터미널 앞에 있는 정류장만 경유한다. 영천시내 순환 노선인 1번과 2번은 한 방향으로만 운행하기 때문에 1번은 터미널 바로 앞 택시정류장 옆에, 2번은 터미널 건너편에 정차한다. 55, 555번은 대구 방면은 터미널 건너편에, 영천시내 방면은 1번 타는 곳에서 기다리면 버스가 온다. === 시외버스 === 자체 수요가 적어서 노선이 많지 않은 편이다. 노선은 다음과 같다. || 권역 || 행선지 || || 대경권 || [[시외버스 포항-구미|구미]],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2020년 2월 27일 부로 운행중단.],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직통과 [[하양시외버스정류소|하양]] 경유로 나뉘며, 하양 경유 7회, 직통 10회 운행한다. 직통은 청송 혹은 죽장 출발, 하양 경유는 포항에서 출발한다. 둘 다 인터넷 예매는 불가능.][* 1일 1회, 영천-동대구만 오가는 계통에 한하여 28인승 우등버스가 투입된다.], [[포항터미널|포항]][* 창하, [[고경정류장|고경]], 안강휴게소, 풍산금속, [[안강시외버스터미널|안강]] 경유.], [[시외버스 동대구-청송|청송]][* 1시간 40분 정도로 잡아야 한다.], [[시외버스 동대구-죽장|죽장]], [[경북도청]],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삼창, 자천, 불로, 화목, 안덕, 도평, [[하양시외버스정류소|하양]][* [[시외버스 동대구-포항(국도)|동대구행]]과 구미행으로 나뉘며, [[구미종합터미널|구미]]행은 우등이고 예매가 가능한 반면, 동대구행은 일반이고 예매가 불가능하다. 과거에는 금호도 경유했으나 현재는 경유하지 않는다.], [[용계역|용계]], [[임고면|임고]], [[자양면|자양]], 창하, [[고경면|고경]], 안강휴게소, 풍산금속, [[안강시외버스터미널|안강]], 효자, 입실[* 2020년 10월 1일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경북도청 중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구간을 고속도로로 다니는 것을 1회에 한하여 [[7번 국도]] 경유로 조정하면서 개통되었다.] || || 부울경권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과거엔 영천-임포-아화-건천-경주-불국사-입실-울산으로 경주 이후 [[7번 국도]] 완행으로 운행했다가 2016년 3월 1일에 폐지되었다. 그러다 2020년 6월 1일 울산-경주-영천-경북도청 노선이 신설되면서 운행재개 했다. 하지만 운행 횟수가 저녁에 2회 뿐인 데다가 요금이 비싸고 옛날과 달리 경주-울산을 [[언양JC|언양]] 경유 고속도로로 우회하기 때문에 [[영천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해 [[태화강역]]에 내리는 것이 훨씬 낫다.] || *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행은 2019년 1월 13일부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포항터미널|포항]] 출발이었으며, 정확히는 영천에서 [[강구시외버스터미널|강구]] 경유로 바꾸었다.] 따라서 영천에서 [[청주고속버스터미널|청주]]를 오고 가려면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으로 이동해서 [[청주고속버스터미널|청주]]행 고속버스 혹은 [[오송역]]을 이용하거나, [[낙동강구미휴게소|낙동강구미]](상행)/[[낙동강의성휴게소|낙동강의성]](하행)에서 [[청주고속버스터미널|청주]]행으로 환승해야 한다.[* [[낙동강구미휴게소]]에서도 [[청주고속버스터미널|청주]]행 고속버스를 탈 수 있지만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발 청주행만 탈 수 있는데 그것도 총 4회(주말 5회) 밖에 없고 그 중에서도 3회는 프리미엄이라서 환승 가능한 차편은 1회(주말 2회) 밖에 없으므로 사실상 낙동강 구미휴게소 환승은 거의 의미가 없다.] --청주, 포항 착발은 영덕 강구행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6월 28일부터 2020년 5월 31일까지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행 버스가 폐선된 적이 있었다. 이 때는 경주와 영천을 오가려면 [[영천역]]에서 [[무궁화호]]를 타야만 했다.[* 태풍 [[미탁(2019년 태풍)|미탁]]으로 인해 선로에 문제가 생기면서 열차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이 문제는 2020년 6월 1일,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영천-[[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경북도청]] 노선이 영천터미널을 중간 경유하면서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2021년 12월 28일에는 [[경주역(폐역)|구 경주역]]이 폐역되고 [[경주역|신경주역]]과 [[서경주역]]으로 이관되면서 다시 접근성이 떨어진 상태다. === 과거에 운행했었던 노선 === * [[아화정류장|아화]], [[건천정류장|건천]], 임포 직행 : [[시외버스 울산-안동|울산-안동 완행 노선]]과 [[시외버스 동대구-경주(완행)|동대구-경주 완행 노선]]의 경유지 중 하나였으며, 2018년 6월 28일에 폐선되었다. 현재의 울산, 경주-경북도청 노선은 무정차 통과한다. * 화산직행, [[신녕버스터미널|신녕직행]], 화수직행, 연계, [[의흥면|의흥]], [[우보면|우보]], [[탑리버스정류장|탑리]],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단촌, 일직, [[불국사]], 입실 : 2016년 3월 1일 [[시외버스 울산-안동|울산-안동 완행 시외버스 노선]]의 폐지로 폐지되었다. *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 : 2019년 1월 13일 영천 경유에서 [[강구시외버스터미널|강구]] 경유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상주영천고속도로]]가 아닌 [[서산영덕고속도로|상주영덕고속도로]]로 간다. * 파천, [[주왕산]], [[진보버스터미널|진보]] : 2019년 8월 26일에 동대구-진보, 동대구-주왕산 노선이 폐지되고, 부산-주왕산 노선이 부산-영천 노선으로 단축되고 시외우등 할증을 시행하면서 폐지되었다. * 고아, [[선산터미널|선산]], 낙동,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양정정류장|양정]], [[함창버스터미널|함창]], [[점촌터미널|점촌]] : 2018년 11월 날짜 미상으로 [[시외버스 포항-점촌]] 노선이 [[시외버스 포항-구미|포항-구미 시외버스 완행노선]]으로 바뀌고 구미-점촌 구간은 고아, 선산, 낙동, 양정, 함창 무정차로 바뀌면서 폐선되었다. * [[왜관남부정류장|왜관남부]], [[왜관북부정류장|왜관북부]], [[성주버스정류장|성주]] : 2002년에 개통하였으며, [[경일교통]]이 운행하다가 인구 감소와 적자 누적으로 인해 2010년에 폐지되었다. [[시외버스 포항-성주]] 문서를 참조. * 진량, [[영남대학교|영남대]],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 2007년 [[시외버스 경산-포항|경산-영천-안강-포항 노선]]의 폐지로 인해 폐지되었다. * [[신경주역]]: 적자 누적으로 2015년 8월 1일에 폐지되었다. 폐지 이후 6년 동안 [[건천역]]-[[광명동(경주)|광명동]]-[[경주역|신경주역]]으로 가거나 [[경주시외버스터미널]](2018년 6월 28일~2020년 5월 31일 제외) or [[경주역]] - [[신경주역]] 경로를 이용해야 했으나 2021년 12월 28일 부로 [[중앙선]] 및 동해선 이설로 인해 [[신경주역]]으로 선로가 가게 되어 [[영천시|영천]]에서 [[신경주역]]으로 가려면 [[영천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하면 된다. == 기타 == 노선 예매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행 고속버스, [[시외버스 부산-영천|부산행 시외버스]],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행]],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행]], [[시외버스 포항-구미|구미행]]만 예매가 가능하며 이 마저도 경주, 울산은 예매가 가능한 시간대와 그렇지 않은 시간대가 나뉘어져 있다. [[하양시외버스정류소|하양]]행은 구미행은 예매가 가능하고 동대구행은 현장발권만 가능하며 대구대는 [[구미종합터미널|구미]]행만 경유하며 전회 예매가 가능하다. 타 노선은 무인발매기나 창구를 통해 현장발권을 해야한다. [[시외버스 동대구-경주|경주]],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포항]]과 달리 영천에서 동대구행은 아직도 비좌석제다. [[분류: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영천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