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지(역사))] ||이 문서의 일부 내용과 번역어는 아래 참고자료 문단에서 참고 및 인용하였습니다.|| [목차] == 세속 군주·제후 == === [[왕|렉스(REX)]] === * [[왕국]]·[[왕령]](REGNUM) === [[선제후|선제후(Kurfürst)]] === * [[선제후국]]·[[선제후령]](Kurfürstentum) === [[공작(작위)|둑스(DUX)]] === * [[대공(작위)|대공(ARCHIDUX) / 대공(MAGNUS DUX)]] * 공작(DUX) * [[공국]](DUCATUS) === [[프린스(작위)|프린켑스(PRINCEPS)/퓌르스트(Fürst)]][* 번역이 공(公), 후(侯), [[공작(작위)|공작]], [[후작]], [[제후]] 등 하나로 정해지지 않고 여러 가지가 난립하는 어려움이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 * [[공령]]·[[대공국]](PRINCIPATUS; Fürstentum) === [[변경백|마크그라프(Markgraf)]] === * [[후작]](MARCHIO) * [[후국]]·[[후작령]] (MARCHIA) * 변경백(Markgraf) * [[변경주]](Mark) * [[변경백작령]](Markgrafschaft) === [[궁정백|팔츠그라프(Pfalzgraf)]] === * [[팔츠]](Pfalz) * [[궁정백작령]](Pfalzgrafschaft) === [[백작|코메스(COMES)]] === * 백작(Count; Graf / [[야를|Earl]]) * [[백국]]·[[백작령]](COMITATUS; County; Grafschaft / Earldom) * [[방백|방백(Landgraf)]] * [[방백작령]](Landgrafschaft) * [[성백작]](Burggraf)) / [[성주]](Castellan; Châtelain) * [[성백작령]](Burggrafschaft) / [[성주령]](Castellany; Châtellenie) * [[제국백]](Reichsgraf) * [[제국백작령]](Reichsgrafschaft) === [[자작(작위)|비케코메스(VICECOMES)]] === * [[자작령]](VICECOMITATUS) === [[남작|바로(BARO)]] === * [[남작령]](BARONIA) == 성직 제후([[성직자령]]) == === [[대주교후]] === * [[대주교후령]](Fürsterzbistum)·[[대주교령]](Erzbistum) === [[주교후]] === * [[주교후령]](Fürstbistum)·[[주교령]](Bistum) === [[수도원]] === * [[제국수도원령]](Reichsabtei) * [[수도원후령]](Fürstabtei) == 기타 == === [[도시]] === * [[자유 제국시]]·[[자유도시]]·[[자유시]](CIVITAS)[* 실제 당대에는 단순히 "도시"라고 불렀다. 왜냐하면 도시 자체가 특권을 보유한 정주지였기 때문이다. 중세 성기, 정확히는 10~11세기부터 나타나던 전형적인 도시는 공간적으로 [[성(건축)|성벽(wall)]]으로 둘러싸였으며 상업이 발달하였고, 정치적으로는 일반 시민과 도시 귀족을 아우르는 도시 거주민 전체가 구성한 [[코뮌|서약공동체(Commune)]]에서 자치권을 행사하였다. 또한, 고유한 도시법과 재판소를 보유하였으며, 그 토유보유권도 여타 토지와는 구별되는 도시토지(Burgage) 형태를 취하였다.] === [[기사단]] === * [[기사단국]]·[[기사단령]] * [[독일기사단]] * [[구호기사단]] * [[성전기사단]] == 참고자료 == * [[http://blog.naver.com/sten1/10116027324]] - 신성로마제국 [[영방국가]] 목록 == 관련 문서 == * [[봉건제도]] * [[작위/유럽]] * [[영지(역사)]] * [[영주(중세)]] * [[장원(농업)]] [[분류:유럽의 군주국]][[분류:유럽의 귀족 작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