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서출]][[분류:1521년 출생]][[분류:1561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영양군파]] [include(틀:조선의 왕자/중종 ~ 고종)] ||<-7><:><#2246ac>'''[[전주 이씨|[[파일:전주 이씨 종문.svg|width=30]]]] {{{#FAFAD2 전주 이씨 영양군파의 종주}}}''' || ||<:> 영양군가 역사 시작 ||<:> {{{+1 →}}} ||||<#2246ac><:>'''{{{#FAFAD2 1대 영양군 이거}}}''' || {{{+1 →}}} ||<:> 2대 흥녕군 이수전 || ---- ||<-3><#94153E> {{{#gold '''조선 중종의 왕자'''[br]{{{+1 '''영양군[br] 永陽君'''}}}}}} || ||<-2><#94153E> '''[[봉호|{{{#gold 봉호}}}]]''' ||<(> 영양군(永陽君)[* 봉호는 [[경상북도]] [[영천시]]의 별호인 영양(永陽)에서 유래했다.] || ||||<:><#94153E> '''[[시호|{{{#gold 시호}}}]]''' ||<(> 성도(成悼) || ||||<:><#94153E> '''[[본관|{{{#gold 본관}}}]]''' ||<(> [[전주 이씨]] || ||||<:><#94153E> '''[[이름|{{{#gold 이름}}}]]''' ||<(> 거(岠) || ||||<:><#94153E> '''[[자(이름)|{{{#gold 자}}}]]''' ||<(> 탁보(卓甫) || ||||<:><#94153E> '''{{{#gold 부왕}}}''' ||<(> [[중종(조선)|중종]] || ||||<:><#94153E> '''{{{#gold 생모}}}''' ||<(> [[창빈 안씨]](昌嬪 安氏)|| ||||<:><#94153E> '''{{{#gold 부인}}}''' ||<(> 경양군부인 [[순흥 안씨|안방향]] (景陽郡夫人 安芳香)[* [[양녕대군]]의 외5대손・[[임영대군]]의 외고손녀] || ||||<:><#94153E> '''{{{#gold 자녀}}}''' ||<(> 양자 - 흥녕군 (興寧君) 이수전(李秀筌) || ||||<:><#94153E> '''{{{#gold 묘소}}}''' ||<(>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 사시리 || ||<|2><:><#94153E> '''{{{#gold 생몰[br]기간}}}''' ||<:><#94153E> '''[[음력|{{{#gold 음력}}}]]''' ||[[1521년]] [[4월 24일]] ~ [[1561년]] [[7월 27일]] || ||<:><#94153E> '''[[태양력|{{{#gold 양력}}}]]''' ||[[1521년]] [[6월 8일]] ~ [[1561년]] [[9월 16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종(조선)|중종]]의 서4남으로 어머니 [[창빈 안씨]]에겐 장남이다. [[전주 이씨]] 영양군파의 파시조이다. 친남매로는 여동생 [[정신옹주(중종)|정신옹주]]와 남동생 [[덕흥대원군]]이 있다. 즉 [[선조(조선)|선조]]의 큰아버지이다. == 생애 == 자세한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다. 《[[중종실록]]》에는 이복 누나 [[의혜공주]]와 함께 집을 화려하게 꾸몄으며 이에 비판받은 적이 있다는 기록이 나와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ka_12405006_002|#]][[http://sillok.history.go.kr/id/kka_12606005_001|#]] 평소 성품은 온화하고 겸손했다한다. 1561년(명종 16년) 9월 6일[* 음력 1561년 7월 27일.] 향년 4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세는나이]] 41세.] [[묘]]는 어머니 [[창빈 안씨]]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동작구|과천현 북면 동작리]], 지금의 [[국립서울현충원]] 자리에 있었다. 이후 1581년(선조 14년) 2월 26일에 후손들이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 사시리로 이장했다. == 여담 == * 《[[명종실록]]》의 [[http://sillok.history.go.kr/id/kma_11602022_002|이 기사]]에서는, [[순회세자]]의 [[태자비|세자빈]]으로 황대임의 딸이 간택받은 이유를, 황대임의 처형인 영양군의 아내가 [[윤원형]]의 첩 [[정난정]]과 서로 친했기 때문이라고 소개한다. 여담으로 황대임의 딸은 가례를 앞두고 맹장염인 듯한 심한 복통을 호소하여 1년이나 가례가 미뤄지자 세자의 후궁인 양제로 강등당했다. 그리고 윤옥의 딸 [[공회빈 윤씨]]가 새로운 세자빈이 되었다. == 가족 관계 == * 부 : [[중종(조선)|중종]](中宗, 1488 ~ 1544) * 모 : [[창빈 안씨]](昌嬪 安氏) * 동생 : 이수(頤壽, 요절) * 동생 : [[덕흥대원군]] 이초(德興大院君 李岹, 1530 ~ 1559) * 조카 : [[선조(조선)|선조]](宣祖, 1552 ~ 1608) * 누나 : 정신옹주(靜愼翁主, 1526 ~ 1552) * '''정부인''' : 경양군부인(景陽郡夫人) [[순흥 안씨|안방향]](安芳香, 1522 ~ 1594) - 안세형(安世亨)의 4녀[* [[양녕대군]]의 외5대손・[[임영대군]]의 외고손녀] * 양자 : 흥녕부정(興寧副正) 이수전(李秀筌 1554 ~ 1605) - 부안도정[* [[무산군(1490)|무산군]]의 6남](扶安都正) 이석수(李碩壽)의 3남 * 며느리 : 서하군부인 [[풍천 임씨]](西河郡夫人 豊川 任氏) - 임열(任說)의 딸 * 손자 : 풍해군(豊海君) 이잠(李潛, 1585 ~ 1648) * 며느리(양첩) : 환진(環眞) * 서손녀 : 이온영(李溫英, 1580 ~ ?) * 서손자 : 풍릉수(豊陵守) 이혼(李混, 158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