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 [목차] [clearfix] == 개요 == 李天桂 (? ~ 1376) [[조선]]의 추존 대군인 완창대군 [[이자흥]] 혹은 추존왕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다. [[태조(조선)|태조 이성계]]의 [[사촌]] 또는 이복형이다. == 생애 == 부친 [[이자흥]]이 [[천호제|천호]]가 되었으나 일찍 사망하고 그의 어린 아들인 이천계(이교주)가 너무 어려 천호 직위를 이어받지 못하자 [[이자춘]]이 이천계가 나중에 어른이 되면 돌려주기로 하고 일단 천호직을 임시적으로 세습하였으며 [[이자춘]]은 [[원나라]]의 [[다루가치]]직도 자연스럽게 세습받았다. 그러나 [[먹튀|이천계가 어른이 되어서도 천호직과 다루가치직을 돌려주지 않았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이원계]],[[이천계]]가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이성계]] 계통의 정통성을 위한 윤색으로 보고 있다.] [[http://sillok.history.go.kr/id/kaa_000022|#]] [[이자춘]]이 죽자 이천계가 자신이 [[적장자]]임을 내세워 [[이성계]]를 모해하여 난을 일으키려다 실패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이천계는 [[이자춘]], [[이성계]] 부자보다 일찍 고려에 투항해서 관직을 얻었지만 권세가와 다투다가 투옥되어 처형당했다. 이천계는 환조 [[이자춘]]의 아들 자격으로 1872년(고종 9년)에 영성대군(永城大君)으로 봉군되었다. == 이교주와의 동일인 문제 == 《[[태조실록]]》의 기사에는 이자흥의 아들이 이교주(李咬住)로 적혀있다. 하지만 또다른 기사에는 이교주와 이천계가 동일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aa_000059|#]] 그래서 이천계와 이교주가 과연 동일 인물인지에 대해서 의견이 갈린다. 저 문제는 당대는 물론, 500여 년이 지난 [[고종(대한제국)|고종]] 때에도 논쟁이 됐던 모양이다. 1900년([[광무]] 4년)에 [[완순군|완순군 이재완]]이 이자춘의 능인 [[정릉]](定陵)의 비문과 옛 선원보략을 근거로[[http://sillok.history.go.kr/id/kza_13707004_001|#]], 이천계가 이자흥의 소생임이 판명되었으니 작호에서 대자를 빼고 그냥 영성군(永城君)으로 봉하기를 고종에게 청해 허락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3707007_002|#]] 이로 보아 [[대한제국]] [[황실]]에서는 이교주와 이천계를 동일인으로 판단한 듯하다. 현재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에서는 이천계를 완창대군의 아들로 보는 듯하다.[[http://www.rfo.co.kr/view_party.php?list_mode=people1&refnum=016&party_name=|#]] [[이자춘]] 사망 당시 세워진 이자춘신도비에도 이천계의 이름은 누락되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천계가 이자흥의 아들인 이교주와 별개의 인물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그에 따르면 이천계는 이성계의 배다른 형제 중 한 명 즉 이성계의 이복형이며, 이자흥의 아들 이교주가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 [[양자(가족)|양자]]로 보내주었다는 견해이다. == 가족 관계 == * 정부인 : 부부인 [[밀양 박씨]](府夫人 密陽朴氏) - 판부사 박종건(判府事 朴宗健)의 딸 * 장남 : 밀양군 이란(密陽君 李蘭) * 며느리 : 정경부인 증 부부인 [[파평 윤씨]](貞敬夫人 贈 府夫人 坡平 尹氏) - 제학 윤사우(提學 尹師愚)의 딸 * 손자 : 파원군 이양덕(坡原君 李陽德) * 손자 : 파천군 이사명(坡川君 李思明) * 손자: [[파성군]] 이사철(李思哲) * 손녀 : [[문화 류씨|류담]](柳潭)의 처 * 손녀 : 참판 [[창녕 성씨|성순조]](參判 成順祖)의 처[* [[성준(조선)|성준]](成俊)의 모친] * 차남 : 밀은군 이섭(密恩君 李攝) * 며느리 : [[위(성씨)|장흥 위씨]](長興 魏氏) * 며느리 : [[경주 김씨]](慶州 金氏) * 손자 : 경천군 이중경(慶川君 李重卿) * 손자 : 경신군 이중보(慶信君 李重寳) * 손자 : 경의군 이수인(慶義君 李守仁) * 손자 : 경릉군 이수의(慶陵君 李守義) * 손자 : 경양군 이중방(慶陽君 李重芳) * 3남 : 밀춘군 이척(密春君 李陟) * 며느리 : [[한양 조씨]](漢陽 趙氏) - 조돈(趙敦)의 딸 * 손자 : 진강군 이하생(晋康君 李夏生) * 손자 : 경헌군 이하성(慶憲君 李夏成) * 손자 : 고양군 이하운(高陽君 李夏雲) * 손자 : 흥양군 이하공(興陽君 李夏恭) * 손자 : 평양군 이하수(平陽君 李夏秀) * 손자 : 풍양군 이희문(豊陽君 李熙文) * 4남 : 밀릉군 이실(密陵君 李實) * 며느리 : [[청풍 김씨]](淸風 金氏) * 손자 : 청성군 이득성(淸城君 李得成) * 손자 : 청평군 이수성(淸平君 李守成) * 5남 : 밀선군 이종(密善君 李種) * 며느리 : [[한산 이씨]](韓山 李氏) - 감사 이구(監司 李球) * 손자 : 경산군 이유생(景山君 李裕生) * 손자 : 경언군 이양수(景彦君 李陽秀) * 장녀 : 판서 최천보(崔天寶)에게 하가(下嫁) * 차녀 : 참판 최천봉(崔天奉)에게 하가(下嫁) * 3녀 : 참판 태석란(太石蘭)에게 하가(下嫁) [[분류:1376년 사망]][[분류:고려의 인물]][[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전주 이씨 완창대군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