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극락강은 여기로 넘어옵니다. 극락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철도역, rd1=극락강역)]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명칭이 비슷한 경상북도의 강, rd1=형산강)] [include(틀:수권 - 강)] [include(틀:대한민국의 하천)] ||<-2> {{{#fff '''{{{-1 국가하천 · 전라남도 지방하천}}}[br]{{{+2 영산강}}}'''[br]'''[[榮|{{{#fff 榮}}}]][[山|{{{#fff 山}}}]][[江|{{{#fff 江}}}]]''' | '''Yeongsangang River'''}}}[*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제5조 "1. 국문 명칭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후부 요소의 의미역을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의미역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예) 한강 Hangang River …… "에 따름. 대중적으로는 'Yeongsan River' 혹은 'The Yeongsan' 등으로 부르는 경우가 잦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산강.jpg|width=100%]]}}}|| || '''위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br]└[[전라남도]] || || '''수계''' ||영산강수계 || || '''발원'''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용흥사 계곡|| || '''하구''' ||[[전라남도]] [[목포시]] [[서산동]][br][[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 || '''유입''' ||[[금성천]], [[용천]], [[오례천]], [[증암천]],[br][[풍영정천]], [[광주천]], [[황룡강]], [[지석천]], [[영암천]] 등 || || '''유출''' ||[[황해]] || || '''유로연장''' ||129.50km (80.5 mi) || || '''유역면적''' ||3,468 km² (1,339 sq mi) || || '''유량''' ||- || || '''하중도''' ||- || || '''하천코드''' ||5000010 (국가하천)[br]5020010 (지방하천)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tatic.ebs.co.kr/0a45705e-7944-4cef-a209-aab38eefdba4.jpg|width=100%]]}}}|| || [[무안군]] [[몽탄면]] 느러지마을 ||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병풍산 북쪽 용흥사 계곡에서 발원하여 [[장성군]], [[광주광역시]], [[나주시]], [[영암군]], [[함평군]], [[무안군]], [[목포시]] 등지를 지나 [[영산강하굿둑]]을 통해 [[황해|서해]]로 흘러드는 [[강]]. 일명 [[4대강]] 중 하나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 대표 [[강]]이다. [[대한민국|우리나라]]의 국가하천 중 본류 기준으로 다섯 번째로 길고 넓은 강이다. 사실 강 길이 자체는 [[섬진강]]이 영산강보다 95km 가까이 훨씬 길고 유역 면적도 4위 섬진강에 적잖은 차이가 나지만, 섬진강 유역이 죄다 산골인 데다 수량도 매우 적은 편이라 주로 영산강을 4대강으로 꼽는다. [[4대강 정비 사업]]에도 섬진강이 아닌 영산강이 선정되었다. 그동안 발원지를 [[담양군]] 용면 용추봉으로 알려져 왔으나, 정부 발행 <한국하천일람>에 수문학적 관점에서 영산강 본류보다 더 길다고 측량된 제1지류인 [[장성군]] [[황룡강]]의 발원지인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병풍산 북쪽 용흥사 계곡을 공식적인 발원지로 기록하고 있다. == 자연지리 == === [[간척]]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산강_1910.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산강_1980.png|width=100%]]}}}|| || 1910년대 지형도 || 1980년대 지형도 || [[나주평야]]의 남쪽 지역은 후빙기에 해수면이 상승하며 형성된 [[만(지리)|만]]이었다. [[영암군/행정#s-1.1|영암읍]]과 [[나주시]]는 지금은 내륙이지만, 과거에 영산강은 감조하천이었고 영암읍내, [[월출산]] 인근, 나주 영산포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다.[* [[후삼국시대]] [[나주 공방전]]에서 나주를 점령하기 위한 [[수군]]이 등장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따라서 영산강 하류에는 넓은 간석지, [[갯벌]]이 발달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산강간척지.jpg|width=100%]]}}}|| ||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간석지 개간 과정[*출처1 김경수, "영산강 유역의 경관변화 연구: 영산강 시가지 형성과 간석지 개간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01.] || 간석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임진왜란]] 이후(조선 후기)로, 영산강의 퇴적과 더불어 17세기 중엽에 삼림이 제거되고 경사지가 훼손되어 주변 구릉지에서 유출되는 토사가 많아진 것이 간척지 매립을 촉진한 것으로 추정된다.[*출처1] 자연적인 퇴적 외에도 17-19세기에 인구 압박과 토지 수요 증가에 따라 저지대가 개간되어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었다. 인근 유지들이 주도하여 여러 개간지가 생겼는데, [[영암군|영암]]의 '지남제들', [[무안군|무안]]의 '소포제들' 등이 해당된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에 의해 '장항포들', '영화농장들' 등의 개간지가 형성된다. [[8.15 광복|광복]] 후에도 지역 지주에 의해 매립이 지속되어 영암의 '학파농장들', '숭의농장들'이 개간되었다.[*출처1] 1981년에는 [[영산강하굿둑]]이 건설되어 토지가 대폭 늘어났다. 이후로 지형에 큰 변화는 없다. === 지류 === || 하류 || * 남창천 * 망월천 * 영암천 * 학산천 * 호동천 * 도포천 * 망호천 * 금성천 * 삼포천 * 성남천 * 금곡천 * 대치천 * 사천천 * 석진천 * 봉산천 * 함평천 * 무안천 * 엄다천 * 학교천 * 대동천 * 신광천 * 고막원천 * 안곡천 * 구산천 * 월봉천 * 식지천 * 해보천 * 금석천 * 용암천 * 대도천 * 유평천 * 문평천 * 만봉천 * 금천 * 봉황천 * 영산천 * 나주천 * 장성천 * 감정천 * 노안천 * 지석천(드들강) * 산포천 * 대촌천 * 노동천 * 송학천 * 대초천 * 도곡천 * 화순천 * 한천천 * 석정천 * 춘양천 * 송석천 * 오류천 * 청풍천 * 활용천 * 송정천 * 추동천 * 쌍봉사천 * 평동천 * [[황룡강]] * 평림천 * 왕동천 * 구룡천 * 동화천 * 관동천 * 개천 * 장성천 * 덕진천 * 대악천 * 서창천 * [[광주천]] * [[용봉천]] * [[동계천]] * 증심사천 * 풍영정천 * 장수천 * 평산천 * 학림천 * 용산천 * 증암천 * 창평천 * 석곡천 * 오례천 * 수북천 * [[용천]] * 월산천 * 금성천 * 석현천 || 상류 || == 인문지리 == === 명칭 === [[담양군|담양]]에서는 죽록천(竹綠川), [[광주광역시|광주]]에서는 극락강(極樂江) 또는 칠천(漆川)[* [[신창동(광주)|신창동]] 인근], [[나주시|나주]]에서는 [[통일신라]] 때 이름 금성(錦城)에서 유래한 금강(錦江) 등으로 불렀다. 현재의 강 이름은 [[나주]]의 포구마을 영산포(榮山浦)에서 유래하였다. [[광주광역시|광주]]에서는 21세기 이후 극락강이라는 이름은 잘 안 쓰다보니 지역 사람들도 이런 이름이 있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흔적이 광주 곳곳에 남아 있다. [[극락강역]], 광주극락초등학교[*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유촌동]]에 소재한 초등학교. 1931년에 개교한 만큼 그 역사가 오래되기도 했다.], 극락교, 극락친수공원 등이 그런 예이다. 극락초등학교는 그 옆을 흐르는 복개하천인 극락천이 흘러 광주천과 합류하기에 교명이 '극락'이 되었을 뿐 극락강과 상관없다. === 교통 === 상술했듯 과거에는 나주 영산포까지 바닷물이 들어왔으므로 수운이 발달했다. 고려 시대에는 영산포에 해릉창(海陵倉), 조선 전기에는 영산창(榮山倉)이 있어 조운 기능을 수행했다. 1512년에 영광의 법성포창(法聖浦倉)으로 통합되면서 조운 기능은 사라졌지만 수운은 지속되었다. 영산강의 수운 기능이 상실된 것은 육상교통의 발달로 1960년대에 영산포가 쇠퇴하고 1981년에 하굿둑이 건설되면서이다. '영산강 유역 고대문화권 특정지역 지정 및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나주시 나주대교에서 영산강하굿둑을 잇는 강변도로 건설 사업이 진행 중이다. === Y프로젝트 === {{{#!folding [ 영상 펼치기 · 접기 ] [youtube(3Z5QC72LS9g)] [youtube(sYTe_JcZeBQ)] }}} 2020년대 들어 [[광주공항]] 이전과 함께 나온 계획. 2023년 10월 26일 광주광역시장은 <영산강 100리길, Y프로젝트>라는 명칭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다. * [[영산강]] 익사이팅 존은 산동교 인근([[첨단지구]] 남단쯤)에 들어서며 아시아 물 역사 테마체험관, 물놀이장, [[서핑]] 시설, 야외 [[공연장]]이 지어진다. * [[황룡강]] 에코랜드는 송산유원지([[어등산]] 서쪽)에 들어서며 테마정원, 수영장, [[짚라인]], [[카누]] 시설이 지어진다. * 승촌섬(광주광역시 남단쯤)에는 여러 [[캠핑장]], 수상 [[공연장]]이 지어진다. * 두 강의 합류지([[광주공항]] 남단쯤)에는 랜드마크인 Y브릿지가 지어진다.[* 다만 공항 이전 후 본격적으로 한다.] * 서창포구(광주공항 동쪽), 덕흥([[광주광역시청]] 서쪽 [[하중도]])에는 [[전망대]] 등이 지어진다. * 리버라인 100리길은 두 강의 시내 구간 대부분을 하나로 잇는다.[[http://m.mdilbo.com/detail/0kIA7d/705419|#]] 익사이팅 존과 에코랜드는 2026년에 완공할 목적이고, 영산강은 2030년까지 2급수로 만들겠다고 한다.[[https://www.google.com/amp/s/m.sedaily.com/NewsViewAmp/29W3Y16IUF|#]] === 구조물 [anchor(교량)] === || 하류 || * [[영산강하굿둑]]([[녹색로(전라남도)|녹색로]]) * 영산철교([[대불선]]) * [[무영대교]]([[2번 국도]], [[무영로(전라남도)]]) * (이름 미정)([[경전선#s-3.5|이설 이후 경전선]]) - [[임성리역]]과 [[영암월출역]] 사이 교량이다. * 영산강대교([[49번 지방도]]) * 몽탄대교 * 동강교([[23번 국도]]) * 죽산보 * 죽산교 * 영산교([[1번 국도]], [[빛가람장성로]]) * 영산교 * 영산대교([[13번 국도]], [[예향로]]) * 빛가람대교 * 나주대교([[영산로(전라남도)|영산로]]) * 승촌보 * 승용교([[49번 지방도]], [[빛가람장성로]]) * 서창교 * 극락교([[22번 국도]], [[상무대로]]) * 영산강하저터널 ([[광주도시철도 1호선]]) * 어등대교([[무진대로]]) * 덕흥대교([[광주제2순환도로]]) * 광신대교([[하남대로(광주)]]) * 영산강하저터널 ([[광주도시철도 2호선]]) * 영산강대교 ([[상무지구 - 첨단산단 도로]]) * 산동교([[1번 국도]]) * 영산강교([[호남고속도로]]) * 반월교([[상무지구 - 첨단산단 도로]]) * 첨단교 * 첨단대교([[임방울대로]], [[광주도시철도 2호선]]) * 용두대교([[북부순환도로(광주)|북부순환도로]]) * 지야대교([[빛고을대로]]) * 용산교 * 영산교([[고창담양고속도로]]) * 삼지교 * 양각교([[13번 국도]]) * 담양교 * 만성교 * 향교교([[29번 국도]]) * 학동교 * 금월교([[24번 국도]]) * 대곡교([[897번 지방도]]) * 석현교([[24번 국도]]) * 대성교 * 담양댐 || 상류 || [[분류:영산강]] [include(틀:수권 - 강)] [include(틀:대한민국의 하천)] [include(틀:광주광역시의 자연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