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영국에서 생산된 디젤기관차로, 1세대 "워십" 버전과 2세대 "HST"버전이 동시에 존재한다. == 초대 "워십" == '''British Rail Class 43''' (Warship Class) || 형식 || 대형 디젤액압식 기관차 || || 최고 속도 || 130km/h || || 운영사 || [[영국국유철도|영국 국철]] || || 은퇴 년도 || 1971년 || [[파일:Tilehurst_station_geograph-2399295-by-Ben-Brooksbank.jpg]] 1960년에서 1962년에 제작되어 운행을 시작한 액압식 디젤기관차로 D800계열의 기관차들 중 하나이며, 차량 이름들은 영국의 군함들에서 따와서 "워십" 이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걸맞게 웅장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영국국유철도 시절에 주로 Mark 1 객차를 견인하였으며, 다른 워십 기관차들인 41형, 42형 기관차들과 거의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10년 뒤인 1970년대 초반에 50형에게 대체되기 시작하면서 [[E331계 전동차|JR동일본 E331계]]와 비슷한 신세를 지게 되었다. == 2대 "HST" == '''British Rail Class 43 (HST)''' || 형식 || 초고속 디젤기관차 || || 최고 속도 || 201km/h (영업최고속도), 238.4km/h (기록최고속도) || || 후계차량 || [[영국철도 800형]] || [[파일:InterCity125.jpg]] [[영국국유철도|국철]] 시절 BR Blue 도색, [[대한민국|바다건너 어느 반도국가]]의 [[DHC 디젤동차|어떤 차]]도 도입 초창기에는 이거랑 비슷하게 도색되었다. 영국인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존재, 아니 영국인들의 자부심 그 자체로, 디젤 기관차, 아니 이세상 모든 디젤열차 치고는 가장 빠른, 238.4km/h의 기록최고속도를 보유하고 있다. 41형 2세대의 실험 성공 이후, 1973년에 나오기 시작하였고, [[영국철도 370형]]이 1986년에 은퇴함에 따라 더 그 수가 불어났다. 현재 기준으로 남아있는 차량들은 전부 독일제 MTU 엔진을 사용하고 있으며, Valenta 엔진은 대부분 퇴출된 상태이다. 한국의 동차형 [[새마을호]]로 운행했던 [[DHC 디젤동차]]처럼 앞뒤로 [[기관차]]가 있는 [[철도차량/동력 구조#전후동력식 (PP식)|전후동력형]]이다. 현재 주간선에서 운행하는 차량들은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시간이 지나면 또다른 [[영국철도 800형|녀석]]에게 완전히 대차될지도 모른다. 연식이 오래되어도 너무 오래되었던 지라 그렇게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와 런던 노스이스턴 철도에서 운영하던 차량들은 전부 [[영국철도 800형|800형, 801형, 802형]]으로 대체되었고, 2021년, 미들랜드 본선에서도 은퇴하여 지금은 GWR 남서부 잉글랜드 노선만을 운행하는 급행열차와 스코트레일에서 영업운전중이며, 나머지는 관광 및 전세열차, 검측차로 운행중. 영국의 화물철도 운영사인 Great British Railfreight에서는 이 기관차를 소화물 운송 등의 고속화물용 기관차로 들여올 예정이라고 한다. RailAdventure 소속 기관차들은 갑종도 끈다. 최근에는 크로스컨트리 소속들이 현역에서 물러났다. [[485계]]와 비슷한 역사를 지녔다. === 과거에 운용되었던 곳 === ==== 이스트 미들랜즈 철도 ==== [[파일:Bridgwater_-_Colas_Rail_43274_rear_of_NMT.jpg]] ''(EMR 은퇴 후 화물철도 운영사인 Colas Rail로 팔려간 274호기, EMR 소속이였던 차량들 중 유일한 신도색 차량이며, 지금은 네트워크 레일 주도의 검측운용에 주로 쓰이고 있다.)'' 민영화 이후, Midland Mainline이라는 운영사에서 계속 이 열차를 운행하였고, 이는 스테이지코치, 그리고 아벨리오 시대를 거쳐 지금까지 내려오게 되었지만, 2020년에 토착 소속들이 점점 [[LNER]] 전출분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21년에 최후의 2대인 102호기와 247호기가 [[종운식]]을 거치면서 결국 [[미들랜드 본선]]에서는 영영 볼 수 없게 되었다. === 현재 운용중인 곳 === ==== [[ScotRail|스코트레일]] ==== [[파일:Taunton_-_Abellio_ScotRail_43149.jpg]] 전부 GWR에서 퇴역한 차량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퇴역 이유는 [[영국철도 800형]]의 도입 때문이다. 그리고 도색은 원래는 스코트레일 공용 신도색으로 할 예정이었으나, 중간에 계획이 변경되어 브리튼 섬의 지형과 [[스코틀랜드]] 및 [[잉글랜드]]의 명소들을 그려넣었으며, 최근에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스코트레일 측에서 이 열차들 중 몇몇에게 마스크를 씌웠다. 쨌든 이 차량들은 전두부에서 First Great Western 시절 흔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스코트레일 영업운전을 대비하여 동력차 2량을 붙이고 시운전한 이력이 있다. 브랜드명은 Inter7City라는 이름을 달고 운행중이다. 또한 이 편성에 속한 객차들 중, 맨 끝의 객차 하나는 카페가 포함된 일등석 차량이다. ====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 [[파일:Norton_Fitzwarren_-_GWR_43093_on_the_West_Somerset_Railway.jpg]] 과거 Intercity 시절부터 이 노선에서 운행하였으며, 내셔널레일 민영화 이후로는 [[퍼스트그룹]]의 First Great Western 프랜차이즈가 들어선 이후, GWR로의 리브랜딩까지 지금도 현역에서 뛰고 있다. 국철 민영화 이후에 들어선 First Great Western은 처음에는 초록색과 금색이 섞인 도색을 사용하다가, 이 뒤에는 Barbie 도색을 쓰기 시작했고, 또 퍼스트그룹의 이미지 컬러인 어두운 파란색이 들어간 다이내믹라인 도색을 쓰다가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그 이후 2018년 5월 마지막 운행을 거친후, 주간선 운행구간인 런던 - 펜잔스 간 운행에서 밀려나기 시작했으며, 그에 속한 객차들도 자동문 개조 및 4량화 감축으로 지방 통근열차로만 뛰기 시작했으며, 몇몇은 스코틀랜드로 팔려갔다. 또한 4량화 감축과 동시에 일등실이 사라지고 전부 일반실로 바뀌었다. === 여담 === 트심 시리즈에서 플레이 가능하며, 또한 [[Stepford County Railway/열차#s-5.3|Stepford County Railway]] 등의 영국을 배경으로 한 Roblox 철도 시뮬레이션에서도 플레이 가능하다. 요크 철도 박물관에 가보면, 이곳에 이 열차가 보존되어 있다. 또한 보존단체인 125 Group의 주요 일이 이 열차의 보존이다. [[분류:영국의 철도차량]][[분류:디젤 기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