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파시즘 정당]][[분류:영국의 없어진 정당]][[분류:1932년 정당]][[분류:1940년 해체]] [Include(틀:파시즘)] [[파일:oswaldmoseley-tl.jpg]] 영국 파시스트 연합의 당수 오스왈드 모슬리와 당원들. ||<-2><:>[[파일:영국 파시스트 연합 당기.png|width=250]]|| ||<-2><:>{{{#FFFFFF '''영국 파시스트 연합'''}}}|| ||<-2><:>{{{#FFFFFF '''British Union of Fascists'''}}}|| ||<:>'''등록 약칭'''||BUF|| ||<:>'''창당년도'''||[[1932년]]|| ||<:>'''해산년도'''||[[1940년]]|| ||<:>'''당수'''||[[오스왈드 모슬리]]|| ||<:>'''이념'''||[[파시즘]][br][[군주주의]][br][[국민생디칼리즘]][br][[협동조합주의]][br][[반유대주의]]|| ||<:>'''스펙트럼'''||[[극우]]||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 파시스트 연합은 1932년 영국의 준남작이자 [[국회의원]]이었던 오스왈드 모슬리가 창당한 [[파시즘]] 정당이다. 모슬리는 1936년에 당명을 영국 파시스트 및 민족사회주의자 연합으로 1937년에는 영국 연합으로 바꾸었다 이후 [[2차 세계대전]]으로 금지되었다 영국 파시스트 연합은 영국 최초의 [[파시즘]] 조직은 아니었지만, 전간기(戰間期) 영국 파시즘 조직 중에서는 가장 크고 성공한 조직이었다. 한 때 당원 수가 6만 명에 달했으며, 해산 전 해인 1939년에도 2만 명 정도의 당원 수를 유지했다. == 성향 == 일부 학자들은 오스왈드 모슬리와 일부 당원의 출신 정당인 노동당을 근거로 영국 파시스트 연합을 [[우파]]나 [[극우]]가 아닌 '[[좌파 파시즘]]'에 가깝다고도 하지만 그는 [[노동당(영국)|노동당]]에 입당 전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 영국 하원의원'''[* 보수당 당적 영국 국회의원 시절 [[잉글랜드]] 동남부 [[해로]]가 그의 지역구였다.]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했던 인물이다.[* 첨언하자면, 모슬리는 노동당을 탈당하고 신당(The New Party)를 창당했을 때부터 '영국 파시스트들'(British Fascists) 회원을 당원으로 받아들이는 등 영국 파시스트 연합 창당 전부터 이미 [[극우]] 세력과 합작을 진행 중이었다.] 게다가 일부 당원 출신이 [[좌파]]라는 점에 있어서는 이탈리아 [[파시스트당]], 독일 [[나치당]] 등 동시대 다른 [[파시즘]] 정당들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는 어폐가 있는 주장이다. 만약 그 점을 근거로 파시즘 정당을 '[[좌파]] 파시즘' 정당이라고 규정한다면, [[파시즘]] 정당 중 '좌파 파시즘' 정당이 아닌 곳이 거의 없다. 더군다나 [[파시즘]] 세력은 [[좌파]]는 물론 기성 [[보수주의|보수]] 주류 세력과도 다른 '제3세력'임을 강조하며 등장했다. 이들 [[파시즘]] 세력 사이에서 [[반유대주의]], [[노동3권]] 부정 등 [[극우]]적으로 보이는 주장과 함께 [[복지]] 확대, [[금융]]자본 비판 등 일견 [[좌파]]적으로 보이는 수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고, 지금도 드문 일이 아니다. 어쨌든, 현재 영국 [[현대사]]학계에서는 영국 파시스트 연합을 [[극우]] [[파시즘]] [[정당]]으로 규정하는데 거의 이견이 없으며[* 혹자는 [[신라대학교]] 교수 김명환의 논문[* 김명환. 「영국 파시즘 연구 : 대륙 파시즘과 구별되는 모슬리 파시즘의 특징들」, 『영국연구』 11권 0호 (2004년), p151-177. 「영국 에드워드기의 급진 우파 : 보수당의 분열과 우파의 급진화」, 『영국연구』 13권 (2005년), p119-154. 「윌러비 드 브로크와 급진 우파의 사상」, 『영국연구』 14권 (2005년), p251-276.] 및 그가 번역·소개한 해외 연구를 근거로 영국 파시스트 연합을 [[극우]] 성향 정당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가 근거로 삼는 로렌스(J. Lawrence) 등 영국 파시스트 연합에 대한 [[수정주의]]적 접근은 영국 현대사학계 다수의 지지를 받고 있지 않다. 영국 파시스트 연합에 대한 영국 학계의 분석은 대체로 이 당이 [[유럽]] 파시즘 운동의 일부로써 [[폭력]]적이고 [[극우]]적인 [[정치]] 운동의 일환이었다는 것이며, BUF에 대한 이 관점은 전통적으로 학계 다수의 지지를 받아왔고, 기존 학설에 대한 [[수정주의]]적 학자[* S. Cullen, J. Lawrence 등]의 일부 이견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학계 다수의 지지를 받고 있다. 특히 1987년 출판된 《Illusions of Grandeur : Mosley, Fascism and British Society, 1931-81》은 전전(戰前) 영국 파시즘 운동의 기원과 형성은 물론, 영국 파시즘 사상과 대륙 파시즘 사상의 유사성, 영국 파시스트 연합의 유산이 [[국민전선]](National Front)[* 프랑스의 [[국민전선]]과 같은 이름을 가진 영국 [[극우]] [[파시즘]] 정당. 1967년 창당됐다.] 등 전후 영국 [[극우]] 정당에 끼친 영향 등을 자세하게 밝혀냈다. 게다가 S. Cullen, J. Lawrence 등 영국 파시스트 연합에 대한 [[수정주의]]적 접근을 하는 연구자들조차 이 당이 얼마나 폭력성을 띠고 있었는지에 대해 이견이 있는 것이지, 영국 파시스트 연합이 당시 영국 정치에서 [[극우]] 위치에 있었다는 점 자체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는 것이다. 물론 영국 파시스트 연합이 당시 기존 [[보수주의|보수]]세력과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은 부정할 수는 없지만, 이 특징이란 것도 대개 다른 [[파시즘]] 조직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파시즘]] 운동 일반의 특징에 속하지, 영국 파시스트 연합이 모종의 [[좌파]]에 속한다는 근거가 되지 않는다.], [[BBC]], [[가디언]], [[이코노미스트]], [[인디펜던트]] 심지어 한 때 편집자가 지지자였던 [[데일리 메일]][* 초창기(1932년-1934년) BUF의 지지자였던 로더미어 자작이 편집자였고, 지금도 중도 보수 성향 논조를 가지고 있는 신문.]까지 거의 대부분의 영국 주류 [[언론]]에서도 영국 파시스트 연합에 대해 언급할 때 [[극우]]나 [[파시즘]] 단어를 써 가며 설명한다. == 역사 == 창당자인 제6대 엔코트 준남작(Baronet) 오스왈드 모슬리는 1918년 [[보수당(영국)|보수당]] 입당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하지만 첫 영국 하원의원 생활을 마친 후 4년 만에 보수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지내다가 1924년 노동당에 입당했다. 이후 재선에 성공하고 제2차 램지 맥도널드 내각에 입각해서 랭커스터 공령상이 되었다. 모슬리는 1930년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인스주의]]와 [[보호무역]]을 융합한 자신의 경제계획을 제안했지만 노동당 회의에서 거부당한다.[* 이 경제 계획은 [[케인스]]의 지지를 받았다.] 그로인해 노동당에서 탈당했고 자신의 경제계획을 기반으로한 신당(The New Party)을 창당하지만 총선에 참패한다. 이 무렵 대공황으로 사회가 위기에 빠지고 이탈리아뿐 아니라 독일에서도 파시즘이 득세하자 급격히 [[극우]] 성향으로 기울어졌고, 1932년 10월 1일 추종자들을 규합하여 영국 파시스트 연합을 창당한다. 창당 초기 [[대공황]]이라는 고통스러운 상황에 좌절하고 이탈리아와 독일의 파시즘 정당 집권에 고무 받은 사람들을 끌어 모아 한 때 당원 6만을 넘었다. 정당운영에 필요한 돈을 대는 후원자 중에서 기업 관리직, 자영농, 자영업자, 변호사 등 상대적으로 [[중산층]] 혹은 중간계급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위치의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돌격대 조직인 [[검은 셔츠단]][* 무솔리니의 검은 셔츠단을 모방한 준군사조직이었다. ]에는 실업자나 청년 등 경제위기를 맞아 몰락하거나 절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았다. 당원이나 지지자 중에서는 오스왈드 모슬리 본인을 포함해 좌파 출신도 있었지만, 윌리엄 에드워드 데이비드 알렌(William Edward David Allen) 하원의원이나 패트릭 보일(Patrick Boyle) [[글래스고]] 자작 등 기존 [[보수주의|보수]]당 지지자였던 사람도 있었다. 일례로 영국 파시스트 연합을 지지한 사회 저명인사 중 한 명인 로더미어 자작(1st Viscount Rothermere)은 [[보수주의|보수]] [[신문]] [[데일리 메일]] 발행자였다.[* 데일리 메일은 지금도 영국에서 [[보수주의|보수]] 성향 논조의 신문이지만, 특히 [[대공황]]부터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강성 보수 성향 논조의 신문이었다.] 또한 여성 참정권 운동가들도 당에 많이 가입했다 당은 [[의회민주주의]] 폐지, 노동쟁의 금지, 고용주와 노동자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동업조합 결성[* 강제로 사용자와 노동자가 같은 동업조합에 참여하는 것은 파시즘 세력이 목표로 하는 계급 화합 정책에 부합한다.], 주요 산업 일부 국유화, 복지확대 등을 정강으로 삼았다. 노동자에게 복지확대를 약속하면서도 그들의 노동3권을 부정하고 고용주와 강제적으로 화합시키려 했는데, 이는 파시즘 정치세력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애초에 파시즘 세력은 등장서부터 반공·반노동조합을 표방하면서도 동시에 [[주류]] 보수와는 다른 친복지 반금융자본의 입장을 표방하여 왔기 때문이다. ‘영국 '''파시스트''' 연합’이라는 당의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당의 목적은 영국 [[자유민주주의]] 체제 철폐와 자당(自黨)의 독재정권 수립에 있었다. 물론 당원과 지지자들도 공공연하게 [[독일]]과 [[이탈리아]]의 파시즘 독재 체제를 선망하고 있었고, 오스왈드 모슬리 본인도 [[아돌프 히틀러]] 및 [[무솔리니]]와 교류하며 친분을 다지는 등[* 1936년 다이애나 밋포트와 베를린의 괴벨스 저택에서 재혼했는데 이 결혼식에 [[아돌프 히틀러]]와 [[요제프 괴벨스]]가 참석했다. 이 때문에 [[MI5]]의 감시대상이 된다. ] [[파시스트]] 간에 국제 교류를 다지는데 열심이었다. 스페인 내전 때는 일부 당원이 [[프란시스코 프랑코]] 측으로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다. 일각에서는 그가 [[나치당]]과 맺었던 친밀한 관계를 희석하려는 의도에서 오스왈드 모슬리가 독일 [[파시즘]] 세력보다는 이탈리아 [[파시즘]] 세력에 더 우호적이었다고 주장하지만, 그가 [[괴벨스]]의 저택에서 결혼한 사실만으로도 이런 주장은 무색해진다. 백 번 양보해서, 실제로 오스왈드 모슬리가 독일 [[파시즘]] 세력보다는 이탈리아 [[파시즘]] 세력에 더 우호적이었다고 쳐도, 결국 [[독일]]과 [[이탈리아]] 파시즘 세력은 같은 [[길]]을 걸었기 때문에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창당 초기 모슬리 본인이 나치당 같은 반유대주의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표명하기도 했지만, 33년 1월 히틀러 집권 이후 급격히 입장을 바꿔 [[반유대주의]] 입장으로 선회한다. 사실 창당 초기 모슬리의 "반유대주의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발언도, 창당 때부터 공공연한 [[반유대주의]]자들이 참여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립서비스]]에 가까운 말이었다. 애초에 이들이 가지고 있던 반금융자본 입장부터가 [[반유대주의]] 입장으로 전환되기 쉬운 입장이었는데, 당대에는 금융계를 유대인들이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편견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미 파시즘 등장 전부터 유럽 각국의 강성 보수 세력은 반금융자본 정강을 내세워 자신들의 [[반유대주의]] 성향을 미화하려고 시도했다. 1901년 프랑스에서 창당된 [[왕정복고]]주의적 강성 보수 정당 악시옹 프랑세즈(Action Française)는 이미 제1차 세계대전 전부터 이런 입장을 취했다.] BUF의 반유대주의는 단순히 유대인에게 비방에 그치지 않고 물리적 공격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원에 의한 공격으로도 나타났지만, BUF의 돌격대인 [[검은 셔츠단]][* 무솔리니의 검은 셔츠단을 모방한 준군사조직이었다. ]에 의한 공격으로도 나타났다. 1940년 해산 때까지 BUF 당원에 의한 크고 작은 [[유대인]] 공격 사건은 100여 건이 넘었다. 특히, 1936년에 [[런던]] 동부 유대인 거주지 한가운데를 행진하려고 시도한 사례는 지금도 유명하다.[* 일각에서는 몇몇 유대인 사업가가 BUF를 후원했었다는 점을 들어 BUF의 [[반유대주의]] 성향을 물타기하려고 시도하지만, 이미 1934년부터 영국 유대인대표위원회(The Board of Deputies of British Jews)[* 1760년 창립된 영국 유대인 공동체의 주요 대표 기관]는 영국 파시스트 연합을 [[반유대주의]]적인 정당이라고 비난하며 선을 긋고 있었고, 1936년 즈음에는 유대인 사업가들과 BUF의 관계는 완전히 단절된 상황이었다. 게다가 모슬리는 BUF 창당 전 '신당' 시절부터 전부터 존재하던 극우 세력과 합작하고 있었으며, 이미 1934년 10월 경부터 '조직화된 유대인의 음모' 운운하는 등 본인 스스로가 다른 당원의 [[반유대주의]] 성향에 영합하고 있었다.] 물론 영국 [[검은 셔츠단]]은 다른 나라의 파시즘 세력처럼 유대인을 공격할 뿐 아니라 [[노동조합]]원, [[공산당]]원, [[아나키스트]], 독립노동당원[* 모슬리도 전향 전까지는 독립노동당원이었던 적이 있다. 독립노동당 당원 중 유명 인사가 바로 [[조지 오웰]]. 무솔리니나 괴벨스도 좌익 출신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신기한 사실은 아니다.], 노동당 [[지구당]][* 런던 등 대도시나 노동계급 밀집 지역의 노동당 지구당은 대개 당내에서 상대적으로 급진적인 당원들이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회운동 참여에 미진한 노동당 지도부와는 달리 이들은 선거 외에도 거리 시위를 포함한 각종 사회운동 참여에 열심이었으며, 마찬가지로 1930년대 영국 [[안티파|파시즘 반대]] 운동 참여에도 열심이었다.] 사무실 등 [[진보]] 성향 제(諸)단체와 그 구성원을 전방위적으로 공격했다. 창당 초기 크게 당세를 확장하지만 [[유대인]], [[진보]]좌익, [[노동조합]] 등 반대파에 대한 공격이 기대만큼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공산당, 독립노동당[* 1893년 창당된 영국 노동당의 모태가 되는 정당. 하지만 1900년 노동당 합류 이후에도 독자 조직을 유지하고 있었다. 노동당 지도부와는 달리 제1차 세계대전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노동당, 아나키스트 등 [[진보]]좌익을 중심으로 한 [[안티파]] 세력의 적극적인 견제[* 특히 1936년 10월 4일 '케이블가(街) 전투'(Battle of Cable Street) 등 [[안티파]] 세력의 적극적인 맞불 거리 동원은 사기저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면서 성장에 한계를 맞았다. 더구나 이탈리아, 독일과 달리 영국 주류 [[보수주의|보수]]는 [[파시즘]] 정당과의 협력이라는 방침을 끝내 선택하지 않았다. 연이은 [[좌익]]과의 충돌에서 겪은 패배에다가, 제복 착용 금지 법안을 비롯한 영국 정부의 탄압이 겹쳤고, '올림피아 충돌 사건'과 '케이블가 충돌 사건'을 계기로 언론 다수의 비난에 시달리면서, 영국 파시스트 연합은 당세가 감소한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모슬리는 당원 및 지지자들과 함께 영국 정부와 군을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으나, 1940년 영국 정부는 독일과 내통할 수 있다는 이유로 영국 파시스트 연합을 금지했다. [[파일:5742747258_2f1de29e8f_b.jpg]] [[윌리엄 조이스]] 당원이자 간부였던 윌리엄 조이스(William Joyce)는 영국 파시스트 연합을 떠나 존 베켓과 함께 국가 사회주의자 연합을 창설하였다. 하지만 파시스트 운동 혐의로 체포령이 떨어지자 독일로 달아나 호호 경(Lord Haw-Haw)이라는 이름으로 선전방송을 하였다. 1940년 독일에 귀화하여 히틀러로부터 훈장까지 받았다. 하지만 독일이 항복하자 1945년 5월 28일 덴마크 국경지대인 [[플렌스부르크]][* 독일의 항복 직전과 직후에 걸쳐 존재했던 [[플렌스부르크 정부]]가 있던 도시이기도 하다.]로 달아나다 체포됐다. 이 때 체포과정에서 조이스는 대퇴부에 총상을 입었다. 조이스는 자신은 독일인이므로 독일에 충성한 것은 무죄라고 주장했으나 그가 영국 여권을 소지해 영국인이라는 이유로 1946년 1월 3일 반역죄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이는 현재까지 반역죄로 처형된 마지막 영국인이다. == 케이블가(街) 전투 == [Youtube(NE_xclpTAew)]'케이블가 전투' 관련 다큐멘터리 [Youtube(qq-uEITT5lc)][[BBC]] 방송의 '케이블가 전투'(Battle of Cable Street) 소개 영상 1936년 10월 4일, 당시 한창 기세를 올리고 있던 영국 파시스트 연합은 돌격대 [[검은 셔츠단]]과 당원들을 총동원하여 [[런던]] 동부 [[화이트채플]]에 있는 유대인 밀집지역[* 주로 유대인 노동자, 빈민이 거주했다고 한다.] 한가운데를 행진하고자 시도했다. 하지만 유대인 단체, 노동조합, 노동당 지구당들[* 중앙당 차원에서는 파시즘 반대 시위에 동원하지 않았지만 당내 급진적인 당원들을 중심으로 파시즘 반대 시위에 당원들을 동원했다.], 독립노동당, 공산당[* 영국공산당(Communist Party of Great Britain)], 아나키스트 단체 등 반대파에서 총동원하여 막아서는 바람에 실패한다. 합법 시위였기 때문에 경찰의 호위(?)를 받았음에도 [[안티파]] 세력의 저항이 워낙 거세어 어쩔 수 없었던 것이다. 이 날 시위를 고비로 영국 파시스트 연합의 거리 시위 기세는 한 풀 꺾인다. 대규모 거리 시위 시도의 거듭된 좌절은 당의 약화와 궤를 같이 했는데, 이는 폭력이 파시즘 세력의 유일한 운동 방법은 아니지만 '''주요''' 운동 방법임을 반증하는 사례이기도 하다. 이 날 시위와 충돌이 [[런던]] [[화이트채플]] 케이블가(街)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이 사건은 '케이블가 전투'(Battle of Cable Street)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날 [[극우]] [[파시즘]] 세력을 거리에서 격퇴시킨 것을 기념하여 지금도 매년 [[좌파]] 중심으로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으며, 2006년과 2016년에는 영국 공영방송 [[BBC]]에서 관련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도 했다. == 해산 이후: 영국 [[극우]]파의 모태 == [[노르웨이 침공]], [[영국 본토 항공전]]이 벌어지는 시기에 [[나치 독일]]과의 평화를 염원했던 오스왈드 모슬리는 당연히 많은 비난을 받으며 수감되었고 거의 동시에 영국 파시스트 연합도 해산당했다. 그는 [[1943년]]에 풀려났지만 [[종전]]까지 가택연금에 처해졌다. 종전 후 가택연금이 해제되자 모슬리는 1948년에 옛 당원 및 지지자들과 함께 [[네오 파시즘]] 정당인 연합운동(Union Movement)을 창당했으나 예전만큼의 영향력을 회복하지 못했다. 전쟁 직후 쏟아지는 비난 여론과 특히 대륙으로부터 피신한 유대인 [[난민]]들의 강력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연합운동과 오스왈드 모슬리는 [[반유대주의]] 선동을 중단하지 않았다. 특히 1962년 7월 31일에는 당원과 지지자들을 끌어 모아 다시 한 번 런던 동부 케이블가에서 [[반유대주의]] [[시위]]를 시도했지만[[https://www.ytn.co.kr/_ln/0422_201007302343120029|#]], 시작한 지 10분도 안되어 경찰에 의해 해산됐다. 이 해 모슬리는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로 이민을 갔지만 1973년까지 연합운동 운영에 계속 관여했으며, 파리에서는 새롭게 유럽민족당(National Party of Europe)이라는 이름의 서유럽에 있는 [[극우]] 정당들의 국제조직을 만들어 각국 [[극우]] 정당들 간의 교류를 꾀했다. 그는 전후 재건한 파시즘 정당의 이념에 [[반유대주의]]뿐만 아니라 새롭게 반 [[이민]] [[인종주의]]를 포함시켰는데, 이는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본격화된 [[영국 흑인|흑인]], [[인도인]], [[파키스탄]]인 등 비유럽권 이민자를 겨냥한 것이었다. 그는 1967년 창당된 [[국민전선]](National Front)의 성장과 1973년 연합운동 탈당 이후에도 영국 [[극우]]파의 대부 격 인물로 그들 사이에서 존경을 받았다. 오스왈드 모슬리는 말년에 [[파킨슨병]]을 앓다가 1980년 12월 3일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교외 오르세에서 사망한다. 오스왈드 모슬리와 영국 파시스트 연합은 현재 영국 [[극우]] 세력의 모태로 인식된다. 영국 파시스트 연합은 전쟁 초반에 해산당하고 종전 후 모슬리가 창당한 [[네오 파시즘]] 정당[* 1973년 해산]도 정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다가 와해되었지만, 그 사상이나 인적구성에 있어서 뒤에 등장한 영국 [[극우]] 정당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67년 창당 된 [[국민전선]](National Front)은 영국 파시스트 연합의 공식 후계 정당이랄 수 있는 [[연합운동]]과는 경쟁관계였지만, 아서 케네스 채스터턴(Arthur Kenneth Chesterton) 등 간부 중에 옛 영국 파시스트 연합 당원이 상당수 있었고, 당의 이념에 있어서도 영국 파시스트 연합의 영향을 받았다. [[국민전선]](National Front)은 한 때 총선에서 100명이 넘는 후보를 내고 [[검은 셔츠단]]을 흉내낸 '''의장대'''를 조직해 [[흑인]], [[인도인]], [[파키스탄인]] 등 소수 인종과 [[안티파]] 세력을 물리적으로 공격하면서 영국 사회에 위세(?)를 떨쳤다. 특히 1976년에는 [[런던]] 동부에 루이셤 구 [[이민|이민자]] 거주지에서 [[인도인]], [[파키스탄인]], [[흑인]], [[안티파]] 세력과 대규모 충돌을 벌였지만 1936년, 1962년과 마찬가지로 원래 신고한 행진 경로를 완주하는데 실패한다. [[국민전선]]은 영국 파시스트 연합처럼 거리 시위에서 [[안티파]] 세력에게 거듭 밀리자 약화되기 시작했고 결국 1983년 분열하여 극우세력의 주도권을 영국국민당(British National Party)에 넘겨준다.[* 영국 국민전선은 지금도 있지만 당원 1,000여 명이 안 되는 군소정당에 머물러있다.] == 당가 == [youtube(vN8qBiBIux8)] 정당의 [[파시즘|이념이 이념이다 보니]] 당가가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의 개사판이다. 가사의 내용도 죽은 전우들의 영혼이 우리와 함께 행진한다느니, 자유와 빵을 위해 싸운다느니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와 매우 비슷하다. === 가사 === || || [[영어]] 가사 || ||1절||Comrades, the voices of the dead battalions Of those who fell that Britain might be Great Join in our song, for they still march in spirit with us And urge us on to gain the fascist state!|| ||2절||We're of their blood, and spirit of their spirit, Sprung from that soil for whose dear sake they bled Against vested powers, Red Front, and massed ranks of reaction We lead the fight for freedom and for bread!|| ||3절||The streets are still, the final struggle's ended; Flushed with the fight we proudly hail the dawn! See, over all the streets the fascist banners waving - Triumphant standards of our race rebo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