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 삼한공신)] [목차] [clearfix] == 개요 == 廉湘/廉相 생몰연도 미상 [[고려]]의 무장이자 [[개국공신]]. == 생애 == [[태봉]]의 마군장군으로 4명의 마군장([[신숭겸]], [[홍유]], [[배현경]], [[복지겸]])과 함께 [[궁예]]를 축출하고 [[태조(고려)|왕건]]을 추대하여 [[고려]]가 건국된 후 개국 2등 공신에 봉해졌다. 1등 공신들 중 복지겸이 야전 사령관으로 활동한 다른 3명과 맡은 역할이 달랐던 것처럼 염상 또한 같은 2등 공신으로 일선 지휘관으로 활동한 [[김락]]이나 [[견권]] 등과는 장기가 달랐다. 918년 9월 복지겸이 [[청주시|청주]] 출신 순군리 [[임춘길]](林春吉)과 동향의 배총규(裵悤規), 계천(季川: 전남 장흥) 사람 강길(康吉), 아차귀(阿次貴)와 매곡(昧谷: 충북 회인) 사람 경종(景琮)의 역모 사실을 밝혀냈을 때 왕건의 측근 중에서도 청주 출신이라 그 곳 사정에 밝았던 현율(玄律)은 경종이 매곡성주 [[공직(고려)|공직]](龔直)의 매제임을 들어 죽이는 대신 회유할 것을 권했다. 매곡성과 그곳을 다스리는 공직의 중요성을 모를리 없었던 왕건은 현율의 의견을 받아들여 그들을 용서하려 했는데 염상이 나서 강하게 반대해 도망친 배총규를 제외한 일당 전원을 처형했으며 현율의 예상대로 공직은 [[후백제]]에 투항해 오랫동안 고려의 발목을 잡게된다. 이후 [[이흔암]]의 역모도 밝혀내어 그를 숙청하는데 일조했으며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고려사]]>에 등장하는데 내용은 모두 축성에 관한 기록이다. >928년 2월에 대상 염상과 경(卿) 능강 등을 보내어 안북부(安北府)에 성을 쌓고, 원윤 박권을 진두(鎭頭)로 삼아 개정(開定) 군사 7백 명을 거느리고 이를 지키게 하였다. >929년 (태조 12년), 봄 3월에 대상 염상을 보내어 안정진(평남 순안)에 성을 쌓고 원윤 언수고에게 이를 지키도록 하며, 또 영청현(평남 영유)에 성을 쌓았다. >930년 (태조 13년) 8월, 대상 염상을 보내어 마산(馬山)에 성을 쌓고 안수진(安水鎭)이라 이름하였으며, 정조 흔행을 진두로 삼았다. >934년 (태조 17년) 겨울, 이해에 대상 염상을 보내어 통해진(평남 평원군 영유)에 성을 쌓고, 원보 재훤을 진두로 삼았다. 고려 건국기부터 시작해 고려에서 이름 꽤나 날린 무장들은 거의 모두 참전한 [[일리천 전투]]까지 참전 기록은 전혀 없는데 종합하면 전투 지휘보다는 축성과 진지 구축에 조예가 깊었던 공병 사령관으로 추측된다. 943년(태조 26년) 5월 [[왕유]], [[박수문]]과 함께 임종 직전 왕건의 유언을 받들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 대중매체 == * 2000년 [[KBS1]]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배우 [[심우창]][* 2003년 KBS 드라마 <[[무인시대]]>에서는 양숙 역, 2014년 KBS 드라마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서는 우현보 역. 참고로 [[타짜(영화)|타짜]]에서는 오 장군 역.]이 연기했다. [[궁예(태조 왕건)|궁예]]의 내군장군인 [[은부(태조 왕건)|은부]]의 측근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한때는 은부와 함께 [[왕건(태조 왕건)|왕건]]을 견제하는 한편 아무런 거리낌없이 [[미향]]의 목숨도 거두려 하는 등 궁예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바쳤으나 [[철원군|철원]]으로 천도한 이후에 궁예의 폭정에 점차 실망하고 회의를 느끼던 차에[* 백성들이 굶어 죽어가는 모습을 보고 점차 궁예에 대한 회의감을 가지기 시작했다. 궁예가 조회에서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기침한 신하를 때려죽이라고 할 때]] 처음에는 염상에게 명령을 내렸으나 염상이 머뭇거리자 [[금대(태조 왕건)|금대]]가 대신 그 신하를 죽인다. 바로 "염 부장은 뭐하고 있는거냐? 어서 쳐죽이라고 하지 않았느냐?"하는 대사의 염 부장이 염상이다.] [[석총(태조 왕건)|석총대사]] [[끔살]] 사건 이후 은부에 의해 내군에서 방출되어 군부로 자리를 옮겼으며[* 은부가 말하기를 "내군이란 궁예의 개와도 같이 무조건 충성해야 하는데 염상은 언제부터인가 사람이 되어가고 있었다"고 한다. 이후 은부는 [[종간(태조 왕건)|종간]]에게 "염상을 군부로 보냈다"고 말하면서 "목숨을 거두려 했으나 그간의 정이 있어 그렇게 처리했다"고 알린다.] 그 뒤에는 배현경의 아이디어로 왕건을 옹립하려는 4마군장들의 회유에 넘어가 왕건의 [[쿠데타]]에 가담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쿠데타에서 그의 임무는 내군 교란으로 내군에서 근무했던 이력 덕분에 염상이 대놓고 내군부장 [[장일]]을 찾아갔음에도 아무도 이를 의심하지 않았고 염상의 설득으로 쿠데타에 합류한 장일이 내군의 눈과 귀를 막아버리면서 쿠데타를 성공적으로 마무리를 지어 [[고려]]가 건국될 수 있었다. 이후 조연급 무장으로서 틈틈이 최후반까지 등장하며 신숭겸 사후의 [[https://youtu.be/sMKKprdOLqA?t=1m5s|4기 오프닝]]에서는 박술희, 홍유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본래 [[박술희(태조 왕건)|박술희]]가 역사상으로는 궁예의 호위 무장 출신으로 알려지지 않은 경로로 어느 순간 왕건의 측근이 되었기에 <태조 왕건>에서 묘사한 염상과 장일의 행적은 역사상 박술희의 행적과 상당히 유사하다. * 2002년 KBS 드라마 <[[제국의 아침]]>에서는 배우 [[백인철(배우)|백인철]][*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환선길(태조 왕건)|환선길]] 역.]이 연기했다. 순군부령(지금의 [[합동참모의장]])으로 나오는데 [[혜종(고려)|혜종]] 사후의 행적이 알려지지 않아서 그런지 비중은 적다. [[왕규]]를 지나치게 위험 인물로 보고[* 왕규도 실책이 있는 것이 본인의 세력들조차 "박술희를 유배보내는 방법으로 병권을 받아서는 안된다"고 간언했지만 "잠시 박술희를 유배보냈다가 병권을 빌려 왕식렴을 제거한 후에 박술희를 다시 불러서 더 잘 대우해주면 그만인게 아니냐"는 군대에 대해 무지한 막장 행각을 벌였다.] [[왕식렴]]의 반란에 맞서지 않고 동참해 왕규 일파를 몰아내지만 이내 토사구팽당하는데 토사구팽을 당할 때도 저항없이 한탄하는 것으로 끝. 애초부터 박술희가 왕규와 함께 혜종과 흥화군의 뒷배였건만 정작 흥화군을 몰아내는데 앞장서면서 "그가 후계자인 것은 말도 안되는 짓"이라고 떠들어대는 등 연달아 어리석은 짓들을 벌였고 박술희의 잔당들을 일찍부터 처리할 생각이었던 왕식렴에 의해 박술희의 세력을 모조리 말아먹고 박술희마저 비명에 가게 한 내부의 적 수준의 민폐 재앙급 인물로 묘사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염상,version=25)] [[분류:몰년 미상]][[분류:고려 개국공신]][[분류:태조 왕건/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