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列聖誌狀通紀. [[조선]] [[숙종(조선)|숙종]] 7년인 1681년에 조선 [[태조(조선)|태조]] 이성계의 4대 선조인 [[이안사|목조]]·[[이행리|익조]]·[[이춘|도조]]·[[이자춘|환조]]로부터 후대 조선 시대 각 국왕들의 행록을 모아 저술한 관찬 역사서. 이후 1688년, 1719년, 1758년, 1779년, 1865년에 내용이 점차 증보되었다. 숙종 대에 최초로 만들어진 것이 15권 7책과 20권 10책, [[영조]]대에 만들어진 것이 22권 14책, [[정조(조선)|정조]]대에 만들어진 것이 23권 16책, [[고종(대한제국)|고종]]대에 만들어진 것이 28권 23책이다. 모두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간송미술관]],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1681년에 왕의 명을 받아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한 역사 기록물로 역대 조선 시대 왕실 인물들의 공식 기록들을 모은 것이다. 편찬할 때마다 원본 외에도 [[한글]]판, 필사본이 따로 발간되었다. 1688년(숙종 14년)에 간행된 15권 7책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에, 1719년(숙종 45년)에 간행된 20권 10책은 규장각, [[장서각]], [[성균관대학교]], [[간송미술관]]에, 1758년(영조 34년)에 간행된 22권 14책은 규장각, 장서각,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에, 1779년(정조 3년)에 간행된 23권 16책은 규장각, 장서각에, 1865년(고종 2년)에 간행된 28권 23책은 규장각과 장서각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각 시대별 왕의 중요 행적을 채록하여 후대 왕들에게 견본이 되게 하였다. 1600년대 후기부터 1800년대 말까지 우리나라의 제왕학 교육 방법과 자료 실태에 대해 알아볼 수 있고, 가끔 [[조선왕조실록]] 등의 다른 역사기록물에는 수록하지 않은 기사들도 있어 그 가치가 높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81739&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열성지장통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6823&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열성지장통기]] [[분류:조선의 도서]][[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장서각 소장품]][[분류:간송미술관 소장품]][[분류: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품]][[분류: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