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열 꼬마 인디언"은 [[미국]]에서 시작된 [[민요]]이자, 어린이 [[동요]]. 1868년, 미국인 작곡가 셉티머스 위너가 [[민스트럴 쇼]]를 위해 원래 존재하던 민요에다 "Ten little Injuns"라고 이름 붙이고 각색했다. [youtube(k0SkWCCWrF8)] == 가사 == > One little, two little, three little Indians, > Four little, five little, six little Indians, > Seven little, eight little, nine little Indians, > Ten little Indian boys. > 한 꼬마, 두 꼬마, 세 꼬마 인디언, > 네 꼬마, 다섯 꼬마, 여섯 꼬마 인디언, > 일곱 꼬마, 여덟 꼬마, 아홉 꼬마 인디언, > 열 꼬마 인디언.[br] > Ten little, nine little, eight little Indians, > Seven little, six little, five little Indians, > Four little, three little, two little Indians, > One little Indian boy. > 열 꼬마, 아홉 꼬마, 여덟 꼬마 인디언, > 일곱 꼬마, 여섯 꼬마, 다섯 꼬마 인디언, > 네 꼬마, 세 꼬마, 두 꼬마 인디언, > 한 꼬마 인디언. 변역본에 따라 각 문단 맨마지막 "열 꼬마 인디언"과 "한 꼬마 인디언" 다음에 "보이"가 붙기도 한다. == 민스트럴 쇼 버전 == 위너가 1868년에 Ten Little Injuns라고 이름붙인 노래. 위에 설명한 것 처럼 [[민스트럴 쇼]]에서 사용되었다. >Ten little Indians standin' in a line, >One toddled home and then there were nine; >열 명의 인디언이 선에 서 있다, 한 명이 집으로 걸어가 아홉이 되었다.[* 이 집으로 돌아간 녀석이 유일하게 멀쩡하게 퇴장한 녀석이다.][br] >Nine little Indians swingin' on a gate, >One tumbled off and then there were eight. >아홉의 인디언이 문을 잡아 흔들다가, 한 명이 떨어져 여덟이 되었다.[* 판본에 따라 '밥을 먹다가 한 명이 목이 막혀 아홉 명이 되었다'로도 나온다.][br] >Eight little Indians gayest under heav'n. >One went to sleep and then there were seven; >여덟 인디언이 천국에서 놀다가, 하나가 잠들어 일곱이 되었다.[br] >Seven little Indians cuttin' up their tricks, >One broke his neck and then there were six. >일곱 인디언이 트릭을 자르다가, 하나가 자기 목을 잘라 여섯이 되었다.[br] >Six little Indians all alive, >One kicked the bucket and then there were five; >여섯 인디언이 살아 있다가, 하나가 죽어[* kick the bucket은 미국 속어로 나쁘게 죽는다는 뜻이다.] 다섯이 되었다.[br] >Five little Indians on a cellar door, >One tumbled in and then there were four. >다섯 인디언이 지하실 문 위에 있다가, 하나가 넘어져 넷이 되었다.[* 판본에 따라 '데번으로 여행 갔다가 한 명이 남거나, 벌집을 갖고 놀다 벌에 쏘여 죽는다'로도 나온다.][br] >Four little Indians up on a spree, >One got fuddled and then there were three; >네 인디언이 주연 위에 있다가, 하나가 당황해 셋이 되었다.[br] >Three little Indians out on a canoe, >One tumbled overboard and then there were two >세 인디언이 카누 위에 탔다가, 하나가 떨어져[* 즉 익사.] 둘이 되었다.[* 판본에 따라 '법률을 공부하다가 한 명이 대법원에 들어가거나 또는 곰에게 공격받거나, 상어나 악어(여기서는 구워진 청어나 붉은 청어)에게 잡아먹힌다'로도 나온다.][br] >Two little Indians foolin' with a gun, >One shot t'other and then there was one; >두 인디언이 총을 가지고 놀다가, 하나가 다른 하나를 쏴서 하나가 되었다.[* 판본에 따라 '일광욕을 하다 일사병이나 열사병으로 죽는다'로도 나온다.][br] >One little Indian livin' all alone, >He got married and then there were none. >한 인디언이 혼자 살다가. 목을 매었다.[* 판본에 따라 '결혼을 했다'라고도 나온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 파생 == 프랭크 그린이 "Ten Little Niggers"로 다시 각색했고, [[블랙페이스]] 민스트럴 쇼에서 쓰였다. 그린의 Ten Little Niggers가 더 유명하기에 셉티머스 위너가 역으로 수정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어찌됐든 1869년 영국인 작곡가 Frank J. Green(프랭크 그린)이 "Ten Little Niggers"로 각색하여 널리 알려졌다. "Ten Little Niggers"는 [[블랙페이스]] 민스트럴 쇼에서 널리 쓰였다. 이후 노래는 [[유럽]]에서도 유명해졌고, 1939년 [[애거서 크리스티]]가 지금은 "And Then There Were None"([[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로 알려진 당시 이름 "Ten Little Niggers"라는 책을 발간했고, 그 책에서 "Ten Little Niggers" 노래를 사용함으로 더 유명해졌다. 이후 언어 감수성이 변화하며 [[인종차별]]적 표현이라 느끼며 현재 우리가 보는 어린이 동요에는 대부분 다른 가사로 대체 되었다. [[인디언]]은 몰라도 최소한 Nigger(흑인) 이란 단어는 피하고 있으며, 일례로 아이슬란드에서 Ten Little Niggers 이 버전이 그대로 재출판하였을 때 매우 뜨거운 논란을 맞았다. === 1945년 각색 === 1945년 영화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에서 이 노래가 실렸다. 대부분 그린의 가사를 참고했고 논란있는 [[Nigger]]란 표현 대신 [[인디언|Indian]]으로 교체하였다. 이후의 작품들에도 적용해 인디언, 일부는 병정으로 대체하였다. > Ten little nigger boys went out to dine; > One choked his little self, and then there were nine. > 흑인 소년 열 명이 밥 먹으러 갔다가 > 한 명이 목이 막혀서 아홉 명이 되었다. > Nine little nigger boys sat up very late; > One overslept himself, and then there were eight. > 흑인 소년 아홉 명이 밤늦게까지 깨어있다가 > 한 명이 늦잠을 자서 여덟 명이 되었다. > Eight little nigger boys travelling in Devon; > One said he'd stay there, and then there were seven. > 흑인 소년 여덟 명이 데번[* 영국 잉글랜드의 남서부 끝자락에 위치한 주. '[[데본기]]'할때 그 데본이다. 실제 발음을 들어보면 '데븐'. 데븐(Devon)과 세븐(seven), 각운의 음률을 맞추기 위해 집어넣었을 것이다.]을 여행하다가 > 한 명이 거기에 남아서 일곱 명이 되었다. > Seven little nigger boys chopping up sticks; > One chopped himself in half, and then there were six. > 흑인 소년 일곱 명이 장작을 패다가 > 한 명이 자신을 반으로 갈라서 여섯 명이 되었다. > Six little nigger boys playing with a hive; > [[범블비|A bumble-bee]] stung one, and then there were five. > 흑인 소년 여섯 명이 벌집을 가지고 놀다가 > 호박벌이 한 명을 쏘아서 다섯 명이 되었다. > Five little nigger boys going in for law; > One got in chancery, and then there were four. > 흑인 소년 다섯 명이 법률을 공부하다가 > 한 명이 대법원으로 들어가서 네 명이 되었다. > Four little nigger boys going out to sea; > A red herring swallowed one, and then there were three. > 흑인 소년 네 명이 바다에 나갔다가 > 청어 한 마리가 한 명을 삼켜서 세 명이 되었다. > Three little nigger boys walking in the Zoo; > A big bear hugged one, and then there were two. > 흑인 소년 세 명이 동물원에서 걷다가 > 큰 곰이 한 명을 껴안아서 두 명이 되었다. > Two little nigger boys sitting in the sun; > One got frizzled up, and then there was one. > 흑인 소년 두 명이 햇빛을 쬐다가 > 한 명이 햇빛에 타 죽어서 한 명이 되었다.[* 병정으로 바뀐 버전에서는 Two little Soldier boys playing with a gun/One shot the other and then there was One(두 작은 병정이 총을 가지고 놀다가 / 한 명이 다른 한 명을 쏘아 한 명이 되었다). BBC 드라마판에서는 이 버전을 따랐다.] > One little nigger boy living all alone; > He went and hanged himself, and then there were none. > 흑인 소년 한 명이 혼자 남았는데 > 그 소년이 목을 매어서 아무도 없게 되었다.[* 판본에 따라 마지막 남은 소년이 결혼해서 [[가장|더이상 소년이 아닌걸로]] 0으로 카운트되는 버전이 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version=638)] [[분류:동요]][[분류:민요]][[분류:미국 노래]][[분류:아메리카 원주민]][[분류:인종차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