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생도대)] * [[한자]]: 聯隊長生徒 * [[영어]]: Brigade Commander([[미국육군사관학교|육군]]/[[미국해군사관학교|해군]])/Wing Commander([[미국공군사관학교|공군]])/Regimental Commander([[해안경비대사관학교|해안경비대]])[* 미국 사관학교 기준.] [목차] == 개요 == [[사관학교]]에서 [[학생회장|총학생회장]]에 상당하는 역할을 맡는 [[사관생도]]이다. [[생도대]]의 자치기구를 꾸린다. 휘하에 대대장생도 여럿을 둔다. 다만 총학생회장 같은 권한을 갖지는 못 하는데 [[군대]]란 특수성 때문이다. 각 자치기구 [[생도]]를 통해 [[지휘관]]과 [[참모]]의 역할을 간접체험시키는 것이 목적이지 실제 자치활동 자체에 중점을 두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보통 6개월 [[단위]]로 근무하며 [[4학년]]이 맡는다. [[성적]]이 우수하고 생도대 [[훈육관]]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사람]]만이 연대장생도를 맡을 수 있다. 또, [[키]]가 커야한다. 이것은 [[농담]]이 아니고, 각종 대외 [[행사]] 및 [[해외]] 초청행사에서 [[학교]]의 [[얼굴]]이 되기 때문에 훤칠한 키와 준수한 [[외모]]를 가진 생도를 뽑는다. 실제로 학업성적과 훈육성적이 매우 뛰어나고 [[동기]] 간 [[인간관계]], 훈육관들의 신임을 모두 겸비한 생도일지라도 키가 작다면 연대장 및 연대참모의 자리에는 뽑히지 못한다. 현재까지 한국 [[국군간호사관학교]]를 제외한 사관학교에서 여자 연대장/전대장생도는 총 3명으로, [[2002년]], [[2015년]] [[공군사관학교]]와 [[2021년]] [[해군사관학교]]에서 나왔다. == 명칭 == 사실 [[연대(군대)|연대]]는 [[육군]]의 [[편제]]이지만, [[해군]]과 [[공군]]은 연대란 부대단위가 아닌 [[전대(군대)|전대]]를 쓰는데도 [[해군사관학교]]에서는 연대장생도라는 표현을 쓴다.[* 사실 해병대는 육군과 편제가 유사하며, 해병대는 엄연히 해군 예하의 군조직이기 때문에 해병대 장교 역시 해군사관학교에서 양성한다.] 그리고 [[육군사관학교]]와 [[육군3사관학교]]는 [[연대(군대)|연대]]에서 [[여단]] 편제로 바뀌면서 여단장생도로 호칭이 변경되었으며, 여단 아래로는 연대가 아닌 2개의 대대를 두고 있다. 또한, [[공군]]은 자신들의 편제 표현인 전대장생도라는 표현을 쓰고 있으며, [[국군간호사관학교]]의 경우 재학생 숫자가 적어 대대장생도가 있다. [[미국]] [[사관학교]]의 경우 학년당 100~200명 수준인 한국의 사관학교와 달리 학년당 인원이 1천명에 가까워 [[미국육군사관학교]]와 [[미국해군사관학교]]에는 여단장생도(Brigade Commnander)가 있으며,[* 왜 여기도 해사는 전단장생도가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대한민국 해군과 달리 [[미국 해군]]의 경우는 전단에 해당하는 단위가 없이 [[함대]](Fleet) 예하에 바로 [[전대(군대)|전대]](Squadron)가 있는 구조이므로, 함대와 전대의 사이 격인 육군 편제의 여단장생도라고 부르는 듯 하다.] [[미국공군사관학교]]의 경우 비행단장생도(Wing Commander)를 두고, 육해공과 달리 [[해안경비대사관학교]]의 경우 학년당 인원이 250여명밖에 안 되기 때문에 연대장생도(Regimental Commander)를 둔다. 또한, 미국 육사는 여단장생도 아래로 연대장생도를 두지만, 미국 해사와 공사는 각각 여단장생도/비행단장생도 아래로 전대장생도[* 해사는 Squadron Commmander, 공사는 Group Commmander로 부른다.]를 두며, 연대장/전대장생도 아래로 대대장생도[* 육사와 해사는 Battalion Commander, 공사는 Squadron Commander로 부른다.], 그 아래로는 중대장생도(Company Commander)를 둔다. [[일본]] [[자위대]]의 [[간부]] 자위관을 양성하는 사관학교인 [[방위대학교]]의 경우 학생대학생장(学生隊学生長)이 연대장생도에 상당하는 역할을 맡는다. 그 밑에 대대학생장, 중대학생장, 소대학생장이 있다.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대학교]]에 설치된 [[학생군사교육단|학군단]]의 경우에는 [[대대장후보생]]이 해당 역할을 맡는다. [[사관후보생]] 과정에서는 대대근무후보생이 비슷한 역할을 맡는다. [[분류:사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