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 || || [[유니코드]] || C5ED ||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 구성 || ㅇ+ㅕ+ㄱ || || [[두벌식]]–[[QWERTY]] || dur || || [[세벌식]] 최종–QWERTY || jex || [목차] == 1자 한자어 == === [[역]]([[驛]]), [[철도]] 시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역)] 열차가 정차하는 정거장을 뜻한다. === 역([[逆]]), 논리학 개념 === [include(틀:수학기초론)] [[파일:명제_역_이_대우.svg|width=300&align=center]] 원명제(p → q)의 가정과 결론을 순서를 뒤바꾼 명제(q → p)가 바로 역이다. 원명제가 참이더라도 그의 역은 거짓일 수 있고, 반대로 원명제가 거짓이더라도 그의 역은 참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q가 p를 포괄하지만 p가 q를 포괄하지 못하기 때문에 p → q는 성립되어도 q → p는 성립되지 못하고, 반대로 p → q는 성립되지 못해도 q → p는 성립된다. 예를 들어, '4의 배수는 항상 짝수이다'는 참이지만 '짝수는 항상 4의 배수이다'는 거짓이 된다. 한편, 이 결론의 부정을 이용한 ~q → ~p는 원명제 p → q의 대우라고 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역도 참일 것이라고 생각하면 [[논리적 오류]] 중 하나인 [[논리적 오류/형식적 오류|후건긍정의 오류]]가 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역도 참이라면, p = q이다. 즉, p와 q가 같지 않다면, 어떤 명제가 참이면 그 역은 반드시 거짓이다. 수학적인 논증을 할 때 굉장히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며, 따라서 공식이나 정리 등을 보면 "a, b 등의 조건이 있을 때 p->q이이며, 그 역 또한 성립한다/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언급이 많이 나온다. 사실 역의 대우가 이이므로 역 대신 이를 써도 결국 똑같은 의미이지만, 사람들이 이보다는 역과 더 친숙하므로(...) 거의 쓰지 않는다.[* 참고로 '이'라는 표현은 2009년 이후에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빠졌고, 대신 '부정'이라는 표현을 쓴다.] * 참고 문서 * [[대우(동음이의어)|대우]] * [[이]] === 역([[域]]), [[생물 분류 단계]] === domain [[생물 분류 단계]]의 최상위 단계. 1990년 칼 워즈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5계 분류 체계에서의 [[원핵생물]]에서 [[고균]] 집단이 분리되면서 제안되었다. 세균역(진정세균역), 고균역(고세균역), 진핵생물역이 있다. 비교적 최근에 제안된 개념이기 때문에 1980~1990년대생은 [[생명과학|생물]] 시간에 이 단계를 전혀 들어보지 못했을 수도 있다. 바이러스는 그 어떤 역에도 포함되지 않는다.[[https://socratic.org/questions/what-domain-are-viruses-classified-under|#]] 바이러스는 생명체의 특성을 가지지만 무생물의 특성도 가지므로 완전한 생명체로 보기에는 어렵기 때문이다.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11~106)] [[교육용 한자]]로 '역'이라 읽는 글자는 아래 8자이다. * [[亦]] (또 역) * [[易]] (바꿀 역) * [[逆]] (거스를 역) * [[域]] (지경 역) * [[役]] (부릴 역) * [[疫]] (염병 역) * [[譯]] (통변할 역) * [[驛]] (역참 역) [[분류:동음이의어]][[분류: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