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br]{{{+2 '''여천선'''}}}[br]麗川線 | Yeocheon line || ||<-2> [[파일:GmFuHLN.jpg|width=330]] || ||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30902 || || '''노선명''' ||전라선 여천선 (全羅線 麗川線) || ||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 || '''영업거리''' ||11.6㎞ || || '''궤간''' ||1435㎜ || || '''역수''' ||3 || || '''기점''' ||[[덕양역]] || || '''종점''' ||[[적량역]] || || '''급전방식''' ||비전철 || || '''신호장비'''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선로 수''' ||[[단선|1]] || || '''개업일''' ||[[1969년]] [[5월]] || || '''운영노선''' ||[[화물열차]] || [목차] [[파일:IMG_2620.jpg]] 여천선의 운행 모습 == 개요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덕양역]]과 적량동 [[적량역]]을 잇는 총연장 11.6km의 [[전라선]]의 [[지선철도]]이다. 세계 4위이자 동양 최대 크기이며 울산산업단지와 같은 규모인 [[여수국가산업단지]]의 공장 인입선 기능을 수행하는 노선이다. 개설 직후에는 여객 업무도 병행했으나 수요가 크게 줄면서 여객 노선은 폐지되고 화물 전용 철도로 바뀌었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2019년 5월 15일 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223호] || {{{#fff ㎞}}} ||<-2> {{{#fff 역명}}} || {{{#fff 운행계통}}} || {{{#fff 등급}}} || {{{#fff 분기선}}} || {{{#fff 소재지}}} || || 0.0|| [[덕양역|덕 양]] || 德 陽 ||─ || ○ || [[전라선]] ||<|3>[[전라남도]] [[여수시]] || || 6.2|| [[흥국사역|흥국사]] || 興國寺 ||H || ○ || || || 11.6|| [[적량역|적량]] || 積 良 ||H || ○ || [[남해화학선]] || == 기타 == 2022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여천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10> {{{#ffffff 2022년 여천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고속열차 || 일반여객 || 컨테이너 || 일반화물 || 운행총계 || || 덕양 - 적량 || 57 || 0 || 0 || 2 || 1 || 3 || [[분류:여천선]][[분류:1969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