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여성 황제 == [include(틀:황실/왕실)] [[女]][[帝]] / Empress regnant 여성 [[황제]]라는 여황제(女皇帝)를 줄여서 여제(女帝)나 여황(女皇)이라고 한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여제(女帝)가, 중국과 베트남에서는 여황(女皇)이 더 자주 쓰인다.] 남편이 황제인 [[황후]]와 달리 여성 본인이 황제인 경우이다. 영어에서는 여제와 황후 둘 다 [[Empress]]라고 하기 때문에 오역하기 쉽다.[* Empress는 여제나 황후로 딱 맞게 번역되는 단어가 아니라 그저 Emperor의 여성형이다. 풀어서 표기하면 여제는 Empress regnant이고, 황후는 Empress consort이다.] 역사적으로 [[여왕]]도 드물었지만 여제는 그보다 훨씬 더 적고, 그마저도 나라를 제대로 다스릴 만큼 제위를 오래 유지한 경우는 손에 꼽을 수준이다. [[측천무후]]나 [[예카테리나 2세]] 같은 어마무시한 사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실존 여제는 대개 1~2년, 심지어는 몇 개월도 못 가서 [[폐위]]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한국사에서는 황제 칭호를 사용한 [[고려]], [[대한제국]]에서 여성 군주가 없었으니 여제도 없으며, 대한민국에서 비공식적인 여제로 옹립된 [[이해원(1919)|이해원]]의 사례가 있다. 개화기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인도 여제 [[빅토리아 여왕|빅토리아]]에게 대후제(大后帝)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고종실록 20권, 고종 20년 10월 27일 갑술 7번째 기사 중 "대조선국 대군주(大君主)와 대영국 대군주 겸 '''오인도 대후제(五印度大后帝)''' 양국의 우호(友好)를 영원히 돈독하게 하기를 간절히 염원하여 피차 왕래하면서 오래도록 통상하기를 의정(議訂)한다."][* [[后]](황후) 겸 [[帝]](황제)라는 의미인 듯하다.] 여제로 자주 칭해지는 [[마리아 테레지아]]는 정확히는 여제가 아니었다. 그녀는 오스트리아 여대공, 헝가리 여왕 등 여러 나라의 군주로 즉위했지만, [[신성 로마 제국]]만은 [[살리카법]] 때문에 여제 즉위가 불가능하여 [[프란츠 1세|남편]]을 대신 황제로 삼아 황후로서 통치했다. 세계사를 통틀어 마지막으로 등장한 여제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자우디투]](1916년~1930년 재위)이다. 21세기에 이르러 황제 칭호를 쓰는 군주는 일본의 천황 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이 여제를 허용하거나 또 다른 이변이 있지 않는 이상 미래에 여제는 없을 것이다. === 실존 인물 === [[섭정]]이 아닌 실제로 황제가 된 여성만 기재한다. [[한자문화권]]의 황제와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임페라토르]], [[샤한샤]] 등 황제로 번역되는 칭호를 가졌던 여성 군주도 기재한다. * [[한자문화권]] * [[중화제국]](3명): [[원고낭]][* 할머니 [[영태후]]에 의해 [[남장|남자라고 속이고]]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여성|진짜 성별]]이 탄로날 것을 우려한 영태후에 의해 [[재위기간이 짧은 군주들|하루만에 폐위되었다(...)]]], [[진석진]][* 당나라 조정에 맞서 스스로를 '문가황제'라고 칭하며 반란을 일으켰으나, 1개월만에 진압되었다.], [[측천무후]][* 본래 [[당고종]]의 [[황후]]이자 [[당중종]], [[당예종]]의 모후였으나, [[당예종|아들]]로부터 제위를 빼앗아 [[무주(당나라)|주나라]] 여제가 되었다.] * [[일본 황실]](8명): [[스이코 덴노]][* 최초의 여성 덴노이며 [[아스카 시대]]에 즉위했다.], [[고교쿠 덴노]], [[지토 덴노]], [[겐메이 덴노]][* 아스카 시대의 마지막 [[덴노]]이자 [[나라 시대]]의 첫번째 덴노], [[겐쇼 덴노]], [[코켄 덴노]], [[메이쇼 덴노]][* [[에도 시대]]에 즉위했으며 코켄 덴노 이후 859년만에 즉위한 여성 덴노다.], [[고사쿠라마치 덴노]][* 이후에는 더이상 여성 덴노가 등장하지 않았는데, [[메이지 유신]] 이후 제정된 [[황실전범(일본 제국)|구 황실전범]]은 물론이고 현행 [[황실전범]]도 여성의 황위 계승을 원천봉쇄하고 있다. 물론 [[일본 황실의 후계자 대책|현 일본 황실의 남성이 매우 부족해서, 황실전범이 개정될 가능성은 있다.]]] * [[대월]](1명): [[리 소황]][* [[리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자 [[쩐 왕조]]의 첫번째 황후] * [[유럽]][* [[로마 황제]] 또는 그 [[제3의 로마|후계자]]라 주장한 경우에만 [[정통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 * [[동로마 제국]](3명): [[이리니]], [[조이(로마)|조이]], [[테오도라(11세기)|테오도라]] * [[트라페준타 제국]][*A [[4차 십자군]] 이후에 수립된 동로마 제국의 잔존국](3명): [[테오도라(트라페준타 제국)|테오도라]], [[이리니 팔레올로기나]][* 트라페준타 여제 가운데 유일하게 [[콤니노스 왕조]]가 아니라 [[팔레올로고스 왕조]] 출신이다.], [[안나(트라페준타 제국)|안나]]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A](1명): [[마리아 앙겔리나]][* [[세르비아 제국]]을 다스린 네마니치 왕조 출신이다.] * [[프랑코크라티아]](2명)[* [[라틴 제국]]의 망명 여제들로, [[제1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제국 멸망]] 이후에 이어진 [[작위 요구자|명목상의 제위]]였지만, 잔존한 나머지 [[프랑코크라티아]]에서 그곳들의 여제로 인정받았다.]: [[카트린 1세]], [[카트린 2세]] * [[히스파니아]](1명): [[우라카]][* [[전히스파니아의 황제]]를 자칭했던 [[알폰소 6세|아버지]]를 계승했는데, 로마 계승과 무관하게 칭한 제위였기 때문에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했다.] * [[루스 차르국]][*B [[러시아]]계 국가](1명): [[이리나 고두노바]] * [[러시아 제국]][*B](4명): [[예카테리나 1세]], [[안나 이바노브나]],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예카테리나 2세]] * [[남아시아]] * [[인도 제국]](1명): [[빅토리아 여왕|빅토리아]][* 여제 칭호는 인도 제국의 군주로서만 사용했고,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본토]]에서는 계속 여왕 칭호를 사용했다.] * [[중동]] * [[파르티아]][*C [[이란]]계 국가](1명): [[무사(파르티아)|무사]][* [[노예]] 출신으로 황후가 되어 여제 자리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 [[사산 왕조]][*C](2명)[* 2명 모두 [[사산 공위시대|사산 왕조의 내란기]]에 즉위했다.]: [[푸란도흐트]], [[아자르미도흐트]] * [[팔미라 제국]](1명): [[제노비아]][* 아들 [[바발라투스]]의 섭정으로서 통치한 기간이 길었지만, 막판에 [[아우구스타]]를 칭하면서 [[공치제|공동 황제]]로 즉위하여 잠깐 여제로서 통치하긴 했다.]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에티오피아 제국]](1명): [[자우디투]][* '왕중여왕'을 칭했다.] * [[말리 제국]](1명): [[카사 카시]] * [[오요 제국]](1명): [[오롬포토]] === 캐릭터 === * [[86 -에이티식스-]] - [[프레데리카 로젠폴트]][* 기아데 제국 최후의 여제였다.] * [[검의 여왕과 낙인의 아이]] - 여제 아나스타샤 고르조바 앙고르나 * [[공녀님의 꽃밭에는 그들이 산다]] - 세필리아 하르벤타 * [[궁(드라마)|궁]] - 혜명공주[* 결말에서 여황제가 되었다.] * [[궁S]] - 화인 * [[단칸방의 침략자!?]] - [[단칸방의 침략자!?/등장인물#s-3|알라이아 쿠어 포르트제]], [[단칸방의 침략자!?/등장인물#s-4.5|엘파리아 쿠어 포르트제]] * [[대제국]] - [[대제국#s-7.1|미카도]], [[대제국#s-7.3|세라 브리튼]]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 [[시릴라|스포일러]] * [[던전 앤 파이터]] - [[에르제(던전 앤 파이터)|에르제]] * [[데스티니 가디언즈]] - [[카이아틀]] * 도쿄 황제☆호죠 렌카 - 호죠 렌카, 사이온지 아리스 * [[디스아너드 시리즈]] - [[디스아너드/등장인물#s-1.1.3|재스민 콜드윈]], [[에밀리 콜드윈]] * [[라스트 보스, 그만두어 보았다 ~주인공에게 쓰러진 척해 자유롭게 살아보았다~]] - 알렉산드라 로드나이트 * [[라테일]] - 이오 * [[랑그릿사 슈바르츠]] - [[랑그릿사 슈바르츠#s-2.3.1|티카 D. 테슬라]] * [[레갈리아 The Three Sacred Stars]] - [[레갈리아 The Three Sacred Stars#s-4.1|유인시엘 아스테리아]] * [[레디메이드 퀸]] - [[에비가일 딜로아]] * [[레지나레나]] - [[레지나레나 - 용서받지 못한 그대에게/등장인물#s-7.1|니힐 그라샤]] * [[마기(만화)|마기]] - [[연옥염]], [[연홍옥]] * [[마기과의 검사와 소환마왕]] - [[마기과의 검사와 소환마왕/등장인물#s-8|부자]] * [[마물전담부대]] - 여제 아쟌디르마[* 드라고니아 황실의 초대 황제였으며, 인간이 아니라 [[드래곤]]이다.] * [[마장학원 H×H]] - 아이네스 싱클라비아, 그레이스 싱클라비아 * [[메이플스토리]] - [[아리아(메이플스토리)|아리아]], [[시그너스(메이플스토리)|시그너스]] * [[메이플스토리2]] - [[에레브(메이플스토리2)|에레브]] * [[명왕계획 제오라이머]] - [[명왕계획 제오라이머#s-6.2|유라제]] * [[모두의마블 for kakao]] - [[여제 이올린]] * [[모탈 컴뱃]] - [[키타나|스포일러]] * [[무책임함장 테일러]] - [[아자린 드엘]] * [[배견여황폐하]] - ~~[[배견여황폐하#s-4|소화]]~~[* 자칭 여황.] * [[백련의 패왕과 성약의 발키리]] - 신제 시그드리파 * [[베이비 폭군]] - [[메이블 가데니아 에르마노]] * [[블랙 불릿]] - [[성천자]][* 도쿄 에어리어의 통치자이며, 직함인 성천자(聖天子)는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표문에 중국 황제를 높임말인 '덕이 높은 천자'라는 뜻으로 표현했던 칭호다.] * [[블레이블루 시리즈]] - [[명왕 이자나미|황제]] * [[상호의존성단 시리즈]] - 그레이랜드 2세[* 작품 속 제국인 '상호의존성단'은 젠더 이슈 때문에 황제라는 뜻으로 남녀 성별 공통의 Emperox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 [[성각의 용기사]] - [[루크레시아 에델가르드 폰 제파로스]] * [[성계 시리즈]] - [[라마쥬]] * [[세븐나이츠]] - [[린(세븐나이츠)/신화 각성|린]] * [[수신 라이거]] - [[여제 자아라]] * [[슈퍼전대 시리즈]] - [[은하황제 메도우]], [[여제 쥬자]], [[여제 마키]] * [[스타 글라디에이터 2]] - [[캐서린 레인 빌슈타인]][* 원래 신분은 제4제국의 공주이나 스토리 모드 엔딩에서는 [[에드워드 빌슈타인|자신의 아버지]]를 꺾는 패륜을 저지른 후 군주에 등극한다.] * [[스타워즈 레전드]] - 베일린[* [[시스 황제]]의 장녀이며, 오빠인 [[아칸(스타워즈: 구공화국)|아칸]]이 잠적한 후 [[영원의 제국]]의 새로운 여제가 된다.], 다스 아시나[* 게임 선택지에 따라 아시나 여제가 전사하고 다스 보우란이 새로운 황제가 될 수도 있다.], 마라시아 펠[* [[자게드 펠]]의 증손녀이며, 펠 제국 최초의 여제다.] * [[스트라이크 더 블러드]] - [[스트라이크 더 블러드/등장인물#s-6|제3진조 '혼돈의 황녀(케이오스 브라이드)']] * [[신화 전설이 된 영웅의 이세계담]] - 리즈[* 결말부에서 그란츠 대제국의 새로운 황제가 되어 '홍염 여제'란 이명을 얻는다.] * [[쌍둥이 성좌 프로젝트]] - 에슬리아 G. 그레이덴, 메리 G. 그레이덴, 로리스 G. 그레이덴 * 아이고, 폐하 - 시스티나 노르[* [[마녀]]이자 빵집 주인이었다가 황제로 즉위한다.] * [[아이러브니키]] - 천자[* 아샤 왕국의 황제. 작중에서는 '천자'로 불려지기 때문에 본명은 불명.] * [[악당은 살고 싶다]] - [[악당은 살고 싶다/등장인물#s-12.1|소피엔 예카테르 아우구스 폰 지브레인]] * [[암컷 뽑기]] - [[베그나리아]] * [[알드노아. 제로]] - [[아세일럼 버스 앨루시아]] * [[엘더스크롤 시리즈]] - [[성 알레시아]], [[카타리아]] * [[연희 시리즈]] - [[영제(연희 시리즈)|쿠우탄]], [[헌제(연희 시리즈)|파이탄]] * [[운명의 화살은 제멋대로 날아간다]] - 신백하 * [[원피스(만화)|원피스]] - [[샬롯 링링]], [[보아 행콕]], [[글로리오사]][* [[아마존 릴리]]의 선선선대 황제였다.] * [[위벨 블라트]] - [[위벨 블라트/등장인물#s-3.1.6|엘사리아 라한크레이브]][* 최종화에서 차기 황제로 추대된다.] * [[은하영웅전설]] - [[카타린 케트헨 1세]] * [[이드(소설)|이드]] - 베후이아 모르카오 시드 라일론 * [[조이드 와일드 제로]] - [[피오나(조이드 와일드 제로)|피오나]], [[한나 멜빌]][* 27화에서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진-제국의 황제로 추대받는다.] * [[착한 아재, 다시 태어나니 SSS랭크 인생이 확정됐다]] - 엘리자베트 C 포자이즈 * [[창세기전 시리즈]] - [[크리스티나 프레데릭]], [[셰라자드#s-1|셰라자드]] * [[츠바사 크로니클]] - [[건달파왕(성전)#s-4|아마테라스 황제]] * [[칭송받는 자 시리즈]] - [[쿠야]], [[쿠온(칭송받는 자)|쿠온]], [[안쥬]] * [[코드기아스]] - [[나나리 비 브리타니아]], [[장 리화]][* 황제가 아닌 [[천자]]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유페미아 리 브리타니아]][* [[코드 기아스 나이트메어 오브 나나리]]에서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의 제99대 황제가 된다.] * [[쿠로이누 2 ~음욕에 물드는 배덕의 수도, 또 다시~]] - [[라드밀라]] * [[크로스 앙쥬 천사와 용의 윤무]] - [[실비아 이카루가 미스루기]][* 줄리오 사후 [[앙쥬]]를 제외하면 사실상 미스루기 황실의 유일한 생존자가 되었으며, 22화에서 스스로를 '''여제 실비아 1세'''라 자칭한다.] * [[태극천자문]] - 아우라[* 주인공 라이의 어머니로, 호족의 황자 루바와 사랑했다는 이유만으로 선계에서 쫓겨났으나 결국에는 돌아왔고, 결말에서는 용족의 용황 자리에 올랐다. 아들인 라이는 자연히 황자가 되었다.] * [[태엽 감는 정령전기 천경의 알데라민]] - [[샤미유 키틀러 카트반마니니크]] * [[테일즈 오브 하츠]] - [[테일즈 오브 하츠/기타 등장인물#s-3.1|파라이바 마린 드 레]] * [[템빨(소설)|템빨]] - [[바사라(템빨)|바사라]]([[사하란 제국]]) * [[트리니티 블러드]] - [[아우구스타 블라디카]] * [[티어문 제국 이야기 ~단두대에서 시작하는 황녀님의 전생 역전 스토리~]] - [[미아 루나 티어문]][* 미래에 티어문 제국의 여제가 된다.] * [[파이널 판타지 11]] - [[아프마우]] *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 [[파이어 엠블렘 창염의 궤적/등장인물#s-5.1|미사하]], [[사나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사나키]], [[에델가르트 폰 흐레스벨그]][* 1부 최후반부에서 아버지인 [[이오니아스 9세]]에게 정식으로 황위를 이어받으면서 황제가 된다.] * [[파이브 스타 스토리]] - [[카렌(파이브 스타 스토리)|카렌]]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패동황제]][* 실제 성별은 남성이지만 게임 내 캐릭터의 성별은 여성이다.][* 원래는 페코린느가 황제 역을 맡는 게 맞지만, 패동황제가 그녀의 데이터를 크래킹하여 자신의 데이터인 것처럼 강탈해버렸고, 황제 행세를 하다가 [[왕도종말결전]]에서 패배하면서 몰락했다. 패배하면서 강탈했던 데이터도 페코린느에게 되돌아간 상태.], [[페코린느]] * [[피를 마시는 새]] - [[원시제]], [[치천제]] * [[하렘의 남자들]] - [[라트라실 발레르타인 타리움]] * [[현실주의 용사의 왕국 재건기]] - 마리아 유포리아 * [[홈스턱]] - [[겸손한 여제]] * [[흡혈희는 장밋빛 꿈을 꾼다]] - [[흡혈희는 장밋빛 꿈을 꾼다/등장인물#s-2.1|히유키]][* [ruby(진홍제국(真紅帝国), ruby=임페리얼 크림슨)]의 여제이며, 결말부에선 대륙을 통일한 [ruby(진홍초제국(真紅超帝国), ruby=카디날 로제)]의 신제가 된다.] * [[EVE 온라인]] - 자밀 사룸[* [[아마르 제국]]의 가장 최근의 황제였다.] * [[Fate 시리즈]] -  [[네로 클라우디우스(Fate 시리즈)|네로 클라우디우스]][* 역사 속 실존 인물의 성별은 남성이지만 Fate 세계관에서의 성별은 여성이다.], [[불야성의 어새신]], [[적의 어새신]][* 모티브가 된 역사 인물은 여제가 아닌 여왕이지만 해당 작품에서는 여제로 칭해진다.] * [[GGG#s-2|GGG]] - ~~지지지~~[* 자칭 황제.] * [[환상수호전4|Rhapsodia]] - 코르세리아[* 마지막 싸움이 끝난 후 할아버지인 율리우스의 뒤를 이어 크루크 황국 황왕이 되지만, 이미 장로파의 쿠데타로 인해 국가 그 자체가 복구 불가능할 정도로 쇠퇴해져 버려서 결국 기반이 취약해진 크루크 황국을 해체하게 된다. 그리고 해체된 크루크 황국령의 대부분은 적월 제국에 병합되었다.] == 별명 == 비유적 표현으로써 어떤 영역에서 독보적인 여성을 일컫는 별명이다. 비슷한 별명으로 [[여왕(별명)|여왕]], [[여신]] 등이 있는데, 스포츠계에서는 여제라는 별명이 자주 쓰인다. === 실존 인물 === * 골프 - '''[[아니카 소렌스탐]]'''[* 메이저 10승 포함 총 72승. [[그랜드슬램]] 달성. '골프 여제'라는 호칭은 오직 소렌스탐 한명만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로레나 오초아[* 2007년에 소렌스탐에게서 1위를 넘겨 받은 뒤 3년 넘게 1위(총 158주 연속)를 기록했다. 통산 LPGA 투어 27승(메이저 2승 포함)을 기록했다.], 청야니[* 2008년에 데뷔하여 LPGA 투어 15승 밖에(?) 안했지만, 그 중 5승이 메이저 대회이다. 2011년 2월부터 약 2년 동안 1위(총 109주 연속)를 기록했다.], [[박인비]][* 랭킹 1위 및 골든 커리어 [[그랜드슬램]] 달성.], ~~[[리디아 고]]~~[* 일부 언론에서는 여제로 취급해 주기도 한다. 실제로 상당한 성적을 쌓기도 하였다. 다만 압도적이라는 느낌이 좀 모자랄 뿐이다.], ~~에리야 쭈타누깐~~[* 언니 모리야 쭈타누깐과 함께 활동하는 선수로, 한동안 세계 랭킹 1위를 차지했지만, 그 기간이 길지는 않은 편이다.], ~~[[캐리 웹]]~~[* 하필 소렌스탐하고 같이 활동하는 바람에 여제라 불리기에는 조금 부족한 감이 있다.], ~~[[박세리]]~~[* 하필 소렌스탐하고 같이 활동하는 바람에 여제라 불리기에는 조금 부족한 감이 있다. 다만 대한민국 한정으로는 의심의 여지 없이 여제이다. 지금의 한국 여자 골프가 있게 된 게 박세리의 존재 때문이라고 볼 수 있고,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초반까지 출생한 정상급 여자 선수들을 아예 몽땅 통틀어 박세리 키즈라고 부를 정도이다.], ~~[[신지애]]~~[* LPGA 랭킹 1위를 달성하긴 했지만, 장기간 독주하지는 못했다. 그 대신 JLPGA에서 오랫동안 활약하며 좋은 성적을 냈다. 남자 대회에서는 PGA와 JPGA의 수준 차이가 크지만 여자 골프는 LPGA와 JLPGA의 수준 차이가 적어서 JLPGA에서 오래 독주한 것도 의미 있는 기록이라고 볼 수 있다.] * 기계체조 - [[시몬 바일스]] * 농구 - 팻 서밋 * 당구 - [[김가영(당구)|김가영]], [[스롱 피아비]] * 레슬링 - 이초 가오리 * 레이싱 - [[대니카 패트릭]] * 루지 - 나탈리 가이젠베르거 * 리듬체조 - [[알리나 카바예바]], [[예브게니야 카나예바]] * 바둑 - [[루이나이웨이]] * 바이애슬런 - 막달레나 노이너 * 바이올린 - [[정경화]] * [[발라드]] - [[이수영(가수)|이수영]] * 배구 - [[예카테리나 가모바]], [[김연경]] * 소울 - [[글래디스 나이트]] * 수영 - [[케이티 러데키]] * [[스피드 스케이팅]] - [[이상화(스피드 스케이팅)|이상화]] * 스타크래프트 - [[서지수(프로게이머)|서지수]] * 알파인 스키 - [[린지 본]] * [[암벽등반]] - [[김자인]] * 육상 - [[옐레나 이신바예바]] * 종합격투기 - [[론다 로우지]], [[크리스 사이보그]] * 축구 - [[리커 마르턴스]] * [[대중음악|팝]] - [[마돈나(가수)|마돈나]] * 피겨 스케이팅 - [[카타리나 비트]], [[김연아]] * 피아노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테니스 - [[세리나 윌리엄스]], ~~[[마리아 샤라포바]]~~[* 여제라고 불리기에는 조금 부족한 감이 있다.] * 체스 - 유디트 폴가르 === 캐릭터 === * [[고전부 시리즈]] - [[이리스 후유미]][* 여제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 [[무장소녀 마키아벨리즘]] - [[아모우 키루키루]][* 여제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 [[발로란트]] - [[레이나(발로란트)|레이나]] * [[변변찮은 마술강사와 금기교전]] - [[세라 실바스]][* 타로 카드의 오마주로 특무분실 멤버들은 저마다 고유한 코드네임을 한 개씩 부여받는데, 세라의 경우 넘버 3 《여제》.] * [[사이퍼즈]] - [[밤의 여왕 트리비아]][* 코드명이 'EMPRESS'이다.], [[성흔의 디아나]][* 유니크 아이템 중 '퍼펙트 엠프레스'가 있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그루브]][* 모티브가 된 원본마도, 우마무스메에서의 캐릭터도 모두 여제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암말임에도 숫말에게 여러 번 승리한 전적 때문이다.] * [[은혼]] - [[오토세]][* [[가부키쵸 사천왕]] 중 한명으로 '여제 오토세'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네나]][* 여제를 암시하는 [[엠프리스(죠죠의 기묘한 모험)|엠프리스]]의 [[스탠드 유저]]이다.] == 쿠라시나 료 원작의 만화/일본 드라마/한국 드라마 == [[여제(만화)]] 문서 참고. == 女弟 == [[여동생]]의 유의어. [[妹]](손아랫누이 매) 한 글자로 쓰기도 한다. == 厲祭 == 제사를 지내 줄 자손이 없거나 원통하게 죽은 귀신에게 지내는 제사. 조선시대에는 이런 귀신들의 한이 모이면 세상에 재앙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여제를 지냈다. 일반적인 제사에선 제사를 지내는 사람들이 제사를 받는 귀신이나 신령이 내리는 복을 받고 관계를 맺는 차원에서 제사상에 올린 음식을 먹는데 이를 '음복(飮福)'이라고 한다. 음복을 함으로써 사람들과 제사의 신령은 한솥밥을 먹은 사이가 된다. 그런데 여제에선 음복을 하지 않았다. 여제는 말하자면 배고픈 노숙자들이 사고 치지 말라고 개설한 무료 급식소와 같았다. 임금님의 명으로 급식소를 열었으면 되었지, 그런 노숙자들에게 뭘 얻겠다고 벼슬아치들이 노숙자들 사이에 끼어 같이 밥을 먹느냐는 것 때문이었다. [[분류:여제]][[분류:동음이의어]][[분류:별명]][[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