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1 Yeouinaru }}} ||<-3> {{{+2 '''여의나루'''}}} || ||<-3>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30]] || || [[방화역|{{{#!html
방화 방면}}}]][[여의도역|여의도]][br]← 1.0 km || [[수도권 전철 5호선|{{{#!html
5호선
(527)
}}}]] || [[하남풍산역|{{{-3 {{{#585858,#a7a7a7 하남풍산}}}}}}]][[마천역|{{{-3 {{{#585858,#a7a7a7 ·마천}}}}}}]] {{{-3 {{{#585858,#a7a7a7 방면}}}}}}[br][[마포역|마 포]] [[해저터널|{{{#!html
하저터널 통과 → }}}]] 1.8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여의나루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Yeouinaru || || [[한자]] || || || [[중국어]] ||<-2> 汝矣渡口 || || [[일본어]] ||<-2> ヨイナル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로 지하 343 ([[여의도동]] 85-1번지)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 1996년 12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5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섬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5호선]] 527번.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로 지하 343 ([[여의도동]] 85-1번지) 소재. == 역 정보 == 건설 당시에는 '''밤섬역'''이었으며 실제 개통되기 불과 몇 개월 전까지도 이 명칭이 유력했으나 개통 직전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참고로 방화~여의도만 운행하던 당시 역명판의 이전 역과 다음 역 부분에 밤섬이라는 명칭이 [[https://namu.wiki/w/파일:밤섬역.jpg|있었다.]] 5호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여의도강변역이었다. '''여의'''도의 '''나루'''터 지역에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위치하며, 여의나루-[[마포역]] 간 하저터널로 인해 깊이는 42.5m에 이른다. 해발(-27.5m) 기준으로는 국내에서 가장 깊은 역.[* 지표면 기준으로 가장 깊은 역은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만덕역]]이다. 이 역은 해발기준 약 30m.] 여의도역과의 역간 거리상 플랫폼이 최대한 한강 쪽으로 뻗어있어서 그럴 수 밖에 없다. 한강을 건너는 방법으로는 지상에 다리를 놓거나 지하 터널을 이용하는 2가지 선택지가 있는데, 그 중에 후자를 선택한 케이스다. 한강의 수심과 불안정한 퇴적층을 고려하여, 이보다 더 깊은 안정한 지층에 터널을 뚫어야 하는데 그러면 꽤 깊이 파 내려가야 한다. [[마포역]]도 같은 이유로 매우 깊게 만들어져 있고, 두 역에 모두 양해문이 붙어 있다. 하저터널이 어떻게 한강을 통과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그림도 있다. 상기와 같이 플랫폼이 입구에서 바로 밑에 있지 않고 한강쪽으로 뻗어나가 있는 역 구조상 엘리베이터를 지하 1층부터 5층까지 직통으로 뚫기가 심히 곤란해서, 2개를 만들었다. 두 엘리베이터 중 지하 1~2층 구간에서 '''경사형 엘리베이터'''[* '''금호엘리베이터'''제 장애인용 750kg 11인승. 그런데 속도가 '''30m/min(...)'''로 에스컬레이터보다 느리다.(...) 운행속도 자체는 에스컬레이터와 동일하다. 다만 에스컬레이터는 층에 오면 바로 내릴 수 있는데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도착지점에서 레벨링하는데 오래걸리고 문이 열려야 내릴 수 있기에 체감상으로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더 느리다. 이렇게 운행속도가 느려터지다 보니 유모차, 휠체어 같이 에스컬레이터를 탈 수 없는 경우가 아니면 잘 이용하지 않는다.]도 볼 수 있다. 걸어서 승강장에서 역 출입구 까지 오르내릴 경우 5번이나 오르내려야 한다. 말이 5번이지 상당히 긴 에스컬레이터/계단이 2개나 있으므로 상당히 고생하게 된다. 2002 월드컵 전후로 한때 월드컵 출전 선수 사진벽화를 전시하기도 했으며, 지금은 이 역 인근의 [[한강]]변에서 2000년부터 매년 10월 첫째주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열리는데, 사람들이 많이 몰려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축제 폐막 직후 1시간 동안은 이 역을 무정차 통과시키고 있다. || {{{#!html }}} || || [[서울세계불꽃축제#s-4.14| 2013 서울세계불꽃축제]] 당시 서울교통정보센터 트위터에 올라온 글이다. || 2013년 불꽃축제에는 1/2 간격으로 운행되었다.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샛강역]]이 있기 때문. 불꽃축제 날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급행도 여의도 구간에서는 전부 완행으로 전환되어, 샛강역이 여의나루역의 혼잡을 상당 부분 흡수하고 있다. 이 때 [[샛강역]]은 승강장부터 대합실까지 인파로 초토화된다. -- 근데 [[광안역|이 역도]] 상당히 무섭더라-- [[음성직|음사장]]의 절전정책은 이 역도 예외가 아니어서, 한여름에 여의나루역 에스컬레이터를 꺼버린 [[흑역사]]가 있다. 마포역까지 한강을 끼고 있어서 꽤나 시간이 걸리는 편이다. 그래봤자 2~3분이기는 하지만.. 여담으로 이 역에서 여의도역 구간 사이는 상업광고 패널이 있기도 하다. 긴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열차 진행에 맞춰가며 광고영상을 재생한다. 이 역부터 [[신금호역]]까지 [[애오개역]]을 제외한 전 역이 섬식 승강장이다. == 일평균 이용객 == 여의나루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수도권 전철 5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7,318명 || 27,540명 || 28,066명 || 27,704명 || 26,663명 || 25,042명 || 23,557명 || 24,284명 || 24,024명 || 21,523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20,652명 || 20,343명 || 20,753명 || 21,336명 || 21,906명 || 21,617명 || 24,174명 || 24,210명 || 23,830명 || 24,684명 || || 2020년 || || '''14,680명''' ||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평균 24,000여 명으로 5호선 평균 수준의 수요가 나온다. 여의도 업무지구와 떨어져 있어 [[여의도역]], [[국회의사당역]]에 비하면 수요가 적은 편이다. 그러나 [[한강]]으로 주말 나들이를 나온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으며, 인지도 또한 가장 높아서 특정한 역할 때문에 비중이 높은 역으로 손꼽힌다. 따라서 이 역은 주된 이용객은 근처 아파트 주민과 [[한강]] [[나들이]]를 나온 서울 및 수도권 시민들이며, 여의도의 4개 역 중에서 유일하게 주말이 주중보다 수요가 더 많다. 평상시에는 수요가 그저 그렇지만 '''벚꽃축제''' 등 여의도 한강공원 주변에서 각종 행사를 하는 경우 이 역의 수요가 급증한다. 2004년 환승 시행 이후엔 하루 이용객이 3,000~4,000명 감소하였으며, 2009년 9호선 개통 이후에는 하루 이용객이 약 2,500~3,500명 가량 감소하였다. 평균 수치만 가지고는 실제 탑승객 숫자를 체감하기가 어려운데, 만약 여의도 불꽃축제나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행사가 있는 날에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하지 않았더라면 이것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84858.jpg|width=500]] [br] [[수도권 전철 5호선]] 승강장 [[https://attachment.namu.wiki/84858.JPG|크게보기]] [[파일:20190226_092616.jpg]] [[파일:20190226_092802.jpg]] 역명판. 기존 역명판에는 한자가 없었다. [[잠실나루역]]에 일부 한자 표기가 있는 것과는 다르다. [[파일:18 여의나루(수정).png|width=500]] [br] 역안내도 [[https://namu.wiki/w/%ED%8C%8C%EC%9D%BC:18%20%EC%97%AC%EC%9D%98%EB%82%98%EB%A3%A8(%EC%88%98%EC%A0%95).png|크게보기]] 여의나루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가진 지하역이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이 역에서 방화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방향 기준 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10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화곡역]]이다. ||<-4> [[여의도역|여의도]]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마포역|마포]]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도역|여의도]]·[[영등포구청역|영등포구청]]·[[김포공항역|김포공항]]·[[방화역|방화]] 방면|| || {{{#ffffff 하}}} ||[[공덕역|공덕]]·[[왕십리역|왕십리]]·[[하남풍산역|하남풍산]]·[[마천역|마천]] 방면|| == 역 주변 정보 == 한강둔치에 [[여의도]] [[수영장]]이 있어서 때마다 연다. 여의도[[서울여의도초등학교|초]]·[[여의도중학교|중]]·[[여의도고등학교|고]]·[[여의도여자고등학교|여고]]가 이 역 코앞에 모여 있어 등하교 시간에는 학생들로 북적거린다. 2019년 실제 역명의 목적에 맞게 여의나루 통합선착장이 건설될 예정이다. 국제설계공모에서 홍콩팀의 '포에틱 프래그머티즘'이 당선되었다.[[http://mnews.joins.com/article/21669158?cloc=joongang|home|newslist1#home]] 서울시에서 2017년 6월에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 버스 정류장을 70m 떨어진 국방헬프콜 검문소 쪽에 주말에만 버스가 서는 정류장이 생겼다. [[파일:20170702_214629.gif]] 주말운영 정류소는 매년 3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9개월간) 운영 [[파일:20170705_104056.jpg]] [[파일:20170708_135749.jpg]] 2020년에 [[파크원]]이 이 역 근처에 생길 예정이다. [[http://news.joins.com/article/21611140|참고]] [[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5호선]][[분류:서울 지하철 5호선 구간]][[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영등포구의 도시철도 정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