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애니메이션)] [include(틀: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 ||<-2>
{{{#010101 '''{{{+1 {{{#00479d {{{#!html 여성향 게임}}}}}} {{{#!html 세계는 모브에게}}} {{{#e60012 {{{#!html 가혹한}}}}}} {{{#!html 세계입니다}}}}}}''' {{{#010101,#dddddd (2022)}}}[br]{{{#00479d {{{#!html 乙女ゲー}}}}}}{{{#!html 世界はモブに}}}{{{#e60012 {{{#!html 厳しい}}}}}}{{{#!html 世界です}}}[br]{{{-2 {{{#!html Trapped in a Dating Sim:}}}[br]{{{#!html The World of}}} {{{#00479d {{{#!html Otome Games}}} {{{#!html is}}}}}} {{{#e60012 {{{#!html Tough}}}}}} {{{#!html for Mob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여성향모브애니_키비주얼4.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이세계 전생물|이세계 전생]], [[악역 영애물|악역 영애]], [[메카물|메카]], [[하렘물|하렘]] || || '''{{{#ffffff,#ffffff 원작}}}''' ||미시마 요무(三嶋与夢) || || '''{{{#ffffff,#ffffff 캐릭터 원안}}}''' ||몬다(孟達) || || '''{{{#ffffff,#ffffff 감독}}}''' ||[[미우라 카즈야]][br]후쿠모토 신이치(福元しんいち)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이하라 켄타(猪原健太)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스즈키 마사히코(鈴木政彦)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나카쿠키 타카히사(中久木孝将)[br]카와이 료스케(河合良介)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나카오 요코(中尾陽子)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하세가와 미호(長谷川美穂)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이시야마 토모유키(石山智之) || || '''{{{#ffffff,#ffffff 편집}}}''' ||우에노 유스케(上野勇輔)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하마노 타카토시(濱野高年) || || '''{{{#ffffff,#ffffff 음향 효과}}}''' ||안도 유이(安藤由衣) || || '''{{{#ffffff,#ffffff 음악}}}''' ||하시구치 카나(橋口佳奈)[br]아라타메 쇼(新田目 翔) || || '''{{{#ffffff,#ffffff 음악 제작}}}''' ||[[KADOKAWA]] || || '''{{{#ffffff,#ffffff 프로듀서}}}''' ||네모토 유카(根本侑果)[br]토쿠무라 켄이치(德村憲一)[br]이토 마사카즈(伊藤正和)[br]나미키 신이치로(並木愼一郎)[br]楊建利[br]니시베 마코토(西辺 誠)[br]니시마에 슈카(西前朱加)[br]스가 아키라(菅 朗)[br]아리미즈 소지로(有水宗治郎)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안도 케이이치(安藤圭一)[br]칸베 코우키(神戸幸輝)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ENGI]] || || '''{{{#ffffff,#ffffff 제작}}}''' ||모브세계 [[제작위원회]]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2년 4월|2022. 04. 03.]] ~ 2022. 06. 19.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T-X]] / (일) 22: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 / (월) 00:00 || || '''{{{#ffffff,#ffffff 스트리밍}}}''' ||[[Laftel]] [[https://laftel.net/item/40788|▶]][br][[wavve]]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A01_A00000000301_01_0012.1&page=1|▶]][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94352|▶]]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12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언어, 선정성)}}}}}}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mobseka.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obseka_anime)]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라이트 노벨]]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1기. 감독은 [[미우라 카즈야]] / 후쿠모토 신이치,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2년 4월|2022년 4월]]. 미국에서는 [[크런치롤]] 및 [[퍼니메이션]]에서 서비스, 한국과는 달리 더빙으로도 방영한다. 성우 감독은 [[조던 대시 크루즈]]. == 공개 정보 ==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WI9DRlSvx8, width=100%)]}}} || || '''{{{#00479d {{{#!html PV}}}}}} {{{#e60012 {{{#!html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8G9dunL-zPI, width=100%)]}}} || || '''{{{#00479d {{{#!html PV}}}}}} {{{#e60012 {{{#!html 제2탄}}}}}}'''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모브세계_애니키비주얼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여성향모브애니_티저비주얼2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모브세계_애니키비주얼2.jpg|width=100%]]}}} || || '''{{{#ffffff,#dddddd 키 비주얼 1탄}}}''' || '''{{{#ffffff,#dddddd 키 비주얼 2탄}}}''' || '''{{{#ffffff,#dddddd 키 비주얼 3탄}}}''' || == 줄거리 == >검과 마법의 ‘여성향 게임‘ 세계에 전생한 평범한 사회인이었던 ‘리온’. >이곳은 여존남비의 세계였고, 예외는 게임에서 공략 대상이었던 왕태자가 이끄는 미남 군단 정도였다. > >그러나, 괴롭힘에 절망한 ‘리온’에게는 어떤 한 가지 무기가 있었다. >그것은 전생에서 시건방진 여동생이 억지로 시켰던 이 게임에 관한 “지식”이었다. > >모브로써 시골에서 한가롭게 보내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있던 ‘리온’이었지만, > >게임의 지식을 사용해 마음대로 하고싶은 여자들과 미남들에게 뜻하지 않게 반기를 들고 마는데…. >---- >― [[https://animaxtv.co.kr/programs/yeoseonghyang-geim-segyeneun-mobeuege-gahoghan-segyeibnida|애니맥스 코리아]] ==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등장인물)] ==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설정)] == 주제가 == === OP === ||<-2>
'''{{{#00479d {{{#!html OP}}}}}}[br]{{{#e60012 {{{#!html サイレントマイノリティー}}}}}}[br]{{{#00479d {{{#!html 사일런트 마이너리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QQAN_y2mq0,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zat7-yAPyk,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3> [[이토카시타로]] || || '''작사''' || || '''작곡''' || || '''편곡''' || akki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미우라 카즈야]] || || '''연출''' || || '''작화감독''' || 우이카와 마사아키(宇井川真明) || || '''총 작화감독''' || 스즈키 마사히코(鈴木政彦) || }}}}}}}}} || ||<-2> {{{#!folding 가사 ▼ ||全人類はみなキョウダイ|| ||젠 진루이와 미나 쿄우다이|| ||전 인류는 모두 형제|| ||明日になればアシタダイ|| ||아시타니 나레바 아시타 다이|| ||내일이 되면 그냥 내일이지|| ||大なり小なり偉大なる人でいたい|| ||다이나리 쇼우나리 이다이나루 히토데 이타이|| ||크든 작든 위대한 사람으로 남고 싶어|| ||安泰なんて見たことない|| ||안타이난테 미타 코토 나이|| ||태평 따위 본 적 없어|| ||あんた一体どこの人だい|| ||안타 잇타이 도코노 히토다이|| ||댁은 대체 어디 사는 누구인데?|| ||ダレカレ構わずなぜ見下ろせるんだい?|| ||다레카레 카마와즈 나제 미오로세루다이?|| ||사람들을 죄다 깔보는 거야?|| ||笑顔の裏には|| ||에가오노 우라니와|| ||웃는 얼굴 뒤에는|| ||ライクアジャックザリッパー|| ||라이쿠아 자쿠자 릿파아|| ||Like a Jack the Ripper|| ||誠実なポーカーフェイス|| ||세이지츠나 포오카아훼에스|| ||성실한 포커페이스|| ||今から|| ||이마카라|| ||지금부터|| ||さぁただ|| ||사아타다|| ||자 그저|| ||思うまま立ち向かおう|| ||오모우 마마 타치무카오우|| ||생각하는 대로 맞서자|| ||正しいと思うならば|| ||타다시이토 오모우나라바|| ||옳다고 생각한다면|| ||傷つけあうことも|| ||키즈츠케아우 코토모|| ||서로 상처입히는 것도|| ||いざとなれば構わない|| ||이자토 나레바 카마와나이|| ||여차하면 상관 안 해|| ||逆らうことを笑うのならば|| ||사카라우 코토오 와라우노나라바|| ||거스르는 것을 비웃는다면|| ||まだ何も変わらない|| ||마다 나니모 카와라나이|| ||아무것도 바뀌지않아|| ||ここから全てを塗り替えるのさ|| ||코코카라 스베테오 누리카에루노사|| ||여기서부터 모든 걸 새로 칠하는 거야||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00479d {{{#!html ED}}}}}}[br]{{{#e60012 {{{#!html selfis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_xM9UeELDc,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933JLjy4E4,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아즈나 리코(安月名莉子) || || '''작사''' || 타나카 시즈쿠(タナカ雫) || || '''작곡''' ||<|2> 시라토 유스케(白戸佑輔)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미우라 카즈야]] || || '''연출''' || || '''작화감독''' || 우이카와 마사아키(宇井川真明) || || '''총 작화감독''' || 스즈키 마사히코(鈴木政彦)[br]쿠리하라 마나부(栗原 学)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Verse 1] 最低な世界でたったひとつだけ 見つけた合言葉 今んとこは内緒 ダメな運命も誰かがくれた 自分の道と信じて進もっか [Pre-Chorus] All day long ひと目ばっかり気にしたあいつはまた猫かぶり 口先だけ弱々ナルシストの根性なし なんでどうしてダメな子ばかりのマチガイサガシ だけどみんなって一生懸命 [Chorus] Selfish 最高! 損したって大丈夫 ぶつかるのはしょうがないね I know 駆けてたいよ いつだって byroad 冷めた目が少しだけ震えた ヒロインでも 王子様でも 願いぜんぶはかなわないけど ちょっとだけ奇跡の物語はじめよう [Bridge] 負けない気持ちってどこにいるんだっけ 気づけば人目ばっか 飾りばっか 空っぽ ここで折れたらまた自分が変わっちゃう 違う誰かになってく 痛くなる “Let me go” 聞こえるから [Post-Bridge] 全力でいよう わがままはそう ささやかな願いごと 好きな自分でいたいって 叶わなくてもone more [Chorus] Selfish 最高! 損したって大丈夫 ぶつかるのはしょうがないって ride on 駆けてたいよ いつだって byroad 割れたハートは強がりでつなげた ヒロインでも 王子様でも 嫌いな自分じゃ壊れちゃうから ちょっとだけ奇跡の物語つづくよ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https://genius.com/Riko-azuna-selfish-lyrics '''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이하라 켄타(猪原健太)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제1화}}} || {{{-3 俺はこの世界が嫌いだ[br]난 이 세계가 싫어}}} || {{{-3 마스다 토시히코[br](増田敏彦)}}} || {{{-3 후쿠모토 신이치[br](福元しんいち)}}} || {{{-3 우이카와 마사아키[br](宇井川真明)[br]와다 유지[br](和田祐二)[br]쿠리하라 마나부[br](栗原 学)[br]유승희[br](柳昇希)}}} ||<|2> {{{-3 쿠리하라 마나부}}} || {{{-3 日: 2022.04.03.[br]韓: 2022.04.04.[br][[https://youtu.be/cEzIFXNWloc|하이라이트]]}}} || || {{{-3 제2화}}} || {{{-3 そこの彼女 お茶してかない?[br]거기 아가씨 차 한잔하고 갈래?}}} || {{{-3 쿠기미야 히로시[br](釘宮 洋)}}} || {{{-3 아와이 시게노리[br](粟井重紀)}}} || {{{-3 슈토 타케오[br](首藤武夫)[br]사쿠라이 타쿠로[br](櫻井拓郎)[br]王敏[br]周健[br]姜智慧[br]劉冬冬[br]李偉峰}}} || {{{-3 日: 2022.04.10.[br]韓: 2022.04.11.[br][[https://youtu.be/JTMxe40Jrsk|하이라이트]]}}} || || {{{-3 제3화}}} || {{{-3 決闘しようぜ、王子様[br]결투하자고, 왕자님}}} ||<-2> {{{-3 쿠마노 치히로[br](熊野千尋)}}} || {{{-3 유승희[br]박명환[br](朴明煥)[br]이관우[br](李官雨)[br]김경호[br](金慶鎬)}}} || {{{-3 스즈키 마사히코[br](鈴木政彦)[br]쿠리하라 마나부}}} || {{{-3 日: 2022.04.17.[br]韓: 2022.04.18.[br][[https://youtu.be/ftBStfnFhas|하이라이트]]}}} || || {{{-3 제4화}}} || {{{-3 手加減してやってもいいかな?[br]적당히 봐주면서 할까?}}} || {{{-3 야마자키 시게루[br](山崎 茂)}}} || {{{-3 사사키 스미토[br](佐々木純人)}}} || {{{-3 와다 유지[br]민현숙[br]황인철[br]최경석[br]문봉준[br]김종헌[br]신상태[br]김정우[br][[아라이 준]][*M 메카]}}} ||<|2> {{{-3 쿠리하라 마나부}}} || {{{-3 日: 2022.04.24.[br]韓: 2022.04.25.[br][[https://youtu.be/32GaCQbQyfo|하이라이트]]}}} || || {{{-3 제5화}}} || {{{-3 最高だね[br]최고야}}} || {{{-3 쿠기미야 히로시}}} || {{{-3 카나자와 유키[br](金澤由季)}}} || {{{-3 이성진[br]이은영[br]강현국[br]황성원[br]아라이 준[*M]}}} || {{{-3 日: 2022.05.01.[br]韓: 2022.05.02.}}} || || {{{-3 제6화}}} || {{{-3 学園祭って初めてなの[br]학교 축제는 처음이야}}} ||<-2> {{{-3 쿠마노 치히로}}} || {{{-3 김종범[br]송진영[br]王俊[br]唐軍躍[br]鄭鋒}}} || {{{-3 스즈키 마사히코}}} || {{{-3 日: 2022.05.08.[br]韓: 2022.05.09.}}} || || {{{-3 제7화}}} || {{{-3 同じイケメン嫌い[br]미남을 싫어하는 모임}}} || {{{-3 야마자키 시게루}}} || {{{-3 야마모토 타츠미[br](山本 辰)}}} || {{{-3 우이카와 마사아키[br]SAKURA}}} || {{{-3 쿠리하라 마나부}}} || {{{-3 日: 2022.05.15.[br]韓: 2022.05.16.}}} || || {{{-3 제8화}}} || {{{-3 こっちも遊びじゃねえんだよ[br]나도 장난하는 거 아니야}}} || {{{-3 쿠기미야 히로시}}} || {{{-3 츠키노 마사시[br](月野正志)}}} || {{{-3 하노 히로노리[br](羽野広範)[br]우스다 요시오[br](臼田美夫)[br]와다 유지[br]王 敏[br]周曉華[br]徐超[br]姜智慧[br]劉冬冬[br]李偉峰[br]아라이 준[*M]}}} ||<|5> {{{-3 스즈키 마사히코}}} || {{{-3 日: 2022.05.22.[br]韓: 2022.05.23.}}} || || {{{-3 제9화}}} || {{{-3 都合のいい女子ですから[br]쉬운 여자니까요}}} || {{{-3 마스다 토시히코}}} || {{{-3 니와 모토히코[br](にわ素彦)}}} || {{{-3 유승희[br]박명환[br]이관우[br]김경호[br]이영미[br](李英美)}}} || {{{-3 日: 2022.05.29.[br]韓: 2022.05.30.}}} || || {{{-3 제10화}}} || {{{-3 エセ貴族とは違って[br]가짜 귀족과 달리}}} ||<-2> {{{-3 쿠마노 치히로}}} || {{{-3 王敏[br]趙小川[br]陳玲玲[br]姜海華[br]李偉峰[br]劉冬冬[br]姜智慧[br]周健}}} || {{{-3 日: 2022.06.05.[br]韓: 2022.06.06.}}} || || {{{-3 제11화}}} || {{{-3 今、私にできることを[br]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 {{{-3 쿠기미야 히로시}}} || {{{-3 우치호리 마사토[br](内堀雅人)}}} || {{{-3 와다 유지[br]王敏[br]趙小川[br]陳玲玲[br]姜海華[br]李偉峰[br]劉冬冬[br]姜智慧[br]周健}}} || {{{-3 日: 2022.06.12.[br]韓: 2022.06.13.}}} || || {{{-3 제12화}}} || {{{-3 たとえどれだけ、この乙女ゲー世界が厳しくても[br]설령 아무리 이 여성향 게임 세계가 가혹하다 해도}}} || {{{-3 야마자키 시게루}}} || {{{-3 후쿠모토 신이치}}} || {{{-3 王敏[br]周健[br]姜智慧[br]劉冬冬[br]李偉峰[br]趙小川[br]陳玲玲[br]姜海華}}} || {{{-3 日: 2022.06.19.[br]韓: 2022.06.20.}}} || == 평가 == === 방영 전 === 키 비주얼과 PV부터 [[눈|특정 부위]]에 대한 이질적인 디자인[* 특히 눈동자]과 낮은 작화 퀄리티를 보여 빈축을 사고 있다. 감독 [[미우라 카즈야]]는 [[궁극 진화한 풀다이브RPG가 현실보다도 망겜이라면/애니메이션|궁극 진화한 풀다이브RPG가 현실보다도 망겜이라면]]에서 작화 붕괴를 일으킨 전적이 있고 또 다른 감독인 후쿠모토 신이치는 본작이 감독 데뷔작이기 때문에 더욱 우려되는 부분. 당연히 이런 저퀄 디자인과 작화로 인해 일본 팬덤이나 한국 팬덤들은 경악을 금치 못 했고 이 애니는 디자인 때문에 거진 망했다는 원성이 자자하다. 오죽하면 다른 미디어 믹스 코믹스 작화가 너무 뛰어나다 보니 애니에서 너프먹은거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 방영 후 ===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50461, user=7.34)] ## 2022년 7월 21일 기준 Reviewers: 84,524명 (7.37) ## 2023년 4월 14일 기준 Reviewers: 128,132명 (7.34) 악역 영애물과 크로스 오버한 듯한 이세계 전생물. 대체적인 평가는 "괜찮긴 한데, 좀 더 괜찮을 수도 있었는데" 정도. 1화 방영 후 스토리는 나름 괜찮게 시작했다는 평은 많으나 역시 문제는 '''"오프닝, 엔딩에 나온 여주인공들과 여성향 게임세계 공략 남캐들의 눈 디자인이 거슬린다."'''는 평이 많다. 오프닝 외 그냥 스토리를 감상해도 눈 디자인 때문에 리온 발트하르트가 더 미남으로 보인다는 평이 많은편이다.[* 원작 제목의 의의(모브)를 생각하면...] 그래서인지 그림체를 중시하는 한국에서는 반응이 안 좋다. [[Laftel|라프텔]]에서는 별점 1점 짜리 리뷰로 도배가 되어있을 정도. 반면 로봇 작화와 연출은 잘 뽑혔다는 호평이 있다. 이는 [[아라이 준]][* 아라이 준 말로는 이 애니가 [[경계전기]]보다 돈을 더 줬다고 한다.], [[오오모리 히데토시]], [[요시다 토오루]] 등 로봇물 작화 경력이 많은 인물들이 로봇 작화를 전담했기 때문이다. 다만 작화와 별개로 메카닉 전문 연출가가 없어 로봇이 턴제 게임을 하는 것처럼 싸우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판도 있다. 6화에선 히로인들의 메이드 복 작화가가슴이 너무 처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https://m.dcinside.com/board/otomegamesworld/680|#]] 밀렌과 클라리스의 작화는 나름 좋은데 중요 히로인인 안젤리카와 올리비아의 작화를 비교하면... 작화 쪽으로 여러 비판이 나오고 있지만 인기는 나쁘지 않아서 일본에서는 OTT 서비스 D 애니메 스토어에서 조회수 5위권 안에 들며 [[빌리빌리]]가 스폰서로 참여한 중국에서 상당히 히트했다.[* 관련 이벤트도 진행하는 등 빌리빌리 사장이 밀어주고 있다.] 그러나 작화와 달리, 스토리 쪽은 다른 이세계물들에 비하면 수준급으로 몰입감 있고 재밌었다는 평이 많았으며 각 캐릭터들의 매력도 잘 들어나며 작화만 포기하면 끝까지 재밌었다는 평가가 많다. 일본과 중국에서도 작화에 대한 지적은 있지만 주인공이 [[사이다(유행어)|사이다]]라 본다는 리뷰가 많다. 아이러니하게 작화는 안 좋은데 스토리가 좋은 덕인지 원작 소설이 신경 쓰인다는 층이 많아 원작 유입에도 성공해 판매량도 고무적으로 증가했으며, 2022년 12월 26일,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애니메이션 2기)|2기]]의 제작이 발표되었다. == 기타 == === 만우절 이벤트 === ||
'''{{{#097ac6,#097ac6 {{{+1 알트리베}}}[br]アルトリーベ[br]AltoLie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여성향 모브 알트리베.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hjd8ARmozA, width=100%)]}}} || || '''검과 마법의 판타지 러브 ADV 「알트리베」 PV 1탄''' || * '''TV애니메이션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 만우절 기획''' * '''스토리''' 그곳은 검과 마법의 세계ー 「너를 특별 우대생으로 학원에 맞아들이지」 학원에서 만나는 것은 아름다운 귀족의 자작들 「제가... 성녀님...?」 세상을 구하는 것은 진실한 사랑ー * '''테마송'''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슈프림 LOVE STAR.jpg|width=100%]]}}} || * 제목 : 슈프림 LOVE STAR(シュプリーム LOVE STAR) * 노래 * [[율리우스 라파 호르파트]] (CV : [[스즈무라 켄이치]]) * [[질크 피아 마모리아]] (CV : [[토리우미 코스케]]) * [[브래드 포우 필드]] (CV : [[타치바나 신노스케]]) * [[크리스 피아 아크라이트]] (CV : [[유사 코지]]) * [[그렉 포우 세버그]] (CV : [[히야마 노부유키]]) * 작사 : 마사키 에리카(真崎エリカ) * 작곡 : 혼다 유우키(本多友紀) * 편곡 : 와키 마사토미(脇 眞富) * 음원 사이트 : [[https://music.apple.com/jp/album/id1614962355|애플뮤직]] [[https://open.spotify.com/album/2V9I2oe6uqFDLZaLANNlEi|스포티파이]] [[https://music.amazon.co.jp/albums/B09W6882W3|아마존뮤직]] [[https://music.line.me/webapp/album/mb0000000002651ef4|라인뮤직]] [각주] [[분류: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2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