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800px-Daybreak.jpg|width=400]] || 영어 명칭 || Daybreak || || 제작자 || WinparkPrime || || [[스타크래프트 2/지형 유형|지형 유형]] || 아베르누스 || || 이용 가능 크기 || 148x120 || || 인원 || 2 (1, 7) || 2011 [[GSL]] Aug. 부터 사용되는 제작맵. 상당한 장수맵이다. 이렇게 문제 없이 오래 사용되는 맵은 여명이나 [[만발의 정원]]을 제외하고는 없다. [목차] == 설명 == '''GSL과 스타크래프트 2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맵.''' [[안준영(게임 해설가)|안준영]] 해설도 희대의 명맵이라고 칭송하는 맵이다. 제작자는 WinparkPrime.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51571&iskin=esports|인터뷰]]. 초반에 확장하기 쉽다는 점 때문에 장기전이 주로 나오지만, 우회로가 있어 난전과 빈집 양상을 자주 볼 수 있다. 밸런스적인 측면에서는 맵이 도입된 초창기에는 [[저그맵]]이라는 평도 있었으나, 1.4.x 이후로는 토스가 우세하다는 평이 많으며 전적도 이를 입증하고 있다. 하지만 공식맵이 된 이후로 큰 문제가 없어 수정없이 사용되고 있다.[* 역대 최고의 밸런스를 자랑하는 맵, 스2 최초의 국민맵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평가와 지속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배틀넷에서 진행된 시즌7 래더에 추가될 GSL 공식맵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하였으며, 그 결과 차기 래더맵으로 선정되었다.[[http://kr.battle.net/sc2/ko/blog/1356053/]] 1.5.0 패치 이후 중앙쪽 멀티가 수비하기 어려운데 비해 얻는 메리트가 너무 적다는 문제로(6광물 1꿀가스) 일반 멀티와 같은 8광물 2가스로 변경했다.[* 오히려 테란은 중앙멀티가 랠리포인트상 수비동선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오히려 중앙멀티를 선호했다. 즉 이 맵에서 테란을 위한 패치의 의미도 담고있다.] --비스듬히 봤을때 [[여명 808|808]]처럼 본진/앞마당-중앙-본진/앞마당이 보인다면 지는거다--[* 실제로 여명이라고 맵이 나왔을 때 사람들이 우스개로 808을 떠올렸고, 이 맵 쓰이는 동안 [[신상호(프로게이머)|신상호]]가 8강 탈락을 하면서 '''8강 0플토'''사태 일어 났을때 드립이 폭발했다. 테란-8강/플토-0/저그-8강 그래서 여명 808!!!(...)] 2013년 래더 시즌 3에서 제외되었고, 이후 2014년 래더 시즌 4에서 잠깐 복귀한 적이 있다. 역대 래더 맵 투표에서 7.79%로 3위를 차지하여 꾸준한 인기를 보여주었다. 공허의 유산 3.8 패치로 6분기 맵에 선정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팬들은 '''여명이 돌아왔다!!'''며 반기고 있는 중. 2017 GSL 시즌 1 결승에서 김대엽이 이맵에서 어윤수를 잡고 우승하기도 했다. [[2018 GSL Season 1]]의 부제목이 바로 여명(Daybreak)이었다. 그리고 최후의 테란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는 기어이 우승을 거두면서 [[락라인]]을 탈출, 이후 연달아 4연속 우승의 금자탑을 쌓았다. == 사용된 대회 == *[[GSL]] *[[스타리그]] [[분류:스타크래프트 2/맵]]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여명, version=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