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한의 국가)] [목차] == 개요 == {{{+1 如來卑離國}}} 《[[삼국지(정사)|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소개된 [[마한]] 54개국 중 하나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백제]]에 이릉부리군(爾陵夫里郡)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여래비리의 비리(卑離)는 이릉부리의 부리(夫里)와 동일한 지명 요소이며 여래(如來)와 이릉(爾陵)의 후기 [[상고한어]] 음가[* 흔히 알려진 Baxter-Sagart와 정장상팡의 상고한어 재구음은 [[서주]] 시대의 문헌인 《[[시경]]》 및 다른 중국-티베트어족 언어와의 대조를 통해 재구된 것이다. 《[[삼국지(정사)|삼국지]]》가 집필된 3세기 중반에는 이미 어두자음군이 소멸되는 등 음운 변화가 많이 진행되어 [[중고한어]]에 상대적으로 가까워진 후기 상고한어가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각각 /*na rˤə/ '나러'와 /*nˤər rəŋ/ '너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여래비리국의 위치는 백제 이릉부리군이 있었던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비정된다. 한편 백제 잉리아현(仍利阿縣)[* 진내군(進乃郡)이라는 지명이 진잉을군(進仍乙郡)으로도 불렸으며 [[신라]] 상대의 인물 내숙(乃宿)이 잉숙(仍宿)으로도 기록되었다는 점을 참고하면, 삼국시대 당시 잉(仍)은 내(乃)와 마찬가지로 '나'에 가깝게 읽혔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잉리아현의 당시 발음은 '나리아'가 된다.]과의 유사성을 근거로 화순군 [[화순읍]]에 비정하기도 한다. 두 설 모두 지금의 화순 지역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여래비리국의 '비리(卑離)'는 [[마한]]의 다른 소국명에서도 접미사로서 여러 차례 나타나는데[* [[막로비리국]](莫盧卑離國), [[고비리국]](古卑離國),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 [[내비리국]](內卑離國), [[벽비리국]](辟卑離國), [[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 [[초산도비리국]](楚山塗卑離國)이 있다.] 이는 훗날 《[[삼국사기]]》 등 문헌에 기록된 [[백제]]의 지명 접미사 부리(夫里) 및 [[신라]]의 지명 접미사 [[벌#s-1.2]](伐/火)과 동계어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단어는 [[중세 한국어]] 'ᄇᆞᆯ'과 현대 한국어 '벌판'으로 이어진다. 한편 당시 음가가 '나러'였던 '여래(如來)'의 경우 의미를 정확하게 추적할 수는 없으나, 여래비리국이 훗날 잉리아현으로 이어졌다는 설을 따르면 잉리아현의 다른 명칭으로 바닷가를 뜻하는 해빈(海濱)이 있었기 때문에 '냇가'의 '내[川]'를 뜻하는 [[고대 한국어]] '나리'[* 《[[일본서기]]》에서는 [[아리수]](阿利'''水''')와 [[웅진성|웅천]](熊'''川''')을 각각 아리'''나례'''하(阿利那禮河), 구마'''나리'''(久麻那利)라는 음차 표기로 기록했다. 또한 《[[삼국유사]]》에 실린 8세기 신라 향가 〈[[찬기파랑가]]〉에서도 '川理'라는 [[말음 첨기]]가 나타나며, 《[[악학궤범]]》에 실린 고려가요 〈[[동동]]〉에도 '나리'라는 옛 어형이 보존되어 있다.]를 표기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화순군의 원삼국시대 유적으로는 집자리와 토광묘, 옹관묘 등이 출토된 [[도암면(화순)|도암면]] 용강리 유적이 있다. [[http://www.grandculture.net/hwasun/toc/GC05600592|#]] 때문에 여래비리국의 중심지를 이곳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제기된 바 있다. [[분류: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