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울특별시의 무덤]][[분류:구로구]][[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함양 여씨]]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79호 ||<|2> ← || '''80호''' ||<|2> → || 81호 || || [[문양군 류희림 묘역]] || '''여계 묘역''' || [[남지기로회도#s-2.2]]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0호}}}]]''' || ||<-2> {{{#fff {{{+1 '''여계 묘역'''}}}[br]{{{-1 呂稽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여계 묘역,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동]] 산 6-3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2基, 석물 7基, 토지 467㎡ || || '''{{{#fff 지정연도}}}''' || [[1991년]] [[12월 24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여계묘역_전경1_(촬영년도___2015년).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여계묘역_(촬영년도___2015년) (1).jpg|width=100%]]}}} || || {{{#F0AD73 ''' 여계 묘역[*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524760&ccbaKdcd=21&ccbaAsno=00800000&ccbaCtcd=11|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br][[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524763&ccbaKdcd=21&ccbaAsno=00800000&ccbaCtcd=11|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전기의 문신이었던 여계와 그 부인의 묘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동]]에 있다. == 상세 == 여계의 본관은 [[함양군|함양]]으로, 아버지는 좌군도총제 및 [[형조판서]] 등 군의 요직을 역임했던 여칭이다. [[태종(조선)|태종]] 때 관직에 나가 호조좌랑과 참판 직을 맡아 일했다. 1421년(세종 3년)에 사망하여 고척동에 묻혔고, 묘역 정비는 사후 7년이 지난 1428년(세종 10년)에 자손들이 했다. 여계는 아들이 5명이었고, 이들의 후손들이 번성하여 현재 [[여(성씨)|함양 여씨]]의 대다수가 여계의 직계손이라고 전한다. 부인 [[청송 심씨]]와 같이 안장되었으며 봉분은 앞뒤로 나란히 놓여있다. 여계의 묘는 뒤쪽에 있고 부인의 묘는 앞쪽에 있다. 묘의 면적은 467㎡이고, 묘역 전체의 면적은 1025㎡이다. 석물은 각 묘마다 상석과 문, 무관석이 각각 1기 씩 있고 묘비는 전체 합쳐 1기가 있다. 묘비에는 '승의랑호조좌랑증가선대부호조참판함양여공계묘비(承議郞戶曹佐郞贈嘉善大夫戶曹參判咸陽呂公稽墓碑)'이라 적혀있다. 조선 전기의 묘제 양식을 보여주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1년 12월 24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0호로 지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