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AA520 이름}}}''' || '''{{{#DAA520 엘모어 제임스 [br] ELMORE JAMES }}}''' || || '''{{{#DAA520 헌액 부문}}}''' || '''{{{#DAA520 개척자 (Early Influences)}}}''' || || '''{{{#DAA520 멤버}}}''' || '''{{{#DAA520 (개인 자격)}}}''' || || '''{{{#DAA520 입성 연도}}}''' || '''{{{#DAA520 1992년}}}'''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250대 기타리스트)] ||<-2> '''{{{+1 엘모어 제임스}}}[br]Elmore James''' || ||<-2> [[파일:jameselm.jpg|width=300]] || || '''출생명''' ||엘모어 브룩스[br]Elmore Brooks|| || '''별명''' ||슬라이드 기타의 왕[br]King of the Slide Guitar|| ||<|2> '''출생''' ||1918년 1월 27일|| ||[[미국]] [[미시시피주]] 리치랜드|| ||<|2> '''사망''' ||1963년 5월 24일 (향년 45세)||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 || '''장르''' ||[[블루스]]|| || '''배우자''' ||미니 메 제임스 ^^(1940년대 결혼)^^||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음악가. 슬라이드 기타의 왕으로 불리는 블루스의 거장들 중 한 명이다. [[록 음악]]의 발전에도 기여했다.[*A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Elmore-James|Elmore James: American musician]]",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 생애 == 1918년 1월 27일, 미시시피주 리치랜드 부근의 농장에서[*B Robert Palmer, "Deep blues" (1982), 205쪽] [[소작농]] 가정[*A]의 사생아[*C "[[http://www.thebluestrail.com/artists/mus_eja.htm|ELMORE JAMES]]", thebluestrail.com]로 태어났다. 어머니의 성명은 레오라 브룩스고[*C][*D Cub Koda, "[[https://www.allmusic.com/artist/elmore-james-mn0000176936/biography|Elmore James: Biography]]", [[올뮤직]]] 아버지의 신원은 불분명하다. 이후 [[의붓아버지]] 조 윌리 제임스의 성을 따라 엘모어 제임스가 되었다.[*D] 어릴 때부터 음악과 연을 맺은 그는 12살 무렵에 디들리 활로 작곡을 시작하다 곧 기타를 잡았다.[*D][* 정일서, "더 기타리스트" (어바웃어북 · 2013.9.30.), 59~60쪽] 14살 땐 이미 음악 활동을 하고 있었으며[*D], 1939년엔 '브룸더스터즈'[*C]란 밴드를 이끌면서 카페나 극장에서 활동했다.[*B] 1937년에 그의 가족이 미시시피주 벨조니의 농장으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그는 [[로버트 존슨]]과 [[소니 보이 윌리엄슨 2세]]를 만났다. 이후 그 둘과 활동했다고 한다.[* Elmore James, "Elmore James - Master of the Electric Slide Guitar (Songbook)" (Hal Leonard Corporation · 1996.10.1.), 5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vT9MAgAAQBAJ&lpg=PA1&dq=Elmore%20James&hl=ko&pg=PT5#v=onepage&q&f=false|#]]] 그는 로버트 존슨에게 음악적으로 큰 영향을 받았다.[*A] 그는 1940년대에 결혼했으며[* Steve Franz, "The Amazing Secret History of Elmore James" (BlueSource Publications · 2003), 284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EEMIAQAAMAAJ&q=Elmore+James++Minnie+Mae&dq=Elmore+James++Minnie+Mae&hl=ko&sa=X&ved=2ahUKEwjH7Nbq2PP5AhX_xIsBHQAvATUQ6AF6BAgHEAI|#]]], 1943년부터 45년까지 [[해군]]에서 복무했다.[*E Robert Palmer, "Deep blues" (1982), 206쪽] 복무가 끝난 뒤 미시시피주로 돌아왔고 미시시피주 캔턴에서 일하면서 일렉트릭 사운드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얻게 되었다.[*F "[[https://msbluestrail.org/blues-trail-markers/elmore-james|Elmore James]]", msbluestrail.org] [[멤피스(미국)|멤피스]]로 이주한 뒤 에디 테일러, 사촌이었던 홈시크 제임스와 함께 다시 음악을 시작했다.[*D] 소니 보이 윌리엄슨 2세와도 다시 재회했다.[*E] 1951년 1월 4일부터 녹음에 참여하기 시작했고, 같은 해 8월 5일엔 본인 명의로 녹음을 했다. 그의 이름으로 발매된 음반들 중 "Dust My Broom"이 크게 성공했다.[*A][*G "[[https://www.wirz.de/music/jameselm.htm|Elmore James discography]]", wirz.de] 이후 그는 트럼펫 레코드와의 계약을 파기하고 비하리 브라더스와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1952년에 녹음한 "I Belive" 도 성공했다. "Dust My Broom"의 성공으로 투어를 시작한 그는, 미시시피주와 시카고를 자주 오가며 활동했다.[*F] 계속해 곡들을 녹음하였으나, 오랜 기간 앓아오던 심장 질환으로 건강이 안 좋아서 1950년대 말에는 휴식을 취하려 집으로 돌아가기도 했다.[*C][*D] 휴식을 마친 후 녹음을 계속했고, "The Sky Is Cryin'"와 같은 히트곡을 냈다. 1963년 5월[*D] 추가 음반 작업과 활동 재개를 위해 시카고로 돌아왔다.[*C][*D] 시카고로 돌아온 그는 병에 걸렸고 암과 투병하며 홈시크 제임스의 배우자에게 간호를 받고 있었다.[*C] 결국 1963년 5월 24일, 홈시크 제임스의 집에서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F][*G] 사후 뉴포트 침례교 묘자에 안장되었다.[*G] == 대표곡 == * Dust My Broom (1951) * The Sky Is Cryin' (1959) [[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미국의 기타리스트]][[분류:블루스 음악가]][[분류:1918년 출생]][[분류:1963년 사망]][[분류:홈즈 카운티(미시시피) 출신 인물]][[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