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오스트리아의 대공비[br]{{{+1 엘리자베트 빌헬미네 루이제}}}[br]Elisabeth von Württember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lisabeth_Wilhelmine_von_Württemberg.jpg |width=100%]]}}} || || '''이름''' ||엘리자베트 빌헬미네 루이제[br](Elisabeth Wilhelmine Louise)|| || '''출생''' ||[[1767년]] [[4월 21일]][br][[프로이센 왕국]] [[포메른]] 트렙토우안데어레가[* 현 [[폴란드]] 트제비아토프(Trzebiatów).]|| || '''사망''' ||[[1790년]] [[2월 18일]] (향년 22세)[br][[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오스트리아)|빈]]|| || '''배우자''' ||[[프란츠 2세]] ,,(1788년 결혼),,|| || '''자녀''' ||루도비카 엘리자베트|| || '''아버지''' ||뷔르템베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2세 오이겐|| || '''어머니''' ||브란덴부르크슈베트의 프리데리케 공녀|| || '''형제''' ||[[프리드리히 1세(뷔르템베르크)|프리드리히 1세]], 루트비히[* [[조지 5세]]의 왕비 [[테크의 메리]]의 증조부이다.], 오이겐, [[조피 도로테아(뷔르템베르크)|조피 도로테아]], 빌헬름, 페르디난트, 프리데리케, 빌헬미네, 카를, 알렉산더[* 1921년 뷔르템베르크 왕가 직계가 단절된 후 명목상의 뷔르템베르크 왕위를 이은 알트하우젠 분가의 시조이다.], 하인리히|| || '''종교''' ||[[루터교회]] → [[가톨릭]] {{{-2 ([[세례명]]: [[엘리사벳]])}}}|| [목차] [clearfix] == 개요 == [[신성 로마 제국]] [[프란츠 2세]]의 첫번째 아내. 프란츠 2세가 황제가 되기 전에 사망했다.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초대 국왕인 [[프리드리히 1세(뷔르템베르크)|프리드리히 1세]]와 [[러시아 제국]] [[조피 도로테아(뷔르템베르크)|마리야 표도로브나 황후]]의 여동생이다. == 생애 == 1767년 4월 21일 뷔르템베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2세 오이겐의 3녀로 태어났다. 10살이 되었을 무렵 언니 [[조피 도로테아(뷔르템베르크)|조피 도로테아]]가 러시아의 [[파벨 1세|파벨 황태자]]와 결혼해 황태자비가 되면서 집안의 격이 높아졌다. 1781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요제프 2세]]는 언젠가 황위를 이을 조카 [[프란츠 2세|프란츠 대공]]의 신붓감을 찾던 중,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의 추천으로 엘리자베트를 [[빈(오스트리아)|빈]]으로 불렀다. 엘리자베트를 본 요제프 2세는 그녀를 두고 '예쁘지 않고 예뻐질 것 같지도 않지만, 날씬하고 눈이 예쁘며 상냥하다'라고 평가했다. 프란츠 대공의 신붓감으로 선택된 엘리자베트는 [[가톨릭]]으로 개종한 뒤 빈에 위치한 수녀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1784년 7월 1일에 엘리자베트는 프란츠 대공과 처음 만났다. 두 사람은 첫눈에 서로에게 호감을 보였다. 결혼을 준비하는 동안 프란츠는 자주 엘리자베트를 보러갔다. 1788년 1월 6일에 두 사람은 마침내 결혼식을 올렸다. 부부는 금슬이 매우 좋았다. 그러나 결혼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란츠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 참전했다. 떨어져 있는 동안에도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았고, 8개월 만에 다시 만나게 되었다. 요제프 2세는 조카며느리를 두고 매우 흡족해했다. 이 무렵 건강이 좋지 않았던 요제프 2세에게 다정한 엘리자베트는 큰 위안이 되었다. 1789년 7월에 아이를 가졌다. 그러나 몸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았는데, 요제프 2세의 [[병자성사]] 중에 엘리자베트는 쓰러지고 말았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1790년 2월, 엘리자베트는 여자아이를 [[조산]]하고 숨을 거두었다. 죽어가던 요제프 2세는 이 소식을 듣고 매우 상심해하다가 이틀 뒤에 숨을 거두었다. 아기는 요제프 2세로부터 루도비카 엘리자베트라는 이름을 받았다. 그러나 태어난지 16개월 만에 사망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뷔르템베르크의 엘리자베트 여공작[br]{{{-2 (Duchess Elisabeth of Württemberg)}}} ||<|6> 뷔르템베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2세 오이겐[br]{{{-2 (Frederick II Eugene, Duke of Württemberg)}}} ||<|3> 뷔르템베르크 공작 카를 알렉산더[br]{{{-2 (Charles Alexander, Duke of Württemberg)}}} || || 뷔르템베르크비넨탈 공작 프리드리히 카를[br]{{{-2 (Frederick Charles, Duke of Württemberg-Winnental)}}} || ||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엘레오노레 율리아네 공녀[br]{{{-2 (Princess Eleonore Juliane of Brandenburg-Ansbach)}}} || ||<|3> 투른탁시스의 마리 아우구스테 공녀[br]{{{-2 (Princess Marie Auguste of Thurn and Taxis)}}} || || 투른탁시스 공 안젤름 프란츠[br]{{{-2 (Anselm Franz, Prince of Thurn and Taxis)}}} || || 로브코비츠의 마리아 루도비카 공녀[br]{{{-2 (Princess Maria Ludovika of Lobkowicz)}}} || ||<|7> 브란덴부르크슈베트의 프리데리케 공녀[br]{{{-2 (Princess Friederike of Brandenburg-Schwedt)}}} || ||<|3> 브란덴부르크슈베트 변경백 프리드리히 빌헬름[br]{{{-2 (Friedrich Wilhelm, Margrave of Brandenburg-Schwedt)}}} || || 브란덴부르크슈베트 변경백 필리프 빌헬름[br]{{{-2 (Philip William, Margrave of Brandenburg-Schwedt)}}} || || 안할트데사우의 요하나 샤를로테 공녀[br]{{{-2 (Princess Johanna Charlotte of Anhalt-Dessau)}}} || ||<|3> 프로이센의 조피 도로테아 공주[br]{{{-2 (Princess Sophie Dorothea of Prussia)}}} ||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br]{{{-2 (Frederick William I)}}} || || [[하노버의 조피 도로테아]][br]{{{-2 (Princess Sophia Dorothea of Hanover)}}}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 '''1녀''' || 루도비카 엘리자베트 여대공[br]{{{-2 (Archduchess Ludovika Elisabeth)}}} || [[1790년]] [[2월 18일]] || [[1791년]] [[6월 24일]] || [[분류:뷔르템베르크 가문]][[분류: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분류:1767년 출생]][[분류:1790년 사망]][[분류:포메른 출신 인물]][[분류:출산 중 죽은 인물]][[분류:카푸친 교회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