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스터)] ---- ||
'''{{{#fd5a1e 엘리엇 라모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라운드 지명선수)] ---- ||
'''{{{#fd5a1e 엘리엇 라모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53번}}}''' || || [[트레버 케이힐]][br](2020) || {{{+1 →}}} || '''엘리엇 라모스[br](2022)''' || {{{+1 →}}} || [[웨이드 메클러]][br](2023~)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12번}}}''' || || [[알렉스 디커슨]][br](2020~2021) || {{{+1 →}}} || '''엘리엇 라모스[br](2023~)''' || {{{+1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이언츠엘리엇.jpg|width=100%]]}}} ||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No.12''' || ||<-2> '''{{{#ffffff {{{+2 엘리엇 라모스}}}[br]Heliot Ramos}}}''' || || '''본명''' ||엘리엇 레무엘 라모스 레브론[br]Heliot Lemuel Ramos Lebrón || ||<|2> '''출생''' ||[[1999년]] [[9월 7일]] ([age(1999-09-07)]세) || ||우마카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include(틀:국기, 국명=푸에르토리코)]) || || '''학력''' ||리더십 크리스찬 아카데미 || || '''신체''' ||185cm / 85kg || || '''포지션''' ||[[중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9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 '''소속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2~) || || '''계약''' ||1yr / $720,000 || || '''연봉''' ||2023 / $720,000 || || '''가족''' ||형 엑토르 라모스, [[헨리 라모스]] || || '''SNS''' ||[[https://www.facebook.com/heliotramos.ramo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heliot_ramos1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eliotRamos,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 [[외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엘리엇라모스언더아머.jpg|width=100%]]}}} || 2016년 7월 23일 [[리글리 필드]]에서 열린 고교 선수들의 쇼케이스인 [[언더아머]] 올아메리카 야구 경기에서 최우수선수상을 받았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마이너 경력 ==== ===== 2017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엘리엇라모스2019.jpg|width=100%]]}}} || [[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전체 19순위로 지명되어 애리조나 루키리그에 합류하며 35경기 138타수 타율 .348 48안타(2루타 11, 3루타 6) 6홈런 27타점 33득점 10도루 출루율 .404 장타율 .645 OPS 1.049로 좋은 성적을 기록했고 이러한 활약으로 루키리그 올스타에 뽑히기도 하였다. ===== 2018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엘리엇라모스2018.jpg|width=100%]]}}} || 싱글 A에서 시즌을 시작하며 124경기 485타수 타율 .245 119안타(2루타 24, 3루타 8) 11홈런 52타점 61득점 8도루 출루율 .313 장타율 .396 OPS .709를 기록하고 시즌을 마쳤다. ===== 2019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엘리엇라모스가을리그.jpg|width=100%]]}}} || 싱글 A+에서 시즌을 시작하여 77경기 294타수 타율 .306 90안타(2루타 18) 13홈런 40타점 51득점 6도루 출루율 .385 장타율 .500 OPS .885를 기록하고 시즌 중반에 더블 A로 승격하였고 더블 A에선 25경기 95타수 타율 .242 23안타(2루타 6, 3루타 1) 3홈런 15타점 23득점 2도루 출루율 .321 장타율 .421 OPS .742를 기록하고 시즌을 마쳤고 시즌 후 애리조나 가을리그에 출전하였다. 2020년은 코로나 19로 인하여 시즌이 날라갔다. ===== 2021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엘리엇라모스마이너.jpg|width=100%]]}}} || 더블 A에서 시즌을 시작하였고 62경기 236타수 타율 .237 56안타(2루타 14, 3루타 1) 10홈런 36득점 26타점 7도루 출루율 .323 장타율 .432 OPS .756을 기록하고 퓨처스 올스타전에도 뽑히며 트리플 A로 승격되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엘리엇라모스올스타.jpg|width=100%]]}}} || 트리플 A에서는 54경기 213타수 타율 .272 58안타(2루타 11, 3루타 2) 4홈런 30타점 30득점 8도루 출루율 .323 장타율 .399 OPS .722를 기록하고 시즌을 마쳤고 2021년 11월에 40인 로스터에 등록되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2년|2022 시즌]] ==== 4월 10일 [[존 브레비아]]가 BL에 오르자 콜업되어서 당일 마이애미전에 6번타자 좌익수로 출전, 첫타석에서 [[트레버 로저스]]에게 데뷔 첫 안타를 날렸고, 이어진 [[마우리시오 듀본]]의 2루타 때 득점을 올렸다. 4회말에도 안타를 쳤고, 6회말 마지막 타석에서는 [[숀 암스트롱]]에게 삼진으로 물러나며 데뷔전에서 3타수 2안타 1득점 1삼진이라는 훌륭한 성적을 남겼다. 4월 11일 샌디에이고전에서 9회말 대타로 출장했지만 [[테일러 로저스]]에게 삼진으로 물러났다. 4월 13일 샌디에이고전에서 첫 타석 [[션 머나야]]에게 볼넷을 골라내 [[루크 윌리엄스(야구선수)|루크 윌리엄스]]의 안타에 득점을 올렸고, 이후 2타석은 범타로 물러났다. 경기 후 [[타일러 로저스]]의 복귀를 위해 다시 AAA로 옵션되었다. 5월 31일 [[다린 러프]]가 부친상으로 인해 휴가를 받으면서 콜업되었지만 필라델피아전에서 3타수 무안타 기록 후 [[브랜든 크로포드]]와 교체되었고, 6월 1일 [[샘 롱]]과 [[제이슨 보슬러]]가 콜업되면서 [[스튜어트 페어차일드]]와 함께 마이너로 내려갔다. 6월 11일 [[제이콥 주니스]]가 부상자 명단에 올라 다시 콜업되었지만 다저스전에서 2타수 무안타 기록 후 [[작 피더슨]]과 교체되었다. 타율은 .182까지 떨어지며 점점 또 다른 망픽의 냄새가 피어오르는 중이다... 6월 12일 다저스전에서도 2타수 무안타를 기록했고, 결국 6월 13일 [[마우리시오 조베라]]가 콜업되며 다시 마이너로 내려갔다. 9월 17일 [[윌리 칼훈]]과 [[루이스 오티즈(1995)|루이스 오티즈]]가 마이너로 내려가면서 [[션 젤리]]와 함께 콜업되었지만 당일 다저스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며 OPS가 .284까지 떨어졌다. 9월 18일 다저스전에서 또 다시 3타수 무안타 1볼넷[* 이 볼넷마저도 8회말 [[알렉스 베시아]]가 등판 직후 영점을 잡지 못하며 겨우 얻어낸 볼넷이다.] 2삼진에 그치며 이제는 1할 타율 붕괴 직전까지 왔다. 결국 9월 19일 [[오스틴 슬레이터]]가 복귀하면서 다시 마이너로 내려갔다. 10월 5일 [[작 피더슨]]이 가족 응급상황 명단에 올라 콜업되었지만 출장없이 시즌을 마쳤다. OPS .282에 그치며 같은 1라운더인 [[조이 바트]]와 함께 제대로 망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3년|2023 시즌]] ==== 4월 9일 [[맷 베이티]]가 마이너로 내려가면서 콜업되었고, 당일 캔자스시티전에서 3타수 1안타 1삼진을 기록하고 9회초 수비강화를 위해 [[마이크 야스트렘스키]]와 교체되었다. 콜업 후 첫 5경기에서 15타수 3안타 OPS .400에 그치며 올해도 답이 없는 타격을 보여주다가, 4월 17일 마이애미전에서 2회초 [[헤수스 루자르도]]를 상대로 적시 2루타를 쳐내며 데뷔 첫 장타&타점을 올렸다. 하지만 이후 3경기에서 다시 9타수 1안타 1볼넷 5삼진의 답없는 모습을 보였고, 결국 4월 23일 [[작 피더슨]]의 복귀로 마이너로 내려갔다. 5월 19일 [[패트릭 베일리]]와 [[라이언 워커]]의 자리 마련을 위해 왼쪽 복사근 부상으로 60일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7월 18일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하고 곧바로 마이너로 내려갔다. 8월 9일 [[AJ 폴락]]이 10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콜업되었다. 8월 11일 텍사스전에서 2:0으로 뒤진 9회말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대타로 출장해 [[윌 스미스(1989)|윌 스미스]]를 상대로 2루타를 쳐내고 중견수 [[레오디 타베라스]]의 송구 실책으로 3루까지 진루했고, [[타이로 에스트라다]]의 3루수 땅볼에 득점을 올렸다. 이 날 대타로 나와 2루타를 친게 전부인데도 팀 내 WPA 1위를 차지했다. 8월 12일 텍사스전에서 9:2로 뒤진 9회말 1사에 [[브록 버크]]를 상대로 시즌 1호 홈런 및 데뷔 첫 홈런을 기록하며 대패한 팀의 유일한 위안거리가 되었다. 8월 13일 텍사스전에서 3타수 3삼진을 기록하다 1:1로 맞선 9회말 1사에 [[아롤디스 채프먼]]을 상대로 2루타를 쳐냈지만 후속타 불발로 끝내기 득점을 올리지는 못했다. 8월 14일 탬파베이전에서 8:1로 뒤진 8회말 1사에 [[작 피더슨]]의 대타로 출장해 [[제이콥 로페스]]를 상대로 삼진을 당했다. 8월 15일 탬파베이전에서 7회말 [[블레이크 세이볼]]의 대주자로 출장해 포수 [[레네 핀토]]의 송구 실책을 틈타 2루에서 홈까지 내달리며 득점을 올렸고, 8회말 2사 1루에 [[에라스모 라미레즈]]를 상대로 안타를 기록했다. 8월 16일 탬파베이전에서 5회초 [[이사크 파레데스]]의 안타를 한 번에 잡지 못하고 떨어뜨리는 실책을 범했고, 타석에서도 2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하고 7회말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와 교체되었다. 8월 20일 애틀랜타전에서 1회초 2사 만루 찬스에 [[맥스 프리드]]를 상대로 2루수 땅볼로 물러나는 등 3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하고 8회초 [[웨이드 메클러]]와 교체되었다. 8월 21일 필라델피아전에서 8회말 [[패트릭 베일리]]의 대수비로 출장해 2:10으로 뒤진 9회초 무사 1, 2루에 [[딜런 코비]]를 상대로 볼넷을 골라냈다. 8월 22일 [[카일 해리슨]]이 콜업되고 [[라이언 워커]]가 복귀하면서 [[션 젤리]]와 함께 마이너로 내려갔다. 8월 25일 [[마이클 콘포토]]가 10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콜업되었다. 8월 26일 애틀랜타전에서 7:2로 뒤진 9회말 1사에 [[A.J. 민터]]를 상대로 안타를 치고 3타수 1안타 1볼넷 1삼진을 기록했다. 8월 27일 애틀랜타전에서 2타수 무안타 1삼진 기록 후 6회말 [[웨이드 메클러]]와 교체되었다. 8월 28일 신시내티전에서 2타수 무안타 2삼진 기록 후 6회말 [[작 피더슨]]과 교체되었다. 재콜업 후 11경기에서 OPS .775를 기록하고 8월 29일 [[미치 해니거]]가 복귀하면서 마이너로 내려갔다. 9월 23일 [[스캇 알렉산더]]가 15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콜업되었고, 당일 다저스전에서 0:7로 뒤진 9회초 2사에 [[작 피더슨]]의 대타로 출장해 [[케일럽 퍼거슨]]을 상대로 삼진으로 물러나 경기를 끝냈다. 9월 25일 샌디에이고전에서 3타수 무안타 1삼진 기록 후 8회말 [[마이클 콘포토]]와 교체되었다. 9월 27일 샌디에이고전에서 5:2로 뒤진 10회말 2사 2루에 [[작 피더슨]]의 대타로 출장했지만 [[톰 코스그로브]]를 상대로 유격수 땅볼로 물러나 경기를 끝냈다. 9월 30일 다저스전에서 3타수 무안타를 기록하고 9회초 [[마이크 야스트렘스키]]와 교체되었다. 10월 1일 [[브랜든 크로포드]]가 10일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해 마이너로 옵션되어 시즌을 마감했다. 결국 이번 시즌도 25경기 56타수 10안타 1홈런 OPS .537에 그치면서 전혀 1라운더의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타격: 50, 파워: 55, 주루: 50, 수비: 55, 어깨: 55 빠른 손움직임과 균형잡힌 스윙을 통해서 배트 중심에 공을 잘 맞추는 모습을 보여주고 많은 2루타를 생산하는 타자로 좋은 힘과 평균이상의 어깨와 빠른발로 수비를 하는 선수이다.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엘리엇 라모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2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9 || 22 || 2 || 0 || 0 || 0 || 4 || 0 || 0 || 2 || 6 || .100 || .182 || .100 || .282 || -0.5 || -0.5 || || 2023 || 25 || 60 || 10 || 4 || 0 || 1 || 5 || 2 || 0 || 4 || 20 || .179 || .233 || .304 || .537 || -0.4 || -0.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34 || 82 || 12 || 4 || 0 || 1 || 9 || 2 || 0 || 6 || 26 || .158 || .220 || .250 || .470 || -0.8 || -0.9 || == 여담 == * 형이 둘 있는데, 한 명은 축구선수 엑토르 라모스이고 다른 한 명은 디백스 출신 외야수이자 전 [[kt wiz]] 소속 [[헨리 라모스]]이다. [각주] [[분류:푸에르토리코의 야구 선수]][[분류:1999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우마카오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