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칼리아리 칼초/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B5 0%, #1468B3 30%, #1468B3 70%, #0099B5);" {{{#ffffff '''엘도르 쇼무로도프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B5 0%, #1468B3 30%, #1468B3 70%, #0099B5);" {{{#ffffff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 }}} }}} || || [[오딜 아흐메도프]][br]{{{-1 (2017~2021) }}} || {{{+1 {{{#1468B3 ▶ }}} }}} || '''{{{#1468B3 엘도르 쇼무로도프[br]{{{-1 (2021~)}}}}}}''' || {{{+1 {{{#1468B3 ▶ }}} }}} || ''현직'' || ---- [include(틀: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이도르 Shomurodov.jpg|width=100%]]}}} || ||<-2> '''{{{#ffffff 칼리아리 칼초 No. 61}}}''' || ||<-3> '''{{{#ffffff {{{+1 엘도르 쇼무로도프}}}[br]Eldor Shomurodov}}}''' || || '''{{{#ffffff 본명}}}''' ||엘도르 아자마트 오글리 쇼무로도프[br]Eldor Azamat oʻgʻli Shomurodov || ||<|2> '''{{{#ffffff 생년월일}}}''' ||[[1995년]] [[6월 29일]] ([age(1995-06-29)]세) || ||수르한다리야 주 자르쿠르간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우즈베키스탄)] || || '''{{{#ffffff 신체}}}''' ||190cm, 81kg || || '''{{{#ffffff 포지션}}}''' ||[[스트라이커]] || || '''{{{#ffffff 주발}}}''' ||오른발 || || '''{{{#ffffff 유스클럽}}}''' ||FK 마샬 무바레크 (2011~2013) || || '''{{{#ffffff 프로클럽}}}''' ||FK 마샬 무바레크 (2014) [br] '''[[FC 부뇨드코르]] (2015~2017)''' [br] '''[[FC 로스토프]] (2017~2020)''' [br] [[제노아 CFC]] (2020~2021) [br] [[AS 로마]] (2021~ ) [br] {{{-1 → [[스페치아 칼초]] (2023 / ^^임대^^)}}} [br] {{{-1 → [[칼리아리 칼초]] (2023~ / ^^임대^^)}}}|| || '''{{{#ffffff 국가대표}}}''' ||66경기 '''37골'''[*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 역대 최다 득점.]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2015~ )^^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칼리아리 칼초]] 소속 축구선수. [[막심 샤츠키흐]] 이후 유럽무대에서 가장 성공한 우즈벡인 축구선수로 평가받고 있다. == 클럽 경력 == === 경력 초기 === 일찌감치 두각을 드러내며 자국의 유망주로 떠올랐던 그는 [[FC 부뇨드코르]]에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주전 스트라이커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2017-18 시즌을 앞두고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의 [[FC 로스토프]]로 이적하였다. 초반에는 미진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2019-20 시즌에 득점력이 크게 상승하면서 리그 11골을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 [[제노아 CFC]] === 2020년 10월 1일,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의 [[FC 로스토프]]에서 이적료 750만 유로(약 100억원)에 [[제노아 CFC]]로 완전 이적하였다. 우즈베키스탄 역대 2번째 [[세리에 A]] 선수로, 한국에서의 손흥민 같은 인지도를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지고 있다. 2020-21 시즌에는 32경기 8골 2도움을 기록했으며, [[파브리지오 로마노]]의 보도에 따르면 [[AS 로마]]로의 이적이 유력하다고 한다. === [[AS 로마]] === [[파일:shmorudov.png]] ==== [[AS 로마/2021-22 시즌|2021-22 시즌]] ==== 2021년 8월 3일, 17.5m의 이적료로 [[AS 로마]]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5년이며 등번호는 14번. 프리시즌 2경기에 모두 선발 출전하여 득점에 성공했다.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메인 패스 1차전 [[트라브존스포르]]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면서 데뷔전을 치렀으며 1:1로 팽팽히 맞서던 81분에 결승골을 넣으며 데뷔골을 기록했다. 리그 1R [[ACF 피오렌티나]]전에서는 2:1로 앞서 나가던 69분 교체 출전하였고 79분, 파이널 서드 하프 스페이스에서 몸싸움 끝에 수비 한 명을 떨궈낸 뒤 수비 둘을 바보로 만드는 훌륭한 키패스를 골키퍼 앞까지 찔러주며 팀의 세 번째 골을 어시스트했다. 리그 3R [[US 사수올로]]전에서는 1개의 어시스트를, [[UEFA 유로파 리그]] 조별리그 [[PFC CSKA 소피아]]전에서는 2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하지만, 리그 상위 팀들에게 고전하기 시작했다. 21라운드 [[유벤투스 FC]]전에서 3-1로 이길 때 나왔으나, 공을 빼앗기고 무기력한 모습만 보여주며 3-4 역전패의 원흉이 되고 말았다. [[주제 무리뉴]] 감독이 화가 얼마나 났으면 스카이스포츠 인터뷰에서 대놓고 패배 일등공신이라고 그를 거론하며 비난할 정도였다. 리그, 컵대회, 대륙 대회 모두 합쳐 40경기에 출장해 5골 6도움을 기록했다. 40경기 중 33경기가 교체출전인 걸 감안하면 활약 자체는 준수했다. 그러나 여름 이적시장에서 [[태미 에이브러햄]] 다음으로 비싸게 주고 데려온 선수였던 걸 감안하면 완전히 망한 영입이 되었다. 로마가 쇼무로도프를 영입한 건 [[에딘 제코]]를 대체할 장신 스트라이커 자원을 기대했지만 무색무취한 플레이로 유스 아페나잔에게 밀려버렸다. 전방에서 수비 가담이 부족하고, 측면배치 시 너무 둔해서 유틸리티로 쓰기에도 마땅찮다는 걸 감안하면 견적이 안 나온다. ==== [[AS 로마/2022-23 시즌|2022-23 시즌]] ==== 유로파 리그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전에서 만회골을 넣었지만 팀의 패배는 막지 못했다. ===== [[스페치아 칼초]] (임대) ===== 2023년 1월 30일, [[스페치아 칼초]]로 임대 이적했다.[[https://www.acspezia.com/it/news/ufficiale-eldor-shomurodov-un-nuovo-calciatore-dello-spezia.24442.html|#]] ===== [[칼리아리 칼초]] (임대) ===== 2023년 7월 28일에 완전 이적 옵션 포함 [[칼리아리 칼초]]로 임대 이적했다. == 국가대표 경력 == 앞서 말했듯이 유소년 시절부터 차세대 스트라이커로 떠오르며 많은 주목을 받았고, 각 급의 대표팀을 두루 거쳐왔다. [[2015 FIFA U-20 월드컵 뉴질랜드]]에서는 팀의 전 경기에 모두 나서 2골을 기록, 8강 돌풍을 일으키는데 혁혁한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후 같은 해 9월 3일,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예멘]]과의 월드컵 지역예선전을 통해 성인팀에 데뷔하였다. [[2019 AFC 아시안컵]]에서는 4골을 넣으며 상당히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는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을 상대로 선제골을 기록하기도 했다.[* 결과는 1대2로 역전패하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선 호주에게 승부차기 끝에 분패.] 2021년 중반부터는 기존의 대표팀 주장이었던 [[오딜 아흐메도프]]가 은퇴를 선언하면서 주장 자리를 이어받았으며, 현재까지 대표팀의 주장을 역임하고 있다. [[2023년 중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23년 중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A조|A조]]에서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투르크메니스탄]]을 상대로 멀티골을 터트리면서 [[막심 샤츠키흐]]를 제치며 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 선수가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xjuZMfiFA1Y)] 190cm라는 큰 키에 걸맞지 않는 빠른 스피드를 보유하고 있다. 빠른 스피드를 이용한 침투 후 좋은 골 결정력을 바탕으로 득점하는데 능하다. 킥력이 세서 슈팅이 좋고 활동량도 많아서 수비가담 빈도도 높고 전방 압박을 성실히 수행하여 상대 수비수와 골키퍼의 빌드업을 방해하는 플레이를 능숙하게 해낸다. 볼 터치나 발밑도 준수해서 연계 능력도 준수한 편이다. 윙어나 세컨드 스트라이커도 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큰 키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무대에서는 몸을 등지고 버텨주는 플레이나 볼을 키핑하는 플레이에서 약점을 보였고 이 때문에 상위권 팀과의 경기에서 지워지는 빈도가 높았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칼리아리 칼초)] [[분류:1995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수르한다리야 주 출신 인물]][[분류:우즈베키스탄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FC 부뇨드코르/은퇴, 이적]][[분류:FC 로스토프/은퇴, 이적]][[분류:제노아 CFC/은퇴, 이적]][[분류:스페치아 칼초/은퇴, 이적]][[분류:AS 로마/은퇴, 이적]][[분류:칼리아리 칼초/현역]][[분류:우즈베키스탄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선수]][[분류:우즈베키스탄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5 FIFA U-20 월드컵 뉴질랜드 참가 선수]][[분류: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