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c0000> {{{#e5d85c '''역대 [[에미상|{{{#e5d85c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 || ||<#FFFFFF,#191919><-5> [[파일:emmylogo.png|width=160]] || ||<-5><#0c0000> [[프라임타임 에미상/미니시리즈 부문|{{{#e5d85c '''미니시리즈 부문'''}}}]] || || '''제55회[br]([[2003년]])''' || {{{+1 → }}} || '''제56회[br]([[2004년]])''' || {{{+1 → }}} || '''제57회[br]([[2005년]])''' || || 테이큰 || {{{+1 → }}} || '''엔젤스 인 아메리카''' || {{{+1 → }}} || 더 로스트 프린스 || ||<#0C0000><-5> || ||<-2>
''' {{{#ffffff {{{+2 '''엔젤스 인 아메리카'''}}}[br]{{{+1 Angels In Americ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엔젤스인아메리카포스터.jpg|width=100%]]}}} || || '''{{{#ffffff 장르}}}''' ||[[미국드라마]] || || '''{{{#ffffff 공개일}}}''' ||[[2003년]] (6부작) || || '''{{{#ffffff 채널}}}''' ||[[HBO]] || || '''{{{#ffffff 출연}}}''' ||[[알 파치노]], [[메릴 스트립]], [[엠마 톰슨]], 메리 루이스 파커, 제프리 라이트, 패트릭 윌슨 外 || || '''{{{#ffffff 감독}}}''' ||[[마이크 니콜스]] || || '''{{{#ffffff 각본}}}''' ||토니 쿠슈너 || || '''{{{#ffffff 링크}}}''' ||[[https://www.hbo.com/angels-in-america|공식 홈페이지]] || || '''[[영상물 등급 제도|{{{#fff 시청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9세 이상 시청가}}}]] || || '''{{{#ffffff 국내 스트리밍}}}'''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150_01_0001.1&onair=n&order=old&page=1&programid=|[[파일:wavve 로고.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에이즈]]가 창궐하던 1980년대 미국에서 호모포비아에 시달리던 에이즈 환자들과 그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 == 상세 == <엔젤스 인 아메리카>는 1980년대 보수적인 미국 사회를 배경으로 동성애자, 흑인, 유대인, 몰몬교인, 에이즈 환자 등 사회적 소수자가 겪는 차별과 정체성 혼란을 다루며 천사와 인간, 백인 보수주의 환자와 흑인 간호사, 동성애자와 독실한 종교인 등 각기 다른 신념을 가진 캐릭터들이 서로를 향해 손을 내민다. 당시 2004년 [[골든 글로브]]와 [[에미상]]에서 작품상과 남녀주연상 등을 휩쓸었다. 롱숏과 클로즈업으로 자유롭게 천상과 지상의 공간을 넘나드는 연출 뿐만 아니라 알 파치노, 메릴 스트립, 엠마 톰슨 등 세기의 배우들이 1인 다역을 펼치며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이 시리즈는 1900년대 영미권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를 각색한 작품이며 '현존하는 미국 최고의 극작가'로 불리는 토니 쿠쉬너가 이 작품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1991년 초연 이후 올리비에상, [[토니상]], 드라마데스크상 등을 수상하며 현대 연극사에 한 획을 그었다. 2021년 한국 국립극단에서 역시 이 작품이 제작되었다. 11월 26일에 개막된 이 작품은 파트 투까지 합한 공연 시간이 총 8시간 임에도 불구하고 당일 매진을 기록하며 화제를 낳았다. 배우 정경호는 이 작품으로 연극 무대에 데뷔해 연인에게 버림받고, 에이즈로 고통스러워하는 프라이어 역으로 열연했다. [[http://www.playdb.co.kr/playdb/playdbDetail.asp?sReqPlayno=170018|#]] 2022년 2월,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 파트 투 역시 오픈될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2022년 1월 웨이브([[wavve]])에서 독점 공개되었다. == 마케팅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21I09Mqo6w)]}}}|| || '''메인예고편'''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엔젤스인아메리카포스터.jpg|width=100%]]}}} || || {{{#ffffff '''포스터'''}}} || == 에피소드 == 국내에서는 [[웨이브]] 독점 6부작으로 방영 중이다. [include(틀:스포일러)] ||
'''회차''' || '''줄거리''' || '''링크''' || || {{{-1 {{{#283a44 '''1화'''}}}}}} || {{{#283a44 '''나쁜 소식''' 할머니 장례식장에 참석 중인 루이스에게 동성 연인인 프라이어가 자신이 에이즈에 걸렸음을 알리고, 루이스는 프라이어의 병과 그의 죽음에 대해 걱정하기 시작한다. 모르몬교도인 조와 하퍼 부부는 남녀가 아닌 친구 관계로 결혼 생활을 하고 있고, 하퍼는 그런 결혼 생활에 불만이 크다. 매일 약에 의존해 살고 환영 속에서 상상 속 친구들과 대화하던 하퍼는 어느 날 환영 속에서 만난 프라이어의 계시로 남편 조가 동성애자임을 알게 되고 충격에 빠진다.}}}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150_01_0001.1&onair=n&order=old&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13]]]] || || {{{-1 {{{#283a44 '''2화'''}}}}}} || {{{#283a44 '''몸 밖에서''' 상태가 악화된 프라이어는 병원에 입원하게 되고, 모든 현실이 두려운 루이스는 프라이어를 잠시 떠난다. 한편 조는 결국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인정하지만 하퍼를 떠나지는 못하며, 이런 조를 받아들여야 하는 하퍼는 괴로움에 조에게서 벗어나려고 한다. 일터에서 우연히 재회한 루이스와 조는 서로의 힘든 근황에 대해 얘기를 나누며 한층 가까워지고, 프라이어는 자신을 떠났다 다시 돌아온 루이스를 보고 배신감에 몸부림을 친다.}}}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150_01_0002.1&onair=n&order=old&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13]]]] || || {{{-1 {{{#283a44 '''3화'''}}}}}} || {{{#283a44 '''전달자''' 퇴원한 프라이어에게 같은 가문의 선조들이 나타나 천사가 올 것이라고 알려준다. 하퍼는 감정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추운 남극에 가 있는 환영에 빠지고 그곳에서 가상의 아이를 낳고 잘 살고 싶어 한다. 조는 하퍼가 없어져 불안해하며 워싱턴으로 가는 제안을 거절하려고 로이를 찾아가지만, 로이는 모진 말과 행동으로 조를 다그친다.}}}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150_01_0003.1&onair=n&order=old&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13]]]] || || {{{-1 {{{#283a44 '''4화'''}}}}}} || {{{#283a44 '''움직이지 마라''' 루이스는 조를 자신의 아파트로 데려와 유혹해 잠자리를 가지게 된다. 두 사람의 관계가 지속되면서 루이스는 조가 모르몬교도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프라이어는 천사로부터 예언서를 전달받는 꿈을 꾸고 자신이 예언자라고 믿게 되지만, 벨리즈는 미래의 불안함 때문에 만들어 낸 상상일 뿐이라며 프라이어의 말을 믿지 않는다. 한편, 환각에 빠진 하퍼는 브루클린 인근의 공원에서 배회하던 중 경찰에 의해 발견된다.}}}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150_01_0004.1&onair=n&order=old&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13]]]] || || {{{-1 {{{#283a44 '''5화'''}}}}}} || {{{#283a44 '''넬리를 넘어''' 해나는 아들인 조를 만나러 유타에서 뉴욕으로 와 모르몬교 방문객 센터에서 일하게 된다. 루이스는 프라이어를 찾아가지만, 프라이어는 자신도 마음의 상처를 입었다고 말하는 루이스에게 찾아오지 말라고 차갑게 말한다. 프라이어는 해나를 찾아 모르몬교 방문객 센터로 향하는 조를 미행하고, 방문객 센터에서 해나와 마주치자 열이 오르며 쓰러진다.}}}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150_01_0005.1&onair=n&order=old&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13]]]] || || {{{-1 {{{#283a44 '''6화'''}}}}}} || {{{#283a44 '''천국에 있네''' 해나는 병원에 입원하게 된 프라이어를 하룻밤 돌봐주게 되고, 프라이어는 해나에게 자신이 예언서를 받았다는 사실을 털어놓는다. 두 사람 앞에 천사가 나타나고, 프라이어는 천사에게 예언서를 돌려준다. 루이스는 조의 이중적인 면에 대해 따지면서 그를 구타하지만 이내 곧 후회하고, 하퍼는 조를 떠나 샌프란시스코로 향한다.}}}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150_01_0006.1&onair=n&order=old&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13]]]] || == 등장 인물 == === 주요 인물 === ||
'''{{{+1 로이 콘}}}''' || || {{{#000000 [[알 파치노|'''{{{#000 알 파치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로이콘.jpg|width=100%]]}}} || || ''' 뉴욕시의 변호사 ''' || || {{{#!folding [ 인물 소개 보기 ]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변호사 중 한 명인 뉴욕시 변호사인 Cohn은 자신의 섹슈얼리티와 관련하여 이중생활을 하고 있다. }}} || ||
'''{{{+1 한나 피트}}}''' || || {{{#000000 [[메릴 스트립|'''{{{#000 메릴 스트립}}}''']]}}}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한나피트.jpg|width=100%]]}}} || || '''조의 어머니''' || || {{{#!folding [ 인물 소개 보기 ] }}} || ||
'''{{{+1 천사}}}''' || || {{{#000000 [[엠마 톰슨|'''{{{#000 엠마 톰슨}}}''']]}}}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천사(엔젤스인아메리카).jpg|width=100%]]}}} || || '''프라이어에게 나타난 천사''' || || {{{#!folding [ 인물 소개 보기 ] }}} || === 그 외 인물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angels_in_america, tomato=90, popcorn=95)] [include(틀:평가/IMDb, code=tt0318997, user=8.2)] == 여담 == == 둘러보기 == [include(틀:wavve 해외시리즈)] [각주] [[분류:2003년 드라마]][[분류:미국 드라마]][[분류:HBO]][[분류:미국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