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include(틀:마기스토스 관련 카드군)] ||<:><-6> '''{{{#!html엔디미온}}}''' || ||<-6><#ffffff,#191919><:>{{{#!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ell Power Mastery.png|width=100%]][br] ,,[[엔디미온(유희왕)#마력통할|{{{#ED5B87 마력통할}}}]],,}}}||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191919> '''엔디미온''' || || '''{{{#!html일어판 명칭}}}''' ||<-5><#fff,#191919> '''エンディミオン''' || || '''{{{#!html영어판 명칭}}}''' ||<-5><#fff,#191919> '''Endymion'''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fff,#191919> [[유희왕/속성|다양]] ||<-2>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2> {{{#!folding [ 접기 ] 효과[br][[펜듈럼 소환|펜듈럼]][br][[마력 카운터]]}}}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의 카드군. 카드 시리즈로는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매지션의 패왕]]에서 첫 등장했으며, 10년 후 매지션의 패왕이 스트럭처 덱 R로 리메이크된 [[로드 오브 매지션]]에서 카드군이 됐다. 설정상으로는 마법 길드 중 하나인 동시에 마법도시로, [[위치크래프트(유희왕)|위치크래프트]]와는 엔디미온이 일방적으로 경계하는 관계. == 설명 == === 특징 === [[매직비스트]]에 이어서 나온, [[마력 카운터]]를 사용하는 카드군. 이하 내용은 스트럭처 덱 R [[로드 오브 매지션]] 이후 정립된 덱 스타일에 대해 서술한다.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을 제외한 엔디미온 펜듈럼 몬스터들은 펜듈럼 효과로 마력 카운터를 쌓는 효과와 마력 카운터를 3개 제외하고 몬스터를 전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추가로 하급 몬스터들은 파괴 시 펜듈럼 존으로 가는 효과가 있다. 매직비스트처럼 마력 카운터와 펜듈럼 몬스터의 시너지를 노렸지만, 마법 카드 발동 시에 마력 카운터를 쌓는 효과는 펜듈럼 효과에만 있어 몬스터 상태에서 마력 카운터를 들고 있으려면 엔디미온 펜듈럼 효과나 서번트 오브 엔디미온의 몬스터 효과 등의 효과가 있어야 한다. 상급 엔디미온 펜듈럼 몬스터는 상대를 견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추가로 마력 카운터가 있을 때는 전투로 파괴되면 카드를 서치해 온다. 그러다 보니 일단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을 하면서 엑스트라 덱을 쌓고 패에 몬스터를 모으다가 전개 후반부에 펜듈럼 소환으로 이를 쏟아내는 경우가 많다. 전개 초반에 펜듈럼 소환으로 몬스터를 쏟아내고 이걸로 전개를 하는 [[마술사(유희왕)|마술사]] 같은 덱과는 대조적이다. 매직비스트와의 궁합이 매우 좋다. 창성마도왕은 마함을, 킹자칼은 몬스터를 견제하고 둘 다 마력 카운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둘이 섞어 쓰는 것이 정석이다. 패 상황이 좋으면 창성마도왕 엔디미온과 매직비스트 킹자칼을 대량으로 전개해서 많은 퍼미션을 챙길 수 있다. 엔디미온 덱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펜듈럼 몬스터에 마력 카운터를 쌓는 것이 핵심인데, 이 때문에 패에 마법 카드와 펜듈럼 몬스터가 얼마나 잡혀 있나에 따라서 전개의 결과물이 크게 차이나게 된다. 또한 패에 따라서 세팅의 순서, 마법 카드 발동 타이밍을 컨트롤해야 하고, 정형화된 전개법이 없기 때문에 덱의 숙련도에 따라 성능이 천차만별이다. 카운터는 '''[[명왕결계파]]'''로, 상대 견제를 몬스터에 크게 의존하다 보니 한 장에 필드가 먹통이 된다. 한편 스트럭처 덱 R [[로드 오브 매지션]]에 동봉된 필드에는 위치크래프트와의 조합을 추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좋은 조합은 되지 못한다. [[패 트랩]]을 채용하지 않는데 전개에 있어서 첫 패의 마법 매수가 중요하고 패 트랩이 말림패가 될 수 있기 때문. 덕분에 싼 가격에 덱 구축이 가능하다. 오히려 마력 카운터 표시를 위해 다면체 주사위를 구매하는 데 돈이 더 든다고. === 역사 === 과거에 스트럭처 덱 매지션의 패왕에서 [[신성마도왕 엔디미온]]과 [[마법 도시 엔디미온]]이 발매됐고, [[광속의 스타더스트]]에서 [[크루세이더 오브 엔디미온]]이 발매됐다. 마법 도시 엔디미온의 등장으로 마력 카운터를 활용하는 덱은 상당히 강화됐지만, 이때만 해도 엔디미온 덱 같은 건 없었으며, 마력 카운터를 활용하는 다른 카드들과 함께 덱을 구성하긴 했지만 그리 강력하단 평가는 못 받았다. 스트럭처 덱 R 로드 오브 매지션 발매 초기(2019년 4월 분기 기준)에는 받은 카드의 파워에 비해 티어 덱으로 바로 진출을 못했었는데 이는 [[썬더 드래곤]] 때문이었다. 초뇌룡 한 마리만 떠도 고역인데 7월 금제 이전에는 초뇌룡 2마리는 기본적으로 나오니 덱 파워에 비해 힘을 못 썼던 메타. 7월 금제 이후 꾸준히 셰어가 상승하다가 2019년 10월 금제 이후엔 [[미계역]], [[샐러맨그레이트]] 못지 않은 티어덱이 됐다. 마력 카운터 덱이 10년 넘게 덱 구실조차 제대로 못 했던 암울한 과거를 생각하면 감격스러운 분기. 아예 2019년 11월 후반~12월 초반엔 레시피 지분율 1위를 차지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2020년 1월 OCG 금제로 아무 제재가 없어 [[https://bbs.ruliweb.com/hobby/board/300546/read/2591174|더욱 강세를 보였다.]]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드라군 비트]]가 판을 친 와중에 기존 티어덱 중에선 선전한 것. 다만 2020년 4월 신 마스터 룰 2에서 융합, 싱크로, 엑시즈 몬스터'''만''' 엑스트라 몬스터 존 / 링크 마커 대신 메인 몬스터 존에 놓을 수 있게 바뀌면서 간접 하향[* 물론 [[오드아이즈 보텍스 드래곤]]을 링크 마커 앞에 새울 필요는 없어졌으나 다른 카드군은 링크 마커 의존도가 줄었기에 혼자만 링크 마커 부담을 떠안고 있으니 간접 하향이 맞다.], 여기에 빌드 구축이 몬스터만으로 이뤄진다는 특징 때문에 [[명왕결계파]] 한 대에 다 털리는 일이 비일비재해 [[https://gachi-matome.com/trend-yugioh/|입상 비율이 크게 줄었다.]] 2021년 6월 기준 입상 비율이 크게 늘어났는데 작년에 비해 타 덱들의 명왕결계파의 투입률이 대폭 줄어든 데다가, 운영형 덱들이 메타가 되었기 때문. 2021년 10월 기준 다시 입상 비율이 쪼그라들었다. 일적 메타에다 사이드에 마봉향, 칙명이 많이 보이고 그 외에도 용사, 피닉스를 쓰는 덱에 비해 메리트가 적기 때문. 그나마 마기스토스의 미발매 카드 중 엔디미온의 강화형이 나오지 않아서 간접 혹은 직접 지원을 기대해 볼 수는 있겠다. === 장점 === * '''매우 높은 고점''' 엔디미온의 전개 결과물에는 마법/함정 퍼미션 효과를 가진 창성마도왕 엔디미온과 몬스터 효과 퍼미션 효과를 가진 매직비스트 킹자칼이 있는데, 이 카드들에는 카드명 제약이 없고 전개가 잘 풀리면 여러 장씩 꺼내놓을 수 있다. 게다가 추가 퍼미션을 제공하는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까지 합하면 6퍼미션 이상을 세울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마법족의 마을]] 또는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와 같은 필드 마법, 혹은 [[아모르파지]] 펜듈럼 몬스터까지 동원하여 추가 견제 수단도 챙길 수 있어 고점에 도달한 엔디미온의 필드는 한정된 수단을 제외하면 뚫기가 불가능에 가깝다. * '''준수한 후공 돌파력'''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의 대량 카드 파괴, 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의 바운스, 매직비스트 마스터케로베로스의 몬스터 제외 등 제거 효과가 많아 후공 돌파도 잘 하는 편이다. 펜듈럼 테마라서 [[비욘드 더 펜듈럼]]의 파괴 효과도 덤. 거기다가 공격력이 높은 상급 몬스터를 많이 늘어놓을 수 있고, 마스터케로베로스는 효과를 발동하면 공격력을 올리기에 전투 능력과 피니시 능력도 뛰어나다. * '''높은 전개 안정성''' 전개 도중에 자연스럽게 퍼미션 몬스터인 매직비스트 킹자칼이나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을 꺼내 두고 전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의 패 트랩 등의 견제를 무시하면서 전개할 수 있다. 심지어는 후공에 [[증식의 G]]를 맞아도 퍼미션을 여럿 세워 두고 상대가 드로우하는 것을 무시한 채 상대 필드를 전부 돌파하고 승리를 따내기도 한다. 그리고 묘지를 거의 안쓰기 때문에 각종 묘지견제 카드에 당하지 않는다. * '''여유로운 엑스트라 덱 공간''' 메인 덱 위주로 덱이 굴러가다 보니 엑스트라 덱 몬스터 의존도가 낮으며, 전개에 도움이 되는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 신성마황후 셀레네, 비욘드 더 펜듈럼 등을 빼면 뭘 넣든 간에 상관없기 때문에 엑스트라 덱의 자유도가 매우 높다. === 단점 === * '''뒤가 없음''' 전개 한번에 패를 전부 끌어써야 하다 보니 후속이 굉장히 부족하다. 기껏해야 창성마도왕 엔디미온과 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의 유언 효과 정도인데, 전투 파괴라서 효과를 보기 쉽지 않다. * '''빈약한 후열''' 엔디미온의 선턴 빌드는 필드의 몬스터들에 비중이 매우 많이 쏠려 있다. 후열로는 필드 마법과 매직비스트 가루다 정도지만, 이들은 항상 준비할 수 없다. 때문에 [[명왕결계파]] 같은 카드에 빌드가 간단히 뚫린다. * '''패 말림 문제''' 펜듈럼 테마 특유의 단점인데, 엔디미온은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쌓아야 하는 특성상 마력 카운터를 제대로 못 쌓으면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경우에 따라서 전개 초반에 날아오는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가 치명적인 경우도 있다. * '''드로우 카드로 인한 운빨 문제''' 엔디미온 덱은 드로우 카드로 마력 카운터를 쌓고 패를 벌어주는 카드를 뽑는 식으로 전개를 하는데, 이 때 이미 효과를 발동해서 발동 제약이 걸린 카드가 들어오는 등의 상황의 경우 전개가 끊길 위험이 크다. 패 트랩을 하나도 넣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도 다 이런 이유 때문. * '''메인 덱 스페이스가 빡빡함''' 메인 덱에 매직비스트, 엔디미온 카드들을 넣고 부스팅 카드까지 넣으면 덱이 30장은 넘어간다. 그 만큼 범용 카드를 채워넣기 힘들다. 엑스트라 덱과 정 반대인 상황. * '''난이도''' 전개 도중에 마력 카운터를 쌓는 순서를 고려하며 어떻게 움직여야 할지, 거기다가 뭐가 나올지 모르는 드로우 카드들을 많이 사용해서 어떤 카드가 나오는지에 따라 처음 생각했던 전개 방향과 다른 과정으로 흘러가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즉 전개 덱임에도 정해진 전개 루트라는 게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후공이면 여기에 퍼미션 유도를 어떻게 할지, 상대를 어떻게 돌파할지가 추가된다. 그나마 전개에 익숙해지면 [[마술사(유희왕)|마술사]]보다는 쉽다고 평가된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시크릿 팩 '''지식을 통괄하는 마도왕'''에서 같이 쓰이는 [[매직비스트]]와 함께 관련 카드들을 획득할 수 있다. 소환 연출이 존재하는 카드는 당연히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덱 구축에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는데, 메인 덱의 UR, SR 비중이 매우 높고, 범용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도 대부분 UR라서 굉장히 비싸기 때문. 심지어 메인 덱 레시피에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나 [[증식의 G]] 같은 범용 패 트랩 카드들은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 [[갑부 고블린]]이나 [[치킨게임(유희왕)|치킨게임]]같이[* 특히 이 두 카드는 마스터 팩 전용 UR라서 체감 가격을 크게 올리는 데 일조하고 있다.] 다른 티어 덱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카드들은 들어간다는 점이 체감 가격을 높인다. 시스템의 차이 때문에 여러모로 오프라인과는 정 반대의 상황이 되었다. 한편 이벤트 듀얼에서는 숨겨진 강덱 취급을 받고 있다. 링크 몬스터가 없어서 펜듈럼 소환에 제약이 걸리기는 하지만, 메인 덱만으로도 강력한 빌드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 그래서인지 엑스트라 덱 금지 페스티벌에서 서번트 오브 엔디미온이 제한을 먹었다. 싱크로x엑시즈 페스티벌에서는 마력통할만 제한이라서 굴린다면 굴릴 수 있다. 이후 [[루닉]]이 실장되면서 티어가 올랐다. 순식간에 메타를 지배한 루닉을 여러 방면에서 카운터칠 수 있기 때문. 일단 루닉의 속공 마법이 엔디미온의 마력 카운터를 쌓아주고, 루닉은 대상 지정 내성에 취약한데,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이 마력 카운터가 있으면 대상 지정 내성이 생기기에 매우 까다로워진다. 창성마도왕에게는 마함 퍼미션도 있는데다 펜듈럼 효과를 쓰면 루닉의 샘과 어군센스 등의 함정 카드들도 파괴할 수 있다. 후긴으로 막으려 해도 비대상 파괴이기 때문에 후긴을 포함해서 다 파괴해버리면 그만이다. 무엇보다 [[마법족의 마을]]을 채용하고, 부스팅 수단이 많아 패에 잡기 용이하기 때문에 쉽게 루닉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2023년 1월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이 제한이 되었지만, 애초에 의존도가 낮아 1장만 썼던지라 피해는 없다. == 효과 몬스터 (非 펜듈럼) == === 레벨 3 === ==== 로그 오브 엔디미온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9년)] [[파일:ローグ・オブ・エンディミオ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로그 오브 엔디미온, 일어판명칭=ローグ・オブ・エンディミオン, 영어판명칭=Rogue of Endymion, 속성=화염, 레벨=3, 공격력=1500, 수비력=2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2=②: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패에서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지속 마법 카드 1장을 골라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다. 이 턴에\, 자신은 이 효과로 세트한 카드 및 그와 같은 이름의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소환에 성공하면 즉시 마력 카운터를 쌓고, 바로 ②의 효과와 연계해 지속 마법 카드를 간접 서치할 수 있다. 문제는 가져와서 세트한 턴엔 발동을 못 해서 1턴 쉬어야 한다는 점. 상대에게 요격당할 수 있단 것이다. 주로 마력 카운터 운용의 핵심인 매직 라보를 우선으로 가져올 것이다. ||수록 시리즈 || ||<(> 2019-09-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14-KRB11 | '''[[프리미엄 팩/한국판#s-16|프리미엄 팩 Vol.14 2nd 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9-03-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VJMP-JP160 | '''[[V점프]] 2019년 5월호 부록 카드'''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9-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IRA-EN099 | '''[[라이징 램페이지|Rising Rampa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8-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20-EN146 | '''2020 Tin of Lost Memori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4 === ==== [[크루세이더 오브 엔디미온]] ==== ==== [[마기스토스#마기스토스 마스터 엔디미온|마기스토스 마스터 엔디미온]] ==== === 레벨 7 === ====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 == 효과 몬스터 (펜듈럼) ==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을 제외한 펜듈럼 몬스터들은 펜듈럼 효과로 마법 카드가 발동할 때마다 마력 카운터를 하나씩 올리는 효과와,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펜듈럼 존의 이 몬스터와 다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들 몬스터는 1턴에 1번만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에 펜듈럼 효과를 발동했다면 더 이상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고, 펜듈럼 소환 등으로 이미 특수 소환을 하면 펜듈럼 효과 발동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펜듈럼 소환 등으로 한 번에 여러 장을 꺼내는 것은 상관없다. 대신 펜듈럼 효과에는 턴 제약이 없어서 효과가 막혀도 마력 카운터를 모아 다시 발동하는 게 가능하다. 몬스터 효과러로는 하급 펜듈럼 몬스터는 상대 턴에 1번 발동할 수 있는 효과와 파괴되면 펜듈럼 존에 놓고 쌓여 있던 마력 카운터를 그대로 옮기는 효과가, 최상급 펜듈럼 몬스터는 마력 카운터가 올려진 카드를 패로 되돌리고 발동하는 효과와, 마력 카운터가 놓여 있을 때 파괴되면 조건에 맞는 카드를 덱에서 서치하는 효과가 있다. === 레벨 3 === ==== 마기스테르 오브 엔디미온 ==== [[파일:マギステル・オブ・エンディミオ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펜듈럼=, 한글판명칭=마기스테르 오브 엔디미온, 일어판명칭=マギステル・オブ・エンディミオン, 영어판명칭=Magister of Endymion, 속성=땅, 레벨=3, 공격력=1500, 수비력=900, 종족=마법사족, P스케일=8, P효과1=①: 자신 또는 상대가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 P효과2=②: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의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몬스터 1장과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그 2장에 마력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효과외1=자신은 "마기스테르 오브 엔디미온"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2=②: 상대 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그 후\, 이 카드에 놓여 있던 수만큼 마력 카운터를 이 카드에 놓는다.)] 고유 펜듈럼 효과는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 서번트 오브 엔디미온에 비해 사전 작업이 좀 필요하지만, 그리 어려운 조건은 아니니 유용하다. 고유 몬스터 효과는 공격 선언시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 효과와, 상대 턴에 마력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덱에서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특히 ②의 효과로 퍼미션 효과를 가진 [[창성마도왕 엔디미온]]과 [[매직비스트#매직비스트 킹자칼|매직비스트 킹자칼]]을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을 특수 소환해 상대 필드의 카드를 프리 체인으로 날려버릴 수 있다. 카드명 제약이 없기에 마력 카운터가 충분하다면 또 다른 마기스테르 오브 엔디미온을 특수 소환해서 필드를 불릴 수도 있다. 그러다 보니 서번트가 손에 잡히지 않았고 증식의 G를 맞을 경우 대응책으로 이 녀석을 몬스터 존에 놓는 것이 관건이 된다. ||수록 시리즈 || ||<(> 2019-06-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08-KR003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스트럭처 덱 R]] - [[매지션의 패왕#s-2|로드 오브 매지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9-03-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08-JP003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STRUCTURE DECK R]] - [[매지션의 패왕#s-2|ロード・オブ・マジシャン]]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9-04-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08-EN003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매지션의 패왕#s-2|Order of the Spellcas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서번트 오브 엔디미온 ==== [[파일:サーヴァント・オブ・エンディミオ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펜듈럼=, 한글판명칭=서번트 오브 엔디미온, 일어판명칭=サーヴァント・オブ・エンディミオン, 영어판명칭=Servant of Endymion,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900, 수비력=1500, 종족=마법사족, P스케일=2, P효과1=①: 자신 또는 상대가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 P효과2=②: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의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공격력 1000 이상의 몬스터 1장과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그 2장에 마력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효과외1=자신은 "서번트 오브 엔디미온"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마력 카운터가 놓여 있는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 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및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카드 전부에 마력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효과3=③: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그 후\, 이 카드에 놓여 있던 수만큼 마력 카운터를 이 카드에 놓는다.)] 고유 펜듈럼 효과는 덱 특수 소환. 다른 엔디미온 펜듈럼 몬스터와는 달리 공격력 1000 이상이라는 제한이 걸려 있는데, [[왕립 마법도서관]]의 연계를 경계한 듯. 그 외에는 본인과 [[매직비스트#매직비스트 자칼|매직비스트 자칼]], [[메기스트리의 의술사]], [[매지컬 피시어리스트]], [[숙련된 율마도사]]가 효과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그래도 웬만한 몬스터는 전부 불러올 수 있어 사용에 지장은 없으며, 이런 강력한 덱 특소 효과 때문에 이 카드가 처음 패에 잡히는가에 따라 초동 난이도가 크게 오간다. 고유 몬스터 효과는 직접 공격 능력과 상대 턴에 패 1장을 버리고 마력 카운터를 놓는 효과. 다만 엔디미온 덱의 특성상 전개하고 나면 패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효과를 보기는 어렵다. 헤어 스타일과 머리색이 [[위치크래프트(유희왕)|위치크래프트 제니]]와 닮았는데, 마스터 가이드에 따르면 사실은 제니가 무장한 모습이다. 때때로 마법 도시 엔디미온에서 이주해 위치크래프트 길드에서 일한다고. 또한 이 카드와 종족 / 속성이 같고, 공격력 / 수비력 / 레벨은 제니의 3배다. TCG에선 2020년 1월 20일에 제한 카드가 됐다가, 2023년 2월 14일 무제한으로 풀렸다. ||수록 시리즈 || ||<(> 2019-06-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08-KR004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스트럭처 덱 R]] - [[매지션의 패왕#s-2|로드 오브 매지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1-06-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E16-KR007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s-17.1|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21 Vol.1 Version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1-06-0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E16-KR007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s-17.2|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21 Vol.1 Version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3-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08-JP004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STRUCTURE DECK R]] - [[매지션의 패왕#s-2|ロード・オブ・マジシャン]]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9-04-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08-EN004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매지션의 패왕#s-2|Order of the Spellcas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12-0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12-EN008 | '''OTS Tournament Pack 1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7 === ====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 ==== 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 ==== [[파일:エンプレス・オブ・エンディミオ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펜듈럼=, 한글판명칭=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 일어판명칭=エンプレス・オブ・エンディミオン, 영어판명칭=Reflection of Endymion, 속성=빛, 레벨=7, 공격력=1850, 수비력=2700, 종족=마법사족, P스케일=2, P효과1=①: 자신 또는 상대가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 P효과2=②: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의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몬스터 1장과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그 2장에 마력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효과외1=자신은 "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필드의 다른 마력 카운터가 놓여 있는 카드 1장과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및 상대의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그 후\, 자신 필드에서 패로 되돌린 카드에 놓여 있던 수만큼 마력 카운터를 이 카드에 놓는다., 효과2=②: 마력 카운터가 놓여진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엔디미온"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고유 펜듈럼 효과는 패 특수 소환. 나쁘지 않지만 초반 전개용으로 부적합하고, 엔디미온 덱이 패 수급을 잘 하는 덱은 아니라서 다른 몬스터들에 비해 우선 순위가 떨어진다. 고유 몬스터 효과는 바운스와 카드 서치. ①의 효과의 바운스는 특수 소환의 조건을 안 따지고 발동하니 마기스테르, 서번트, 엔디미온 라보 등으로도 발동 가능하다. 마기스테르나 신성마황후 셀레네로 상대 턴에 특소하여 강탈장 느낌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무대 회전으로 상대한테 주었던 필드 마법 회수도 가능하니 유능한 효과. 얼핏보면 자신의 카드 또한 패로 되돌려야 해서 디메리트로 보일 수 있지만, 펜듈럼 몬스터 및 지속 마법 카드를 되돌리는 것으로 마법을 한번 더 발동할 수 있어서 오히려 메리트로 작용한다. 특히 서치 효과에 턴 제약이 안 달린 [[매직비스트#매직 라보|매직 라보]]와의 궁합이 매우 좋다. 다만 그 효과를 발동하려 할 때 자신의 마력 카운터 유무를 사전에 파악해서 엉뚱한 카드를 돌려보내는 일이 없도록 하자... 펜듈럼 소환 등으로 이 카드를 동시에 2장 이상 소환했을 경우 ①의 효과로 자신 카드를 지정할 때 모두 같은 카드를 지정해도 상대 카드 바운스는 정상적으로 처리된다. 즉 자신은 카드를 1장만 되돌리고 상대 카드를 2장 이상 패로 되돌릴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마력 카운터가 있는 상태에서 전투 파괴되면 엔디미온 카드를 서치하는 효과. 전투 파괴라서 효과를 쓸 일이 많지 않지만, 창성마도왕 엔디미온과 달리 몬스타 효과로도 마력 카운터를 쌓을 수 있어 사용할 기회가 더 많다. [[페어리테일(유희왕)|페어리테일-카구야]]로 서치할 수 있어서, 상황이 좋으면 단숨에 마법사족을 3장이나 전개할 수 있다. 마스터 가이드 설정에 따르면 [[신성마황후 셀레네]]가 무장한 모습이며, 창성마도왕 엔디미온과 필적하는 수준의 마력을 다룬다고 한다. 그 미소는 엔디미온에게밖에 보여주지 않는다고. ||수록 시리즈 || ||<(> 2019-06-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08-KR002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스트럭처 덱 R]] - [[매지션의 패왕#s-2|로드 오브 매지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3-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08-JP002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STRUCTURE DECK R]] - [[매지션의 패왕#s-2|ロード・オブ・マジシャン]]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4-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08-EN002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매지션의 패왕#s-2|Order of the Spellcas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마법 카드 == === [[마법 도시 엔디미온]] === 마력 카운터의 핵심 카드. === 엔디미온 라보 === [[파일:魔法都市の実験施設.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엔디미온 라보, 일어판명칭=魔法都市の実験施設(エンディミオン・ラボ), 영어판명칭=Endymion's Lab,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카드명을 "마법 도시 엔디미온"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자신 또는 상대가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3=③: 1턴에 1번\, 자신의 마법사족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된 데미지 계산 후에\,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6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레벨 7 이상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마법도시의 실험시설'이라고 쓰고 '엔디미온 라보'라고 읽는다.]] ①의 효과는 마법 & 함정 존의 이 카드의 카드명을 [[마법 도시 엔디미온]]으로 취급하는 효과. 텍스트로 마법 도시 엔디미온을 확실하게 지정하는 카드는 아직까진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뿐이다. ②의 효과는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놓는 일반적인 효과. ③의 효과는 신성마도왕의 효과를 변형한 것으로, 마법사족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면 데미지 계산 후에 패 / 덱에서 레벨 7 이상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로드 오브 매지션에 신규 추가된 카드들의 성능이 고평가받는 와중에 이 카드 혼자 평가가 애매하다. 배틀 페이즈 중에만 효과 발동이 가능한 데다, 전투 파괴에만 대응하고 소환할 수 있는 마법사족 몬스터가 레벨 7 이상으로 제한되기 때문. 거기에 엔디미온 덱에서 쓰자니 [[매지컬 어브덕터]]나 [[매직비스트#매직 라보|매직 라보]]같이 서치 범위가 더 넓은 카드들한테 밀린다. 일러스트는 실험시설 안에 있는 화기애애한 분위기의 [[매직 템피스터]], [[매직캣]], 그리고 [[매직캣|매지도그]]를 묘사한다. 밖에서 [[흑마력의 정제자]]가 그 상황을 지켜보고 있는데, 이후 [[폭주하는 마력]]-[[마력유폭]]으로 이어지는 모양. ||수록 시리즈 || ||<(> 2019-06-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08-KR023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스트럭처 덱 R]] - [[매지션의 패왕#s-2|로드 오브 매지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9-03-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08-JP023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STRUCTURE DECK R]] - [[매지션의 패왕#s-2|ロード・オブ・マジシャン]]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9-04-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08-EN023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매지션의 패왕#s-2|Order of the Spellcas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서포트 링크 몬스터 == === 링크 3 === ==== [[신성마황후 셀레네]] ==== == 서포트 마법 카드 == === 마력통할 === [[파일:魔力統轄.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마력통할, 일어판명칭=魔力統轄(まりょくとうかつ), 영어판명칭=Spell Power Mastery,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엔디미온"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그 후\,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카드에\, 자신의 필드 / 묘지의 "마력통할" "마력장악"의 수까지 가능한 한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다.)] 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과 함께 최초로 엔디미온을 카드군으로 묶은 카드. 카드 종류를 안 따지고 엔디미온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강력한 효과가 있다. 부가 효과로 필드나 묘지의 마력통할, 마력장악의 수만큼 마력 카운터를 놓는 효과가 있으며, 효과 처리 시 아직 필드에 남아있는 이 카드도 세기에 무조건 마력 카운터를 1개 이상 놓을 수 있다. 일러스트에 나온 건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어째서인지 창성마도왕 일러스트에서의 지팡이보다 마력 카운터 갯수가 하나 많다. ||수록 시리즈 || ||<(> 2019-06-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08-KR022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스트럭처 덱 R]] - [[매지션의 패왕#s-2|로드 오브 매지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3-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08-JP022 | '''[[스트럭처 덱(유희왕)#s-3.3|STRUCTURE DECK R]] - [[매지션의 패왕#s-2|ロード・オブ・マジシャン]]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4-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08-EN022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매지션의 패왕#s-2|Order of the Spellcas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참고 카드 == * '''[[매직비스트]]''' 매직 라보로 서번트 서치, 매직비스트 킹자칼, 마스터케로베로스로 몬스터 견제와 마력 카운터 대량 생산. 설정상으로나 구조적으로나 같이 쓰이라고 만들어졌다. 필수나 다름없는 게, 사용하지 않을 경우 파워가 심하게 떨어진다. *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 [[비욘드 더 펜듈럼]] 펜듈럼 덱의 필수 링크 몬스터들. 비욘드 더 펜듈럼의 경우 효과 무효화로 인해 자신 펜듈럼 존의 마력 카운터를 전부 없에 버리기에 발동 전에 마력 카운터를 확인해야 한다. *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역시 펜듈럼 덱의 필수 카드. 엘렉트럼과의 연계가 아니라도 매직비스트의 펜듈럼 효과로 소환 조건을 맞출 수 있다. 레벨도 7이라서 최상급 엔디미온 몬스터랑 엑시즈 소환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가 아니면 말림패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 *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 어둠 속성 펜듈럼 덱이라서 사용할 수 있다. * [[켄도 스피릿 KAI-DEN]], [[가라데 스피릿 KURO-OBI]], [[큐도 스피릿 HAN-SHI]] 펜듈럼 소환하면 패로 돌아가므로 또 세팅하면 마력 카운터가 충전되기 때문에 자주 쓰인다. 매직비스트의 펜듈럼 효과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도 장점. 스케일 9라 마스터케로베로스도 펜듈럼 소환할 수 있다. 메인 덱 몬스터 효과는 쓸 일이 없다시피해서 아무거나 써도 된다. * [[매지션즈 소울즈]] 덱에 있는 엔디미온 몬스터를 묘지로 덤핑하는 것은 물론 패에 잡힌 턴 제약 마법 카드를 드로우로 바꿔주는 등[* 또한 [[치킨게임(유희왕)|치킨게임]]의 효과를 발동한 후 그것을 묘지로 보내도 된다.] 알짜배기 능력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본인이 마법사족이기 때문에 셀레네를 링크 소환하기 위한 소재로 삼을 수 있으며, 그 몬스터로 덤핑한 몬스터를 필드에 불러올 수 있는 콤보까지 존재한다. 단 펜듈럼 존에 놓인 펜듈럼 카드는 묘지로 가지 않기 때문에 드로우를 대신할 수 없으니 주의. 턴제 효과라서 첫 패에 2장 이상 잡히거나, 카드 효과로 드로우했을 때 2장째의 이 카드가 나오면 펜듈럼 소환으로 필드에 낼 수 없어 완벽한 말림패가 된다는 점이 단점이다. * [[아모르파지|아모르파지 노테스]] 엑스트라 덱 소환을 막는 펜듈럼 몬스터. 엔디미온은 엑스트라 덱의 비중이 그리 높지 않아 잘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패에 잡히면 펜듈럼 소환하지 못할 경우 완벽한 말림패로 작용하기에 호불호가 갈리며, 주로 사이드 덱에 채용한다. *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 [[오드아이즈 보텍스 드래곤]],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오버로드]] 임프레스+창성마도왕 or 창성마도왕+아스트로그래프로 앱솔루트 드래곤을 뽑고, 링크 소재로 보내면 보텍스, 패왕흑룡이 나온다. 보텍스는 바운스 + 퍼미션 효과를 가지고 있고, 패왕흑룡+오버로드는 3000의 공격력으로 3번 공격이 가능하다. 묘지로 떨어진 엔디미온은 [[신성마황후 셀레네]]로 업어오면 된다. 이어서 이 둘로 액세스코드 토커까지 부르면 거의 킬각이다. 마스터 룰 2020 개정판으로 넘어가며 마커 앞에 뽑을 필요도 없어졌으니 소소한 상향. *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 위의 니르바나와 마찬가지로 전투 관련으로 상당히 도움이 된다. 엔디미온은 펜듈럼 테마라서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되는 일이 많아 소재를 충당하기 매우 쉽고, 아스트람의 약간 어설픈 내성은 엔디미온의 특기인 퍼미션으로 원천 차단시켜주는 상호 호환 관계에 있다. * [[마기스토스]] 엑스트라 덱 몬스터 마기스토스 마스터 엔디미온 채용 시 같이 사용하는 카드. 마기스토스 마스터 엔디미온에 [[마기스토스#마기스토스 메이든 아르테미스|마기스토스 메이든 아르테미스]]를 장착하면 2번째 마스터 엔디미온을 서치하고 펜듈럼 소환으로 꺼낸 후 4랭크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혹은 [[마기스토스#마기스토스 가디스 닌아루루|마기스토스 가디스 닌아루루]], [[마기스토스#마기스토스 위치 산드리용|마기스토스 위치 산드리용]]을 장착하면 각각 마함 파괴, 몬스터 효과 무효가 가능하다. * [[인스턴트 퓨전]] 마법사족 융합 몬스터를 소환하고 묘지로 보낸 후, 신성마황후 셀레네로 부활시키면 필드에 영구적으로 남길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몬스터는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단, 펜듈럼 테마+지속 마법 의존도에 의해 마/함 존에 빈칸이 없어지는 타이밍이 있으므로 주의.], [[엘섀도르 미도라시]]. 혹은 [[파티시엘 쿠베르]]를 소환해 링크 소재로 쓰기도 한다. * [[무덤의 지명자]], [[삼전의 재]], [[금지령(유희왕)|금지령]], [[발금령]] 전부 마법 카드. 엔디미온은 마력 카운터 충전을 위해 P몬스터 외에 패 트랩을 잘 채용하지 않기 때문에 지명자는 필수고, [[명왕결계파]]에 당하면 마/함 견제수단이 하나도 없어 그대로 무너지므로 말명자를 통해 대비하는 것도 좋다. 상대가 패 트랩을 던진 후 사용할 수 있는 삼전의 재도 자주 채용한다. 다만 지명자 시리즈는 상대가 반응을 해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선공 시 말림패가 될 가능성이 있는데, 대응책으로 금지령이나 발금령을 사용해 패 트랩 몬스터(특히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를 선언하면 무효화당할 걱정 없이 마력 카운터를 쌓으면서 전개할 수 있다. 발금령 같은 경우는 선언한 카드를 자신이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디메리트를 걸지만, 애초에 패 트랩을 거의 안 쓰는 엔디미온 덱 입장에서는 체감이 적다. * [[테라포밍]], [[무대회전]], [[룡검사 마제스티P]] - [[치킨게임(유희왕)|치킨게임]], [[마법족의 마을]] 엔디미온 덱의 전개는 서번트에서 시작하고, 그 서번트에 필요한 마력 카운터를 대출하는 마법 도시 엔디미온을 서치하는 데 사용한다. 무대회전을 쓰는 경우 패가 말렸을 때 버틸 수 있고 상대에게 줘 버려도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으로 치울 수 있는 마종동, 부스팅을 위한 치킨게임, 엔디미온 날빌 종착점 마법족의 마을을 집어넣는다. 마법족의 마을이 [[명왕결계파]]로 인한 필드 붕괴를 막는 건 덤. 룡검사 마제스티P는 펜듈럼 소환을 하면 필드 마법을 서치하기에 엘렉트럼으로 엑스트라 덱으로 넣고 펜듈럼 소환하는 경우가 많다. * [[갑부 고블린]], [[무의 연옥]],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부스팅 카드들. 패를 교환하면서 동시에 마력 카운터를 쌓는다. 물론 패가 답이 없는 정도가 아닌 이상 마력 카운터를 쌓을 몬스터를 먼저 필드에 놓고 사용해야 한다. 무의 연옥의 경우 어차피 패 트랩을 안 쓰고 전개에 패를 있는 만큼 써야 하는 덱의 특성상 디메리트가 무용지물이 되기에 사용하기도 한다. * [[매지컬 어브덕터]] 펜듈럼 효과가 하급 엔디미온 몬스터와 비슷하게 마력 카운터를 쌓고 3개를 제거해 발동하는 효과로, 아무 펜듈럼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어서 덱에서 엔디미온 몬스터들이나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을 서치할 수 있다. 다만 스케일이 3이라서 하급 엔디미온 몬스터들의 펜듈럼 소환을 못 하고, 펜듈럼 존에 있을 때 자체적으로 나올 수 없어서 매직비스트와 같이 쓰면 꼬일 위험이 있다. * [[아마노이와토(유희왕)|아마노이와토]], [[명왕결계파]] 후공일 때 상대 필드의 몬스터들의 효과를 원천 차단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전개를 하거나,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효과로 상대 필드를 청소해서 역으로 기점을 굳힐 수 있다. 아마노이와토는 자신도 일부 몬스터의 효과 발동이 막히지만 마력 카운터를 쌓는 효과는 발동이 아니라 막히지 않고, 상대 패/묘지의 몬스터 효과도 차단할 수 있다. 필요없어지면 링크 소재로 써 버리거나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의 펜듈럼 효과로 같이 파괴하면 그만이다. 명왕결계파의 경우 자신도 효과 발동이 가능하지만, 상대 필드 외 몬스터의 효과는 막지 못한다. 그리고 상술했듯이 말살의 지명자용으로 넣기도 한다. 주로 사이드 덱에 채용하고 후공일 때 교체한다. * [[서몬 리미터]] 사이드 덱에 간혹 보이는 카드. 엔디미온이 서몬 리미터를 발동하는 타이밍이면 선공에 전개를 하고 다음 턴이 된 상황일 텐데, 웬만하면 엑스트라 덱에 몬스터가 쌓여 있을 테니 펜듈럼 소환으로 상급, 최상급 몬스터를 한 번에 여럿 꺼낼 수 있어 영향을 덜 받는다. * [[도레미코드#그랜도레미코드 쿨리아|그랜도레미코드 쿨리아]] 링크 마커가 펜듈럼 소환에 도움이 되는 하단 3링크고, 링크 마커 앞에 있는 펜듈럼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무효로 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 메인 덱 펜듈럼 몬스터로 퍼미션, 돌파를 하는 엔디미온 입장에서 유용하다. * [[셀레마테크 클라티스]] 마법사족 몬스터면서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유일한 엑시즈 몬스터이다. 다만 마력 카운터를 오로지 상대에게 의존해야 하는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일단 효과 발동은 마법 도시 엔디미온으로 대신할 수 있으며, 타점도 준수하게 3000이고 [[엔디미온]]의 단점인 패말림 문제와 드로우 카드로 인한 운빨도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다. * [[반역의 죄보-스네이크아이]] 필드 위의 몬스터 한 장을 지속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마함존에 앞면으로 놓는다. 대상 내성/효과 내성 몬스터를 제외한 모든 몬스터를 카운터치며 상대 마함존을 봉쇄할 수 있고, 동시에 마력 카운터를 쌓을 수 있다. == 관련 문서 == *[[마도(유희왕)]] *[[마력(유희왕)]] *[[마력 카운터]] *[[유희왕/카드군 일람]]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