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XyzReversal-JOTL-JP-C.png]] || 한글판 명칭 ||||||||'''엑시즈 리버설'''|| || 일어판 명칭 ||||||||'''エクシーズ・リバーサル'''|| || 영어판 명칭 ||||||||'''Xyz Reversal'''|| |||||||||| 일반 함정 || ||||||||||상대 필드 위 엑시즈 몬스터 1장과 자신 필드 위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의 컨트롤을 맞바꾼다.|| [[강제전이]] 계통의 몬스터 맞교환 카드. 그러나 엑시즈 몬스터들만 지정 가능하다는 까다로운 조건이 붙어있다. 엑시즈 몬스터들은 랭크 1~2나 8 이상들을 제외하면 전투력 자체는 큰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전투의 우위를 위해 이 카드를 쓸 일은 많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애초에 이런 효과라면 강제전이의 거의 하위 호환이다. 상대의 몬스터를 자신이 선택한다고는 하는데, 그런 게 가능한 것은 상대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2마리 이상이 있을 때뿐이라 큰 의미가 없다. 오히려 내 엑시즈 몬스터를 헌납해야 하기 때문에 약체 몬스터를 보내서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는 강제전이에 비해 어드밴티지를 얻기가 힘들다. 그나마 이 카드가 강제전이보다 나은 점이라고는 [[엑시즈(유희왕)|엑시즈 카드군]]에 속하기 때문에 [[제너레이션 포스]]로 서치가 가능하다는 점이 있는데, 과연 이 장점이 안 그래도 항상 발동이 가능한 게 아닌 강제전이보다도 발동하기 힘든 이 카드를 더 우선해서 집어넣는 위험성을 커버해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생각해보는 것이 좋다. 일러스트에선 [[젬나이트 펄]]과 [[바이론 디시그마]]가 신나게 쌈박질을 하고 있다. 그리고 바이론 디시그마의 등에는 [[라바르#s-2.2.1.2|여러]] [[리추어#s-2.3.1|수상한]] [[가스타#s-2.1.10|것들]]이 달려있고 하반신은 [[이비리추어 거스트크라케|이상한 두족류]]로 이뤄져 있는데 저것들의 정체는 바이론 디시그마가 흡수한 몬스터들이다. 저 [[귀신의 연격|결투의 결과는]] ~~바이론 디시그마가 저렇게 떡칠을 하고도~~ 젬나이트 펄의 승리로 끝났고 바이론은 기능정지. 잠깐이나마 듀얼 터미널 세계엔 평화가 찾아오게 된다. [[맹독의 바람|그리고 얼마 후]] [[벨즈|더 끔찍한 일들]]이 찾아오지만 말이다. 일러스트의 내용대로 바이론 디시그마가 라바르바르 드라군, 이비리추어 메로우가이스트, 가스타 팔코, [[이비리추어 거스트크라케]], [[라바르바르 이그니스]], [[다이가스타 피닉스]]를 흡수했더라도 젬나이트 펄에게는 이길 수가 없다. 땅 속성 몬스터를 흡수하지 못했기 때문에 효과로 파괴하지도 못하고 젬나이트 펄은 효과 몬스터가 아니라서 흡수할 수도 없다. 바이론 디시그마가 기본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몬스터는 셋이지만 여기선 이미 그 수를 넘긴 것을 볼 수 있다. [[엑시즈 유닛]]이나 [[오버레이 리제너레이트]] 등 엑시즈 소재를 채워 주는 카드를 쓰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애초에 바이론 디시그마가 설정상 흡수한 몬스터는 알려진 것만 해도 마법 & 함정 존 5칸을 넘는 6종이기 때문에 흡수한 몬스터의 수까지 일일이 따지면 OCG에서 그대로 재현하는 건 불가능하니 너무 깊게 생각하지는 말자.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 JOTL-KR07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JUDGMENT OF THE LIGHT]] || JOTL-JP078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Judgment of the Light]] || JOTL-EN07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