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후속작, rd1=엑스맨 '97)] [Include(틀:지구-92131)] || '''{{{+1 엑스맨 }}}''' (1992~1997) [br] X-Men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xmen tv.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장르''' ||[[슈퍼히어로물|슈퍼히어로]], [[액션]], [[어드벤쳐]], [[SF]] || || '''제작''' ||[[아비 아라드]][br][[스탠 리]][br]조지프 칼라마니[br]윈스턴 리처드[br]에릭 롤먼[br]윌 매그니옷[br]래리 휴스턴[br]리안 모로 || || '''연출''' ||프레드 밀러 [br] 래리 휴스턴 || || '''극본''' ||렌 윈 || || '''출연''' ||세드릭 스미스[br]캐서린 디셔[br]앨리슨 코트[br]크리스 포터[br]조지 버자[br]이오너 모리스 || || '''제작사''' ||[[마블 엔터테인먼트]][br]사반 엔터테인먼트[br]그라즈 엔터테인먼트[br]아콤(AKOM) || || '''배급사''' ||BVS 엔터테인먼트[br][[20세기 스튜디오]] || ||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1992년|1992. 10. 31.]] ~ 1997. 09. 20. || || '''방송국''' ||[[FOX|폭스 키즈 네트워크]] || || '''독점 스트리밍 서비스''' ||[include(틀:디즈니+ 표시)][* 독점 스트리밍이지만 오래되어서 열화된 [[VHS]] 수준으로 흐릿한 화질이다, 다만 색상은 양호한 편이고 [[CRT]]로 보던 느낌을 재현하려 한 것인지 [[감마#s-2|감마]] 보정이 약간 들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https://www.disneyplus.com/ko-kr/series/x-men/6vjPLmGOukEp|▶]] || || '''편당 러닝타임''' ||20분 || || '''화수''' ||시즌 1: 13화[br]시즌 2: 13화[br]시즌 3: 19화[br]시즌 4: 21화[br]시즌 5: 10화 || || '''심의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s-4|[[파일:TV-PG_icon.svg|width=25]]]]'''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25]]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2년]]에 제작된 [[엑스맨]]의 [[TV판]] [[미국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시리즈. 총 76회로 시즌 5까지 제작되었으며 [[1992년]] [[10월 31일]]부터 [[1997년]] [[9월 20일]]까지 폭스 키즈에서 방영되었다. 주로 [[엑스맨 TAS]]라고 불린다. 엑스맨 영상 매체 중에서 가장 명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이자 90년대 시절에 방영되던 수많은 마블 관련 TV 작품중 가장 평가가 좋았고 인기도 높았던 작품이다.[* 굳히 이 시절 작품중에서 엑스맨과 비교할수 있는 마블 관련 작품을 하나 더 찾아보자면 [[스파이더맨(1994년 애니메이션)|스파이더맨 TAS]]이 있다.] 그 인기를 힘얻어 시즌 5까지 방영되었고 그 동시에 76편이나 되는 에피소드를 제작했다. 2023년 기준으로 보아도 이 작품만큼 오랫동안 방영된 마블 작품은 [[어벤져스 어셈블]]뿐인데, 어벤져스 어셈블도 호불호가 갈리는 성향이 강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엑스맨 시리즈의 입지는 독보적이다. == 공개 정보 == === PV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h0KJImjkqc)]}}}|| || '''디즈니+ 비공식 예고편''' || == 줄거리 == >돌연변이 슈퍼히어로들의 팀이 마블 코믹스의 세계에서 정의와 인간의 수용을 위해 싸웁니다.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엑스맨(1992년 애니메이션)/등장인물)] == 회차 목록 == 참고로 각 에피소드들의 방영일 날짜를 보면 순서가 뒤죽박죽으로 되어있다는 점을 볼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시즌 3 에피소드인 8화 '''어떤 돌연변이도 저버릴 순 없다 (No Mutant is an Island)'''가 [[1996년]]에 방영되었고 딴 시즌 3 에피소드는 대부분 [[1994년]]에 방영되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에피소드들이 순서대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많은 에피소드들이 [[어른의 사정|수많은 이유들]]로 인해[* 예를 들자면 시즌 1의 에피소드 '''무적의 저거노트 (The Unstoppable Juggernaut)'''는 애니메이션 제작 문제 때문에 방영이 연기되었으며 그 이유로 그 다음 에피소드 '''치료제 (The Cure)'''과 '''아포칼립스 (Come the Apocalypse)'''이 먼저 방영되었다.] 제작이 연기되거나 앞당겨졌기 때문이다. 그래도 시즌 1과 시즌 2는 이런 상황이 크게 일어나지 않았지만 시즌 3와 시즌 4에서 에피소드들이 순서를 따지지 않고 뒤죽박죽으로 제작을 시작하거나 방영되는 일들이 많아졌다.[* 그래서인지 이 애니가 [[블루레이]]로 발매되거나 HD 리마스터화 된다면 이 에피소드들을 리뉴얼하길 기대하는 팬들도 많다.] 단 이 항목에는 공식 각본에 따라 정해진 순서로 에피소드를 정리한다. [[디즈니+]]에서는 방영일 기준으로 에피소드의 순서가 정리되었다가, 현재는 스토리 순서대로 다시 정렬되었다. === 시즌 1 === || '''No.''' || '''제목''' || '''방영일''' || '''러닝 타임''' || '''각본''' || '''감독''' || || 01 || 센티넬의 밤 1부 [br] Night of the Sentinels, Part One || 1992.10.31 || 21분 ||<|2> 마크 에덴스 ||<|13> 래리 휴스턴 || || 02 || 센티넬의 밤 2부 [br] Night of the Sentinels, Part Two || 1992.11.7 || 21분 || || 03 || 매그니토의 등장 [br] Enter Magneto || 1992.11.27 || 21분 || 짐 칼슨[br]테렌스 맥도널 || || 04 || 위험한 재회 [br] Deadly Reunions || 1993.1.23 || 21분 || 돈 글럿 || || 05 || 사로잡다 [br] Captive Hearts || 1993.1.30 || 21분 || 로버트 스키어[br]마티 아이젠버그 || || 06 || 차가운 복수 [br] Cold Vengeance || 1993.2.6 || 21분 || 마이클 에덴스 || || 07 || 노예의 섬 [br] Slave Island || 1993.2.13 || 21분 || 마크 에덴스 || || 08 || 치료제 [br] The Cure || 1993.3.6 || 21분 || 줄리앤 클렘 || || 09 || 아포칼립스 [br] Come the Apocalypse || 1993.2.20 || 21분 || 마크 에덴스 || || 10 || 무적의 저거노트 [br] The Unstoppable Juggernaut || 1993.2.27 || 21분 || 마이클 에덴스 || || 11 || 옛 미래의 나날 1부 [br] Days of Future Past, Part One || 1993.3.13 || 21분 || 줄리아 르왈드 || || 12 || 옛 미래의 나날 2부 [br] Days of Future Past, Part Two || 1993.3.20 || 21분 || 로버트 스키어[br]마티 아이젠버그 || || 13 || 최후 결정 [br] The Final Decision || 1993.3.27 || 21분 || 마크 에덴스 || === 시즌 2 === || '''No.''' || '''제목''' || '''방영일''' || '''러닝 타임''' || '''각본''' || '''감독''' || || 01 ||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 1부[br]Till Death Do Us Part, Part One || 1993.10.23 || 21분 ||<|2> 마크 에덴스 ||<|13> 래리 휴스턴 || || 02 ||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 2부[br]Till Death Do Us Part, Part Two || 1993.10.30 || 21분 || || 03 || 어떻게든[br]Whatever It Takes || 1993.11.6 || 21분 || 줄리아 르왈드 || || 04 || 붉은 여명[br]Red Dawn || 1993.11.13 || 21분 || 프랜시스 모스[br]테드 페데르센 || || 05 || 회수원[br]Repo Man || 1993.11.20 || 21분 || 렌 윈 || || 06 || 엑스터널의 것[br]X-Ternally Yours || 1993.12.4 || 21분 || 줄리앤 클렘 || || 07 || 시간 도망자 1부[br]Time Fugitives, Part One || 1993.12.11 || 21분 || 마이클 에덴스 || || 08 || 시간 도망자 2부[br]Time Fugitives, Part Two || 1993.12.18 || 21분 || 엘리엇 마긴 || || 09 || 로그의 과거[br]A Rogue's Tale || 1994.1.8 || 21분 || 로버트 스키어[br]마티 아이젠버그 || || 10 || 미녀와 비스트[br]Beauty & the Beast || 1994.1.15 || 21분 || 스테파니 매시슨 || || 11 || 모조비전[br]Mojovision || 1994.2.5 || 21분 || 브룩스 와첼 || || 12 || 재회 1부[br]Reunion, Part One || 1994.2.12 || 21분 || 렌 윈 || || 13 || 재회 2부[br]Reunion, Part Two || 1994.2.19 || 21분 || 마이클 에덴스 || === 시즌 3 === || '''No.''' || '''제목''' || '''방영일''' || '''러닝 타임''' || '''각본''' || '''감독''' || || 01 || 과거에서 벗어나 1부[br]Out Of The Past, Part One || 1994.7.29 || 21분 || || || || 02 || 과거에서 2부[br]Out Of The Past, Part Two || 1994.8.5 || 21분 || || || || 03 || 피닉스 사가 - 1부: 희생[br]The Phoenix Saga, Part I: Sacrifice || 1994.9.5 || 21분 || || || || 04 || 피닉스 사가 - 2부: 검은 장막[br]The Phoenix Saga, Part II: The Dark Shroud || 1994.9.6 || 21분 || || || || 05 || 피닉스 사가 - 3부: 밴시의 울부짖음[br]The Phoenix Saga, Part III: The Cry of the Banshee || 1994.9.7 || 21분 || || || || 06 || 피닉스 사가 - 4부: 스타재머스[br]The Phoenix Saga, Part IV: The Starjammers || 1994.9.8 || 21분 || || || || 07 || 피닉스 사가 - 5부: 빛의 아이[br]The Phoenix Saga, Part V: Child of Light || 1994.9.9 || 21분 || || || || 08 || 어떤 돌연변이도 저버릴 순 없다[br] No Mutant Is an Island || 1996.9.21 || 21분 || || || || 09 || 집착[br]Obsession || 1994.9.24 || 21분 || || || || 10 || 롱샷[br]Longshot || 1996.10.5 || 21분 || || || || 11 || 달갑잖은 위로[br]Cold Comfort || 1995.2.4 || 21분 || || || || 12 || 세비지 랜드, 세비지 하트 1부[br]Savage Land Strange Heart, Part One || 1994.9.10 || 21분 || || || || 13 || 세비지 랜드, 세비지 하트 2부[br]Savage Land Strange Heart, Part Two || 1994.9.17 || 21분 || || || || 14 || 다크 피닉스: 현혹 1부[br]The Dark Phoenix, Part I: Dazzled || 1994.11.12 || 21분 || || || || 15 || 다크 피닉스: 이너 서클 2부[br]The Dark Phoenix, Part II: The Inner Circle || 1994.11.12 || 20분 || || || || 16 || 다크 피닉스: 다크 피닉스 3부[br]The Dark Phoenix, Part III: The Dark Phoenix || 1994.11.19 || 21분 || || || || 17 || 다크 피닉스: 피닉스의 운명 4부[br]The Dark Phoenix, Part IV: The Fate of the Phoenix || 1994.11.26 || 21분 || || || || 18 || 고아의 끝[br]Orphan's End || 1995.2.25 || 20분 || || || || 19 || 헛된 사랑[br]Love in Vain || 1996.2.10 || 21분 || || || === 시즌 4 === || '''No.''' || '''제목''' || '''방영일''' || '''러닝 타임''' || '''각본''' || '''감독''' || || 01 || 저거노트의 귀환[br]The Juggernaut Returns || 1995.5.6 || || || || || 02 || 악마와의 거래[br]A Deal with the Devil || 1996.9.14 || || || || || 03 || 안식 1부[br]Sanctuary, Part One || 1995.10.21 || || || || || 04 || 안식 2부[br]Sanctuary, Part Two || 1995.10.28 || || || || || 05 || 자비에르 교수의 기억[br]Xavier Remembers || 1996.4.27 || || || || || 06 || 용기[br]Courage || 1994.9.23 || || || || || 07 || 오래지 않은 비밀[br]Secrets, Not Long Buried || 1996.2.17 || || || || || 08 || 나이트크롤러[br]Nightcrawler || 1995.5.13 || || || || || 09 || 한 사람의 가치 1부[br]One Man's Worth, Part One || 1995.9.9 || || || || || 10 || 한 사람의 가치 2부[br]One Man's Worth, Part Two || 1995.9.16 || || || || || 11 || 프로테우스 1부[br]Proteus, Part One || 1995.9.30 || || || || || 12 || 프로테우스 2부[br]Proteus, Part Two || 1994.10.7 || || || || || 13 || 가족의 유대[br]Family Ties || 1996.5.4 || || || || || 14 || 혈통[br]Bloodlines || 1996.10.26 || || || || || 15 || 연꽃과 강철[br]Lotus and the Steel || 1996.2.3 || || || || || 16 || 웨폰 X, 거짓말, 비디오테이프[br]Weapon X, Lies, and Video Tape || 1995.6.11 || || || || || 17 || 몰락의 크리스마스[br]Have Yourself a Morlock Little X-Mas || 1995.12.23 || || || || || 18 || 선과 악을 넘어서 1부[br]Beyond Good and Evil (Part 1): The End of Time || 1995.11.4 || || || || || 19 || 선과 악을 넘어서 2부[br]Beyond Good and Evil (Part 2): Promise of Apocalypse || 1995.11.11 || || || || || 20 || 선과 악을 넘어서 3부[br]Beyond Good and Evil (Part 3): The Lazarus Chamber || 1995.11.18 || || || || || 21 || 선과 악을 넘어서 4부[br]Beyond Good and Evil (Part 4): End and Beginning || 1995.11.25 || || || || === 시즌 5 === || '''No.''' || '''제목''' || '''방영일''' || '''러닝 타임''' || '''각본''' || '''감독''' || || 01 || 팔랑스의 공격 1부[br]Phalanx Covenant, Part One || 1996.9.7 || || || || || 02 || 팔랑스의 공격 2부[br]Phalanx Covenant, Part Two || 1996.9.7 || || || || || 03 || 스톰 프론트 1부[br]Storm Front, Part One || 1996.11.2 || || || || || 04 || 스톰 프론트 2부[br]Storm Front, Part Two || 1996.11.9 || || || || || 05 || 다섯 번째 호스맨[br]The Fifth Horseman || 1997.2.8 || || || || || 06 || 주빌리의 동화 극장[br]Jubilee's Fairytale Theatre || 1996.11.16 || || || || || 07 || 옛 병사[br]Old Soldiers || 1997.2.22 || || || || || 08 || 숨은 의도[br]Hidden Agendas || 1997.9.6 || || || || || 09 || 기원[br]Descent || 1997.9.13 || || || || || 10 || 졸업[br]Graduation Day || 1997.9.20 || || || || == 해외 공개 == 해당 작품은 우일비디오에서 [[VHS|VHS 비디오]]로 출시되었다. 비디오 애니 특성답게 끝까지 출시하지는 않았다. [[성우]] 캐스팅은 비디오 명칭 기준으로 울버린에 [[김준(성우)|김준]], 갬빗에 [[최병상]], 주빌리에 [[이현선(성우)|이현선]] 등의 굉장히 네임드의 성우들이 캐스팅되어 극강의 싱크로율을 자랑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AkL2-vh2Sk|오프닝 음악]]이 매우 좋다는 평을 받고 있고, [[와치모조]] 닷컴에서 역대 최고의 수퍼 히어로 오프닝 테마로 선정한 바가 있다. [[https://youtu.be/hG9p_tSq3LA|#]] 또한 일본판의 경우 100%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자체적으로 새로 그린]] [[https://youtu.be/2rSw4Xl5qfs|오프닝]]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https://youtu.be/pDAoPWMlPlw|국내 비디오판의 오프닝 곡은]] [[일본]]판을 번안했다. [[디즈니+]]에서도 시리즈를 '''[[재더빙]]하였는데''', 총 5시즌 총 76회가 모두 빠짐 없이 한국어로 더빙되어 올라와있다(2022-08-27(토) 기준). [[뮤턴트(마블 코믹스)|뮤턴트]]는 직역해서 작중에서 "돌연변이"라고 부른다. 안타깝게도 성우진 크레딧이 수록되지 않아서 배역을 어느 [[성우]]가 담당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건 비단 [[한국]]어판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언어판들의 성우진 크레딧들도 모두 수록되지 않았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x_men, tomato=85, popcorn=96)] [include(틀:평가/IMDb, code=tt0103584, user=8.5)]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x-men, critic=<메타스코어, user=9.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드라마 코드>, user=)]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84960, user=7.9)]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 code=4552, presse=3.8,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애니메이션), code=3512/4701, user=3.5)]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47015, user=<별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4089692, user=8.2)]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01106, light=<지수>)] [include(틀:평가/왓챠, code=tlYKp1R, user=3.9)]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4574-x-men, user=82)]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드라마), code=x-men, user=7.2)] 엑스맨의 주요 주제인 [[차별받는 초능력자|차별받는 주인공]] 및 사람들과 그런 사람들이 받아야하는 [[PTSD|고통]], 그리고 본인들을 싫어하는 사회를 도와주면서 모두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어간다는 목표를 만든다는 스토리를 [[시청자]]들도 부담없이 받아스릴수 있게 잘 구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리고 [[종교]], [[이혼]], [[트라우마]], [[막장 부모]], 그리고 [[집단괴롭힘|조직적 차별]]같은 아이들이 보기엔 [[동심 파괴|민감한 요소]]도 종종 등장했지만 아이들이 보기에도 이해할수 있으면서도 그 동시에 어른들이 보아도 크게 공감할수 있다는 스토리를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매력적인 주연 및 조연들도 좋은 평가를 받는다. 거의 모든 주인공 캐릭터들이 자기만의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인만의 트라우마로 괴로워하는 장면도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시청자들도 이런 캐릭터들한테 매력을 느끼고 몰입할수 있게 해주었다. 그리고 각각 주인공들한테 적당한 비중을 주어서 거의 모든 멤버들이 자기만의 비중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게다가 이런 특징은 주인공 캐릭터들한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조연 캐릭터들도 본인들만의 스토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런 조연들한테도 정을 붙일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이런 모든 특징 때문에 역대 엑스맨 관련 작품중 최고의 명작으로 평가받으며 그 후의 엑스맨 작품들도 이 작품한테서 영항을 받는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엑스맨 시리즈]]의 가치를 크게 올려준 작품으로, 90년대를 엑스맨의 전성기로 만든 작품으로 평가된다. == 원작과의 차이점 == * [[다크 피닉스 사가]]의 경우 원작에서는 진 그레이가 사망하지만 애니는 살아남는다. * 모든 엑스맨 [[미디어 믹스]]들 중에서 밴쉬가 드물게 죽지 않는 시리즈이다. * 시즌 5 파이널 에피소드에서 프로페서 X가 사망한다. 정확히는 영원히 지구 밖으로 떠났다. == 후속작 == [[2015년]] 여름에 '''X-Men '92''' 라는 제목으로 10부작 코믹스화되었다. 동일 내용이 아니라 해당 애니메이션의 [[시퀄|후속작]]에 해당하는 코믹스이므로 주의하자. [[2020년]]대 초에 [[엑스맨 유니버스]]에서 엑스맨 [[다크 피닉스]]와 [[뉴 뮤턴트]]가 대차게 망하고 엑스맨 유니버스의 시리즈가 유종의 미를 불명예스럽게 완결되거나 엑스맨의 [[MCU]] 합류가 오래 걸리는 바람에 팬들은 저 애니메이션을 [[리마스터]] 혹은 블루레이 세트로 내주거나 이 애니의 후속작을 만들어달라는 목소리가 많았다.[* 이 뿐만 아니라 엑스맨 유니버스도 설정이나 [[울버린]], [[프로페서 엑스]], [[매그니토]], [[데드풀]]을 제외한 캐릭터 활용을 제대로 못하다보니 평가가 더욱 올라갔다. 다만 이 애니의 후속작을 만들었다간 [[Masters of the Universe: Revelation|이 작품]]처럼 악평을 받지 않길 바라는 팬들도 많다.] 그러다가 [[2020년]]에, 예전 제작진들의 언급에 따르면 후속작이 언급되었으며 2021년 [[마블 스튜디오]]가 제작하기로 결정되었다. 제목은 [[엑스맨 '97]]이며, [[2024년]]에 공개될 예정이다.[[https://www.marvel.com/articles/tv-shows/x-men-97-animated-disney-plus|#]][* 디즈니가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21세기 폭스 인수|폭스 인수]] 이후, 엑스맨의 판권도 마블로 돌아왔으니 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마블 스튜디오가 처음으로 MCU에 속하지 않는 작품을 만드는 것이기도 하다. 덤으로 엑스맨이 [[MCU]] 세계관에 등장하는 건 아직까지는 무리이다.] 기존 코믹스로 발매된 후속작 엑스맨 ‘92와의 관계는 불명이다. 참고로 각각 이 애니메이션의 방영년도 ('''1992 ~ 1997''')의 시작, 끝을 맞춘 것이다. == 기타 == * 해외에서는 울버린이 사진 보는 장면이 밈으로 유명하다. [[파일:b9fb92086472045b9d41f89f53477e44.jpg|width=50%]] * 디즈니+ 트위터 계정에서 2021년에 후속편 제작을 공지하면서 패러디했다. [[파일:울버린 액자 속 엑스맨 '97.jpg|width=50%]] * 애니메이션 제작은 [[마블 엔터테인먼트]] 그룹, 그라츠 엔터테인먼트(Graz Entertainment), 사반 엔터테인먼트(Saban Entertainment)가 맡았으며 에이컴(AKOM), [[필리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Philippine Animation Studio), 홍 잉 애니메이션(Hong Ying Animation)이 애니메이션 하청을 맡았다. 책임 프로듀서는 [[아비 아라드]], [[스탠 리]], 조셉 칼라마리, 윈스턴 리처드, 에릭 S. 롤먼이 맡았다. ||[[파일:x-men-the-animated-series.jpg|width=400]]||[[파일:엑스맨 작화가.....jpg|width=400]]|| ||[[파일:비스트 작화가.jpg|width=400]]||[[파일:10-Graduation-Day.png|width=400]]|| ||[[파일:x-men-animated-final-1.jpg|width=400]]||[[파일:FlatFatalAsiandamselfly-size_restricted.gif]]|| * 시즌 5 후반부는 전 시즌들에 비해 [[작화 붕괴]]도 많고 아예 다른 만화가 될 정도로 작화가 바뀐다.[* 잠깐 나온 [[캡틴 아메리카]]만이 유일하게 그나마 나은 작화로 나온다.] 정확히 말하자면 The Fifth Horseman 에피소드부터 바뀐다. 갑자기 작화가 압도적으로 달라진 이유는 복잡한 어른의 사정 때문이다. 원래 제작진들은 엑스맨 TAS 시리즈를 시즌 4로 끝낼려고 했다. 그러니까 시즌 4 마지막 에피소드 스토리인 Beyond Good and Evil이 바로 마지막 엑스맨 TAS 시리즈가 되어야 했다는 말이다. 하지만 시즌 4가 끝난 이후 엑스맨 TAS 시리즈의 제작을 담당하고 있던 사반 엔터프라이즈[* 바로 90년대 시절 [[파워레인저]]를 제작한던 회사였다. 2018 시점으로 파워레인저의 판권은 [[해즈브로]]가 가져갔다.][* 사반 엔터프라이즈가 제작을 요구한 이유는 이 시절 때 [[마블 코믹스]] 회사가 재정난에 빠져있었고, 제작을 요구할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에 사반 엔터프라이즈가 요구했고 제작비도 사반이 내줬다.]가 엑스맨 TAS 시리즈의 인기를 보고 제작진들한테 새로운 시즌의 제작을 요구했고, 그렇기 때문에 제작진들은 총 13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엑스맨 TAS 시리즈의 시즌 5을 제작했다. 하지만 저번 시즌들의 제작비보다 훨씬 더 적은 제작비를 지원했고, 시즌 1부터 시즌 4까지 일했던 작화진들은 이미 또다른 프로젝트 및 시리즈들을 제작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즌 5의 후반부 작화는 압도적으로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더 정확한 정보를 원한다면 이 [[https://www.cbr.com/why-x-men-the-animated-series-final-season-looks-odd/|링크]][[https://screenrant.com/x-men-animated-series-fox-cancelled-why/|들]][[https://screenrant.com/x-men-animated-series-best-facts-trivia/|을]] 참조. * 같은 시기에 제작된 슈퍼히어로 애니메이션 중 이 작품과 비슷한 영향력을 줬다고 평가받는 작품은 [[배트맨 TAS]]와 [[스파이더맨 TAS]]가 있다.[* 스파이더맨 TAS와 본작이 크로스오버된 에피소드가 있다.] 특히 배트맨TAS는 [[에미상]]을 받을 정도로 평가와 흥행 면에서 슈퍼히어로 애니메이션에 크게 영향력을 끼쳤다. * 수많은 엑스맨 관련 캐릭터들이 등장한 작품이지만 의외로 원작의 주요 인물중 하나인 키티 프라이드가 등장하지 못했다. 키티 프라이드가 등장하지 못한 이유는 많은 설이 있는데, 얘를 들어 키티 프라이드가 주연으로 등장한 엑스맨 애니메이션 Pryde of X-Men의 방영이 실패하자 실망한 마블이 키티 프라이드의 미디어믹스 출현을 금지했다는 설, 물체 통과 능력이 어린이들이 보기엔 재미없을 것 같아서 등장하지 않았다는 설, 엑스맨이 방영되던 시절에 키티 프라이드는 코믹스에서 엑스맨과는 엮이지 않고 엑스칼리버라는 [[영국]] 히어로 팀에서 활동하고 있어서 못 등장했다는 설 등이 있다. 어쨌든 키티 프라이드가 등장하지 못하자 키티 프라이드의 캐릭터성은 해당 작품의 주빌리가 많이 가져가게 되었다. 한편 후속작 엑스맨 97에는 키티 프라이드가 등장할 수 있을지 많은 팬들이 궁금해하고 있다. * [[2022년]] [[4월]] 일부 국가들의 [[디즈니 플러스]]에서 갑자기 내려갔는데 디즈니 측에서 공식적으로 이유를 밝히진 않았다. 다행스럽게 한국 디즈니 플러스에는 아직 내려가지 않았다. * 위에도 언급되었던 것처럼 모프라는 오리지널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이런 [[오리지널 캐릭터]]가 등장하는 이유는 복잡한 이유가 있다. 윈래 시리즈를 제작할 때 제작진들은 엑스맨 인원으로 사는 인생이 위험하다는 사실을 부각시키고 싶었고 그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첫번째 에피소드에서 작전을 수행하다가 죽는 희생양 캐릭터를 집어넣을러고 했다. 이 캐릭터 역할은 [[썬더버드]]라는 원작에 존재하는 마이너 [[아메리카 원주민]] 엑스맨 캐릭터가 맡을려고 했는데[* 왜 썬더버드를 선택했다면 원작 코믹스에서 썬더버드는 첫등장하자마자 몇 이슈 가지 못하고 스스로 희생해 죽게되는 엑스맨 캐릭터여서 그랬다. 즉 제작진의 의도대로 갔다면 원작고중이 되었을 것이다.], [[소수민족]] 및 비백인 캐릭터를 간단히 희생양으로 죽어버린다면 [[인종차별]] 논란이 나올거라는 말이 나오면서 썬더버드를 희생양으로 써먹는 스토리 전개는 무산되게 되었다. 그렇지만 제작진들은 희생양 캐릭터를 유지시키고 싶어했는데, 원작의 인기 있는 캐릭터를 희생시키면 팬들한테서 반발이 심하게 나올것이 뻔하니까[* 얘를 들어 원작팬들한테 꽤 높은 인기를 가지고 있는 [[나이트크롤러]]나 아이스맨을 첫번째 에피소드에서 곧바로 사망처리를 시켜버린다면 팬들한테서 반발이 심했을 것이다.] 제작진들은 아에 지지층이나 팬들이 아에 없는 오리지널 희생양 캐릭터를[* 간단히 말해서 곧바로 죽어버려도 팬들이 신경을 쓰지 않을 캐릭터.] 만들기로 했다. 그래서 모프가 탄생한 것.[* 그 동시에 원작의 체인질링을 쓰지 않고 체인질링은 모티브로 한 새로운 캐릭터 모프를 만든 이유도 정한 이유도 체인질링이 DC 코믹스의 캐릭터 [[비스트 보이]]와 이름이 겹친다는 이유로 저작권 문제를 피하기 위해 아예 새로운 이름을 가진 신캐릭터를 만들었다고 한다.][* 참고로 비스트 보이의 이명중 하나는 체인질링이다.] 그렇게 모프는 첫번째 에피소드에서 죽게 되었지만, 그 죽는 역할이 시청자들한테 인상적이게 느꺼졌는지 모프는 시청자들한테서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제작진들은 알고보니 모프가 미스터 시니스터로 인해 살아남았다는 설정을 시즌 2에 추가시켜서 모프를 다시 해당 작품에서 부활시켰고 그 후 모프는 해당 작품에서 카메오 역할 수준으로도[* 그 동시에 그때마다 게스트 출현도 했다.] 종종 등장하게 되었다. == 관련 문서 == * [[엑스맨 '97]]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엑스맨, version=255, paragraph=7.1)] [[분류:엑스맨/애니메이션]][[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92년 애니메이션]][[분류:1997년 종영]][[분류:인터넷 밈/만화 및 애니메이션]][[분류:슈퍼히어로 애니메이션]][[분류:애니메이션 템플릿 미반영]][[분류:마블 코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