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엑스(록맨 시리즈)]][[분류:이레귤러 헌터]] ||<-18> [[파일:Rockman X DiVE_Hunter Program_X.png|width=280]] || ||<-18> '''{{{+3 {{{#ffffff [ruby(엑스, ruby=이레귤러 헌터 DRN.∞)]}}}}}}[br]{{{#ffffff ロックマンエックス / ROCK MAN X / MEGA MAN X}}}''' || ||<-3> {{{#ffffff 일본판 성우}}}[* [[https://blog.naver.com/ldj3885/220709811790|3명의 엑스 성우에 대한 재미있는 사실]]] ||<-1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 '''[[사쿠라이 타카히로]]'''[* [[록맨 X 커맨드 미션]]부터 [[모리쿠보 쇼타로]]를 대신해 엑스를 담당한 3대 엑스 성우. 가장 늦게 엑스를 담당했지만 현재는 완벽히 자타공인 엑스의 전담 성우로 자리잡았다. 엑스의 고뇌를 세심하게 연기하고 그에 걸맞은 음색을 지니고 있어 팬들에게도 평가가 좋다. 시리즈가 하필 [[록맨 X8]]에서 중단되면서 정식 시리즈 출연이 단 하나뿐이지만 [[프로젝트 크로스 존]] 같은 크로스오버 게임에서는 대사량이 꽤 많았던 덕분에 제대로 된 연기를 느낄 수 있다. 다만 아쉽게도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에서는 시네마틱 스토리 모드에서 엑스가 주인공 격으로 올라섰음에도 게임 자체가 영어 음성만 수록되었기 때문에 이를 아쉬워하는 팬들이 많다.] ,,(櫻井孝宏),,[br],,《[[록맨 X 커맨드 미션]]》,, ,,·,, ,,《[[록맨 X8]]》,, ,,·,, ,,《[[이레귤러 헌터 X]]》,, ,,·,, ,,《[[프로젝트 크로스 존|프로젝트 크로스 존 1]]》,, ,,·,, ,,《[[프로젝트 크로스 존 2 : 브레이브 뉴 월드]]》,, ,,·,, ,,《[[TEPPEN]]》,, ,,·,, ,,《[[록맨 X 다이브]]》,, || || '''[[모리쿠보 쇼타로]]'''[* [[록맨 X5]]부터 엑스를 담당한 2대 엑스 성우. 연기력 자체는 큰 논란이 없는 성우이지만, 특유의 음색이 고뇌를 자주하는 엑스와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가도 많았고, X5부터 본격적으로 [[록맨 X 시리즈]]의 예산이 깎이고 이벤트씬도 애니메이션 없이 정지화면으로 대체된 데다가 제대로 디렉팅을 받지 못했는지, X5와 [[록맨 X6]]를 보면 지나치게 힘을 주고 연기하는게 느껴진다. 성우 본인에게도 이래저래 아쉬움이 남을 작품. 팬들 사이에선 되려 중복으로 맡은 [[다이나모(록맨 X 시리즈)|다이나모]]가 더 잘 어울린다는 얘기가 많다.] ,,(森久保祥太郎),,[br],,《[[록맨 X5]]》,, ,,·,, ,,《[[록맨 X6]]》,, ,,·,, ,,《[[록맨 X7]]》,, || || '''[[이토 켄타로]]'''[* [[록맨 X4]] 단 한 작품만 출연했지만, 고뇌를 자주하는 엑스의 모습을 잘 살린 부드러운 목소리로 팬들의 평가는 나쁘지 않다. [[록맨 X5]]부터 자신을 대신해 엑스를 연기한 [[모리쿠보 쇼타로]]와는 항목에도 써져 있듯이 절친한 사이이며, 자신이 한 작품만 하고 강판당하고 모리쿠보 쇼타로로 교체당한 이야기를 웃으면서 공식 석상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보면 크게 괘념치는 않는듯. 2018년 7월 27일 [[록맨 X 애니버서리 컬렉션]] 발매 기념 [[https://www.youtube.com/watch?v=89GFjzcW7C4|이벤트 영상 1]]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를 연기한 [[오키아유 료타로]]와 함께 오랜만에 록맨 X4를 플레이했다. 또한 같은 록맨 계열 시리즈인 [[록맨 에그제 시리즈]]에서 [[섀도맨.EXE]], [[유성의 록맨 시리즈]]에서 [[워 록]]을 담당한 성우이기도하다.] ,,(伊藤健太郎),,[br],,《[[록맨 X4]]》,, ||}}}}}} || ||<-3> {{{#ffffff 해외판 성우}}} ||<-1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 '''테드 스로카'''[* [[캡콤|같은 회사]]의 게임인 [[스트리트 파이터 4]]의 초기 버전에서 [[춘리]]의 아케이드 모드 오프닝의 카메오로 등장하는 [[윤(캡콤)|윤]], [[양(캡콤)|양]] 형제의 영어 음성을 잠시 맡았었다.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스파 4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에서의 [[히비키 단]]의 영어 음성 성우이다.] ,,(Ted Sroka),,[br],,《[[마블 VS 캡콤: 인피니트]]》,, ,,·,, ,,《[[TEPPEN]]》,, || || '''잭 르블랑'''[* [[슈퍼 퍼즐 파이터 2 X#s-3|퍼즐 파이터]]에서는 엑스 말고도 [[뷰티풀 죠#s-2.1]], [[뷰티풀 죠#s-2.2|아라스톨]],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히비키 단]], [[역전재판 시리즈]]의 [[나루호도 류이치]]를 맡았었다.] ,,(Zach LeBlanc),,[br],,《[[슈퍼 퍼즐 파이터 2 X#s-3|퍼즐 파이터]]》,, || || '''마크 개타''' ,,(Mark Gatha),,[br],,《[[록맨 X 커맨드 미션|메가맨 X 커맨드 미션]]》,, ,,·,, ,,《[[록맨 X8|메가맨 X8]]》,, ,,·,, ,,《[[이레귤러 헌터 X|메가맨 매버릭 헌터 X]]》,, || || '''[[피터 반 감]]'''[* [[캡콤|같은 회사]]의 크로스오버 게임인 [[타츠노코 VS 캡콤|타츠노코 VS 캡콤 얼티밋 올스타즈]]에서는 [[데드 라이징 시리즈]]의 [[프랭크 웨스트]]를 맡았었다.],,(Peter Von Gomm),,[br],,《[[록맨 X7|메가맨 X7]]》,, || || '''루스 시라이시'''[* 유일하게 여성 성우다. 전체적으로 주연부터 단역까지 죄다 청각 테러 수준인 [[록맨 X4|메가맨 X4]] 영어 더빙판에서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더블(록맨 X 시리즈)|더블]]의 북미판 성우와 함께 그나마 좋은 평가를 받았다.] ,,(Ruth Shiraishi),,[br],,《[[록맨 X4|메가맨 X4]]》,, || || '''마이클 도노반''' ,,(Michale Donovan),,[br],,《[[메가맨(애니메이션)]]》,, ||}}}}}} || ||<-3> {{{#ffffff 사용 무기}}} ||<-6> '''[[록 버스터#s-1.3|X-버스터]]'''[br]'''[[제트 세이버(록맨 시리즈)|제트 세이버]]'''[* [[록맨 X3]], [[록맨 X6]] 한정.] ||<-3> {{{#ffffff 약점}}} ||<-6> '''[[스팅 카멜리오|케르베로스 팬텀]]'''[* [[이레귤러 헌터 X]]의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모드 한정.] || ||<-18> '''{{{#0a81bb "}}}[[헤븐(록맨 대시 시리즈)|{{{#0a81bb 헤븐}}}]]{{{#0a81bb 이다... 그래, 언젠가는 반드시..."}}}''' || ||신장: 160cm([[록맨 X 커맨드 미션]]에서는 165cm) 체중: 57kg([[록맨]]보다 가벼운 것은 과학의 진보 덕분) 연령: 인간의 연령에 비교하자면 14~15세|| ||[* 해당 설정의 출처는 1995년 발매된 공식 백과사전이며, [[Dr. 케인]]에 의해서 깨어났을 때 당시 기준이므로 이후 [[록맨 X 시리즈]]에서는 달라질 수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 이 설정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 듯하다.]||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mx.jpg|height=500]] [[https://megaman.fandom.com/wiki/Mega_Man_X_(character)|록맨 영어 위키 엑스 항목 참고.]] [[록맨 X 시리즈]]의 주인공.[* 일단은 주인공은 맞는데, [[록맨 X7]]까지의 행적을 보면 주인공 치고는 주인공 대우를 못 받는다.(...) 이는 일본 팬덤 쪽에서도 많이 지적받는 부분이다. [[록맨 X 커맨드 미션]] 이후부터는 많이 나아졌다.] == 설명 == [[록맨 시리즈]]의 [[Dr. 라이트]]가 노년기에 남긴 자립형 로봇이다. 1인칭은 [[오레]]. 단 [[시그마의 날]]에서는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와 라이트 박사에게 [[와타시]]를 썼었다.[* [[Dr. 라이트|라이트 박사]]는 자신을 창조한 아버지와 같으니 당연한 거고 시그마는 이레귤러 헌터였던 시절엔 엑스의 상관이었기 때문. 그 외에도 일부 코믹스판이나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의 일부 대사에서는 [[보쿠]]를 쓰기도 한다.] 보통은 엑스라 불리지만 풀 네임은 록맨 X이며 엑스의 탄생 비화와 관련된 에피소드에서 한 번씩 드러날 정도로 상징성 높은 이름. 작중에서 엑스를 육성으로 록맨 X라 지칭한 건 Dr. 라이트와 [[카운터 헌터]][* 그것도 [[사게스]]는 정황상 [[Dr. 와일리|와일리 박사]] 본인 내지는 그의 분신이다. 와일리와 [[Dr. 라이트|라이트]]가 동세대 인물이라는 것과 라이트와 와일리의 관계를 생각하면 엑스의 풀네임을 알고 있어도 딱히 이상하진 않다.] 말고는 없다. [[이레귤러 헌터 X]]에선 아예 타이틀에서도 록맨이 빠지고 엔딩 영상에서야 라이트 박사가 '''록맨 X'''라 지칭하면서 그 상징성을 극대화시키는 연출이 사용되었다. 기존의 로봇보다 복잡한 '''인간적 사고 능력'''을 지닌 새로운 타입의 로봇이지만, 이 때문에 인간에게 위해를 가해서는 안 된다는 로봇의 절대적인 조건에도 의문을 품을 위험성이 있다. [[시그마의 날]]에서 라이트 박사가 엑스라는 이름을 지어준 것도 무한한 가능성과 위험을 동시에 내포했기 때문. 실제로 이름의 모티프는 수학에서 '미지수'를 뜻하는 기호인 'X'다. 엑스가 만들어진 이후에도 그의 안전성 검사에는 무려 30년의 시간이 더 필요했지만, 당시 라이트 박사는 삶이 얼마 남지 않아 스스로 검사를 다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캡슐에 봉인해서 안전성을 진단했다. [[이레귤러 헌터 X]]에서는 설정이 조금 더 붙어서, 당대의 사람들이 인간에 가까운 발전된 로봇을 받아들일 의식적인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판단해서 엑스에게 미래의 인류와 평화를 맡기며 봉인했다고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힘을 내포한 로봇 록맨 X는 언젠가 생명체처럼 진화할 것이며 그야말로 미래 인류의 희망이라 표현했다. [[록맨 클래식 시리즈]]의 [[록맨]]과 동일 로봇이 아니다. 엑스는 록맨보다 더욱 개량된 작품으로, 기존에 존재하던 가정용 로봇을 전투용으로 개량하여 만든 록맨과는 달리 '''처음부터 전투용으로도 활동할 수 있게 설계된 새로운 로봇이다.''' 굳이 말한다면 록맨의 머나먼 동생이나 후속 기종에 가깝다. 그래서 2차 창작 등에서 크로스오버 되었을 때는 록맨의 동생 및 먼 후손이라는 설정을 갖는다. 재질도 [[세라미컬 티탄]]이 쓰인 록맨과 달리 티타늄 X라는 경량 합금을 사용하며, 그 결과 덩치가 더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무게는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이 티타늄 X는 엑스의 피부를 구성하는데 록맨 X 시리즈의 세계에서 가장 열과 충격에 강하다고 한다. 주변에 워낙 사망전대들이 많아서 잘 부각되진 않지만 이쪽도 만만찮게 험하게 구르는 편. 실제로 공식 설정집 등을 보면 '''단점: 불행'''이라고 언급되고 있다. == 특성 == === [[레플리로이드]]의 아버지 === >'X'는, 보다 복잡한 인간적 사고 능력을 지닌 새로운 타입의 로봇이다. >그러나, 이 능력은 매우 위험한 것이기도 하다. >만약 X가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입혀서는 안 된다'라는 [[로봇 3원칙|로봇 공학의 원칙]]을 자신의 의지로 깨버리면 >아마 누구도 그를 막지 못할 것이며 결과는 무시무시할 것이다.[br] >30년 정도의 시간이 있다면 그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나의 수명도 얼마 남지 않았고, 내 연구를 대신 맡아줄 사람도 없다.[br] >그러므로 나는, 이 캡슐에 X를 봉인한다. 이 캡슐은 X의 안전성을 확인할 때까지, 그의 내부 구조를 검사해줄 물건이다. >그때까지, 부디 이 캡슐을 열지 말아주길 바란다.[br] >X는 무한한 가능성과 함께, 무한한 위험성까지도 갖고 있다. 나는 그저, 최선의 결과를 바랄 뿐이다. > >'''20XX년 9월 18일 [[토마스 라이트]]''' >---- >[[록맨 X]] 오프닝 중 >X는 종래의 로봇에게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문제가 다수 존재한다. '인간에게 위해를 가해서는 안 된다'라는 로봇에게 있어서 절대적인 조건조차도, 고민하고 의문을 품을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br] >이 '고민'이라는 행동이야말로 X의 획기적인 점이며 로봇 공학에 있어서 처음으로 실현에 성공한 것이지만, 이것이 본래 고민해서는 안 되는 내용에 도달하면 큰일이 날 것이다. 그리고 만일, 로봇이 자신의 의지로 인간을 습격한다면, 인류가 전율하는 모습은 [[Dr. 와일리|Dr. WILY]]에 의한 [[록맨 클래식 시리즈|일련의 사건]] 때와는 비교가 안 될 것이다...[br] >결론을 말하자면, X는 매우 위험한 존재다. 만약 X를 세상에 내놓는다면 적어도 30년의 체크 기간을 두어야만 한다. 그러나 나의 여생은 그리 길지 않고, 안타깝지만 내 연구를 전부 이해하고 그것을 이어 줄 사람도 없다.[br] >그러므로 나는, X를 여기에 봉인한다. 만일 어쩌다가 이 캡슐을 발견하는 분이 있더라도, X의 사고가 완전히 해석되지 않은 이상, 부디 그대로 두시기를 바란다. X는 무한한 가능성과 함께 무한한 위험성도 품고 있는 로봇이다...[br] >'''Sep. 18 AD 20XX''' >'''[[Dr. 라이트|T. Right]]''' >---- >[[록맨 X]] 일본어판 설명서 32페이지의 경고문 봉인으로부터 약 100년이 지난 21XX년, [[Dr. 케인]]에 의해 [[Dr. 라이트|라이트 박사]]의 노트와 함께 발굴되었다. 발견 당시에도 엑스가 봉인된 캡슐은 진단을 계속하고 있었으나, 모든 인디케이터가 안전을 가리키는 녹색을 띠고 있었다고 케인 박사의 일기에 기록되어 있다. 케인은 라이트 박사의 설계 노트를 읽고도 그의 시스템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지만, 엑스를 참고로 자잘한 수정을 가해 처음으로 [[레플리로이드]]를 만들어낸다. 이후 엑스의 설계 사상을 이어받은 수많은 레플리로이드들이 만들어졌다. 즉, 모든 레플리로이드는 엑스의 마이너 카피인 셈이다. 록맨 X 애니버서리 컬렉션에 수록된 캐릭터 소개에 의하면 엑스 본인은 자신의 창조주나 제작 목적을 모른다. === 전투력 === >헌터 랭크는 확정되지 않은 상태지만, 일부에서는 특A급을 아득히 초월한 존재가 아니냐는 소문이 돌고 있다. >---- >[[록맨 X2]]의 캐릭터 소개 중 일부 >싸움을 즐기지 않는 다정함 때문에 헌터로서의 랭크는 B급이지만, 헤아릴 수 없는 능력을 지녔다. >---- >[[록맨 X5]]의 캐릭터 소개 중 일부 시그마의 반란을 진압한 이래 [[이레귤러 헌터]]의 실질적인 리더로 취급받는 인물이지만, '''임무에 적합하지 않은 성격''' 때문에 랭크는 [[록맨 X5]] 시점까지도 계속 B급에 머물렀다. 그나마 시그마에게 처음으로 승리한 X2 시점에는 잠깐 B급에서 벗어나 랭크가 정해지지 않은 인물이 됐지만, 그 뒤로 한동안 조용하다 싶더니 X5 시점에 소리소문없이 B급으로 돌아갔다. 물론 잠재 능력이나 실제로 보여준 전투 능력은 특A급 이상이며, 작중 엑스보다 전투력이 확실하게 우위인 로봇은 존재하지 않는다. 엑스의 전투력이 특A급 이상이라는 것은 실제 특A급 레플리로이드인 록맨 X1~X2의 보스들부터 당대 최강의 레플리로이드인 시그마를, 그것도 여러번 단신으로 모두 해치운 것만으로도 충분히 증명된다. 특A급의 명칭이 S급으로 바뀐 [[록맨 X 커맨드 미션]]에서는 엑스도 그간의 공적을 인정받고 마침내 S급 헌터가 되었다. 악을 증오한다는 점에서는 친구인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다르지 않고, 이레귤러 헌터로서 평화를 지킨다는 사명감과 책임감이 없는 건 아니다. 그런데 '''워낙 다정한 데다가 싸움 자체를 싫어하기 때문에''' 상대가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여도 파괴를 주저하며,[* 대표적으로 [[록맨 X6]]에서 [[레이니 터틀로이드]]가 게이트에 대한 의리와 본인의 임무를 위해 싸워야 하니 자기 목숨을 거둬달라며 부탁하자, 엑스는 싸우고 싶지 않다며 거부하다가 다른 방법이 없어서 싸우게 되는 반면 제로는 그럼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며 망설임 없이 그의 요청을 받아들인다.] 이러한 다정함과 정의감 사이의 갈등 때문에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여 B급으로 분류된 것. 이 다정한 성격이 다른 헌터들의 눈에는 '''물러터진 것'''으로 보이는 바람에 그의 괴로움을 이해하는 자가 많지 않다는 점이 [[록맨 X3]]까지도 꾸준히 강조된다. 이 중 이해하고 있다는 게 명확하게 드러난 건 제로 정도다. >'''주인공'''. 전 이레귤러 헌터 제17정예부대 대장. 눈부신 활약을 계속해왔지만 힘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일에 의문을 느껴, 평화적인 해결을 추구하여 일선에서 물러났다. >---- >[[록맨 X7]]의 캐릭터 소개 >전 제17정예부대 대장. 되풀이되는 시그마의 반란을 저지한 불굴의 이레귤러 헌터. 싸워야만 얻을 수 있는 평화에 의문을 품고 있다. >---- >[[록맨 X8]]의 캐릭터 소개 이러한 갈등이 극에 달한 게임이 바로 [[록맨 X7]]으로, 힘으로 상대를 짓누르는 일에 의문을 제기하다가 결국 전투가 근간을 이루는 액션 게임에서 주인공이 전투를 거부하기에 이른다. 결국에는 도중에 전선에 복귀하지만 '싸움으로만 쟁취할 수 있는 평화'에 의문을 품는다는 설정은 [[록맨 X8]]까지도 유지된다. === [[시그마의 날]]~[[이레귤러 헌터 X]] === '인간과 동일한 사고'가 [[레플리로이드]]의 기본적인 특성이었던 원작과 달리, 오직 엑스만이 다른 레플리로이드 이상으로 깊게 고뇌한다는 차별점이 생겼다. [[Dr. 케인]]은 이 고뇌가 인류와 로봇 사이에 지금까지 없던 관계를 만들어낼 가능성이라 생각했으며,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는 이에 의문을 품고 엑스를 시험대에 올렸다가 그가 만족스러운 답을 행동으로 보여주자 거기서 레플리로이드의 가능성을 보고는 본격적인 반란을 시작한다.[* 원작에서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가 이레귤러화한 원인은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를 통해 감염된 미지의 바이러스였으며, X1에서는 엑스의 성장 가능성에 관심이 조금 있었을 뿐 특별히 경이롭게 여기지도 않았다.] 정작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는 고뇌밖에 못하는 로봇이 무슨 레플리로이드의 미래냐며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의 계획에 대놓고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고 [[아이시 펜기고]] 역시 반란 이전부터 엑스를 탐탁지 않아 했다. 참고로 다정한 성격 때문에 헌터 랭크가 B급이라는 점이나, 다른 헌터들에게 물러터진 놈 취급을 받는다는 설정은 원작과 동일하다. 이 다정한 성격은 [[시그마의 날]]에서 특히 강조되는데, 폭주하는 메카니로이드가 동료를 붙잡고 버티자 동료가 다칠까봐 사격을 한참 동안 망설였다. 해프닝이 생긴 후 시그마는 '우리는 이레귤러 헌터며, 방아쇠를 당기는 걸 주저해선 안 된다'라는 충고를 해 주며, Dr. 케인에게 설명을 듣고 흑화한 후로는 제로를 인질로 붙잡고 똑같은 대사로 엑스를 도발한다. == 무장/능력 == === 엑스 버스터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X_standard_armor.jpg|width=400]]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egamanMHX.jpg|width=450]] || 록 버스터 Mk.17이라고도 불리는 물건. 손을 아래팔에 수납하고 총구를 드러낸 다음 태양 에너지를 고출력 빔으로 바꿔서 발사하는 장치다. 대다수의 게임에서 3연사가 가능하다. 또한 양팔을 전부 버스터로 바꿀 수 있지만, 더블 차지 샷을 쏠 때와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한 팔만 사용한다. ==== [[차지샷]] ==== [[파일:1449592303_preview_Mega_Man_X_Charge_Blast.gif]] 엑스의 팔에는 '''에너지 증폭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버스터 발사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에너지가 증폭되며, 버튼을 떼면 보다 강력한 샷이 나간다. 시리즈 첫 작인 [[록맨 X]]의 설명서에서는 이를 '''하이퍼 X 블래스터'''라고 불렀다. 참고로 비슷한 시기에 나온 [[록맨 6]]에서 [[록맨]]의 차지 샷을 하이퍼 록 버스터라 불렀다. 기본적으로 2단계의 차지가 가능하며 아머에 따라 성능이 변화하기도 한다. [[록맨 X3]]까지는 차지 가능한 단계가 늘어났으며 [[록맨 X4]]부터는 주로 2단계 차지 샷의 강화가 이루어졌다. 예외적으로 [[록맨 X8]]의 경우 아머가 없는 엑스마저도 차지가 3단계로 분화되었다.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아머를 장착한 이후 역으로 차지 샷이 약화되기도 한다. [[블레이드 아머]]와 [[헤르메스 아머]]가 대표적. ==== 특수 무기 ==== 아머에 이은 엑스의 또 다른 아이덴티티. [[프로젝트 크로스 존]], [[프로젝트 크로스 존 2 : 브레이브 뉴 월드]] 등의 [[크로스오버물]] 작품에 엑스가 나올 때도 여러 개의 특수 무기를 사용하고,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에서도 필살기로 특수 무기를 4개만 들고 나와서 적지 않은 비판을 들을 정도(...). 선배 기종인 [[록맨]]과 마찬가지로 쓰러뜨린 상대의 무기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다. 대다수의 레플리로이드가 엑스의 설계 사상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로, 엑스의 팔에 내장된 '''무기 가변 시스템'''에 보스들의 특수무기 칩을 장비함으로써 버스터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게임상에서는 8 보스의 능력을 흡수하여 게이지가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그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엑스의 재질이 [[록맨]]과 다른 금속임에도 불구하고 특수 무기를 장비하면 록맨처럼 몸의 색이 변한다. 특수 무기 차지는 [[팔콘 아머]]나 [[가이아 아머]]나 [[쉐도우 아머]]를 제외한 아머의 암 파츠 기능이다. === [[제트 세이버(록맨 시리즈)|제트 세이버]] === [[록맨 X3]]에서 처음으로 빌려 쓸 수 있는 무기. 그 뒤 [[록맨 X5]]의 결말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에게서 물려받고, [[록맨 X6]]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수 무기 버튼으로 쓸 수 있지만 제로처럼 세 번 연속으로 베지는 못한다. 대쉬와 특수 무기 버튼을 연타하면 일명 난무가 되기는 하지만 이것도 딜레이가 커서 그다지 효율이 좋지 않다. 그 대신 [[블레이즈 히트닉스]]를 잡고 공중에서 마그마 블레이드를 쓰면 공중에 조금 더 머무를 수 있고, [[블레이드 아머]]와 [[섀도우 아머]] 모두 세이버를 응용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 대시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Dashing_X.jpg|width=500]]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ega_Man_X_Armor_-_Acceleration_System.png|width=500]] [[파일:Screenshot_2019-03-28-18-12-58.jpg|width=500]] 엑스의 다리에 내장된 '''긴급 가속 시스템'''. 명칭 자체는 [[사이보그 009]]의 패러디다. 처음에는 [[퍼스트 아머]]의 풋 파츠를 얻어야 가능했지만 [[록맨 X2]]부터는 아머 없이도 쓸 수 있게 되었다. 대신 [[록맨 X2]]~[[록맨 X6]]에서는 특정 아머를 착용했을 때에 한해 공중에서 '''에어 대시'''를 쓸 수 있다. [[록맨 X7]]부터는 아머를 착용하지 않아도 에어 대쉬가 가능하게 되었다. === 삼각 점프 === [[파일:cbrSfX (2).gif]] 벽에서 벽 방향으로 방향 버튼을 누른 채로 점프를 누르면 벽을 차면서 같은 벽을 계속 오르게 된다. 만화판 한정 설정으로 '''전설의 기술'''이라고 한다.[* 극초반부 엑스는 삼각 점프를 습득하지 못해서 그대로 낙사할 뻔 했다가 제로에 의해 구출됐다.] 게임상에서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나 [[플레임 스태거]] 등 두 벽 사이를 뛰어다닐 수 있는 [[레플리로이드]]가 꽤 있기는 한데, 엑스,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액셀(록맨 X 시리즈)|액셀]]이 행하는 한 벽을 차서 오르기는 저것들과는 차원이 다른 기묘한 기술이다.[* 벽을 오르기 위해 발로 차면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몸이 뒤로 밀려나며, 게임상에서도 벽타기를 하면 몸이 뒤로 밀려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등 쪽에 가속 장치가 있어서 밀려난 몸을 다시 벽으로 붙여준다고 보면 될 듯하다. 실제로 만화판에서 엑스가 처음 삼각 점프를 할 때 등 쪽에 부스터가 전개되는 묘사가 나왔다.] === [[샤이닝 핑거]] === [[파일:O6zT.gif]] [[시그마의 날]]에서 딱 한 번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에게 사용하고 그대로 두 눈에 흉터를 남긴 기술. 공식 명칭은 당연히 아니지만 말 그대로 손이 빛나는 지라 이렇게 불리고 있다. 마침 [[도몬 캇슈]]의 영어판 성우가 엑스와 같아서 [[성우 개그|도몬의 영어판 대사와 합성한]] [[https://www.youtube.com/watch?v=-g-nWiqblzE|영상]]도 있다.[* [[록맨 X8]]의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의 영어판 성우는 [[마스터 아시아]]의 성우다.] === [[록맨 X 시리즈/아머|아머]] === [include(틀:록맨 X 시리즈/아머)] 여러 스테이지에 캡슐의 형태로 숨겨져 있는 파워 업 파츠. [[록맨 X5]]와 [[록맨 X6|X6]]를 제외하면 엑스 자신이 접근해야 캡슐이 열린다. 아머가 따로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X1과 X2에서는 제각기 [[파동권(록맨 X 시리즈)|파동권]]과 [[승룡권(록맨 X 시리즈)|승룡권]]도 이러한 캡슐을 통해 습득할 수 있다. [[Dr. 라이트|라이트 박사]]의 예언자설 내지 생존설의 핵심적인 증거이다. 10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매번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엑스가 가는 곳에 알아서 대령해주신다. '''현재도 생산 중일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하는 유저도 있을 정도. 캡슐에 나타나는 홀로그램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당대의 상황을 모두 알고 있으며 아직도 싸움이 일어난다고 탄식을 하는 것도 모자라 [[에이리아]]의 이름과 재능까지도 알아본다. 이게 단순한 녹화 영상이라면 실로 [[노스트라다무스]] 뺨치는 대예언가라고 봐도 할 말이 없을 정도이니 더더욱 녹화 방송이라고 보기 어렵다. 심지어 [[이나후네 케이지]]가 인터뷰에서 [[Dr. 와일리|와일리 박사]]는 [[록맨 X 시리즈|X 시리즈]]에서도 바이러스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발언을 했기에, 라이트 박사 또한 정말 다른 형태로 존재할 가능성이 늘었다. 코믹스판에서는 위기의 순간에 필요한 파츠가 '''자동'''으로 소환되어 장착된다. 예를 들어 가시밭에 떨어져 죽기 직전에 풋 파츠를 소환하는 식으로 장착한 뒤 에어 대쉬를 사용해서 위기를 모면한다거나. PS/SS/PC판 [[록맨 X3]]에서 추가된 오프닝 애니메이션에서도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팰리스에 돌입하려다 게이트가 내려오자 엑스가 몸에서 빛을 내뿜으며 [[퍼스트 아머]]를 장착하고 대쉬로 돌파한다. 그리고 시그마의 칼을 피한 뒤 [[세컨드 아머]]로 변환하자 이걸 본 시그마도 표정을 일그러트리더니 역시 번쩍하고는 네오 시그마로 변신한다. 시리즈를 막론하고 캡슐에서 라이트 박사가 무슨 말을 하든 '''정작 엑스는 말 한 마디도 안 한다.''' 아무리 자기 창조주를 모른다고 하지만 매번 자기를 파워 업 시켜주는 과학자가 누군지에 대해서 관심도 없는지, 대답 한 마디 안 하고 잠자코 듣고 있다가 파츠만 받는다(...). [[록맨 X]]의 리메이크 작품인 [[이레귤러 헌터 X]]에 와서야 겨우 반응을 보이지만, 이마저도 '이 사람을 알고 있다' 정도로 어중간하다. 오히려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라이트 박사와의 회화가 조금씩 나오는 편이다. 아머 같은 거 가지고 싶지 않냐는 라이트의 말에 본인은 그런 거 필요없다고 하거나, 본인을 수리해 준 게 누구인지 라이트에게 묻는 등 엑스보다도 제로가 더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인게임에서는 이 아머가 제공하는 추가 방어력과 준수한 공격력으로 인해 엑스는 모든 시리즈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액셀(록맨 X 시리즈)|액셀]]이 가지지 못하는 훌륭한 안정성을 지니게 된다. [[록맨 X5]]나 게임이 지나치게 어려워진 [[록맨 X6]]에서도 아무리 너프 먹었어도 전작의 아머를 기본적으로 줌으로서 게임이 그나마 수월해지는 편. 허나 반대급부로 아머 없는 엑스는 쓸 이유가 거의 없어져서 '''[[템빨]]''' 의혹에 시달리게 되었다. 예외라면 엑스 본인 자체가 중간 합류하는 다회차 특전 캐릭터가 된 X7 정도. == 작중 행적 == === [[록맨 X 시리즈]] === ==== 과거 ==== [[Dr. 케인]]에 의해 발견된 직후에는 딱히 눈에 띄는 행적이 없으나,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가 이레귤러로서 발견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를 포획한 이후 엑스 자신도 [[이레귤러 헌터]]가 되었다. 당시 시그마는 제로를 감시하기 위해 자신의 부하로 삼았는데, 얼마 후 엑스 또한 같은 이유로 제17정예부대에 입대하게 된다. ==== [[록맨 X]] ==== 한때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가 지휘했던 제17정예부대에 속한 이레귤러 헌터. 상냥한 본성 때문에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B급에 머무르고 있었다. 그리고 시그마의 반란에 대항하던 자들이 모조리 파괴당하거나 굴복하는 바람에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단 둘이서''' 그의 군단에 맞서는 처지에 놓인다. 오프닝 스테이지에서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에게 잡혔다가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에게 구출받고, 자신의 나약함에 한탄하나 제로의 조언을 듣고 다시 일어나 이레귤러가 된 다른 헌터들을 하나하나 쓰러트린다. 끝내 시그마와 바바를 쫓아가 그들을 쓰러트리는 것을 성공하게 되나, 이 과정에서 유일무이한 전우였던 제로를 잃게 된다. 엔딩에서는 어느 절벽에 서서 시그마의 요새가 무너지는 것을 바라보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 때 나오는 텍스트에서 그의 싸움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것이 암시된다. 이후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의 부재로 자리가 비어버린 17부대의 대장을 맡아서 X6에서 이레귤러 헌터가 몰락을 거듭한 끝에 모든 부대가 통폐합될 때까지 역임한다. 거의 본인이 직접 출격하는 게 대부분이라 그다지 부대장이라는 느낌은 들지 않지만(...). ===== [[이레귤러 헌터 X]] ===== 본편 내 스토리의 흐름은 [[록맨 X|록맨 X1]]과 거의 유사하지만 자잘한 스크립트가 추가·변경되었다. 가장 크게 바뀐 부분을 들자면 처음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의 대화에서 엑스 자신의 나약함에 대한 한탄이 드러나던 내용이 담백하게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에 대한 의문 및 나중에 다시 합류하자고 약속하는 걸로 바뀌는 정도. 그리고 제로에게 구해줘서 고맙다고 말한다.[* 여기서 작중 '''유일하게''' 엑스가 미소 짓는 스탠딩 일러스트가 나온다.] 대사가 [[록맨 X|X1]]에 비해 대폭 늘어나면서 열혈청년 같은 이미지가 강해졌으나, 1회차 클리어 특전 OVA나 보스들과의 대화를 보면 상냥한 성격은 여전하며 그 성격 때문에 이전부터 상급 헌터들에게 많이 무시받았지만 한편으론 허망하게 죽어나가는 하급 헌터들을 여럿 살려 인망이 넓었던 듯. OVA를 보면 폭주하는 메카니로이드를 제압할 때 다른 대원들은 차단선을 맡는 동안 혼자 공중 강하로 투입되어 의표를 찌르는 임무를 맡고 작전 회의에서도 발언권을 받는 등 실질적으로는 B급 이상의 대우를 받는다. 이렇게 실력은 뛰어나지만 연민, 동료애 등등 때문에 전투 중 망설이는 모습을 많이 보여 평판이 좋지 않았는데 시그마는 이 점을 이용하여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아이시 펜기고]], [[버닝 나우만더]] 등에게 엑스에 대한 반감을 부추겼다. 이 외에도 설정도 일부 바뀌어서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의 얼굴에 상처를 남기는 업적을 달성하고, 시그마가 반란을 일으킨 원인이 '''엑스에게서 '가능성'을 엿보았기 때문에'''라고 그려지고 있다. 어떻게 보면 게임 타이틀 그대로 [[이레귤러 헌터 X]]의 시작점을 담당하는 셈.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모드에서는 오프닝 스테이지에 나오나 이쪽에서는 주인공이 아니다 보니 라이드 아머도 없이 맨 몸으로 싸운 바바에게 패배.[* 사실 엑스 모드에서도 인트로 스테이지와 시그마 펠리스 스테이지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구해주기 전까지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의 라이드 아머에 잡혀 무기력하게 비명만 지르고 아무 것도 못하는 모습(...)이 묘사되기는 한다.] 마침 딱 맞게 도착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그를 데리고 귀환한다.[* 엑스를 제압한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는 쓰러진 엑스를 비웃으며 계속 공격, 결국 엑스는 정신을 잃는다.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오지 않았더라면 엑스는(...).] 시그마 펠리스 스테이지 3번째에서는 퍼스트 아머를 입고 제로와 협공하지만 인트로 스테이지와 동일한 결과를 맞이한다. 직후에 나오는 바바의 엔딩에서는 거의 너덜너덜해진 상태로 바바에게 파괴당하는 듯 하였으나 제로와 함께 기습하여 쓰러뜨린다. ======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모드에서 나오는 패턴 ====== [* 난이도 하드 기준이다.] 최종보스. 여기선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팀을 짜서 한꺼번에 도전해오는데, 제로나 엑스 둘 중 하나가 먼저 나와서 싸우다가 시간이 되면 후퇴하고 쉬고 있던 다른 한 명이 다시 나와서 싸우는 방식을 취한다. [[록맨 X8]]이나, [[록맨 X2 소울 이레이저]]에서 나오는 묘사와 흡사한데, 이번엔 적의 입장이 되어 상대가 교대를 하는 것을 감상할 수 있다. 여기서의 엑스는 퍼스트 아머를 전부 장착한 상태로 싸우며 격파당하면 아머가 사라진다. 기본적으로 날리는 X 버스터는 총 4가지 패턴이 있다. 첫째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세 번 발사하는데, 짧게 점프해서 끊어주거나 숄더 파츠로 체공해서 피해주면 된다. 다만 이 뒤에 뭐가 날아올지 알 수가 없어 조심해야 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로는 점프하면서 발사하는 패턴이 있는데, 하나는 점프하면서 한 발, 최고점에서 한 발, 착지해서 한발 발사하는 것으로 쫄지말고 점프하지 않으면 1, 2발은 그냥 피한다. 3번 째는 피하기 쉬우니 간단히 점프. 다른 하나는 서서 한 발, 거의 동시에 점프하면서 한 발, 최고점에서 한 발. 처음에 점프해서 피하면 간단히 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앞으로 달려오면서 세 발. 갑작스럽게 날아오기 때문에 피하기가 난감한데, 거기다가 연계 패턴까지의 쿨타임도 상대적으로 짧아서 제일 골때리는 패턴 중 하나다. 체력이 어느 정도 줄어들면 차지 샷을 섞어쓰기 시작하며,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격퇴시 분노했을 땐 '''공격하는 패턴은 같되 발사하는 버스터 샷이 전부 2단 차지 샷으로 바뀐다. 즉, 아무런 차지도 없이 2단 차지 샷을 난사하는 엑스를 볼 수 있다.'''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같이 시전하는 연계 공격은 두 가지 패턴이 있는데, 하나는 제로가 5줄 이상 체력이 깎인 상황에서 엑스와 교대할 때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의 앞뒤에서 포위한 상태로 버스터 연사를 하는 것이다. 바바의 특성인 '숄더 무기를 사용할 때는 무조건 부유한다.'를 이용해서 최대한 피해야 하지만 만일 숄더 무기의 에너지 컨슘이 심한 거라면 모두 피할 생각은 버리는 게 좋다. 아니면 엑스의 뒷편이나 제로의 뒷편에 붙어서 벽으로 계속 달려도 피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엔 패턴 종료 후 엑스의 후속타를 피하기가 쉽지 않다. 다른 연계 공격 패턴은 엑스가 5줄 이상 체력이 깎인 상황에서 교대할때 서로 서로 같은 장소에 모인 다음, 더블 차지 샷을 [[록맨 X 시리즈|X 시리즈]] 최초로 사용하는데, 이 때 둘의 버스터 샷이 섞인 다음 다시 4방향으로 흩어져서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를 향해 날아간다. 피하려면 화면의 끝에서 가만히 서 있다가 다가오는 순간 타이밍 좋게 점프를 해서 피하든가, 특정 무기를 사용해서 상쇄시킬 수 있다. 그 외에 간혹 특수무기인 [[런처 옥토펄드|호밍 토페도]]를 몇 발 발사하거나, [[스톰 이글리드|스톰 토네이도]]를 차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격파됐을 경우 한 번에 생성되는 호밍 토페도 및 스톰 토네이도의 개수가 증가한다. 체력은 엑스나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나 16줄이며, 4줄 이상 체력이 깎이면 교대한다. 따라서 엑스를 세번의 페이즈만에 쓰러뜨리지 못하면[* 즉, 한 페이즈당 5줄 이상 깎지 못하면 말이다.] 무조건 제로가 먼저 쓰러지게 되어있다. 제로의 방어력이 낮기 때문에 만일 대미지 분배를 잘못해서 엑스의 체력이 많이 남은 상태로 제로를 파괴하면 방어력이 높은 엑스 쪽이 각성한 상태가 더 까다롭다. 여담으로 먼저 격파당한 보스는 쓰러지면서 파트너에게 사과하는 대사를 말하고 나중에 격파당한 보스는 비명을 외치며 쓰러진다. ==== [[록맨 X2]] ==== 시그마를 파괴하고 반년쯤 지났을 때 [[카운터 헌터]]가 반란을 일으키자, 그들을 저지하기 위해 다시 싸우러 나서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세 조각으로 나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보디를 카운터 헌터들에게서 회수[*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파츠들을 다 회수하지 못하면 제로는 [[카운터 헌터]]들에 의하여 조립되어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에게 세뇌된 채로 엑스와 싸우다가 정신을 차리게 된다. 참고로 본래의 두뇌 칩은 전작에서 제로가 자폭한 이후에도 손상되지 않아 이레귤러 헌터 기지에 보관되어 있었다.]하여 제로를 부활시키고, 다시 부활한 시그마를 또 다시 격파하게 된다. 코믹스판 [[록맨 X2|X2]]에서는 제로와 콤비로 시그마를 쓰러뜨리는 장면은 그야말로 가슴이 뜨거워지는 명장면. ==== [[록맨 X3]] ====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를 다시 격파하고 한숨 쉬는가 싶었더니 이번에는 [[Dr. 도플러]]가 반란을 일으키는 바람에 결국 이번에도 전장으로. [[맥(록맨 X 시리즈)|맥]]에게 한번 잡혔다가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에게 구출되기도 하고 알고 보니 도플러의 배후에 있었던 [[시그마 바이러스]]로 고통받기도 하는 등 또 고생을 하게 된다. 엔딩 장면 중 절벽에서 무너진 연구소를 바라보는 부분에서 '''언젠가 생각나게 될 자신의 기억'''이,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의 싸움을 운명짓는다는 것도 지금은 모른 채..."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 기억은 이후 전혀 언급되지도 않는 떡밥이 되어버렸다. ==== [[록맨 X4]] ==== '''엄연히 [[록맨 X 시리즈|X 시리즈]]의 주인공임에도 비중이 거의 없다.'''[* 이렇게 된 원인은 바로 '''그 당시 자신이 직접 디자인한 [[제로(록맨 X 시리즈)|한 캐릭터]]에게만 지나친 [[푸시]]+편애를 한 [[이나후네 케이지|이 인간 때문이다]].''' 평소에 애착을 갖고 있던 제로를 주역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 자신이 제작에 다시 참여한 이 작품에서 제로에게 비중을 더 많이 할애했고, 이 때문에 엑스는 엄연히 자신이 주인공이며 [[록맨 X 시리즈|자신의 이름을 내건 작품]]에서 [[페이크 주인공]]급으로 밀려났다. 그 이후 [[이나후네 케이지|이 인간]]이 퇴사한 이후에 개발한 [[마이티 No. 9|역대급 실패작이자 최악의 킥스타터 게임]]을 보고 이 인간 때문에 그동안 분노했던 록맨 팬들 중에는 [[록맨 시리즈]]들과 [[록맨 X 시리즈]]의 리메이크 게임 혹은 리부트 게임들과 신작들이 제작되면 스토리 등을 수정하면서 반드시 꼭 엑스를 포함한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이 동등한 비중을 두고서 라도 나와야 한다는 팬들의 얘기도 있다.] 기본적인 스토리의 틀은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비슷하여, [[커넬]]과 다른 [[레플리포스]]들이 독립국가를 세우기 위해서 반란을 일으키고, 더 큰 싸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려고 한다. 그런데 앞서 말한 것처럼 해당 작품에서 엑스의 스토리는 [[아이리스(록맨 X 시리즈)|비극]]과 [[Dr. 와일리|충격적인 반전]]으로 구성된 제로에 비해서 별다른 임팩트 없이 평이하게 굴러갔다. [[https://shmuplations.com/megamanx4/|개발자 인터뷰]]에 의하면 제로에게 처음으로 연심을 품은 이를 죽이는 비극을 줬다면 엑스에게는 [[더블(록맨 X 시리즈)|자신처럼 유약한 겁쟁이라는 오해를 사는, 같은 괴로움을 공유하는 줄로 알았던 친구]]가 알고 보니 처음부터 피와 눈물이 없는 악당이자 배신자였다는 비극을 줬다고는 하는데, 제로 스토리의 임팩트가 워낙 강했고 아이리스의 디자인이 워낙 화제가 되어서 부각되지 못했다.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도입된 애니메이션 컷신에서 엑스가 제대로 나오는 건 오직 엔딩 하나[* 굳이 더 넣자면 오프닝 영상과 더블이 정체를 드러내는 컷신의 목소리 출연이다.]가 전부인 등 이래저래 취급이 나쁘다. 그나마 천만다행으로 성능은 양호하고 X4의 아머인 [[포스 아머]]가 시리즈 최고의 아머 중 하나로 꼽힐 정도며 몇몇 보스의 약점을 제대로 찌르지 못하는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보다 확실히 보스의 약점을 찌르기가 쉬운 편이다.[* 후속작들인 [[록맨 X5]]과 [[록맨 X6]]에서는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도 나름 성능이 발전되었지만, X5에서는 [[라이프 업]]을 다 얻지 못하는 데다가 분기에 따라서는 적으로 타락하면서 이탈할 수도 있다는 디메리트가 생겼고, X6에서는 처음부터 제로로 플레이할 수 없게 되어있다.] [[What am I fighting for~!|게임 역사에 길이 남을 충격적인 성우 연기]]로 워낙 유명한 북미판 X4이지만 엑스의 보이스는 그래도 청각 테러급의 못 들어줄 수준은 아니다. 북미판의 성우가 여성이라서 약간 변성기 이전의 청소년, 혹은 여성 같다는 점이 흠. 특히 [[https://www.youtube.com/watch?v=h53_NGLyErE|스토리 상 반전 장면에서 무전을 받을 때 혀 짧은 소리가 극에 달하고]], [[https://www.youtube.com/watch?v=3JcYTYB3dz0|엔딩에서 제로와 대화를 나눌 때는 불안한 캐릭터 심리 연기 탓에 아예 소년티도 안 나는 여성 목소리로 말한다.]] 그나마 목소리는 다른 성별이라는 한계를 넘지 못했으나 성우의 연기력이 뒷받침돼서 최소한의 감정과 분위기는 전달되었다. 목소리도 저예산 영화 스러운데 연기마저 파멸적인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에 비하면야...[* 엑스 엔딩 영상만 봐도 엑스는 명예로웠던 제너럴의 죽음과 더블의 진실 등으로 애통해하며 제로에게 간곡히 호소하는데 제로는 무슨 남 일 얘기하듯 몹시 귀찮다는 듯이 대답한다.] 그나마 엑스의 캐릭터성이 투쟁심 못지 않게 상냥함, 즉 여리고 부드러운 면도 크게 부각되는 캐릭터이기 때문에 소년 목소리가 덜 어색했다는 점이 위안거리이다. 엔딩에서 대형 떡밥을 하나 남기게 되는데, 바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에게 말한 '''"만약 내가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화가 된다면, 네가 처리해줘."'''라는 대사. 이 대사는 당시 많은 록맨 시리즈 팬들에게 충격을 안겨줬으나 딱히 이후 시리즈에선 언급이 없다. 일단 [[록맨 제로 시리즈]]에서 실현되었다.[* [[카피 엑스]]가 비록 카피라지만 카피 엑스는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가 된 엑스"를 상징하는 캐릭터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 [[제로(록맨 제로 시리즈)|제로]]의 모습을 통해 이 떡밥을 해소했다고 볼 수 있다. 애초에 사실 [[록맨 제로]]의 초기 설정으로 진짜 엑스를 [[최종 보스]]로 등장시켜 구현하려고 했다. 즉 진짜 떡밥이나 다름없었다. 물론 [[록맨 제로 시리즈]]는 외주로 시작된 게임이고 당시 캡콤에서 히어로이자 [[록맨 X 시리즈|X 시리즈]]의 다음 작품을 위해 엑스의 이미지를 훼손시킬 수 없다는 이유로 기각해 현재의 카피 엑스 설정이 되었지만 말이다.] ==== [[록맨 X5]] ==== [include(틀:록맨 X5/보스)] ||<-18> [[파일:Rockman_X_DiVE_Hunter_X_(Ultimate_Armor).png|width=300]] || ||<-18> '''{{{+3 {{{#fcdd00 [ruby(엑스, ruby=얼티밋 아머)]}}}}}}[br]{{{#fcdd00 エックスアルティメットアーマー / X ULTIMATE ARMOR}}}''' || ||<-3> {{{#fcdd00 약점 무기}}} ||<-15> '''[[샤이닝 호타루니쿠스|멸섬광]] / [[번 디노렉스|단지염]]''' || ||<-3> {{{#fcdd00 스테이지}}} ||<-15> 포인트 11F5646 - '''영공간 스테이지(Zero Stage) 3 - ‘각성(覺醒)’''' || ||<-18> {{{#0419a8 '''"느낌으로밖에 알 수 없는 것이 있다는... 지금 그 말대로 그걸 느꼈어... 알겠어... 상대하겠어.. 숙명이란 말이지? 싸우겠어! 피하지 않아!"'''}}} ||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에 의해 스페이스 콜로니 [[유라시아(록맨 X 시리즈)|유라시아]]에서 [[시그마 바이러스]]가 발생, 전 세계에 퍼져나가고 한 술 더 떠서 유라시아는 지구로 추락하기 시작한다. 이를 막기 위해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함께 나서 저지에는 성공하지만 제로 바이러스가 퍼지게 되고 그 후 제로하고는 의견 차이로 인해 싸우게 된다. 싸움 이후 둘 다 쓰러지고 시그마가 엑스를 공격하려 했지만 제로가 이를 저지한다. 이후, 시그마와 싸움으로 인해 제로는 상반신만 남은 채 쓰러져 있고, 이를 본 엑스는 달려가 제로를 부축하다가 시그마의 레이저 공격으로 인해 가슴이 관통되어 쓰러진다. 이후 제로와 시그마가 죽고 상반신만 남은 엑스는 [[Dr. 라이트|누군가]]가 신체를 복구해줘서 목숨을 건진다. 이후,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행방불명된 자리에 유일하게 남아 있던 [[제트 세이버(록맨 시리즈)|제트 세이버]]를 지닌 채 귀환하고, 전장에 나설 때마다 이 세이버를 들고 향하며 오늘도 제로와 함께 싸우자며 의지를 다진다. 콜로니 추락을 막지 못할 경우, 지구는 콜로니의 직접 충돌로 인해 황폐화되고,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는 본래의 잔인한 인격으로 각성하여 서로 싸우게 된다. 그리고 일반 루트와는 달리, 싸움 직후 제로는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의 공격을 막아내지 못하고 엑스를 지키려다 죽는다. 엔딩에서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와의 전투 이후, 폭발로 인해 상반신만 남게 되고 [[Dr. 라이트|누군가]]가 구해주는 것은 같다. 차이점이라면 파괴되는 정도가 더 심해져서, 관통당한 흉부와 양팔을 제외하면 몸통 부분이 조금이나마 보존돼있던 굿 엔딩 루트와 달리 아예 머리 외에는 약간의 철골밖에 남지 않는다. 또한 신체가 복구되는 과정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에 관한 기억이 지워지는데, 엑스를 복구해 준 [[Dr. 라이트|장본인]]이 엑스가 괴로운 기억을 잊어버리길 원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외부로부터 제로에 관한 데이터를 받을 수 없도록 프로텍트까지 걸어놨으며, 이 때문에 자신에게 뭔가 잃어버린 기억이 있다는 걸 알면서도 엑스답지 않게 별 거 아니라는 듯이 넘기는 모습을 보인다. 지구를 복원하면서 '인간과 레플리로이드가 공존할 수 있는 낙원, '''[[헤븐(록맨 대시 시리즈)|헤븐]]'''을 만들겠다'고 다짐하는데, [[록맨 대시 시리즈]]의 그것일 가능성이 높다.[* 비록 [[록맨 대시 시리즈]]에 등장하는 데코이들이 [[레플리로이드]]들의 진화형이긴 하나, 인간보다 특별히 대단한 점이 없을 뿐더러, 그들은 자신들이 인간이 아니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다. 즉, 인간과 레플리로이드가 하나의 종족으로 통합되는 형태로나마 공존이 이루어진 셈이다.]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각성 루트가 아닌 제로로 플레이할 때에는 영공간 스테이지 3 '''각성(覺醒)'''에서 엑스와 싸우게 된다. 패턴은 다음과 같다. 1. 엑스가 대시하면서 차지 샷을 쏜다. 초반에만 조금 쓰고 그 뒤로는 특수 무기 위주로 쓴다. 피하기도 쉽다. 참고로 [[록맨 X5]]에서의 성능이 좋지 않은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버스터로도 상쇄가능(...). 2. 점프나 대쉬를 하고 [[스플릿 머쉬룸|소울 보디]] 차지 샷을 쓴다. 대미지는 높지 않으나 피하기가 매우 어려운 패턴이다. 엄청 빠르고 여러 개를 발사해대니 근접캐인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한테는 힘들다. 벽을 타고 올라가면서 피한 다음에 하강하는걸 반복해서 피하거나 엑스를 기준으로 점프로 넘어간 다음에 벽을 타면 피할 수 있다. 3. 점프나 대쉬를 하고 [[스톰 푸쿠로울|더블 사이클론]] 차지 샷을 쓴다. 대미지는 좀 높지만 더블 점프만 해도 피할 수 있는 패턴이다. 4. 마지막 발악기로 점프를 한 다음에 [[프로스트 키바토도스|프로스트 타워]] 차지 샷을 쓰는데 대미지가 높은 편이다. 틈 사이로 피하면 된다. 아니면 [[샤이닝 호타루니쿠스|멸섬광]]을 써서 피하는 것도 좋다. ==== [[록맨 X6]] ==== === 록맨 X6 (엑스) 하이맥스를 쓰러트린 후 === [youtube(8KuBLThSqns)] 하이맥스 : 어, 어찌된 일이냐? 스피드, 파워, 보디… 어느 성능도 지지 않는다. 너 같은 올드 로봇에게 지다니...! 말도 안돼!! 아이조크 : 으으으으. 하이맥스마저... 젠장! 여기서 일단은 후퇴해야 되나?! 엑스 : 기다려! 안 놓친다! 아이조크 : 이 구닥다리 올드 로봇놈! 이대로는 결코 끝나지 않아! 내 손으로 반드시 그 숨통을 끊어주겠다! 그 때까지 잘 있어라! 시그너스 : 엑스!! 진정해라! 우리들은 너를 잃어서는 안돼. 지금 싸움에서 데미지를 입고 있을 거야. 일단 헌터베이스로 돌아와라. 엑스 : 젠장! 거의 다 잡은 건데…심각은 금물인가? 알겠다. 귀환한다 === 록맨 X6 (엑스) 게이트를 쓰러뜨린 후 === [youtube(rZFILBJ3z-o)] 게이트 : 큭, 제로 DNA 가지고서도, 쿨럭, 이길 수 없다니...! 헉... 헉... 아니, 해석이 불완전했기 때문이다... 어, 어느 시대에 만들어졌는지 모르는 프로그램에 졌단 말인가...? 그래도, 크윽.., 아직 끝이 아니야. 나는 이대로 무턱대고 사라져가는 어리석은 놈들과는... 쿨럭, 다르다.. 이런 최악의 사태도 잘 대비해두었다,헉,헉... 이것만은... 쓰고 싶지 않았다 내 자신도 사라져버릴지도 모르지만... 악마를 부활시켰지... 시그...마 말이다. 시그마 : 지껄이지 마라, 꼬마! 그 정도로는 죽지 않는다!! 네놈의 도움 따위는 필요 없었다! 방해다! 사라져라! 게이트 : 크아아아아아아아아아악!!!! 시그마 : 큭, 이... 이걸로 방해자는... 너, 너희들뿐이다! 이번에야말로 결, 결판을 낸다.이 앞에서 기다리겠다. 엑스 : 킄, 또 저놈인가?! 하지만 아직 완전히 부활하지 않은 것 같군, 서두르자! 에이리아 : ...엑스 들려? 신경쓰이는데. 거기 쓰러져 있는 아이조크, 기능정지 상태야. 죽은 건가? 과거 이레이즈 사건과 비슷하잖아. 엑스 : 아무 반응도 없어... 도대체 이건? …아냐. 지금은 그럴 때가 아니야! 시그마를 뒤쫓는다! [[록맨 X5]]의 콜로니 충돌을 막은 루트에서 이어지는 스토리.[* 물론 정확하게 [[록맨 X5]]의 굿 엔딩을 따라가는 건 아니다. 하필 스토리가 [[이나후네 케이지]]의 개입 없이 당시 캡콤이 멋대로 만든 스토리라 유라시아를 충돌을 막는데는 성공했지만, 그래도 피해는 막심했다라는 굿 엔딩과 배드 엔딩이 섞인 듯한 복합적인 엔딩으로 3년 후가 아닌 무려 짧은 기간인 3주 뒤라는 점 때문에 상당히 애매하다.] 때문에 [[제트 세이버(록맨 시리즈)|제트 세이버]]를 들고 나오며, 공식 넘버링 중에서 [[록맨 X3]]와 더불어 세이버를 무장한 유이한 [[록맨 X 시리즈|X 시리즈]]다. X3에서의 세이버가 [[파동권(록맨 X 시리즈)|파동권]], [[승룡권(록맨 X 시리즈)|승룡권]]을 잇는 히든 비기임을 감안하면 공식 무장으로는 유일.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꿈을 꾸고 있는 도중 [[D-1000]] 날뛰자 [[록맨 X6]]에서 심각하게 하향된 [[팔콘 아머]]를 입고 복구작업을 진행하던 중 제로의 모습이 갑자기 나타나고, [[아이조크]]가 [[제로 나이트메어|제로의 망령]]과 [[나이트메어 바이러스]]가 관련되어 있다고 사람들에게 연설하는 것을 듣고 분노하여 진실을 밝히기 위하여 나이트메어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죽은 줄 알았던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재회하기도 하며, 무사히 재회하고 클리어 했을 경우에는 제로와 함께 [[에이리아]] 일행을 맞이하여 헌터 베이스로 돌아가는 훈훈한 엔딩. 만약 끝내 만나지 못한 경우에는 엔딩에서 '어딘가에서 살아있을 것이다'라고 확신한다. 물론 제로는 그 때 숨어서 흐뭇한 표정으로 엑스를 지켜보고 있었다(...). ==== [[록맨 X7]] ==== 최강의 [[레플리로이드]]로 명성을 떨치다가 '''계속되는 전쟁에 의문을 느껴서 은퇴했다.''' 그래도 싸움 말고 다른 쪽으로 해결할 길을 찾는다곤 하지만, 이 때문에 결국 [[이레귤러 헌터]]의 전력이 급격히 떨어져 [[RED ALERT#s-4|레드 얼럿]]이 등장하는 원인이 되어 버린다. 물론 메인 주인공이라는 위치상 마음을 고쳐먹고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액셀(록맨 X 시리즈)|액셀]]과 같이 싸우러 나가기는 한다. 이 설정에 매우 충실하게 '''엑스가 주인공임에도 불구하고 첫 플레이 시에는 조작할 수 없다.''' 8보스를 모두 클리어 하거나 구출한 [[레플리로이드]] 수가 64명이 되면 주인공 엑스를 플레이 가능해진다. 한 스테이지당 16명 구출이 가능하므로, 1회차에선 아무리 빨라도 5번째 스테이지부터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야기. 이게 플레이에 따라서 거의 중~후반부이라는 것이 게임 내에서의 큰 문제점으로 작용했다(...). 보스 회화에서도 기존 X 시리즈에서는 싸우고 싶어하진 않아도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의 파괴행위에 분노했을 땐 굉장한 투지를 보이는 데에 반해 유독 싸움을 거부하며 유약한 태도를 보인다.[* 전작에서 [[레이니 터틀로이드]]와 싸울 때에도 싸움을 거부하긴 했지만 이는 터틀로이드 같은 고결한 전사를 죽이고 싶지 않았고 터틀로이드의 본심은 게이트에 대한 충성과 이레귤러가 되었다는 수치 사이에 끼인 외통수에서 벗어나기 위해 엑스의 손을 빌려 자결하길 원한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이게 무적의 [[이레귤러 헌터]]가 맞는 건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유리멘탈]]이라 보스들한테 대놓고 무시당한다. 싸울 마음을 다잡은 게 아니라 거의 억지로 끌려나온 수준. 보스 회화 중에 "너희 때문에 또 (싸워야 하게 됐다)" 같은 대사까지 있다. [[액셀(록맨 X 시리즈)|액셀]]에 대해서는 처음 [[이레귤러 헌터|헌터]] 베이스에 왔을 때부터 가장 크게 질책하고, 엑스 본인의 엔딩 및 액셀의 엔딩에서도 여전히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액셀(록맨 X 시리즈)|액셀]]이 본인처럼 [[PTSD|거듭된 출동 속에 마모되어 망가질까 봐]] 일부러 차가운 태도를 보이고 헌터를 그만두게 하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그너스(록맨 X 시리즈)|시그너스]]가 이상만으로는 아무것도 시작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네가 싸우지 않으면 결국 누군가가 대신 싸우게 될 것이니, 차라리 액셀을 제대로 된 [[이레귤러 헌터|헌터]]로 교육시키기를 권유한다. 또한 네가 바라는 싸움 없이 해결할 수 있는 상황도 점점 줄어들 것이고 무엇보다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가 사라지는 날도 없을 것'''이라며 덧붙이기도 한다. 이 충고를 받아들인 것인지 속편인 [[록맨 X8]]에서는 액셀의 말을 받아들이는 장면이 늘어났고, 망설이기는 하지만 싸우는 것을 극단적으로 거부하는 모습은 거의 사라졌다.] [[스나이프 아리퀵]]의 발언이나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엔딩에서는 제로의 꿈 속에서 '''그를 향해 버스터를 쏘려고 하는데,''' [[록맨 X4]]에서 언급한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화 떡밥과 연관 있는지는 불명. 지쳤다며 신념이 흔들리고 무책임하게 책임을 내버리다가 갑자기 동료한테 난리를 치는 등 엑스의 갑작스러운 성격 변화는 [[록맨 X7]]이 [[똥겜|쿠소게]]라고 까이는 원인들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헌터 베이스에 머무르면서 전장에 나가지 않으려고 하는 행동 때문에 일본 팬덤에서의 별명은 '''[[니트족|니트]]'''. 다행이도 멘탈이 나가 책임을 외면한 채 아무도 모르게 도망가는 NPC가 되지 않았고, 작중에서 은퇴에 대해 이야기를 했었고 나중에 다시 복귀해 그래도 자신의 신념에 대한 믿음 만큼은 끝내 흔들리지 않았다. [[록맨 X7]]에서의 엑스의 성능은 노멀 상태에서도 무시무시한데, 그 원동력은 역시 크고 아름다운 크기의 차지 샷. 또한, [[글라이드 아머]]의 암 파츠로 강화된 버스터를 쓰면 '고뇌의 결과가 이런 것인가'라고 전율하게 만든다. X7부터 아머 없이도 '''드디어''' 에어 대쉬가 가능해져 기동성도 상승했다. 첫 엔딩을 본 이후로는 오프닝 스테이지만 클리어하면 처음부터 플레이 가능하다. 만약 1회차 때 [[글라이드 아머]]를 완성했다면 글라이드 아머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 [[록맨 X8]] ==== 또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또 그것을 막기 위해 또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액셀(록맨 X 시리즈)|액셀]]과 함께 출격하게 된다. 어찌저찌하여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와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를 쓰러뜨렸더니 알고 보니 뜬금 없이 [[루미네]]가 흑막이었고 다시 싸워 쓰러뜨리게 된다. 엔딩에서는 부상당한 액셀을 안은 채 신세대 [[레플리로이드]]의 각성과 자신들의 하는 일에 대해 고민에 빠지다가, '만약 그런 운명이 오게 된다면 우리는 또 다시 그 운명에 맞서 싸울 수 밖에 없다'라는 제로의 말에 무언가를 다짐한 듯한 표정을 짓는다. 디자인도 이전 작품들의 소년같던 디자인에 비해 청년에 가까워지고, 성우도 성격도 바뀌면서 [[록맨 X7]]과 대비되어 어른스러워진 인상이 됐다. 다만 화를 낼 때는 다른 [[록맨 X 시리즈|X 시리즈]]와 비교해도 엄청나게 화낸다. 특히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와 여러 번 조우할 때의 스크립트 및 본작의 엑스 일본어 성우인 [[사쿠라이 타카히로]]의 연기 톤 변화과정을 보면 아무리 봐도 쌓이고 쌓인 게 폭발한 모습(...).[* 실제로 특수 무기를 사용하는 보이스톤을 듣다 보면은 어째 아주 거칠고도 신경질적인 목소리로 들린다.] ==== [[록맨 X 커맨드 미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엑스(록맨 X 커맨드 미션))] [[록맨 제로 시리즈]]와는 별개의 22XX년의 이야기이며[* 발매 당시 기준.], 그 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S급 헌터로 공인받아 살아있는 전설로 추앙받는 존재가 되었다. 정부에서 내려온 명령에 따라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섀도우(록맨 X 커맨드 미션)|섀도우]]와 함께 기간티스에 파견되지만, 사실은 리베리온에서 보낸 스파이였던 섀도우의 배신으로 인해 습격을 받아, 혼자만 기간티스 내의 레지스탕스들에게 구출받게 된다. 이후 리베리온에게 지배받고 있는 기간티스를 구하기 위해 동료들을 모으는 것이 해당 작품의 스토리. 배신도 당하고 혼자 동분서주하기도 하고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감동의 재회를 했다가 다시 헤어지기도 하는등 온갖 고생을 하지만, 그래도 위기에 빠진 그를 구해주는 등 멋진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비슷한 시간대의 다른 세계인 [[록맨 제로 시리즈]]에서의 결말을 생각해 보면 그야마로 감개무량하게 느껴질 정도. ==== [[록맨 X 다이브]] ==== 기본 B급 캐릭터로 등장한다. 바리에이션으로 S급의 [[퍼스트 아머]], [[세컨드 아머]], [[얼티밋 아머]]가 있지만 모두 취급이 박한 편이다. PVP에서 실드를 보유한 캐릭터들에게 밀리는 것이 그 이유. 정확히는 화력은 노멀 엑스부터 아머 엑스까지 전부 막강하지만 능력치가 딜링에만 몰빵되어있고 자기 몸 보호할 수단은 없어 물몸에 딜만 쎈 편이다. 다만 이후 추가된 [[록맨 X 커맨드 미션]] 버전의 얼티밋 아머는 사기 취급(...). 일단 주인공에 대한 예우인지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함께 캐릭터 메뉴의 선택 대사가 바리에이션마다 다르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클로즈 베타 시절엔 노멀 엑스와 [[얼티밋 아머]]가 선택 대사를 공유했으며 1개는 정식 서비스 시에 [[퍼스트 아머]]로 옮겨졌다.] 노멀 엑스는 "여기는 엑스." / "엑스, 갑니다!", [[퍼스트 아머]]는 "[[료카이|알겠다]]." / "가자.", [[세컨드 아머]]는 "자, 간다!" / "늦지 않아서 다행이야.", [[얼티밋 아머]]는 "또 시작되어 버렸군." / "할 수밖에 없는건가."[* 추후에 추가된 [[록맨 X 커맨드 미션]] 버전 [[얼티밋 아머]]는 생뚱맞게도 "고마워." / "살았어."라는 대사를 말한다. 심지어 본래는 하나의 대사인 것을 둘로 나눴다.] ==== [[록맨 X/만화|코믹스판]] ==== [[록맨 X 시리즈]] 초기 게임인 [[록맨 X|록맨 X1]]에서 엑스의 대사가 거의 나오지 않아 심리 묘사가 제대로 그려지지 않은 것에 비하여 이 쪽에서는 감정이 다양하게 드러나는 편. 기본적으로 정의롭고 상냥하며 누군가를 해하는 것을 꺼리는 성격이지만,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등 정말로 구제할 수 없을 정도로 악한 자는 가차없이 쓰러트린다. 다만 본성이 상냥한 탓에 몇몇 적들한테 무르다거나 도련님이라는 등 조롱받기도 하고, 원한 적도 없었던 영웅으로서의 명성에 혹해 덤벼드는 이레귤러들 때문에 곤혹을 치르기도 한다. 본인 또한 이러한 성격 때문에 열심히 맞고 구르고 고뇌도 하고 [[흑화|타락]]해버리기도 한다. 코믹스판 오리지널 캐릭터인 마티에게 열심히 대쉬받고 있지만 그녀의 마음을 전혀 눈치채지 못하는 것을 보면 연애 면에선 매우 둔감한 모양. 이러한 둔감함은 위의 [[나나(록맨 X 커맨드 미션)|커맨드 미션에서도 이어진다.]] 코믹스판 한정으로 특별한 기능을 한 가지 더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눈물을 흘리는''' 기능. 초반부를 보면 눈물을 흘리는 것으로도 모자라 반려견의 죽음에 애통해하는 소녀에게 다가가 함께 울어주는 것을 보며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조차 '''"마…마치 인간 같아! 이 녀석은 도대체?!"'''라며 경악을 하는데, 이것은 사실상 엑스가 [[레플리로이드]]의 한계를 넘어선 존재라는 증거라고도 할 수 있는 능력이며, 엑스의 인간적인 면과 그 가능성을 나타낸 복선이기도 하다. [[록맨 X4]]의 후반부에서는 두 사람의 이러한 차이 때문에 잠시 서로 갈등을 드러내는 듯 하였으나[* 이게 엑스로선 좀 억울했던 것이 제로는 [[커넬|오랜 친구]]와 [[아이리스(록맨 X 시리즈)|그의 여동생이자 연심 품은 여인]]을 연이어서 베고 비통에 빠져 있었는데 마침 그때 자신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감격의 눈물을 흘리고 있던 엑스와 마주치자 슬플 때 눈물을 흘릴 수 있는 엑스에 대한 질투와 자괴감이 폭발한 것이다.], [[어른의 사정]]으로 코믹스가 급전개로 완결나다 보니 금방 화해하게 되었다(...). 이 외에 역겨움을 느낄수 있어서 토하기까지 한다(...). 물론 기계라 나온 건 나사같은 거였고 그걸 본 제로는 엑스의 인간적인 모습을 많이 봤지만 이 정도까지인 것에 좀 질린 듯 적당히 인간을 닮으라고 할 정도. 만화판 [[록맨 X|록맨 X1]]에서는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를 '선배'라고 부르며, 존댓말을 쓴다. 이 때문에 동인계에서는 제로를 선배라고 부르는 묘사도 종종 보이는 편.[* [[아치판 메가맨 코믹스 시리즈|아치 코믹스판]]([[https://blog.naver.com/ptj0969//221420482411|#]])과 [[록맨 X/만화|코믹스]]를 베이스로 한 소설판에 따르면 [[이레귤러 헌터]]로 활동하기 전에는 [[Dr. 케인|케인 박사]]의 조수로서 활동했다고 한다. 엑스가 조수 일을 하는 동안 제로 쪽이 먼저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밑에 헌터로 들어온 듯.] [[록맨 X2]]부터는 둘 다 부대의 대장으로 진급한 것 때문인지 원판은 게임과 똑같이 반말을 쓰게 되는데 한국 정발판은 이게 반영되지 않았다. === [[록맨 제로 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엑스(록맨 제로 시리즈))] === [[록맨 ZX|록맨 ZX 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델 X)] === 기타 매체에서의 출현 === 1999년 10월 21일 네오지오 포켓으로 발매된 SNK vs CAPCOM [[카드 파이터즈]], 2001년 9월 13일 1과 마찬가지로 네오지오 포켓으로 발매된 카드 파이터즈 2 익스팬드 에디션에서는 같은 [[록맨 시리즈]]의 캐릭터들과 함께 [[http://neogeo.freeplaytech.com/svc-2/archive/archive_cap_frame.htm|카드로 등장한다. 익스팬드 에디션의 엑스의 카드 번호는 C-039.]] 2006년 12월 14일 닌텐도 DS으로 발매된 [[카드 파이터즈]] DS에서도 같은 록맨 시리즈의 캐릭터들과 함께 카드로 등장하며 [[http://www.fightersgeneration.com/characters2/megaman-dss.png|엑스 본인은 청색 계열의 카드로 등장한다.]] [[포켓 파이터]]에서는 [[브레스 오브 파이어 3]]의 유년기 시절 니나, [[류(브레스 오브 파이어 시리즈)|류]], [[퀴즈 나나이로 드림스]]의 시오자키 쿠미코, 주인공, [[모리츠구 메구미]], 후지쿠라 모모코, [[록맨 대시 시리즈]]의 [[록 볼넛]], [[롤 캐스켓]], 포스터로 등장하는 [[뱀파이어 시리즈]]의 [[펠리시아]] 및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로즈(캡콤)|로즈]], [[오로(캡콤)|오로]], [[록맨 클래식 시리즈]]의 [[러시(록맨 클래식 시리즈)|러시]], [[롤(록맨 클래식 시리즈)|롤]], [[록맨]], [[사이버보츠]]의 [[슈퍼-8]], 지옥대사, [[데빌로트]], Dr.슈타인, [[록맨 대시 시리즈]]의 [[꼬붕]], [[트론 본]], 같은 [[록맨 X 시리즈]]의 [[아이리스(록맨 X 시리즈)|아이리스]],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브레스 오브 파이어 3]]의 모모, 하니(하니와를 닮은 소형 로봇병, 내비게이터), 청년기 [[류(브레스 오브 파이어 시리즈)|류]], 니나 등의 캐릭터들과 함께 포켓 파이터 가정용 이식작에서 추가된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egaman/images/d/de/PF_Running_Stage_complete.PNG/revision/latest?cb=20110522225739|런닝 배틀 모드 스테이지의 배경 캐릭터로 등장한다.]] [[데드 라이징]] 1에서는 게임 내 특정 조건을 달성하면 잠금 해제되는 의상으로 등장하고 [[데드 라이징 3]]에서는 [[록맨 X|록맨 X1]]에서의 [[퍼스트 아머]] 버전 엑스가 1회차 클리어 후 해금되는 코스튬으로 등장하며 [[데드 라이징 4]] 스페셜 에디션에서는 노멀 버전 엑스가 다른 캡콤 캐릭터들과 함께 캡콤 히어로즈(カプコンヒーローズ, CAPCOM HEROES) 모드의 [[https://www.youtube.com/watch?v=psyfUfQsI0s|콜라보레이션 코스튬으로 등장한다.]] 2012년 10월 25일 서비스를 시작, 2013년 4월 11일 서비스를 종료한 캡콤의 스마트폰용 게임 [[https://capcom.fandom.com/wiki/Minna_to_Capcom_All_Stars|모두와 캡콤 올스타즈(みんなとカプコンオールスターズ, Minna to Capcom All Stars)]]와 2013년 11월 19일 서비스를 시작, 2015년 5월 13일에 서비스를 종료한 캡콤의 스마트폰용 게임 [[https://capcom.fandom.com/wiki/Street_Fighter_×_All_Capcom|스트리트 파이터 X 올 캡콤(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オールカプコン, Street Fighter × All Capcom)]]에서는 게임 내에서 SD 캐릭터 디자인으로 등장하는 캐릭터들과 마찬가지로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capcomdatabase/images/2/29/SFxAC_X.png/revision/latest?cb=20140810010852|엑스의 노멀 버전]], [[록맨 X|록맨 X1]]에서의 [[퍼스트 아머]] 버전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capcomdatabase/images/d/d0/X_%28Alternate%29.jpeg/revision/latest?cb=20190215170435|엑스가 SD 캐릭터 디자인으로 등장한다.]] 2017년 11월 27일 서비스를 시작, 2018년 7월 31일 서비스를 종료한 웹 게임 [[슈퍼 퍼즐 파이터 2 X#s-3|퍼즐 파이터]]에서는 [[https://www.youtube.com/watch?v=LScVtP_nCzI?t=273|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다. (해당 링크 영상에서 4분 33초부터)]]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egaman/images/3/3b/PF-XCostume.png/revision/latest?cb=20180507171948|SD 캐릭터 코스튬]]은 [[록맨 X|록맨 X1]]에서의 [[퍼스트 아머]] 버전 엑스이며 크리스마스 코스튬은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egaman/images/1/18/PuzzleFighterXmasX.png/revision/latest?cb=20180215215616|순록 의상을 입은 모습이다.]] 퍼즐 파이터에서 엑스가 슈퍼 콤보로 사용하는 기술은 [[얼티밋 아머]]를 장착하고 노바 스트라이크로 돌진해서 상대를 다운시킨 후 노바 스트라이크를 수직으로 강하하여 상대를 날려버리는 얼티밋 노바 스트라이크(Ultimate Nova Strike)이다. 다만 퍼즐 파이터 게임 자체의 평가는 메타크리틱에서 [[https://www.metacritic.com/game/ios/puzzle-fighter|64점(64/100, 유저 평점은 8.3)을 줬을 정도로]] [[슈퍼 퍼즐 파이터 2 X]]와 [[포켓 파이터]] 같은 게임의 SD 디자인이 전혀 아니어서 게임이 별로라는 것과 일부는 디자인만 빼고 게임이 재미있었다는 모바일 유저도 있어서 호불호가 많이 갈렸다. [[드래곤 포커]]에서는 2019년 1월 28일 ~ 2월 10일 일본 서버에서 진행된 [[록맨 X 시리즈]]와의 콜라보 이벤트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액셀(록맨 X 시리즈)|액셀]], [[아이리스(록맨 X 시리즈)|아이리스]], [[에이리아]],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록맨 X2]] 버전의 네오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등과 함께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한다.[[https://twitter.com/rockman_unity/status/1089802790212296704|#1]], [[https://www.4gamer.net/games/197/G019768/20190128035/|#2]] [[엘레멘탈 스토리]]에서는 2019년 10월 31일 ~ 11월 20일 까지 진행된 [[록맨 X 시리즈]]와의 콜라보 이벤트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액셀(록맨 X 시리즈)|액셀]], [[에이리아]],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다이나모(록맨 X 시리즈)|다이나모]], [[록맨 X5]]의 [[섀도우 데빌]] 등과 함께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한다.[[https://elementalstory.com/campaign/collabo/rockmanx/|#1]], [[https://www.youtube.com/watch?v=vq6YztzPG4Y?t=2943|#2]] ==== [[록맨 클래식 시리즈]] ==== [[록맨: 더 파워 배틀]]에서는 [[록맨]]의 엔딩에서 [[Dr. 라이트|라이트 박사]]가 엑스의 개발을 암시하는 내용이 나온다. [[록맨 메가믹스]]에서는 [[록맨 5]] 이후 시점 에피소드인 '전사의 휴일'에서 [[Dr. 라이트|라이트]] 넘버즈가 놀이공원에 나들이를 가고, [[아이스맨(록맨 클래식 시리즈)|아이스맨]]이 '박사님 같이 안 와서 아쉽다'고 말하자 [[컷맨]]이 '박사님이 뭔가 '미래를 위한' 이라고 하셨다'고 답하며 그 나름대로 엑스가 암시된다.[* 이 에피소드에서 라이트 박사는 [[파동권(록맨 X 시리즈)|도복]]을 입고 있었다.] 록맨쨩에서는 라이트 박사가 인간과 완전히 동일한 사고를 지니고 미래를 '자기 판단'으로 지킬 전투 로봇 10명을 만들었는데, 그 중 '프로토 10'의 실루엣이 엑스와 동일하다. 록맨쨩 한정으로 엑스한테 형제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엑스의 형제(?)들 중 5명은 매우 비인간적이게도 [[크라우저 2세|인간은 지구의 병균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4명은 [[레플리로이드|매우 나쁜 쪽으로 완전한 인간적 사고가 가능한 로봇]]들이다. 라이트 박사는 프로토 10이 똑똑하지만 '''다정한 데 싸움 자체를 싫어한다'''고 소개하는데, 이를 들은 [[롤(록맨 클래식 시리즈)|롤]]은 '프로토 10이 다정한 마음 때문에 궁지에 몰리면 잘못된 선택을 할거고, 그럼 5명처럼 인간을 싫어할지도 모른다'고 예상한다.[* 기존 시리즈에 엑스가 인간한테 단 한번도 반항적은 없으며 언제나 복종했다.] 그래서 똑똑하지만 남을 잘 믿지 못하고 마음의 문을 닫아버리는 프로토 8를 깨우고 롤과 록맨은 프로토 8에게 자기 소개를 했는데, 이를 들을 생각도 안하고 롤과 록맨이 프로토 8이 깨여나서 처음 접하는 활동적인 것과 자연물을 소개해도 이해를 하려하지 않고 우거지상에 자기의사표현도 안하면서 록맨과 롤에 대한 불평불만을 인터넷에 올려서 뒷담하는, 상당히 제멋대로에 찌질한 행보를 보여준다. 록맨과 롤이 프로토 8가 구제불능인 걸 알고 버겁다고 하자, 라이트 박사는 프로토 10한테 미래를 전부 맡긴다는 말한다. 프로토 8은 그 뒤로 다시 봉인되어 있었으나 [[제로(록맨 시리즈)|프로토 ∞]]과 같이 록맨과 [[포르테(록맨 클래식 시리즈)|포르테]]를 돕기 위해 깨우려 했다. 그런데 이 긴급한 상황에 처음 본 사람들과 같이 있기 싫다며 만나지도 않고 그냥 자버린다. 롤은 프로토 ∞과 프로토 8의 이기적인 행보에 속으로 둘 다 폐품이라고 어이없어 한다.[* 일본 록맨 코믹스들은 콘티부터 캡콤의 검수와 허락을 받아야 연재 할 수 있다.] ===== [[메가맨(애니메이션)]]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mep26d.jpg]] 시즌 2의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등장. [[Dr. 라이트|라이트 박사]]가 만든 신소재 '라이트니움'을 빼돌리기 위해 미래에서 온 바일([[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과 스파크 맨드릴([[스파크 맨드릴러]])을 막기 위해 둘을 뒤쫓아온다. 대부분의 매체들을 통틀어서 거의 얼마 안 되는, '''공식적으로 [[록맨]]과 록맨 X의 만남 성사'''를 해내는 위업을 달성! 물론 시나리오나 작화·구성 등을 제외하면 정식 설정엔 들어가지 않는 비정사 작품이고 원작과 분위기도 달라서 망작, 흑역사라고 혹평하는 록맨 시리즈 팬들도 있지만 대체로 못해도 평작수준 퀄리티는 된다는 의견도 꽤 있고 시간여행 혹은 멀티버스가 연상되는 [[록맨 클래식 시리즈|록맨 클래식]]과 [[록맨 X 시리즈|록맨 X]]의 유일무이한 크로스오버 작품이라는 하나만으로 명작 반열로 재평가가 시급하다는 긍정적인 의견도 많은 편. 이러한 비정사 애니메이션이 그렇듯이 엑스 역시 강화가 되어있다. [[록맨]]...아니 메가맨이 청소년 등신이 되었다면 메가맨 X는 '''성인'''이 되어 있다.[* 생김새와 디자인이 이 애니메이션 이후 2006년 9월 28일([[미국]]에서는 8월 8일, [[유럽]]에서는 9월 8일)에 발매된 [[데드 라이징|데드 라이징 1]]과 2011년 11월 17일 발매된 [[마블 VS 캡콤 3#s-2.2|얼티밋 마블 VS 캡콤 3]]에서의 [[프랭크 웨스트]]의 DLC 노멀 엑스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egaman/images/0/06/FrankWest_DLC_16083_screen.jpg/revision/latest?cb=20111117201310|코스튬]]과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에서 게스트 캐릭터로 등장했던 메가맨을 보는 듯한 모습이다. 그리고 이 게임들 이후에 발매된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스파 5 시리즈]]에서 [[류(캡콤)|류]]의 [[콜라보레이션]] 프리미엄 코스튬으로 등장하는 [[록맨 클래식 시리즈]]의 [[록맨]] [[https://game.capcom.com/cfn/sfv/as/character/costume/ryu/meg/001.png?h=2c9c95dca29a55dc2de159be10e190f8|코스튬]]이 스크철에서 등장했던 메가맨이 생각이 날 정도의 디자인으로 등장해서 충격과 공포를 넘어 경악했다는 팬들도 있었다고 한다.] 물론 북미판 메가맨 게임 커버처럼 배 나온 중년 남성 마냥 더럽게 삭고 추해진 건 아니지만 지나치게 근육질로 벌크업 되어 불호가 더 많은 평은 여전하다. 외모는 둘째쳐도 가장 중요한 건 설정파괴로 '''고뇌하는 헌터라는 설정이 무색하게 주변이 엉망이 되든 말든 일절 신경쓰지 않고 적을 때려잡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 [[록맨 X 커맨드 미션]]의 [[엑스(록맨 X 커맨드 미션)|엑스]]랑 비슷한 것 같으면서 도를 넘은 듯한 모습이다.] >메가맨: 진정해. 이러다 주변이 엉망이 되겠어. >엑스: 내가 할 일은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저 두 녀석을 잡는 거야. >메가맨: 그래, 그래서 걱정이야. 특히 싸우던 중 [[유조차]]를 부숴버리는 장면은 그야말로 마초이즘의 절정판. 참고로 매체를 막론하고 약칭인 '엑스'로 불리던 것은 의도적인지 실수인지 모르겠지만, 작중 인물들은 그를 '메가맨 엑스'라는 풀네임으로 부를 때가 많다. 이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마저 '''S'''igma가 아니라 '''C'''igma가 되는 판국이니. 해당 애니메이션의 시그마 성우는 짐 번즈(Jim Byrnes)이며 [[Dr. 라이트|라이트 박사]], [[그래비티맨]], [[자이로맨]], [[퀵맨]], [[탑맨]] 등과 중복이다.[[https://en.wikipedia.org/wiki/Jim_Byrnes_(actor)#Animation|#1]], [[https://megaman.fandom.com/wiki/Mega_Man_(Ruby-Spears)#Cast|#2]], [[https://www.animenewsnetwork.com/encyclopedia/people.php?id=7223|#3]] 활약상은 원 주인공 메가맨을 밀어내고 진 주인공급으로 대 활약. 바일([[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과 스파크 맨드릴([[스파크 맨드릴러]])이 그랬던 것처럼 [[Dr. 와일리|와일리 박사]]가 만든 로봇들은 엑스의 입장에선 과거의 로봇들이기에 이들의 공격은 엑스에겐 씨알도 안먹히고 그나마 상대가 되는 게 바일과 스파크 맨드릴인데 둘 다 전면전에선 엑스를 어떻게 해보지도 못했다. 최후엔 메가맨에게 잠깐이지만 함께 일해서 즐거웠다는 짧은 인사를 남긴 뒤 바일과 스파크 맨드릴을 붙잡고 미래로 돌아가는 포털로 닥돌. 이후 행적은 묘사되지 않았다. ==== [[VS. 시리즈]] ==== [[록맨 X 시리즈]]의 주인공이지만 [[VS. 시리즈]]에서는 등장이 없었다. [[마블 코믹스|마블]]과 캡콤의 VS. 시리즈의 경우 [[마블 VS 캡콤]], [[마블 VS 캡콤 2]]에서 [[록맨]]이 레벨 1 하이퍼 콤보 [[https://www.youtube.com/watch?v=HW11gUOFDNU?t=10|하이퍼 록맨]]을 사용할 때 디자인만 빌려온 것 등을 포함하면 등장 횟수는 많긴했다. [[마블 VS 캡콤 3]]에서는 엑스의 노멀 버전이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http://www.fightersgeneration.com/nx5/char/zero-umvc3-costumes.png|두 번째 캐릭터 컬러로 등장한다.]] [[파일:Ultimate Marvel vs Capcom 3_Zero(Rockman X Series)_Color 6(First Armor, Full Armor Ver. Rock Man X).jpg|width=500]] [[마블 VS 캡콤 3#s-2.2|얼티밋 마블 VS 캡콤 3]]에서는 [[록맨 X|록맨 X1]]의 [[퍼스트 아머]] 버전 엑스가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한테 새로 추가된 여섯 번째 캐릭터 컬러로 등장하며, 엑스의 노멀 버전은 DLC [[http://fightersgeneration.com/nx5/char/zero-megaman-umvc3-costume.jpg|어레인지 코스튬]]으로 [[http://www.fightersgeneration.com/np9/characters/umvc3-victory-art/zero-umvc3-v8.png|등장한다]]. [[프랭크 웨스트]]의 아케이드 모드 엔딩에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6/60/Frank_West_ending_2_UMvC3.png/revision/latest?cb=20120524102048|두 번째 장면에서는 엑스 코스튬을 한 좀비가 등장하며]][* 해당 사이드 링크에서 [[프랭크 웨스트]]의 아케이드 모드 엔딩 두 번째 장면을 포함한 [[https://w.atwiki.jp/umvsc3/pages/234.html|캐릭터들의 엔딩에 등장하는 카메오 캐릭터들 이름 중 프랭크 웨스트의 엔딩 두 번째 장면에서 등장하는 캐릭터가 좀비 엑스라고 적혀 있기는 하나 엑스 코스튬을 한 좀비일 가능성이 높다]].] 프랭크 웨스트의 [[데드 라이징|데드 라이징 1]] 시절 특전 코스튬의 DLC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egaman/images/0/06/FrankWest_DLC_16083_screen.jpg/revision/latest?cb=20111117201310|어레인지 코스튬]]으로도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egaman/images/6/6f/XFrankWestUMVC3.png/revision/latest?cb=20111114015020|등장하고]], 히어로즈 & 헤럴드 모드의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c/c5/Mega_Man_X_-_Heroes_and_Heralds_card.png/revision/latest?cb=20200128182714|어빌리티 카드로도 등장한다. 카드 랭크는 B.]] [[마블 코믹스|마블]]과 캡콤의 [[VS. 시리즈]] 팬들이 참여한 [[얼티밋 마블 VS 캡콤 3]]의 캡콤 사이드 측 참전 캐릭터 자체 설문 조사에서도 다른 웹사이트에서나 앙케이트에서든 캡콤 사이드 측 등장 희망 캐릭터 투표 1위를 차지하고 있었고, 심지어 캡콤 북미 지사 유니티 공식 설문조사에서도 약 35%가 넘는 압도적인 투표율을 자랑했는데 그게 다 해외 유저들이 찍어줬다. ===== [[타츠노코 VS 캡콤|타츠노코 VS 캡콤 얼티밋 올스타즈]] ===== [[파일:Zero4.png]]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아케이드 모드 엔딩에서 [[토코야미노스메라기]]를 쓰러트렸으나 야미의 [[최후의 발악]]에 의해 타격을 입은 채 의식을 잃어버린 후 [[Dr. 와일리|누군가]]의 도움으로 원래의 세계로 돌아온 제로를 [[에이리아]], [[액셀(록맨 X 시리즈)|액셀]]과 함께 맞이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함께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하는 [[프랭크 웨스트]]의 경우 레벨 1 하이퍼 콤보 리얼 메가버스터를 발동하면 [[데드 라이징]] 1에서 보여준 엑스의 코스튬을 하고나서 거대한 레이저로 강화한 엑스 버스터 [[차지샷]]을 발사해 [[https://www.youtube.com/watch?v=856lHBJ6SKM?t=481|상대를 공격한다.]] =====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 ===== 2016년 12월 3일 공개된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의 [[https://www.youtube.com/watch?v=aWl6_PIzBvc|티저 트레일러]]에서 같은 캡콤 사이드의 [[류(캡콤)|류]]와 페어를 이뤄서 마블 사이드의 [[아이언맨]]과 [[캐럴 댄버스|캡틴 마블]] 페어와 싸우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같은 날짜와 2016년 12월 5일 마대캡 인피니트의 [[https://www.youtube.com/watch?v=RaUqd92sImE|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1]]에서 마블 사이드의 아이언맨, [[캐럴 댄버스|캡틴 마블]], [[캡틴 아메리카]], 같은 캡콤 사이드의 류, [[모리건 앤슬랜드]]와 함께 공개되었고 이후 발매된 마대캡 인피니트 본편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xX75VNkUwMw|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다.]] 당시 팬들은 엄청난 리액션을 보여줬는데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VS. 시리즈]]에서 등장한 게임들인 [[타츠노코 VS 캡콤|타츠노코 VS 캡콤 얼티밋 올스타즈]]와 [[마블 VS 캡콤 3]]에서도 추가 참전 요청이 많았던 캐릭터였고 [[마블 VS 캡콤 3#s-2.2|얼티밋 마블 VS 캡콤 3]]에선 참전이 불발되었지만 심지어 같은 캡콤 사이드 측의 간판 캐릭터인 류 마저 제치고, 마대캡 인피니트에 참전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을 통틀어 가장 먼저 등장했다. 뭣보다 기반 시리즈인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가 아직은 존속 중인 [[류(캡콤)|류]]와는 달리 당시 기반 시리즈인 [[록맨 시리즈]] 전체가 올스톱된 상태에서 나온 터라 더욱 감개무량했다(...). 특히 본작의 최종보스는 [[마블 코믹스|마블]] 사이드의 [[울트론]]과 같은 캡콤 사이드의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가 하나로 합체한 [[울트론 시그마]]인데 시그마의 오랜 주적인 엑스의 입지를 생각했을때 사실상 캡콤 사이드 측의 진 주인공이나 다름없는 포지션이라고 생각될 만큼 파격적인 대우를 받고 있다.[* [[마블 코믹스|마블]] 사이드 측 주인공은 [[아이언맨]]. 원작 코믹스에선 아이언맨과 [[울트론]]은 별로 상관 없는 입장이였지만,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시네마틱 유니버스(MCU 영화판)]] 기준으로는 아이언맨이 울트론의 창조주나 다름 없는 위치인데 엑스 역시 따지고 보면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를 제외하고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를 포함한 모든 [[레플리로이드]]들의 창조주나 다름 없는 위치라는 점에서 더욱 대조된다. 다만 울트론의 경우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의 일본어, 영어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원작 코믹스와 마찬가지로 [[행크 핌]] 박사가 창조해낸 로봇으로 되어있다. [[http://www.capcom.co.jp/mvci/character/ultron.html|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의 일본어 공식 홈페이지]]와 [[http://marvelvscapcominfinite.com/characters/ultron/index.html|영어 공식 홈페이지에서 발췌]].] 시네마틱 스토리 모드 중반부에서는 동료들이 [[인피니티 스톤]] 중 하나인 파워 스톤을 잡으라고 할 때 자신이 그 힘을 감당할 수 있나 걱정을 한다. 물론 그 때 파워 스톤을 잡은 자는 마블 사이드의 [[로켓 라쿤]]이다. 마블 사이드에서도 흔치 않은 오버테크놀로지 결정체인 탓에 로켓 라쿤은 엑스에게, 특히 엑스 버스터에 관심이 아주 많다. 후반부에서는 마블, 같은 캡콤 사이드의 일행들과 함께 [[울트론 시그마]]와 싸우러 가기 전에 어벤저스 타워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함께 [[록맨 X6]]에서 재회할 때 한 자세를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egaman/images/1/12/X_and_Zero_celebrating_in_MvC_Infinite_%28reference_to_MMX6%29..gif/revision/latest?cb=20190412003635|똑같이 재현하며 각오를 다졌다.]] 이후 엑스가드(Xgard) - Throne Room에서 마블 사이드의 [[아이언맨]]이 [[인피니티 건틀릿]]의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온[* 정확히는 마블 사이드의 [[타노스]]가 이걸로 자기를 물먹인 [[울트론 시그마]]를 엿먹이라고 만들어줬다. 그리고 타노스는 독자적으로 제작한 다른 건틀릿을 사용하여 엑스와 같은 캡콤 사이드의 [[류(캡콤)|류]]에게서 [[살의의 파동]]을 흡수해버리고 더 이상 볼일은 없다면서 타임 스톤은 너희들이 가져가라는 듯한 표정을 짓고 타임 스톤을 버리듯이 던져서 마블 사이드의 [[가모라]], [[아이언맨]], 엑스와 같은 캡콤 사이드의 [[류(캡콤)|류]],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프랭크 웨스트]]를 포함한 일행들에게 건네주고 자기를 물먹인 흑막들 [[데스(마블 코믹스)|데스]], [[제다 도마]]에게 앙갚음을 하려고 다른 곳으로 가버렸다.] 인피니티 버스터를 장착, 그리고 모든 동료들이 모아온 파워 스톤·소울 스톤·마인드 스톤·타임 스톤을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인피니티 스톤을 4개씩이나 사용한 나머지 그 힘을 감당하기 어렵자 [[얼티밋 아머]] 모드로 전환하지만 그것만으로도 부족해서 결국 마블 사이드의 [[닥터 스트레인지]]와 같은 캡콤 사이드의 [[모리건 앤슬랜드]]가 모든 히어로들의 힘을 모아 전송해준 덕에 성공적으로 인피니티 버스터를 제어하여 최종 보스 [[울트론 시그마]]를 소멸시킬 최후의 일격을 날린다. 마블과의 크로스오버 게임 출연을 갈망해왔던 엑스의 팬들에게는 그야말로 감동적인 장면.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마찬가지로 인간을 위해 싸우는 로봇이라서 아케이드 모드 등에서는 마블 사이드의 [[울트론]]의 인트로 대사에서 '인간에게 봉사하는 로봇이라고? 내 앞에서 당장 사라져라'라는 반응을 듣는다. 엑스의 캐릭터 테마곡은 [[록맨 X|록맨 X1]]의 인트로 스테이지 OST의 [[https://www.youtube.com/watch?v=R7vMNFcK1HU|어레인지 버전이며]],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의 결전에서의 테마곡은 [[록맨 X5]]의 엑스 VS 제로(X vs Zero) BGM을 [[https://www.youtube.com/watch?v=sbFsKHCoMfE|어레인지한 곡이다.]] 다만 [[마블 코믹스|마블]]과의 [[VS. 시리즈]] 팬들과 록맨 시리즈 팬들의 평은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 내에서의 OST들, 엑스 본인의 캐릭터 테마곡과 마찬가지로 호불호가 갈리는데 원곡인 [[록맨 X5]]에서의 X VS ZERO OST 테마곡의 박진감이랑 신나는 비트가 없어지고 웅장함만 부각시킨 탓에 템포가 느려져 원곡의 느낌이 안 난다는 평이 많다. 단, OST를 1.25배로 틀면 원곡에 나름 근접해지긴 한다.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에서의 엑스의 기술표와 커맨드들은 해당 사이트 링크들 참조.[[https://kakuge.com/wiki/pages/エックス|#1]], [[https://wikiwiki.jp/mvcifunction/エックス|#2]], [[https://www.youtube.com/watch?v=BaqDtaJyZFw|#3]] 특수기로는 → + 강P 커맨드를 사용하는 버스터 블로(バスターブロウ, Buster Blow), → + 강K 커맨드를 사용하는 숄더 태클(ショルダータックル, Shoulder Tackle), (공중에서) ↓ + 강P 커맨드를 사용하는 제로 레인지 버스터(ゼロレンジバスター, 해외판 기술명은 포인트 블랭크 버스터(Point Blank Buster)를 사용한다. 필살기로는 ↓↘→ + 약P or 강P 커맨드를 사용하는 엑스 버스터(エックスバスター, 해외판 기술명은 버스터 샷(Buster Shot)을 사용하며 [[록맨 X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공중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지상 & 공중에서도 차지샷을 사용할 수 있다. 엑스 버스터 이후 지상 버전 전용 파생기인 버스터 콤비네이션(バスターコンビネーション, 해외판 기술명은 버스터 콤보(Buster Combo) 시리즈들이 발동되는데, 버스터 콤비네이션: 대시(バスターコンビネーション: ダッシュ, 해외판 기술명은 버스터 콤보: 대시(Buster Combo: Dash), 커맨드는 ↓↘→ + 약P. 버스터 콤비네이션: 백 스텝(バスターコンビネーション: バックステップ, 해외판 기술명은 버스터 콤보: 백 스텝(Buster Combo: Backstep), 커맨드는 ↓↘→ + 약K. 버스터 콤비네이션: 버스터 해머(バスターコンビネーション: バスターハンマー, 해외판 기술명은 버스터 콤보: 버스터 해머(Buster Combo: Buster Hammer), 커맨드는 ↓↘→ + 강P. 버스터 콤비네이션: 슬라이딩(バスターコンビネーション: スライディング, 해외판 기술명은 버스터 콤보: 슬라이드(Buster Combo: Slide), 커맨드는 ↓↘→ + 강K. 등의 기술들을 사용한다. 필살기로 사용하는 특수 무기들로는 [[록맨 X2]]의 [[소닉 오스트리그|소닉 슬라이서]], 커맨드는 ↓↙← + 약P or 강P. [[록맨 X3]]의 [[프로즌 버팔리오|프로스트 실드]], 커맨드는 ↓↘→ + 약K or 강K. [[록맨 X|록맨 X1]]의 [[부메르 쿠왕거|부메랑 커터]], 커맨드는 ↓↙← + 약K or 강K. [[록맨 X4]]의 [[마그마드 드라군|라이징 파이어]], 커맨드는 ↓↓ + 약P or 강P를 사용한다. 레벨 1 하이퍼 콤보들로는 풀 파워 [[차지샷]](フルパワーチャージショット, 해외판 기술명은 풀-파워 차지(Full-Power Charge), 커맨드는 ↓↘→ + 약P or 강P를 사용한다. 레벨 1 하이퍼 콤보 [[퍼스트 아머|아머 오브 라이트]]가 장착 중이면 기술이 더블 [[차지샷]](ダブルチャージショット, Double Charge Shot)으로 강화된다. 풀 파워 차지 샷과 더블 차지 샷은 공중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록맨 X|록맨 X1]]의 [[퍼스트 아머]]를 장착하는 아머 오브 라이트(アーマーオブライト, Armor of Light).[* 아머 오브 라이트(アーマーオブライト, Armor of Light) 혹은 오브 라이트 아머(オブライトアーマー)라고 부르기도 한다.] 커맨드는 ↓↓ + 약K or 강K. 아머 오브 라이트를 장착하면 일정 시간 동안 엑스 버스터, [[소닉 오스트리그|소닉 슬라이서]], [[프로즌 버팔리오|프로스트 실드]], [[부메르 쿠왕거|부메랑 커터]], [[마그마드 드라군|라이징 파이어]] 등의 필살기들이 [[록맨 X 시리즈]]의 차지 샷 & 특수 무기 강화와 마찬가지로 성능이 강화되는데 프로스트 실드, 라이징 파이어의 경우에는 프로스트 실드는 대각선으로 두 번 얼음을 발사하며 라이징 파이어는 위로 두 번 불을 발사한다. [[록맨 X|록맨 X1]]의 [[부메르 쿠왕거|부메랑 커터]], [[록맨 X2]]의 [[소닉 오스트리그|소닉 슬라이서]] 여러 개를 연사하며 공격하는 스페셜 웨폰 러시(スペシャルウェポンラッシュ, Special Weapon Rush), 커맨드는 ↓↘→ + 약K or 강K. 이하 레벨 1 하이퍼 콤보 3가지를 사용하며, 레벨 3 하이퍼 콤보는 [[얼티밋 아머]]를 장착하면서 노바 스트라이크를 날린 후 레이저 계열로 업그레이드 된 플라즈마 [[차지샷]]을 노바 스트라이크를 맞고 떠오른 상대를 향해 수직으로 발사하는 얼티밋 스트라이크(アルティメットストライク, Ultimate Strike), 커맨드는 ↓↙← + 약P or 강P를 사용한다. 플레이어블 캐릭터로서의 성능은 호불호로 갈려서 그리 좋지 못하다.[*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의 캡콤 U.S.A. 지사 프로듀서가 [[https://www.mobygames.com/developer/sheet/view/developerId,921334/|마이클 에반스]]인데 [[슈퍼 퍼즐 파이터 2 X#s-3|퍼즐 파이터]]를 포함한 프로듀서가 제작에 참여한 작품들 처럼 캐릭터들의 성능도 게임 자체도 '엉망진창일 것이다'라는 팬들의 우려가 있었다.] 필살기인 엑스 버스터의 경우 차지 샷 차지 중에는 이동이 불가능하며 이 때문에 공중 대시 중에도 차지 샷을 편하게 쓸 수 없으며[*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필살기들 중 하나인 [[https://kakuge.com/wiki/pages/ハイパーZEROブラスター|하이퍼 제로 버스터(ハイパーZEROブラスター, Hyper Zero Blaster)]]의 차지 샷 차지 중에도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것과 대비된다.] 필살기로 사용하는 특수 무기들도 [[록맨 X|록맨 X1]]의 [[부메르 쿠왕거|부메랑 커터]], [[록맨 X2]]의 [[소닉 오스트리그|소닉 슬라이서]], [[록맨 X3]]의 [[프로즌 버팔리오|프로스트 실드]], [[록맨 X4]]의 [[마그마드 드라군|라이징 파이어]]를 포함한 4개밖에 없으며 특수 무기들의 차지 샷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의 등장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들과 함께 승리 모션 및 필살기들 & 하이퍼 콤보 연출들의 이펙트들이 전부 너프되었다는 평가와 마찬가지로 엑스의 레벨 3 하이퍼 콤보 얼티밋 스트라이크도 같은 캡콤 사이드의 [[록 볼넛]]이 [[타츠노코 VS 캡콤|타츠노코 VS 캡콤 얼티밋 올스타즈]]에서 레벨 3 하이퍼 콤보로 사용하는 MAX 샤이닝 레이저(MAXシャイニングレーザー, 커맨드는 ↓↘→ + PP)의 강화된 연출과 비교되고 있어서 아쉽다는 평가가 많다. 때문에 초창기에는 이런저런 악재가 겹쳐 [[약캐릭터]] 취급받았으나, 유저들로 하여금 여러 콤보가 연구되고 특정 캐릭터와의 태그 궁합이 좋았던 덕에 약캐 반열에서 벗어나 최소 중캐 반열까지 올라왔다.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에서의 캐릭터 기본 컬러로는 2번째 캐릭터 기본 컬러가 [[록맨 X4]]의 [[마그마드 드라군|라이징 파이어]]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4/4b/X_MvCI_alt_color_1.jpg/revision/latest?cb=20180424070521|컬러]], 3번째 기본 컬러는 [[록맨 X|록맨 X1]]의 [[부메르 쿠왕거|부메랑 커터]]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9/9b/X_MvCI_alt_color_2.jpg/revision/latest?cb=20180424070538|컬러]], 4번째 기본 컬러는 [[록맨 X2]]의 [[소닉 오스트리그|소닉 슬라이서]]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a/a2/X_MvCI_alt_color_3.jpg/revision/latest?cb=20180424070554|컬러]]이며 엑스의 DLC 코스튬 1은 [[록맨 X 커맨드 미션]] 버전의 [[엑스(록맨 X 커맨드 미션)|엑스]]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4/47/X_MvCI_DLC_W2.jpg/revision/latest?cb=20180424071041|코스튬]], DLC 코스튬 1 커맨드 미션 버전의 엑스 컬러로는 2번째 컬러가 [[마리노(록맨 X 커맨드 미션)|마리노]]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5/59/X_MvCI_DLC_W2_alt_color_1.jpg/revision/latest?cb=20180424071101|컬러]], 3번째 컬러는 [[시나몬(록맨 X 커맨드 미션)|시나몬]]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d/dd/X_MvCI_DLC_W2_alt_color_2.jpg/revision/latest?cb=20180424071119|컬러]], 4번째 컬러는 [[스파이더(록맨 X 커맨드 미션)|스파이더]]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d/de/X_MvCI_DLC_W2_alt_color_3.jpg/revision/latest?cb=20180424071136|컬러]]이며 DLC 코스튬 2는 아래의 만우절 그림으로 나왔다가 직접 상품화가 된 [[https://www.4gamer.net/games/364/G036477/20171201087/SS/005.jpg|Ver.Ke 모습이다]]. DLC 코스튬 2 Ver.Ke 버전의 엑스 컬러로는 2번째 컬러가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egaman/images/e/e1/TruForce_Designer_Series_X_Color_Variant_figure_front.jpg/revision/latest?cb=20160312095358|TruForce's X -컬러 바리안트(Color Variant)-]]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2/28/X_MvCI_DLC_W1_alt_color_1.jpg/revision/latest?cb=20180424070749|테스트-컬러 X(Test-Color X) 버전의 컬러]], 3번째 컬러는 [[http://www.rockman-corner.com/2015/09/truforce-announces-nycc-exclusive-x-kai.html|X-Kai]]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9/9d/X_MvCI_DLC_W1_alt_color_2.jpg/revision/latest?cb=20180424070809|컬러]], 4번째 컬러는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egaman/images/1/12/TruForce_Designer_Series_X-Boost_figure_buster.jpg/revision/latest?cb=20160727000047|X-Boost]]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arvelvscapcom/images/f/fe/X_MvCI_DLC_W1_alt_color_3.jpg/revision/latest?cb=20180424070828|컬러]]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11pixPstr7w|Pre-order Costumes 트레일러 1]], [[https://www.youtube.com/watch?v=iaGU5yvz1e4|엑스를 포함한 마블 & 캡콤 사이드 캐릭터 6명의 코스믹 크루세이더즈 코스튬 팩 2]], [[https://marvelvscapcom.fandom.com/wiki/Marvel_vs._Capcom:_Infinite_alternate_costumes#X|마대캡 인피니트 영어 위키 3]] 참고.) ==== [[프로젝트 크로스 존]] ==== 캐릭터는 [[록맨 X4]] 이후 시기이지만 성우는 [[사쿠라이 타카히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함께 콤비를 이뤄서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를 포함한 적들을 패고 있다. 페어 유닛으로서의 테마곡은 [[록맨 X4]]의 [[https://www.youtube.com/watch?v=gOvEVcOTucE|인트로 스테이지의 엑스 루트 배경 음악]]이다. 캐치프레이즈는 '가능성을 품은, 고뇌하는 헌터'. 코멘트는 "이레귤러를 쓰러트리는 것, 그것이 내 사명이다." 당시 [[록맨 X|록맨 X1]]의 리메이크 게임인 [[이레귤러 헌터 X]]를 끝으로 [[록맨 X 시리즈]]가 동결된 데다가 성우가 이 작품이 나오기 전에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코드 기아스]]의 [[쿠루루기 스자쿠]]를 담당한 영향 때문에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를 부르는 모습을 보면 느낌이... 물론 이 작품에 참전한 캐릭터들이 다 그렇듯이 개그도 하는데 주로 가시를 무서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록맨 시리즈]]는 대대로 가시가 즉사 트랩으로 꾸준히 나와 주었다. 실제로도 낭떠러지를 제외한 즉사 트랩 중 가장 등장빈도가 높은 게 가시다 보니 실수로 밟거나 부딪혀서 단말마와 함께 폭사하는 빈도가 높다.] PV 영상과 본 게임에서는 엑스가 복수기로 [[얼티밋 아머]]를 장착한 후 노바 스트라이크를 날리거나 [[록맨 X|록맨 X1]]에서 사용했던 [[파동권(록맨 X 시리즈)|파동권]]을 [[류(캡콤)|류]]가 [[VS. 시리즈]]에서 레이저 계열로 업그레이드 된 [[진공파동권]]을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로 레이저 계열로 사용하는 모습도 보여줬다. 출연 시기가 하도 늦어서인지 본작 최강 캐릭터. 일반기 중 유일하게 공격력 S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거리 증가, 공격력 증가, 반격방지 등 온갖 쓸만한 기술들은 다 가지고 있다. 단점이라면 아군 중 합류가 뒤에서 두번째라서 그 사기적 성능을 많이 쓰기 힘들다는 것. 서포터로 세가 사이드의 [[이무카]]를 달면 블록깨기와 이동력+2, 반다이 남코 사이드의 [[알리사 보스코노비치]]를 달면 스피드 2배와 경험치 20% 증가 등을 얻어 무쌍난무를 찍는 데 유용하며 같은 캡콤 사이드의 [[이치몬지 바츠]], 세가 사이드의 [[파이팅 바이퍼즈#s-4|반]] 등을 달아 반격횟수+1을 이용해 반격으로 잡아내는 것도 좋다. 서포트 말고는 뭘 해도 좋은 캐릭터. ==== [[프로젝트 크로스 존 2 : 브레이브 뉴 월드]] ==== 후속작인 브레이브 뉴 월드에서도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함께 등장한다. 페어 유닛으로서의 테마곡은 [[록맨 X3]]의 [[https://www.youtube.com/watch?v=nC0aql5OUcU|인트로 스테이지의 배경 음악]]이다. 전작 [[프로젝트 크로스 존]]과 마찬가지로 제로와 유닛을 짠 상태이며, [[사이버 쿠자커|사이버 스페이스]]에서 반다이 남코 사이드의 [[아리스 레이지]] 일행을 경호해주기 위해 등장, 이후 일행에 합류하기로 한다. 그래도 이번엔 전작과는 달리 일찍 합류한다. 항상 진지했던 전작 [[프로젝트 크로스 존]]에 비해 약간 [[천연]]에 가까워져 개그[* 이 중 가장 압권은 가시밭을 보고 너무 위험하다며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와 같이 투석기 이동 루트를 선택하는 장면.]도 보여주지만, 다시 부활한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와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를 보며 분노하고 망설이기도 하는 등 기존의 고민하는 모습과 상냥한 성격은 여전하다. 반다이 남코 사이드의 [[아리스 레이지]]와 엮이는 [[사이보그 009#s-4.1.1|성우장난]]은 덤.[* 초기 [[록맨 X]]의 대시기능의 정식명칭인 긴급가속 시스템은 사실 [[사이보그 009]]의 오마쥬 한 명칭인데 이걸 사용해서 장난을 치는 걸 볼수 있다.] 최강급이던 전작 [[프로젝트 크로스 존]]보다는 성능이 낮아졌지만 [[록맨 X4]]의 특수무기들 중 [[웹 스파이더스|라이트닝 웹]]이 제네시스처럼 블록을 50깨고 시작하고, 여기에 [[록맨 X3]], [[록맨 X5]]의 특수무기들도 기절이고 심지어 필살기까지 기절이 붙어서 어지간하면 기절을 걸 수 있는 페어. 기절이 최강의 상태이상인 본작의 특성상 이번작에도 나쁘지 않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외에 스킬로는 이동력+1과 방어력 증가, 아군 HP 회복 등으로 무난 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오토 스킬에는 최종적으로 배우는 오토 스킬 '지지 않는 사랑'을 달아 놓으면 '''소모 SP가 절반이 되어''' [[시나몬(록맨 X 커맨드 미션)|딜러와 힐러의 역할을 모두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작에서 복수기로 사용했던 [[록맨 X|록맨 X1]]의 [[파동권(록맨 X 시리즈)|파동권]]을 이번엔 일반 필살기의 연계기로 사용하며 [[프로젝트 크로스 존 2]]의 복수기에서는 [[록맨 X2]]의 [[승룡권(록맨 X 시리즈)|승룡권]]을 사용한다. 덤으로 개인 필살기의 [[반강 떨구기]]는 만화판 록맨 X3에서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를 마무리한 장면의 오마쥬.[* 인게임에선 [[얼티밋 아머|노바 스트라이크]]로 붙잡고 날아오르지만 만화판에선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의 온 몸을 날린 찍어차기를 머리에 맞은 후 그 다리를 붙잡은 채 벽차기로 타워 옥상까지 올라간 뒤 시전했다.] 시전 후 거대한 크레이터가 남는 것까지 완벽히 재현되었다.(...) 쉽게 말하자면 [[사기캐]]까지는 아니지만, 그 바로 아래에 있는 준 최강캐. 오우마와 악당들을 물리치고 동료들과 헤어지게 되어 원래 세계에 돌아간 후, 같은 캡콤 사이드의 [[데미트리 막시모프]]의 초대장을 받고 참석하여 댄스 공연을 보게 된다. ====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파일:SSBU_Rockman.png]] [[록맨(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록맨]]의 비장의 무기에서 등장하며 [[록맨 시리즈]]의 주인공 록맨들([[록 볼넛]], [[록맨.EXE]], [[슈팅 스타 록맨]]), [[블루스(록맨 클래식 시리즈)|블루스]], [[포르테(록맨 클래식 시리즈)|포르테]]와 함께 버스터 [[차지샷]]을 쏜다. 또한 피규어로도 [[https://ga-m.com/image/news/2014/07/03/sumabura-3ds-wiiu-rockman-exe-dash-3.gif|등장한다.]] DLC로 [[Mii 파이터]]의 [[Mii 파이터/코스튬|코스튬]]이 발매되기도 했다.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에서 스피릿으로 등장하고, [[록맨 X|록맨 X1]]의 [[퍼스트 아머|풀 아머 버전 엑스]]로 초월화가 가능하다. 능력치 자체는 레전드 등급 치고는 낮고 서포트 슬롯도 하나 뿐이지만 슈퍼 아머 스킬이 달려 있다. ==== [[TEPPEN]] ==== [[TEPPEN/녹색#s-2.1|녹색 영웅]]으로 참전했으며 [[https://teppen.fandom.com/wiki/Card_List/Mega_Man#Green|녹색 계열의 카드들로도 등장한다.]] 캐릭터 테마곡은 [[록맨 X4]]의 [[https://www.youtube.com/watch?v=fdhPWsvRCn4|인트로 스테이지의 엑스 루트 배경 음악 어레인지 버전이다.]] 성우는 [[사쿠라이 타카히로]](일본어 음성)/테드 스로카(Ted Sroka)(영어 음성). 한국 시간으로 2020년 8월 3일 업데이트를 통해 [[류(캡콤)|류]]의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에서의 2P 컬러 이후 작품들에서도 등장하는 푸른 머리띠 컬러, [[단테(데빌 메이 크라이)|단테]]의 [[데빌 메이 크라이 4]] 스페셜 에디션 ~ [[데빌 메이 크라이 5|데메크 5]]에서의 [[단테(DmC: 데빌 메이 크라이)|DmC 단테]] 풍 블랙 헤어 컬러, [[네르기간테]]의 역전의 왕 스킨들과 함께 [[록맨 X4]]의 [[스톰 푸쿠로울|더블 사이클론]] [[https://teppen.fandom.com/wiki/Double_Cyclone|컬러]]가 엑스의 [[https://teppenthegame.com/ko/news/update/0000168.html|스킨으로 등장한다.]] 디자인이 [[구체관절인형]] 비슷하게 바뀌었고 머리에 [[광배]] 같은 빛고리가 있다. 새로 바뀐 디자인은 플레이어들이 알고 있던 엑스의 모습과 [[불쾌한 골짜기|심한 이질감이 들어서]] 평이 좋지 않다. 일단 설정상 알 수 없는 이유로 수천년간 봉인되어 있다가 우연히 깨어나서 그렇다고 한다.[* [[록맨 X/만화|X 코믹스]] 작가 왈, "[[Dr. 라이트|라이트 박사]]의 [[https://twitter.com/iwamoto_yoshi/status/1143839565293056002|정신 상태가 궁금하다]]"라고(...).] 게임 내의 취급은 [[TEPPEN/녹색]] 문서를 참조. == 모형화 == === 액션 피규어 === * [[반다이]] [[D-Arts]] 브랜드로 엑스 노멀 버전, [[록맨 X|록맨 X1]]의 [[퍼스트 아머|풀 아머]] 버전, [[록맨 X4]]~[[록맨 X6]]의 [[얼티밋 아머]] 버전이 일반 판매되었으며, 타마시네이션 한정으로 코믹스 Ver.이 발매되었다. 이 한정판은 균열이 간 버스터 파츠, 눈물을 흘리는 표정의 얼굴과 부상 당한채 한쪽 눈을 감고 있는 얼굴 파츠가 동봉되어 있다. 2017년 7월에 [[NX EDGE STYLE]] 브랜드로 엑스 노멀 버전이 발매되었다. 과거에 각종 아머와 환장이 가능한 '''메가 아머''' 시리즈가 나온 적이 있었는데, 2017년 11월에 '''기가 아머'''라는 이름의 '''[[초합금]]'''으로 발매되었다. 오리지날 설정의 [[러시(록맨 클래식 시리즈)|러시]]가 들어있고, 러시가 [[라이드 체이서]]로 변형이 되며 라이드 체이서 아머를 '''오리지날 아머'''로 엑스에게 장착할 수 있다. * [[센티넬(회사)|센티넬]] [[http://www.rockman-corner.com/|외국의 록맨 커뮤니티]]에서 2014년 만우절 장난으로 [[http://www.rockman-corner.com/2014/03/capcom-teases-rockman-x-verke-model-kit.html#more|록맨 X Ver.K'''e''']]라는 일러스트가 올라왔는데, 얼마 후 실제로 Truforce Collectibles라는 브랜드로 제품화가 확정되었다.[[https://bbs.ruliweb.com/hobby/board/300017/read/1682568|#]] 가격은 79.99달러, 2015년 11월 발매되었다. 원래는 [[킥스타터]] 기부자 구매 한정으로 나왔지만 예상밖의 인기 탓인지 북미쪽 피규어 판매 사이트에서도 일반 구매도 가능하다. [[센티넬(회사)|센티넬]]이 '''제작협력'''이라서 일본쪽까지 일반 판매를 기대했는데, 2015년 12월 24일부터 '''예약 취소분'''에 한해서 일본쪽에서도 발매했지만 단시간에 품절되었다. 그 외에도 NYCC 2015 한정으로 [[카이(록맨 X 시리즈)|X -Kai]][*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의 편에 섰다는 설정인 듯 컬러링이 검은색 계열이 되고 눈매가 날카로워지고 무엇보다 몸체에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마크가 있다. 그리고 후에 록맨 X 다이브에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추가되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고.]라는 명칭으로 판매했으며, SDCC 2016 한정으로 X-Boost라는 명칭으로 디자인 [[퍼스트 아머|풀 아머]] 형태 기반으로 판매되었다. [[킥스타터#s-2]] 180달러 이상의 후원자에 한해서 갈색 Ver도 발매했다. 퀄리티는 '''[[꼭 사라 두 번 사라]]'''일 정도로 높다. [[http://www.rockman-corner.com/2015/04/truforce-unveils-reimagined-mega-man-x.html|라이드 체이서]]의 일러스트도 공개하면서 발매 예정인듯 보였으나, 추후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캡콤|라이센서]]와의 마찰로 인해 더 이상 [[록맨 X 시리즈]]의 피규어 상품 계획이 없다는 것을 밝혔다. [[https://www.facebook.com/truforcetoy/posts/2053032928265617|#(원문)]], [[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2/read/2146414|#(번역본)]] 그 외 2017년 4월, 4 Inch Nel 시리즈로 엑스의 노멀 버전도 발매했다. [[http://sen-ti-nel.co.jp/product-about/22_4inch/product-about22_010.html|#]] 특징이라면, 벽에 붙을 수 있도록 발바닥을 자석 처리한 점과 [[록맨 X4]] 이후의 일러스트를 기반으로 한 D-Arts나 [[카토키 하지메]] 풍으로 대대적으로 리파인한 제품과는 다르게 [[록맨 X|록맨 X1]], [[록맨 X2]]의 일러스트를 기반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원더 페스티벌]] 2019 Winter에서 [[강철의 라인배럴]] 작가인 시미즈 에이이치 디자인 기반의 [[팔콘 아머]]를 [[RIOBOT]] 브랜드로 발매를 확정했다. 정황상 위의 프로젝트가 중단된 이유와도 어느정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2020년 6월에 Truforce의 재판 예정이 떴다. 어찌 문제가 해결된 듯. === 프라모델 === [[록맨 X 시리즈]] 25주년을 맞아 [[코토부키야]]에서 록맨 X 프라모델 시리즈의 발매를 예고했다. 주인공답게 시리즈 첫 프라모델로 선정되었으며 [[원더 페스티벌]] 2019 Winter를 통해 원형이 공개되었다. 그리고 당시 토크쇼를 통해 X3의 [[서드 아머]]도 발매를 확정지었다.[[https://www.kotobukiya.co.jp/labo/labo-163727/|#1]] [[https://www.kotobukiya.co.jp/labo/labo-169537/|#2]] [[https://www.kotobukiya.co.jp/product/product-0000003424/|서드 아머]] [[https://www.kotobukiya.co.jp/product/product-0000003425/|서드 아머 하이퍼 칩 에디션]] 가격은 코토부키야 답게 비싼 편(...)이나 퀄리티는 예상보다 좋은듯 하다. 거기에 [[서드 아머]]의 프라모델과 파츠 환장이 가능하다. 팬들의 평가는 만드는 피규어 내지 D-ARTS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이 될 뻔 했으나 코토부키야 특유의 저질 프라모델 재질 때문에 부품의 내구력이 나쁜 편이며 특히 팔 조립할 때 유격이 맞지 않아 팔 파츠가 쩌적하고 갈라지기 쉽다. 거기에 끼우는 것도 뻑뻑해 조립감도 나쁜 편. 한마디로 말하자면 아카데미 과학 시절의 프라모델을 연상캐한다. 거기에 디자인 특성상 툭유의 관절구조로 인한 애매한 가동성은 덤. 이렇듯 조립감과 부품 내구도에 대한 평가가 나쁘다 보니 향후 발매될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모델 킷에 기대보다 걱정과 불안이 더 앞서는 게 중론이다. 안 좋은 평가와는 별개로 먼저 출시했던 엑스와 [[서드 아머]]의 판매량이 제법 괜찮게 나온 건지 [[포스 아머]]와 노멀 엑스의 [[마그마드 드라군|라이징 파이어]] 색깔 놀이 버전의 샘플이 [[http://heaven2u.com/rockman/19213|공개되었다.]] 이후 발매된 [[포스 아머]]는 여러 걱정을 불식시킬정도로 아주 잘나왔고 상술한 상완부의 단점도 개선되어 부드러운 관절 강도를 가졌다. 다만 여전히 발목과 고관절은 코토의 쓰레기 같은 볼형 폴리캡을 사용중이라 굉장히 쉽게 마모 되고 잘 빠지는 문제는 그대로(...). 일반 버전은 스톡 샷의 암파츠 컬러고 플라즈마 샷 버전은 색놀이인 [[마그마드 드라군|라이징 파이어]] 버전에 들어있다. 버스터 이펙트 파츠는 라이징 파이어 버전에만 있어 이래저래 성토를 듣고 있다. == 수많은 루머 ==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엑스와 싸운 다음에 패배해서 100년간 봉인되었다는 루머가 많이 퍼져있는데, 그 싸움에 관한 진상을 말하자면 결코 공식적으로 확인된 적이 없는 [[설정]]이다. 유독 국제적으로 공통된 루머성 정보가 많은 [[록맨 시리즈]]지만, 제로가 [[록맨]], [[롤(록맨 클래식 시리즈)|롤]], [[블루스(록맨 클래식 시리즈)|블루스]], [[포르테(록맨 클래식 시리즈)|포르테]]를 비롯한 구시대 유물들을 죽이고 엑스와 싸운 뒤에 파괴됐다는 설정이나 이때 제로와 싸우다가 부상을 당한 록맨을 [[Dr. 라이트|라이트 박사]]가 엑스로 만들었다는 가설 등이 [[한국]]의 록맨 관련 커뮤니티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진귀한 가설 중 하나이기도 하며 [[일본]]이나 [[미국]] 등에도 비슷한 루머가 많았는지 여전히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많은 듯, 초기 인터넷 커뮤니티의 검증 되지 않은 자료가 수입 수출 되어가며 생긴 현상인 듯. 하필이면 당시 원작자인 [[이나후네 케이지|이나후네]] [[프로듀서]]가 손을 떼 버려서 설정구멍이 무진장 커져버린 [[록맨 X5]]의 한글화를 기점으로 해서 이 가설은 거의 정설처럼 받아들여저서 [[메가매니아 월드]]를 포함한 수많은 국내 개인 록맨 홈페이지들로 폭풍처럼 퍼져버린 것 같다. 이런 루머들을 그나마 소강시키기 위해선지 [[이나후네 케이지|이나후네]] [[프로듀서]]가 캡콤 미국 지사 유니티와의 인터뷰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는 [[록맨]]을 죽이지 않았습니다. 제가 만든 바에 의하면, 제로는 그럴 사람이 아닙니다" 식의 발언을 했다. 엑스의 제작 목적은 어디까지나 새로운 종류의 로봇, 즉 [[인간]]처럼 생각하고 느끼고 성장하는 거지, 결코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나 쓰러뜨리려고 만들어진 단순한 전투 로봇이 아니다. [[록맨 X|초기 X1]]의 오프닝을 보면 분명히 엑스의 제작목적이 쭈르륵 적혀서 나오는데 이 중에 제로를 쓰러뜨리려고 만들었다는 묘사는 나오지 않는다. [[이레귤러 헌터 X]]에 삽입된 20분짜리 [[OVA]] [[시그마의 날]]에서도 엑스가 만들어지면서 제로와 싸웠다는 묘사는 역시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이 설정은 그뿐만 아니라 [[록맨 제로]]의 설정에서도 잘 들어가 있다. 엑스의 제작에 대한 설정은 약간 변경되어 있지만. ||200년 이상 전 엑스 탄생 우주로부터 날아온 미지의 컴퓨터 바이러스에 의해 로봇이 폭주, 흉폭화되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 쯤, [[Dr. 라이트]]는 미래의 지구를 걱정해 전투용 로봇 '엑스'를 완성시킨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로봇과의 전투를 상정하고, 만전의 바이러스 대책을 세운다. 동시에 몇 개인가의 강력한 무장(아머)을 만들어내지만, 그것은 엑스가 인간의 위협이 될 가능성이 될 수 있었다. Dr. 라이트는 엑스의 사고프로그램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해석 캡슐에 엑스를 넣어둔 채 타계했다. 1XX년 전 제로 탄생 세계정복을 꿈꾸는 [[Dr. 와일리]]에 의해 [[제로(록맨 시리즈)|제로]]가 만들어지지만, 사고 프로그램의 결함 때문에 흉폭, 더욱이 명령에 따르지 않는 성격 때문에 Dr. 와일리 자신이 제로를 캡슐에 봉인한다.|| [[록맨 제로 컬렉션]]의 공식 홈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던 문장이었으나 어느 시점에서 지워졌으며 지금은 홈페이지가 달라지고 플래시가 사용중단 되었기 때문에 열림불가, 해외 위키에 백업본만 볼 수있다. 당시의 글을 보면 200년 이상 전에는 엑스가 탄생했다는 걸 알 수 있다. 제로는 엑스가 만들어지고 난 뒤에 만들어졌으며 싸워보지도 못한 상태에서 봉인당했다고 기재되어 있던 것. '[[록맨: 더 파워 배틀]]'에서는 [[포르테(록맨 클래식 시리즈)|포르테]]의 엔딩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를 만들고 있었던 [[Dr. 와일리|와일리 박사]]지만. 한쪽은 캡콤이 아니고 다른 하나는 딴 시리즈의 외전이고 [[록맨 제로 시리즈]] 특유의 [[선제작 후설정]]들인 [[시그마 바이러스|우주에서 온 바이러스]] 어쩌구 하는 시점과 애초에 정식 시리즈에 이게 언급되지도 않으니 그냥 이런 설정이 있었다 정도로 알면 될 듯. 전대 [[록맨]]들과 달리 설정상 [[헬멧]]을 벗은 모습이 공개되지 않았다. 그나마 비슷한 걸 찾자면 반다이의 메가 아머 프라모델이 나올당시 그려진 간단한 설정화로 아머 내부의 머리 골격이 그려진적이 있었고[* 이마 부분 삼격형 부분이 파여 있다. 록맨 & 록맨 X 20주년 오피셜 컴플릭트 웍스에 이 설정화에 대해 언급하는데, '탈착 완구 디자인이니까 헬멧 벗는다고 대머리는 아니다'라고 쓰여 있다.] [[록맨 X/만화|만화]]의 복간판에 추가된 에피소드에서는 그림자에 가려진 실루엣이긴 하지만 [[록맨]]과 비슷한 머리스타일로 그려져 있다. == 기타 == * [[제로(록맨 시리즈)|제로]]와 달리 정식 넘버링이 없다. 또한 제로는 [[Dr. 와일리|와일리 박사]]가 제로를 완성한다=클래식 스토리의 종결 같은 [[록맨 클래식 시리즈]]의 최대 떡밥으로 언급되는데 엑스는 그냥 언젠가 그런 게 밝혀지는 날이 오겠지 정도로 묘사된다. * 엑스의 디자이너는 [[포르테(록맨 클래식 시리즈)|포르테]], [[듀오(록맨 클래식 시리즈)|듀오]]를 디자인하고 [[록맨 에그제 시리즈]]의 디자이너 중 한 명인 카지 하야토(加治勇人)이다. 록맨 & 록맨 X 20주년 오피셜 컴플릭트 웍스에 따르면, [[이나후네 케이지]]는 X 제작 당시 평소에 자신이 맡은 주인공의 디자인을 카지 하야토에게 맡기고 자신이 서브 캐릭터를 디자인 했다고 한다. 그게 엑스와 [[제로(록맨 시리즈)|제로]]이다. 카지 하야토는 X 시리즈를 초기에만 관여했지 그 뒤 제작은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 * 생긴 모습부터 보면 알 수 있지만 전작 [[록맨 클래식 시리즈]]의 주인공인 [[록맨]]의 오마주가 많은 캐릭터이다. 둘 다 상징색이 [[파란색]]인 것이 같고 원거리전을 주력으로 하고 적의 기술을 카피해 무기로 쓰는 것이 같으며 파츠 장착으로 강화되는 것도 같다. [[러시(록맨 클래식 시리즈)#s-2|슈퍼 록맨, 제트/파워 록맨]]은 엑스의 [[록맨 X 시리즈/아머|아머 시스템]]에 영향을 줬고, 아머의 타입은 각각 [[포스 아머]] 및 [[얼티밋 아머]] 같은 밸런스 타입, [[팔콘 아머]], [[블레이드 아머]], [[헤르메스 아머]] 같은 스피드 타입, [[가이아 아머]], [[섀도우 아머]], [[이카루스 아머]] 같은 파워 타입으로 분류되게 할 수 있었다. 다만 [[록맨]]과의 차이점도 있는데 디자인적 면에서 록맨은 하늘색 [[타이즈]]에 [[팬티]]를 걸친 듯한(...) 기묘한 디자인인 반면 엑스는 흉부·요부·어깨까지 다 장착한, 갑옷같은 디자인인 데다 모티브와 컨셉에서는 록맨은 당돌한 어린이, 소년 컨셉인 반면 엑스는 이 시대의 한창 고뇌하는 사춘기 청소년 컨셉이다. * 작중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인기가 높아서 잘 모르는 사실이지만 엑스도 [[록맨 시리즈]]의 인기 캐릭터 중 하나이다. 다만 이는 팬층이 갈리는데 제로는 고연령층에게 인기가 많은 반면 엑스는 저연령층 내지는 동인녀들에게 인기가 많다. 저연렁층의 경우 인게임 내 쉬운 플레이 난이도 덕분에 인기가 있는 편이고 동인녀의 경우 외모가 [[미소년]]상인 것도 있지만 제로와 대비되는 순한 성격에 게임 특성상 신나게 구르는 포지션 때문에 2차 창작에서 수 역할로 잘만 구른다. 이 외에도 선술했듯이 현재 모형화도 많이 나오고 있으며 해외팬들에게 인기가 많은 캐릭터이기도 하다. * [[록맨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히로인 플래그가 정말 없는 주인공이다.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경우엔 [[록맨 X4]]에서 히로인 [[아이리스(록맨 X 시리즈)|아이리스]]가 있었고 [[록맨 X8]]에서도 새로운 히로인 [[레이야]]와 엮이지만 엑스는 그 어떤 히로인과도 엮이질 못한다.[* [[록맨 클래식 시리즈]]의 [[록맨]]에게는 [[롤(록맨 클래식 시리즈)|롤]]이, [[록맨 제로 시리즈]]의 [[제로(록맨 제로 시리즈)|제로]]에게는 [[시엘(록맨 제로 시리즈)|시엘]]이, [[록맨 ZX|록맨 ZX 시리즈]]의 [[반 & 엘]]에겐 [[프레리]]가 [[그레이(록맨 ZX 시리즈)|그레이]]와 [[애쉬(록맨 ZX 시리즈)|애쉬]]에겐 엘과 반을 붙여주면 얼추 맞고 [[록맨 대시|록맨 대시 시리즈]]의 [[록 볼넛]]에겐 [[롤 캐스켓]]과 [[트론 본]]이 있고 [[록맨 에그제 시리즈]]의 [[히카리 넷토]]와 [[록맨.EXE]]에게는 [[사쿠라이 메이루]], [[아이리스(록맨 에그제 시리즈)]]와 [[롤.EXE]]가 [[유성의 록맨 시리즈]]의 [[호시카와 스바루]]에겐 [[히비키 미소라]]와 [[시로가네 루나]]가 있다. 심지어 [[록맨 Xover]]의 OVER-1에게도 [[칼린카 코사크]]가 있다.] [[에이리아]]와 엮는 팬들도 있지만, [[록맨 X8]]이 되어서야 히로인 이미지가 겨우 생긴데다 엑스 성격상 동료 내지는 갑을관계에 가깝다. 에이리아 경우 [[게이트(록맨 X 시리즈)|게이트]]가 있고. 코믹스의 오리지널 캐릭터인 '마티'가 엑스를 좋아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고, 커맨드 미션에서도 [[나나(록맨 X 커맨드 미션)|나나]]가 사모하는 듯한 묘사가 있긴 하지만 모두 정사가 아닌 것이 아쉬울 뿐. * [[록맨 X4]], [[록맨 X6|X6]], [[록맨 X7|X7]]에서 빈사상태일 땐, "포기할 수 없어!"를 말하는데[* [[록맨 X4]]에서는 작게 읊조리지만 [[록맨 X6]]과 [[록맨 X7]]에서는 크게 외친다.][* [[록맨 X4|메가맨 X4]]의 영어 음성은 "Time to get serious!"로, '제대로 간다!'라는 의미와 비슷하다.] 4, 5, 6에선 한손을 가슴에 대고 눈을 떴다, 감았다를 반복하며 숨을 거칠게 몰아쉬는데 7에선 한손을 배에 댄다. 단 [[록맨 X5]]에선 "아직 멀었어…."라는 다른 대사를 말한다. [[록맨 X8]]에선 한쪽 주먹을 배에 대고 허리와 다리를 약간 숙이면서 "아직 멀었어!" / "포기할 수 없어!" / "지지 않아!" 중 1개를 랜덤으로 외친다. 스테이지 클리어 시 "임무 완료!" / "귀환한다." 중 하나를 말한다. * 어째서인지는 몰라도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2차 인기투표에서 [[피카츄]]와 함께 1표 받았다. 이때 [[세로 한타]]가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스매시 브라더즈]]'냐고 말한다. * 캐릭터가 캐릭터인 만큼 [[M.U.G.E.N.]] 캐릭터로도 나왔다. 종류는 한 가지가 아닌 여러 바리에이션이 존재하며, 무겐의 특징상 앞으로도 더 늘어날 듯하다. * [[태양광 발전]]인지 태양력 발전인지 불명이나 태양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삼는다는 설정이 있다.[[https://gall.dcinside.com/rockman/20702|#]] == 주요 대사 == === [[록맨 X]] === * "제, 제기랄! 나의 힘으론, 놈들을 쓰러뜨릴 수 없는 건가..." -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에게 진 후 내뱉은 한탄.[* [[록맨 X|록맨 X1]]에서 나오는 '''엑스의 유일한 대사.''' 서브 캐릭터인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나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만 해도 대사가 여러 페이지가 나오는데, 명색이 [[록맨 X 시리즈]]의 주인공임에도 하나밖에 없는 대사가 한탄이다. 물론 다행히도 록맨 X1의 리메이크 작품인 [[이레귤러 헌터 X]]와 이후 작품들에선 대사가 많아졌다.] === [[이레귤러 헌터 X]] === *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널 용서하지 않겠다...''' *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미쳐버린 너에게 가능성 따위는 없다!''' *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너의 음모도 여기까지다...!''' * '''싸움은 여기서 끝이다! [[시그마(록맨 X 시리즈)|너]]를... 쓰러뜨린다!''' === [[록맨 X2]] === * "케인 박사님,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파츠는 제가 되찾겠습니다!''' - [[카운터 헌터]]로부터의 통신을 받은 후 * "케인 박사님, '''제가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를 구하러 가겠습니다!''' -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파츠를 전부 카운터 헌터에게 빼앗긴 후 * '''...! 시그마냐!!''' - 카운터 헌터 기지 전멸 후 === [[록맨 X3]] === * "거절한다! '''네 놈도, 그리고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의 계획도 여기서 끝이다!''' - 자신을 끌어들이려는 [[Dr. 도플러]]의 제안에 대한 대답 === [[록맨 X4]] === * '''[[더블(록맨 X 시리즈)|더블]]! 나는, 나는! ...믿고 있었는데!''' - [[더블(록맨 X 시리즈)|더블]]의 [[스파이|정체]]를 알게 된 후 * '''입 닥쳐! 그런 짓은 내가 가만두지 않아!''' -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와의 대면 중 * "저기,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만약 내가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가 된다면 어쩔 거야? (쓸데없는 소리는 듣고 싶지 않아. 끊는다.) '''기다려줘! 진지하게 듣고 싶어. ...제로, 만약 내가 [[카피 엑스|이레귤러]]가 된다면 [[제로(록맨 제로 시리즈)|네]]가 처리해줘.''' (바보 같은 소리 하지 말고 어서 돌아와.) '''약속이야... 제로...''' - 엔딩의 대사. === [[록맨 X5]] === * "나는 지금, 어떤 적한테도 맞설 수 있어. 그런 기분이 들어. 이 [[제트 세이버|세이버]]가 있는 한... '''오늘도 가자!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함께 싸우자!''' 언제까지나... 함께 하는 거야, 제로..." * "내가 모르는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처음 보는 제로, 내가 모르는 제로다. 정말 제로일까?" - [[록맨 X5]]에서 콜로니 격파 실패 시 나오는 [[시그마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와일리가 본래 의도했던 모습이 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에게 하는 말. * "스스로도 왜인지는 모르지만 받아들일 수 있어. 가르쳐 줬었지? '''눈으로 본다던가 데이터로 얻는 게 안 되는 것도 있다고.''' 느끼는 것. 느껴야지만이 알 수 있는 게 있다고. 지금, 말 그대로 그걸 느끼고 있어. 알겠어. 받아들이겠어. 숙명인 거지? '''싸우겠어! 도망치지 않아!''' - 각성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쓰러뜨린다는 말에 대한 대답. * "데이터 반응도 그대로... 이전의 제로와 조금도 다를 게 없는 데이터 반응... 하지만 눈에 보이지도, 데이터로도 잡히지 않는 게 있어. 그걸 가르쳐준 건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 너였지. '''지금의 제로에게선 사악함이 느껴져.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와 비슷한, 아니, 그 이상의 사악함이! 널 쓰러뜨려서, 진짜 제로를 되찾겠어!''' === [[록맨 X6]] === * 아직도 그런 소릴 하는 거냐?[*한글판 [[하이맥스]], 아직도 모르겠냐?] 난 질 수 없다. '''헛된 야망 따위에 질 수 없단 말이다!''' * '''지금은 지구를 복구하는 게 더 중요해. [[시그마(록맨 X 시리즈)|네]]게 신경 쓸 여유가 없어. 또 내 눈 앞에 나타나면 쓰러뜨린다... 그것뿐이야.''' === [[록맨 X7]] === * "[[동족상잔|어째서 같은 레플리로이드끼리 상처 입히지 않으면 안 되는 거지]]? 나는 더 이상 싸우고 싶지 않아..." * "[[힘|자신의 의사를, 상대에게 강요하는 수단]]..." - [[솔저 스톤콩]]과의 전투 직전에 대화에서 === [[록맨 X8]] === * '''그건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의 생각일 뿐이다. [[레플리로이드]]는 아무도 파괴를 원하지 않아!''' - 세계는 파괴를 원한다는 [[뱀부 판데모니움]]의 말에 대한 대답. * "내가 여기 있는 한, 희망은 있다! '''[[바바(록맨 X 시리즈)|네 놈]]도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도, 내가 쓰러뜨린다!''' -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와의 마지막 싸움에서 * "'''각성'''...[[루미네]]는 그렇게 말했다. 이건 진화라고. 만약 그 말이 사실이라면 우리들이 하고 있는 일은 대체 무엇일까." - [[루미네]]를 쓰러뜨리고 기지로 귀환하던 중에 말한 독백 === [[록맨 X 커맨드 미션]] === === [[프로젝트 크로스 존]] === [youtube(rg7PFrw8lUg)] * '''그걸로 해결이 되는 걸까, 제로. 같은 [[레플리로이드]]들끼리 서로 파괴한다... 그래선...!''' - 몇 번이라도 파괴하겠다는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의 말에 대한 대답 *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네가 어째서 나를 증오하는 지는 모르겠어. 하지만 해야 될 일은 알아. 지금의 나는... 제17 부대의 대장이다!''' - 무른 너에게 가능성 따위는 없다는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의 말에 대한 대답 * '''싸울 수밖에 없다면... 싸울 뿐이다!''' *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더 이상 그런 것에 매달릴 상황이 아니야. 나는 세계를 지키기 위해 싸운다. 거길 비켜줘.''' - 어느 쪽이 세계를 바꿀 수 있는지 결착을 짓자는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의 말에 대한 대답 * '''끝을 내자,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싸움의 결과, 세계가 바뀐다면 나는 그걸로 됐어.''' - 입'발린 소리는 인정할 수 없다는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의 말에 대한 대답 === [[프로젝트 크로스 존 2 : 브레이브 뉴 월드]] === [youtube(WzcivJhK6E0)] *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어째서냐? 우리들의 싸움은 끝났을 터다!''' -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와의 재회 중 * '''너는 내가 멈춘다. [[이레귤러 헌터]]로서다!''' -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와의 재회 중 * '''[[이레귤러 헌터|헌터]]의 임무는 완수했다!''' === [[TEPPEN]] === * '''무엇을 위해서 싸우는 건지 해답을 반드시 찾아내겠어.''' * '''피할 수 없는 싸움이라면 적당히 하지 않아.''' * '''싸우는 것 밖엔, 방법이 없는 것인가...''' *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 발견. 사명을 다한다.''' * '''데이터에는 없구나. 그러나 용서는 하지 않아.''' * '''무장을 해제하고 투항해라.''' * '''이 힘을 해방한다.. 싸움을 끝내기 위해서!''' * '''사명을 위해서 아직 당할 수는 없어...''' * '''사명의 해답, 반드시 찾아내 보이겠어.''' === [[록맨 X/만화|코믹스판]] === *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면 더더욱.. 더더욱 지키기 위해 써야만 하는 거야!"''' * '''"랭크로만 판단하는 [[아이시 펜기고|너]]로서는 모르겠지! 이것이 마르스가 가르쳐 준 '긍지'의 힘이다!!!"''' *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를 향한 충성심 따위는 더러운 '사심'에 지나지 않아!"''' * '''"[[스파크 맨드릴러|네]]가 충성을 다하기 위해 싸우는 거라면... 나는... 모두가 웃으며 평화롭게 사는 세상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 '''"기뻐한다고? 환영한다고? [[버닝 나우만더|네놈]]의 그 커다란 귀는 장식인 거냐? 이건 '절규'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은 자가 남긴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타도'를 향한 피의 절규다!!!"''' * '''"바깥이 안 된다면 내부를 공격할 뿐이다! 안 그런가?!"''' * '''"강함엔 '등급'도 '몸'도 '덩치'도 상관 없어. 중요한 건 '긍지'라고... 그건 [[이레귤러 헌터|헌터]]에게만 해당되는 게 아니라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거라고 생각해. 그 증거로 나는 커다란 [[버닝 나우만더|나우만더]]를 이겼잖아?"'''[* [[록맨 X/만화|코믹스판]]에선 [[버닝 나우만더]]의 정체는 작은 CPU로, 다른 [[이레귤러 헌터]]들이 작다는 이유로 깔봤기 때문에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의 반란에 가담한 것이다. 참고로 [[록맨 X|록맨 X1]]의 보스들 중에는 유일하게 생존자가 되었다.] * '''"'지혜'는 살아남기 위해. '용기'는 살 확률을 높이기 위해. 저마다 강함과 연관되는 중요한 것이라고!"'''[* [[스톰 이글리드]]와 싸우면서 한 말.] * '''"한 번 물러서면 두 번 다신 적 앞에 설 수 없게 돼! 그렇기에... 도망치지 않는 거야."''' * '''"나는 전설의 [[록맨]]이 아니야... 나 역시 한 대의... '[[이레귤러(록맨 시리즈)|이레귤러]]'일 뿐이다..."''' * '''"긍지에 대한 가르침을 받았다. 목숨을 걸고 승부를 벌여왔다. 희망이라 불려졌다. 다시 만나기로 약속했다. 평화로운 미래를 만들기로 약속했다!! 여기서 죽으면... [[제로(록맨 X 시리즈)|친구]]의 기대를 저버리게 돼..."''' * '''"그것이.. '공포'라는 거다,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패자(覇者)로 태어난 네 놈의 처음으로 느낀 '감정'이다! 가르쳐 주지... 그 공포의 정체는... 바로 '희망'이다... 너는 '지혜'와 '용기'가 자아낸 '희망'을 두려워 하고 있는 거다... (중략) 그 희망이 있는 한 나는... 우리들을 탄생시킨 인간을... '믿는다!!!'"''' * '''"수많은 친구들이 목숨을 잃었다... 수많은 동포들을 쓰러뜨렸다. 모두의 평화를 위해..."''' * '''"어느 쪽이 진정한 '악귀'인 지는 상관 없어. 악귀 같은 건 이 세상에 있어선 안된다고! (중략) 내가 악귀가 된 이유는... '악귀'를 멸하기 위해서다."''' * '''"나와 함께 지옥으로 가자...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 '''"나는 오늘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다. 나는 내일을 열기 위해 싸운다. 나는 살기 위해... 이긴다!"''' * '''"파괴를 즐기던 적도 있었지만, [[스톰 이글리드|미래를 위해...]] [[아머 아르마지|긍지를 위해...]] 그리고 [[소닉 오스트리그|누군가에게 속아서 강제로 싸워야 했던 동료도 있었어.]] 그들은 가증스런 적 같은 게 아니야."''' * '''"언제 끝나... 언제 끝냐나구! 이런 무의미한 싸움은 대체 언제가 되어야 끝나는 거야!! 대체 언제가 되어야..."'''[* [[웹 스파이더스]]와의 전투 이후 절규하면서.] * '''"날 방해한다면 너라고 해도 죽일 거야."'''[* [[프로스트 키바토도스]]에게 비참하게 패배한 뒤 힘을 갈망하던 엑스가 [[얼티밋 아머]]를 장착하고 타락하는데, 이를 막으려는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를 보고 한 말. [[https://twitter.com/bainin0803/status/1171297635250012160|이때 엑스가 짓는 표정이 섬뜩한 것으로 유명하다]].] == 갤러리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XMMX1.jpg|width=250]]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XMMX2.jpg|width=250]]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XMMX3.jpg|width=230]] || || '''[[록맨 X]]''' || '''[[록맨 X2]]''' || '''[[록맨 X3]]'''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X4_xleap.jpg|width=250]] || [[파일:Rockman X Cyber Mission_X.png|width=250]] || [[파일:Rockman X2 Soul Eraser_X.jpg|width=325]] || || '''[[록맨 X4]]''' || '''[[록맨 X 사이버 미션]]''' || '''[[록맨 X2 소울 이레이저]]'''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X5_xstand.jpg|width=220]] || [[파일:external/static.squarespace.com/x6_xsaber.jpg|width=265&width=325]]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X7_xstand.jpg|width=200]] || || '''[[록맨 X5]]''' || '''[[록맨 X6]]'''[* 들고 있는 검은 [[록맨 X5]]에서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남긴 '[[제트 세이버(록맨 시리즈)|제트 세이버]]'.] || '''[[록맨 X7]]'''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MX8-X.jpg|width=250]]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Xcm_xstand.jpg|width=215]]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egamanMMXCM.jpg|width=230]] || || '''[[록맨 X8]]''' ||<-2> '''[[록맨 X 커맨드 미션]]'''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hx_xpose.jpg|width=180]]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egaman3MHX.jpg|width=230]] || [[파일:Rockman Online_X 일러스트.jpg|width=265]] || ||<-2> '''[[이레귤러 헌터 X]]''' || '''[[록맨 온라인]]'''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Project_X_Zone_X.png|width=265]] || [[파일:Street Fighter x All Capcom_X.png|width=290]] || [[파일:Marvel vs Capcom Infinite_X.jpg|width=300]] || || '''[[프로젝트 크로스 존]], [[프로젝트 크로스 존 2 : 브레이브 뉴 월드]]'''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스트리트 파이터]] X 올 캡콤''' ||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 || || [[파일:Dragon Poker_X.jpg|width=290]] || [[파일:Elemental Story_X.png|width=290]] || [[파일:Rockman X_25th_엑스 일러스트.jpg|width=250]] || || '''[[드래곤 포커]]''' || '''[[엘레멘탈 스토리]]''' || '''[[록맨 X 시리즈]] 25주년 기념 일러스트'''[* 미즈노 케이스케가 그린 일러스트다. 센티넬 TruForce Collectibles Designer Series X의 일러스트와 동일하다.] || || [[파일:Kotobukiya's_Model Kit_X.jpg|width=250]] || [[파일:Rockman X Anniversary Collection 1_X.png|width=350]] || [[파일:Rockman X Anniversary Collection 2_X.png|width=350]] || || '''[[코토부키야]] 모델 킷(model kit) 박스의 일러스트''' || '''[[록맨 X 애니버서리 컬렉션]] 1'''[* [[록맨 X 애니버서리 컬렉션]] 1 일러스트에서의 엑스의 자세는 [[록맨 X]]의 일러스트를 재현한 것이다.] || ''' [[록맨 X 애니버서리 컬렉션]] 2'''[* [[록맨 X 애니버서리 컬렉션]] 2 일러스트에서의 엑스의 자세는 [[록맨 X5]]의 일러스트를 재현한 것이다.] || || [[파일:Rockman X DiVE_Hunter Program_X.png|width=280]] || [[파일:Rockman_X_DiVE_Hunter_Command_Mission_X.png|width=230]] || [[파일:Rockman_X_DiVE_Hunter_Program_X_M.K.Ver..png|width=220]] || ||<-3> '''[[록맨 X 다이브]]'''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이레귤러(록맨 시리즈),version=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