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정보 단위]] [include(틀:정보 단위)] [목차] == 개요 == 1 EB = 1,000,000,000,000,000,000 bytes 1 EiB = 1,152,921,504,606,846,976 bytes[* 115경 2921조 5046억 684만 6976바이트] 페타바이트의 1024배로 엑사바이트(Exabyte, EB)는 10^^18^^ 를 의미하는 SI 접두어인 엑사와 컴퓨터 데이터의 표시단위인 바이트가 합쳐진 자료량을 의미하는 단위이다. 기가바이트로 환산시 무려 약 '''10억''' GB라는 어마어마한 데이터량을 자랑하며 테라바이트로 환산해도 약 100만 TB에 달한다. [[64비트]] 컴퓨터가 이론적으로 가질 수 있는 [[RAM]]의 최대 용량은 16 EiB이다. == 사례 == 2013년 기준으로 [[구글]]의 데이터 센터가 보유한 디스크 총 용량이 10 EB이며, 추가적으로 5 EB 용량의 테이프가 백업 스페이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나 2013년 이후 유튜브나 구글포토 등 클라우드 환경이 급속도로 커지기 시작했으므로 구글이 보유한 데이터센터 디스크 용량도 폭발적으로 증가했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11월, 구글이 구글포토의 저장용량 무제한 정책을 폐지한다고 밝혔다. 그와 동시에 구글 포토에 저장된 사진 개수가 총 4조장에 육박한다고 밝혔는데 단순 산술로 1장에 5 MB 정도만 차지한다고 하더라도 20 EB이다. 2022년 4월 기준 [[LHC]]의 데이터 센터 총 용량이 1.5 EB 이다.[* [[https://home.cern/news/news/computing/building-work-cerns-new-data-centre-prevessin-begins|Building work for CERN’s new data centre in Prévessin begins]]] == 미디어에서 등장 == [[디지몬 시리즈]]에 등장하는 [[디지몬]]인 [[엑자몬]]은 이 엑사바이트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설정상 엑사바이트에 달하는 무지막지한 용량을 가진 디지몬이다. [[디 이블 위딘 2]]에 등장하는 가상현실 [[STEM 시스템]]에서 유니온 마을에 거주하는 '''시민 한 명 당''' 요구되는 저장소와 데이터의 처리양이 100 엑사바이트라고한다. [[planetarian ~작은 별의 꿈~]]의 애니메이션판에서 [[호시노 유메미]]의 기억이 담긴 메모리카드의 용량이 128EB로 표기된다. 설정 상으로 유메미는 2034년 제작된 [[안드로이드]]다. [[엘리시움(영화)]]의 주인공 맥스 다 코스타의 머릿속에 든 엘리시움 리부팅 프로그램의 용량이 50 엑사바이트라는 언급이 있다. 작품의 배경은 2154년이다. [[블루아카이브]]에 등장하는 요새도시 에리두의 전체 리소스가 1만 엑사바이트[* 10 제타바이트]라고 하며, [[우트나피쉬팀의 배]]의 전체 리소스는 9999만 엑사바이트[* 99.99 요타바이트] 이상이라고 한다. 전자는 일반 컴퓨터로 확보한 리소스로 보이며, 후자는 우주전함 모양의 양자컴퓨터다. == 관련 문서 == * [[컴퓨터]] * [[슈퍼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