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코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에히메현 제2구}}}}}}'''[br]{{{-1 {{{#ffffff 愛媛県第2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Ehime2.svg|width=100%]]}}}|| ||<-2><:>'''선거인 수'''||<-2><:>251,905명 (2020)|| ||<-2><:>'''상위 도도부현'''||<-2><:>[[에히메현]]|| ||<-2><:>'''하위 행정구역'''||<-2><:>[[마츠야마시]](남・북부), [[이마바리시]], [[토온시]], [[오치군(에히메)|오치군]], [[이요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무라카미 세이이치로]]|| [목차] [clearfix] == 개요 == [[에히메현]]의 [[마츠야마시]](옛 호쿠죠시, 나카지마초, 쿠타니무라, 우케나무라 영역, 키타이도2초메 제외), [[이마바리시]], [[토온시]], [[오치군(에히메)|오치군]], [[이요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로는 해당 지역구의 해안 지역과 3구 관할 지역이 2구로 변경되고 해당 선거구의 내륙 지역과 4구 관할 지역이 3구로 병합된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의 [[무라카미 세이이치로]](村上誠一郎). == 역대 국회의원 ==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9><:>[[무라카미 세이이치로]]||<|9><:>[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 역대 선거 결과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에히메현 제2구|{{{#fff 에히메현 제2구}}}]]}}}'''[br]{{{#fff 마츠야마시(남・북부), 이마바리시, 토온시, 오치군, 이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 '''62,51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8.85%''' || '''당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니시오카 아라타 || 33,894표 || 2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26.48% || 낙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요코야마 히로유키 || 21,044표 || 3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16.4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잇시키 가즈마사 || 10,525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2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27,979표 ||<|2> '''투표율'''[br]51.07% || || 선거인 수 || 257,808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에히메현 제2구|{{{#fff 에히메현 제2구}}}]]}}}'''[br]{{{#fff 마츠야마시(남・북부), 이마바리시, 토온시, 오치군, 이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 '''72,86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57.5%''' || '''당선''' || ||<|2><#003f88> [[국민민주당(2020년)|[[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width=50]]]] || 이시이 도모에 || 42,520표 || 2위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33.5%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가타오카 소 || 11,35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0%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249,121인 ||<|2> '''투표율'''[br]52.73% || || 유효표 || 126,739표 ||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에히메현의 의석 수가 1석 감소하게 되었다. 공식적으로 폐지되는 지역구는 4구이지만, 위치 특성상 4구를 분할하긴 힘들고 이 곳이 공중분해 되었다. [[마츠야마시]] 부분은 1구로, [[이마바리시]]와 [[오치군#s-2|오치군]]은 기존 3구와 합쳐 신 2구로, [[토온시]], [[이요#s-2.2|이요군]]은 기존 4구와 합쳐 신 3구로 획정되었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기존 3구 현역인 이하라 타쿠미 의원을 신 2구 지부장으로 선임했고, 지역구가 사라진 무라카미 의원은 비례대표로 전출되었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도 3구 기반의 시라이시 요이치 의원이 출마한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에서는 해운 회사 직원인 가지노 고스케 후보가 출마한다. [[분류:선거구/일본]][[분류:에히메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