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2리그)] ||<-2> [[파일:에히메 FC 로고.svg|width=250]] || ||<-2><#3b1e87> '''{{{#fff {{{+1 에히메 FC}}}}}}''' || ||<-2><#fff> '''{{{#004731 {{{+1 Ehime FC}}}}}}''' || || '''정식 명칭''' ||愛媛FC || || '''라이선스''' ||J1 || || '''창단''' ||[[1970년|{{{#000,#ddd 1970년}}}]] || || '''구단 형태''' ||시민구단 || || '''소속 리그''' ||[[J2리그|[[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width=70]]]] || || '''연고지''' ||[[에히메]] 현 [[마츠야마시]] || || '''홈 구장''' ||[[닌지니아 스타디움]] (20,919명 수용) || || '''회장''' ||무라카미 타다 || || '''감독''' ||이시마루 키요타카 || || '''키트 스폰서''' ||[[미즈노(브랜드)|미즈노]] || || '''공식 웹사이트''' ||[[http://www.ehimefc.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px]]]]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ehime_fc, 크기=20px)] | [[https://www.instagram.com/ehimefc1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px]]]] | [[https://www.youtube.com/ehimefcchann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line.me/R/ti/p/%40ehime_fc|[[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 개요 == 에히메 FC는 [[에히메현]] [[마츠야마시]]를 중심으로 에히메 현 전체를 홈으로 삼는 [[J리그]] 축구팀이다. 홈 경기장은 [[닌지니아 스타디움]]으로 20,919명을 수용할 수 있다. == 역사 == 1970년에 마츠야마 축구 클럽으로 창설되어 1996년에 에히메 FC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1999년 처음으로 천황배에 참가했고, 2005년 [[일본 풋볼 리그]]에서 YKK AP FC를 2점차이로 제치고 우승하며 J리그에 승격하였다.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6년 동안 J2리그에서 버텼다. 최고 순위는 2015시즌 [[J2리그]] 5위. 그 이외에는 중하위권을 전전하는 팀이다. 2018시즌에는 최악의 부진을 기록하며 같은 [[시코쿠]]팀인 [[카마타마레 사누키]]와 함께 강등권에 놓였으나 사누키와는 다르게 서서히 승점을 쌓아가며 이후에는 강등권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그래도 하위권임은 변하지 않았다. 결국 2021년에는 강등이 확정되어, 2022시즌에는 팀 역사상 처음으로 J3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그렇게 2년을 보내고 2023 시즌에 우승하여 2024년에 J2리그로 복귀한다. == 우승 == * [[J3리그]] : 1회 (2023) * [[일본 풋볼 리그]] : 1회 (2005) * 시코쿠 축구 리그 : 3회 (1998, 1999, 2000) == 주요 선수 == * 일본 * [[노자와 히데유키]] : 2018-2020 * [[다카하기 요지로]] : 2006[* [[산프레체 히로시마]]에서 임대.] * [[사이토 마나부]] : 2011[*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서 임대.] * AFC * [[강윤구(1993)|강윤구]] : 2015[* [[비셀 고베]]에서 임대.] * [[김신영(축구선수)|김신영]] : 2011[* [[반포레 고후]]에서 임대.] * [[김태연(축구선수)|김태연]] : 2008[* [[비셀 고베]]에서 임대.] * [[박광일(축구선수)|박광일]] : 2016 * [[박성수(1996)|박성수]] : 2014-2020[* 2020년은 [[FC 기후]]로 임대. 임대 복귀 후 [[대구 FC]]로 이적.] * [[박찬용]] : 2015-2016 * [[한희훈]] : 2013-2014 * UEFA * [[시시 곤잘레스]] : 2020 == 여담 == 연고지인 에히메가 시골인데다가 J1 경험도 없는 팀이라서 그렇지않아도 팬이 없기로 유명했는데 옆동네에 [[FC 이마바리]]라는 팀이 생기면서 팬 수가 더 줄었다고 한다. 심지어 에히메 FC는 연고지 범위를 에히메현 전체로 설정했기에 이마바리도 연고지에 포함은 된다. 이마바리가 워낙 팬들을 위한 운영을 잘 하고있고 전용구장 건설 목표까지 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보니 더욱 비교가 되고 있다. 그나마 상위 리그에서 뛴다는 유일한 메리트라도 있었는데 J3로 강등되면서 그 메리트도 없어진 상황. 일본 웹에서는 팬들의 응원 없이 뛰는 에히메 선수들이 불쌍할 지경이라고 애초에 에히메현에 2개의 팀도 많으니 이마바리랑 합치는게 어떻냐는 말까지 하고 있다. [각주] [[분류:에히메 FC]]